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두 배나 더 벌던 전 직장보다 한국의 스타트업이 좋은 이유

바벨탑(Babeltop) / 조은별




왜 돈을 더 많이 주는 프랑스나 다른 나라에서 일을 찾으려 하지 않니?

프랑스에서 자라 영국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미국에서 커리어를 쌓은 자크 씨는 부모님께 종종 이런 말을 듣는다고 합니다. 얍컴퍼니에서 해외 진출 전략을 담당하는 이 프랑스 청년은 두 배나 더 많은 돈을 주던 전 직장보다 지금 일하고 있는 한국의 스타트업이 더 좋다는데요. 그는 자신의 블로그http://www.thekoreandream.fr를 통해 자신처럼 한국이 관심사인 프랑스인들에게 여러 정보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외국인의 시각에서 본 한국 사회와 문화, 스타트업에 대한 여러 흥미로운 글은 글로벌 시대에 세계 무대로 뻗어나가야 하는 한국의 창업자들에게도 새로운 영감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오늘은 자크 씨가 자신의 블로그에 실은 프랑스 독자를 대상으로 한 두 편의 글을 번역하여 조합해보았습니다.


두 배나 더 벌던 전 직장보다 한국의 스타트업이 좋은 이유

 

여러분께 한국에서 일하는 저의 일상을 이야기해드리겠습니다. 일이나 동료와의 관계에서 어떤 문화적 차이를 느끼는가에 대해서도 말이죠. 여러분이 여태까지 한국의 기업문화에 대해 들어왔던 것과는 사뭇 달라 놀라실 수도 있습니다. 저는 스타트업에서 일합니다. 현대, 삼성, LG와 같은 거대 재벌 기업들과는 분위기가 다르죠.

 

프랑스에서의 삶

저는 프랑스에서 전자공학 엔지니어 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전공으로 영국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 후 한 IT 컨설팅 회사에서 일을 하기 시작했죠. 저의 이력서에는 화려한 IT 전문용어가 넘쳐납니다. 사실 엔지니어라는 직업이 화려함과는 거리가 멀죠. 하루 종일 컴퓨터 앞에 앉아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코드를 고치며 온갖 문제를 해결합니다. 세상을 바꿀만한 일은 아니죠. 첫 직장을 얻고 월급을 받기 시작한 사회 초년생으로서는 모든 것이 흥미진진했습니다. 누구든 실무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에 대해 배우는 첫 시기에 투덜대기는커녕 혼신의 힘을 다하죠. 저 역시 그랬고, 기진맥진해지기까지 2년의 시간을 버텼습니다.

 

한국에 오기까지

돌파구와 모험이 간절했던 시기, 한국에 가고자 하는 열망이 불타올랐습니다. 15살때부터 한국 문화에 매료되었었기 때문이죠. 저 멀리 한국에 갈수 있는 계기가 있을까 찾아보았지만 결실은 없었습니다. 그러던 중 프랑스 청년들이 해외에 있는 기업에 파견 근무를 나갈 수 있는 제도(VIE, Volontaire International en Entreprise, 국제 기업 자원봉사)를 통해 뉴욕 HSBC 은행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저는 일초도 망설이지 않고 떠나기를 선택했죠. 한국에 갈 계기로 이어질 것을 기대하면서 말입니다. 1년 반의 시간 동안 맨하튼 5번가에 있는 사무실에서 프랑스였다면 10년차 이상은 되어야 받을 수 있는 급여를 받으며 일을 했습니다. 개인적으로나 직업적으로나 정말 훌륭한 모험이었습니다. 하지만 점차 일상적인 업무가 반복되며 전 직장과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면서 커리어로써 대단한 만족을 느끼지는 못했습니다. 드디어 계약이 만료되고, 이제는 정말로 한국에 갈 좋은 시점이 왔다고 생각했습니다.

 


한국의 스타트업에서 일하다!

에어비앤비나 우버와 같은 미국의 거대 스타트업이 처음에 어땠을지 상상해보십시오. 제가 바로 한창 성장세에 있는 그런 스타트업에서 일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 버전으로요! 삼성이나 LG와 같은 거대 재벌과 달리 분위기가 매우 젊고 개방적입니다. 경영이나 프로세스 역시 기성 기업들처럼 딱딱하지 않죠. 회사에 도움이 될만한 모든 솔루션과 제안이 자유롭게 받아들여집니다.

 

어떻게 일을 찾았냐고요?

