마감 O일전
[AI 교육] 능동적 AI 실천 II - 데이터와 AI, 사실과 허구적 재현 워크숍아트센터 나비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창작에 관심있는 창작자를 대상으로 능동적 AI 실천 II – 데이터와 AI, 사실과 허구적 재현 워크숍을 진행합니다. AI는 더 이상 단순한 도구가 아닌 창작의 동료이자 협업자로, 우리가 AI기술을 어떻게, 얼마나 적극적으로 활용하는가(Active AI Practices)에 따라 창작의 깊이와 폭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이번 워크숍은 <능동적 AI 실천> 시리즈 중 두 번째 워크숍으로, 생성형 이미지, 영상 제작이 가능한 모델과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데이터 기반의 AI 영상 콘텐츠를 제작해 봅니다.
이번 수업의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AI와 협업을 통해 이미지와 영상 중심의 콘테츠를 제작하며, 표현의 폭을 넓히고자 하는 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1. 워크숍 개요
- 워크숍 일시: 2025년 9월 22일 ~ 10월 28일(5회차) 18:30 – 20:30, 120분
• 1회차: 9월 22일 (월) 18:30 – 20:30
• 2회차: 9월 30일 (화) 18:30 – 20:30
• 추석 연휴 휴강
• 3회차: 10월 14일 (화) 18:30 – 20:30
• 4회차: 10월 21일 (화) 18:30 – 20:30
• 5회차: 10월 28일 (화) 18:30 – 20:30
- 모집 인원 및 대상: 생성형 AI와 능동적 협업을 하고싶은 창작자/일반인 10인 내외
- 교육 장소: 서울 종로구 사직로 102 광화문의꿈 3층 303호 / 주차 불가능
- 수업 준비물: 개인 노트북 및 구글 계정
* Colab(9.99$) 월 구독 여부는 추후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 워크숍 신청 방법: 신청링크 접속 → 구글폼 작성 후 제출
- 참가비 : 400,000원
2. 커리큘럼
회차 | 수업 제목 | 수업 내용 |
1차시 (9/22) | 데이터 기반 스토리텔링과 대본 제작 Context Focus: AI 영상 제작 환경에 필요한 스토리보드 제작 * 1차시만 월요일에 진행합니다. | AI 영상 제작 환경을 살펴보면서 무엇이 가능하고 무엇이 필요한지 설계한다. 이후 chatGPT, dataCPT, gemini등의 언어모델과 함께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로 기록된 상관관계 이해, 인사이트 도출, 스토리텔링 등 영상 제작에 필요한 시나리오를 만든다. |
2차시 | AI Studio, 가상인간 Context Focus: 가상인간 중심 영상 제작 | Session I에서 기획한 영상 시나리오에 필요한 가상인간 중심의 영상 소스를 제작한다. 인터뷰, 대화 등 가상인간이 중심이 되는 영상 소스를 FLOW(veo3), heyGEN, D-ID등의 서비스를 활용해서 제작해본다. |
3차시 (10/14) | 서비스와 커스텀 모델 I Context Foucs: 영상 소스 제작 I | WHISK, FLOW(veo3) 등 특정 생성모델을 활용한 이미지/영상 생성 서비스를 활용하여 영상 소스를 생성해보고 이어서 WAN 2.2(혹은 최신 모델)등의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해서 영상 제작을 실험한다. 영상소스는 Session I에서 기획한 시나리오에 따른다. |
4차시 (10/21) | 커스텀 모델 II Context Focus: img2vid, vid2vid | WAN 2.2(혹은 최신모델)드으이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할 때 필용한 일관성 유지, 특정 데이터 주입을 위한 기법들(controlNET, lora, IPAdapter등)과 영상생성에 용이한 추가 모델들(steerable motion 등) 사용해서 이미지에서 영상(img2vid)으로, 영상에서 영상으로(vid2vid) 전환하는 워크플로우 등을 실험한다. Sesison I에서 기획한 영상 시나리오에 필요한 영상 소스를 만든다. |
5차시 (10/28) | 사운드 생성 및 최종 결과물 편집 Context Focus: mmStudio, Suno(혹은 최신모델, 서비스)로 사운드 생성 | Elevenlabs로 목소리, mmStudio로 영상에 따른 BGM, Suno로 사운드 트랙등 영상 제작에 필요한 음원/소리를 생성해본다. 지금까지 생성한 영상과 음원/소리를 합해서 하나의 영상콘텐츠로 제작한다. |
3. 강사소개
강사 : 민세희 (Sey Min)
![]() |
민세희는 데이터 시각화를 시작으로 인공지능 시각화, 그리고 생성형 AI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등 디지털 데이터를 통해 우리 자신과 사회를 이해하고자 데이터 리얼리즘, 그리고 AI 의존적 인식의 변화와 충돌을 실험하고 있다. 민세희의 작업은 SKT, intelUSA, VICE, 구글등 다수의 국내외 기업과 협업을 하였으며 TED global2012, TED 2011, Lift asia, CNN 아시아, MOMA 블로그, 중국 artworld 등에서 소개되었다. 이후 인공지능기반 창작 툴, Praxis.ai 개발, 2023년까지 제 10대 경기콘텐츠진흥원장을 역임, 현재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겸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홈페이지 : https://nabi.school/item.php?idx=138
문의 : [email protected]
(전화 문의는 받지 않습니다. 문의사항이 있는 경우 아트센터 나비 공식 전화번호가 아닌 위 이메일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