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에서 마케팅까지]
약 한 달간 진행되는 고등학생 멘토링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성공한 경험이 있습니다.
2017년도부터 2018년도까지 약 2년 동안 고등학교 도서관 보조 교사로 일한 경험이 있습니다. 근무 기간 중,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학 프로그램 기획을 맡게 되었습니다.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해본 결과, 학습습관을 형성해 주는 것이 학교와 학생의 관점에서 이 프로그램을 하는 궁극적인 목적이라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저와 동료들은 ‘학습 습관 형성 및 멘토링’이라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이를 홍보하였습니다. 학생들의 눈길을 끌 수 있는 포스터를 만들어 각 반에 배부하거나, 기존에 도서관을 많이 이용하는 학생들이 입소문을 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포스터를 보거나, 소문을 듣고 온 학생들이 프로그램 신청서를 내는 모습을 보며 보람을 느꼈습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프로그램은 예상 인원보다 많은 학생들이 신청하게 되었고, 학교에서 다음 방학에도 동일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길 원할 정도로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프로그램 홍보 기간이 짧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을 했고, 이러한 홍보가 타겟에게 통했을 때 마케팅의 중요성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좋은 기획을 많은 사람에게 알리기 위해서는 정확한 마케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분석을 통한 정확한 마케팅을 하면서, 보람을 다시 느껴보고 싶습니다.
[직접 얻어낸 고객의 반응]
저는 그동안 소비자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마케팅을 위해 고객의 인사이트를 얻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4년 이상의 빵집 아르바이트를 하는 동안 손님들의 불편사항이나 만족사항을 듣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습니다. 질문을 통해 고객 의견을 듣고 이를 분석하여 사장님께 제가 생각하는 개선 방안을 전달하였습니다. 또한, 고객의 반응 및 상품 판매량을 고려하여 특정 상품들의 판매량 조절을 제안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는 가게 운영에 반영되기도 하였습니다. 특히, 타 가맹점에서 판매하고 있는 특정 제품이 인터넷상에서 젊은 층을 대상으로 인기가 많은 것을 보고, 사장님께 판매 제안을 드렸습니다. 실제로 판매를 해본 결과, 젊은 고객을 대상으로 높은 판매량을 보였고, 매장 인기 상품이 되었습니다.
저는 마케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분석에서 인사이트를 얻어내는 것이고, 이를 위해선 다양한 경험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오랫동안 서비스직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며 여러 경험을 했고, 생각의 시야를 넓힐 수 있었습니다. 경험을 통해 다양한 소비자들의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능력을 키우게 되었고, 이러한 저의 능력으로 회사에 도움이 되고 싶습니다.
연결된 Behance 계정이 없습니다.
연결된 Dribbble 계정이 없습니다.
연결된 GitHub 계정이 없습니다.
연결된 Bitbucket 계정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