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기획 시작하기

04-01. 내가 만들 서비스 이해하기

코인원 / Tony Seaho Park


 모든 창업자들이 처음 서비스를 도안하고 시작하실 때는 대부분이 염두하고 있는 서비스에 관하여 "이 정도 서비스라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할 거야."라는 간단한 생각에서 시작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서비스를 기반으로 팀을 정비하고, 서비스를 제작하는 것이 문득 보기에는 쉬워 보일 수 있습니다. 심지어 K대, 아니 어느 대학 교수님은 인문계 학생들에게 과제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보라는 황당한 과제를 학기 중에 완료해 제출하라는 어이없는 사건도 있었지요...


전설의 시작



전설의 공무원드립


많은 분들이 그렇게 생각하시는 이유는,

1. 한 번도 서비스를 제작해 본 경험이 없다.

 2. 서비스 기획과 계획에 대한 디테일 한 점들을 깊이 생각해 보지 않았다.

 3. 서비스 제작을 하면서 거치게 되는 과정에 대하여 생각해 보지 않았다.

이 정도 이유가 가장 주 요인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하지만, 견고한 건물을 짓기 위해서는 단단한 지반과 뼈대가 기본이 되어야 하듯,

스타트업에도 견고한 Framework가 기반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주먹구구식으로 하나하나 만들어 나가는 서비스는 제대로 서비스를  시작할 수도 없고, 그렇게 시작하더라도 더 많은 장애요소들 때문에 금방 지칠  수밖에 없죠.




 그리고 Framework를 만들기 전 확실하게 선결되어야 하는 것은 "자신의 서비스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자신이 만들 서비스에 대하여 이해는 있지만, 서비스를 생각해 보지 못한 다른 사람들에게 보다 빠르게 이해시키고 설명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예를 들자면, 많은 분들이 "서비스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해  주세요."라고 질문을 하면,  "어떻게 설명을 시작해야 할지,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뭐부터 설명을 시작해야  할지" 등에 대해 순간 갈피를 못 잡는 경우가 있을 거예요. 이러한 분들에게 가장 필요한 맥락으로, 제가 추천드리는 것은 "자신의 서비스를 육하원칙에 따라 서술해 보기"입니다.


보여드리자면,

"(서비스명)은/는 (누구)에게 (어떤 상황)에서 (어떤 서비스)을/를 (어떤 형식으로) 제공하여, (어떤 갈등 상황)을/를 (어떤 방법)을/를 통하여 해결해 줄 수 있는  서비스이다."

라는 것을 한번 만들어 보세요.


 서비스를 만드는 것은 "선을 잇다, " Just Do It."같은 어떤 철학을 담고 있는 워딩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서비스를 만들어서 현재 어떤 갈등 상황이나 장애요소들을 해결해 나가겠다는 명확한 목표 설정과 시장 설정의 배경이 기반이 되어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의 창업아이템 같은 경우는,

 "비플로트는 현재 문화예술 콘텐츠 산업에서 게이트키퍼들이 가지고 있는 콘텐츠 선점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문화예술 제작자, 이용자, 기업 들이 쉽게 문화예술 콘텐츠를 유용할 수 있는 콘텐츠 공유 SNS 플랫폼이다."로 설정,


 "문화예술 콘텐츠 시장은 지금 어떠한 상황에 있나."

 "콘텐츠 제작자들이 겪고 있는 문화콘텐츠 집중화 현상이란 어떤 것인가."

 "다른 서비스들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려 했던 경험이 있는가."

 "이러한 서비스를 진행하기 위하여 어떤 플랫폼이 좋을 것인가."

상관관계에 대하여 간단한 인포그래픽을 제작했었죠 이런식의 이미지화도 추천드립니다.


등 이후에 진행될 엄청나게 많은 과제들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하여 팀원들과의 공유를 통하여 서비스를 많이 발전시켜 나갔습니다.




 어찌 보면 아무것도 아닌 것 같지만, 육하원칙으로 서비스를 설명할 줄 아는 것이 진정한 IA(Information Architecture)의 시작이고, 모든 서비스의 시작이라고 생각합니다. 기획자가 굳이 아니셔도 전혀  상관없습니다. 처음 기반을 다시 다지시는 게 굉장히 중요하니, 반드시 한 번은 팀원들과 이 육하원칙 만들기를 시작하고 서비스를 만드시길 바랍니다.

#코인원 #블록체인 #기술기업 #암호화폐 #스타트업인사이트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