한국에 들어온 직후 집중적으로 일을 찾기 위한 노력을 했습니다. 당시 저의 한국어 실력은 초중급 수준이었지만 기본적인 의사소통은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으로 지원한 저의 이력서에 긍정적인 소식은 하나도 돌아오지 않았죠. 취업 박람회에도 참가해봤지만 아무런 결과도 없었습니다. 사람들이 저에게 한국에서는 모든 것이 인맥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했는데 정말인가 봅니다. 사실 제가 첫 면접 기회를 얻은 것은 살사 수업에서 만나게 된 분과 이야기를 나누던 중이었습니다. 그 분은 자신이 일하는 스타트업에서 글로벌 진출을 위해 중국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외국인을 찾고 있다고 말해주었습니다. 바로 제가 그 프로필에 부합했죠. 다음날 저는 그 회사에 이력서를 보냈고 그 다음날 면접을 보고 입사에 성공하게 되었습니다.

 

근로 조건

계약서 상의 업무시간은 아침 9시 30분에서 저녁 6시 30분까지 입니다. 제가 제일 놀란 것은 이것이 지켜진다는 것이었습니다. 심지어 어떤 분은 직원이 사무실에 너무 늦게 남아있으면 쫓아내기까지 합니다. 회사에 늦게까지 남는 유일한 사람들은 바로 개발자들인데요, 이것은 아마도 세계적으로 공통된 모습일 겁니다. 반면 휴가에 관한 이야기만 나오면 울고 싶어집니다. 첫 해에는 휴가가 없으며 2년차부터 매년 15일의 휴가가 있습니다. 2년차의 휴가를 첫해에 끌어다 쓸 수 있긴 하지만요. 아, 나의 프랑스여. 첫 해부터 주어지는 5주간의 유급 휴가와 RTT(주 35시간보다 초과로 일할 경우 이를 부상하기 위해 주어지는 휴일), 병가 등이 그립습니다.


한국의 기업문화

제가 한국 기업에서 느낀 것은 전 LG전자 프랑스 법인 CEO인 에릭 쉬르데주(Eric Surdej)가 저서 “한국인들은 미쳤다!(Ils sont fous ces Coréens! Dix ans chez les forcenés de l’efficacité)”에서 묘사한 것처럼 전투적이지는 않았습니다. 물론 몇 가지 비슷한 모습을 보긴 했지만 말이죠.

보통 인사는 “안녕하세요.”라는 간단한 말과 함께 머리를 숙여서 합니다. 그 각도는 상대방의 중요도에 따라 달라지죠. 한국 사회가 그러하듯 회사 시스템도 극도로 계층화되어 있습니다. 모든 직원들은 여지없이 상급자들을 깍듯하게 대합니다. 가끔은 좀 심하다 싶은 경우도 있죠. 때때로 상급자를 귀찮게 할까 염려하여 질문조차 제대로 못하는 사람도 보았습니다.

회의 시간을 이끄는 사람들은 상급자이고, 나머지는 대부분 듣기만 하거나 드물게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저의 동료들에 따르면 한국 사회에는 남의 눈에 띄기보다는 주류에 속하길 원하는 성향의 사람들이 많다고 합니다.

만약 보다 높은 사람과 식사를 하게 된다면 그 사람은 마치 자신의 의무이기라도 한 것처럼 모든 사람들의 밥값을 지불합니다. 차를 마실 때도 마찬가지죠.

한국의 기업에는 회식이라는 문화가 있습니다. 회사 운영비로 기획되는 이 저녁식사 자리는 상급자들과 술을 마시며 긴장을 풀 수 있는 자리입니다. 술잔을 거절하는 것은 좋게 보이지 않으며, 결국 모두 거나하게 취한 채로 자리가 마감됩니다. 다음날이면 아무일 없었던 듯 모두들 출근하는 모습을 보며 놀랐습니다.

 

매일매일 새로운 배움

한국 스타트업에서 일을 하면서 저는 나날이 많은 것들을 배웁니다. 최신 기술과 모바일 앱 분야에서 일을 하는 사람으로서 세상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죠. 기술적인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경제적, 정치적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모든 것은 연결되어 있기에 각각의 톱니바퀴가 다른 것들에 영향을 주어 이 거대한 세상을 돌아가게 하니까요. 최신 트랜드와 기술을 아는 것은 경쟁에 뒤쳐지지 않기 위한 가장 중요한 일입니다.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