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봇과 인공지능 머신러닝 - Part 2/2

파운트

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은 챗봇에게 지능을 주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공부를 해보시면 아시지만 공부란 어느정도 양이 많아지면 가속이 붙는다는 것을 학창시절에 경험 하셨을 것이다. 즉, 공부를 잘하는 사람은 조금만 해도 더 잘한다. 아무것도 아는게 없는 상황이라면 무조건 머리에 넣는 것도 방법이다. 물론 그 후에는 외운 지식의 의미에 대해 깊은 사고가 필요하지만.  챗봇한테도 이런 사람에 통하는 방식이 그대로 적용된다.

지도학습은 규칙이나 사례를 구조화된 형식으로 표현하고 이를 컴퓨터에 입력해 놓는 방식이다. 단점은 한 분야의 지능을 다른 분야에 재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분야별로 다시 개발해야 한다는 데 있다. 아! 주입식 교육의 한계.

한편, 자율학습은 인간의 뇌처럼 컴퓨터도 동일하게 데이터간의 연결 상태와 강도로 지식을 보유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의 대표적인 예가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으로 스스로 학습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대량의 데이터에서 스스로 특징을 추출한다. 최근에는 딥러닝(Deep Learning)이라는 방법을 이용하여 자연어 인식, 영상인식, 음성 인식 등에서 과거엔 손도 못 대던 일을 하고 있다.


인공신경망 활용을 위한 두 가지 조건

인공신경망의 장점을 살리기 위해선 두 가지 큰 장벽을 넘어야 한다. 첫째는 자율학습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이다. 둘째는 필요한 양질의 데이터를 대규모로 확보하는 것이다. 인공신경망 개발툴은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무료로 공개하고 있으므로 데이터 공학자, 프로그래밍 전문가, 응용수학자, 기획자 등과 함께 팀을 구성하면 개발을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 가장 큰 난관은 두 번째로 지적한 대규모 데이터의 확보에 있다. 데이터를 가진 자가 승자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데이터가 중요하지만 이를 확보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학습 알고리즘이 있어도 데이터의 질이 떨어지거나 데이터의 수량이 적다면 자율학습이 제대로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아! 머리에 든게 충분히 있어야 딥러닝이 가능하다.


기술력보다는 기획력이 중요한 챗봇

챗봇은 텍스트 형식의 글자를 통해 사람과 기계가 소통하는 방법이므로 앞에서 언급한 머신러닝 기술 중 자연어 처리(NLP)와 자연어 인식(NLU)이 필요해진다. 아! 정말 알아야 할 게 많다. 간단히 설명하면 NLP에는 형태소분석, 구문분석이 포함되고 NLU는 여기에 사용자 의도 해석과 실제 상황처리가 필요한 문맥이해까지 포함된다. 누구나 알다시피 조사, 접사 등이 발달한 한국어는 텍스트 처리가 영어에 비해 쉽지 않다고 한다. 로봇한테 사람처럼 말귀를 알아듣게 하는 작업이란 이렇게 어려운 일이다.

실무에서의 챗봇 서비스는 기술력도 중요하지만 어떤 컨텐츠를 가지고 어떻게 서비스 할지에 대해 더 고민해야 한다. 역시 대화란 사람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만큼 초기단계에서 좋은 데이터 축적을 위해 규칙기반의 룰을 잘 선정하고 이를 머신러닝 기법과 잘 융합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다. 또 데이터 크기가 작을 때에는 딥러닝 보다 SVM(Support Vector Machine)류의 머신러닝이 더 좋은 성능을 보인다. 또 오버피팅 문제로 인해 학습 시 많은 데이터 사용이 꼭 성능증가로 이어지지도 않는다. 오히려 도메인 지식과 기획력 및 간단한 세션관리로도 좋은 품질의 챗봇을 만들 수 있다고 본다. 아울러 초기기술을 계속적으로 축적하면서 차근차근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해 나간다면 누구나 그 컨텐츠 영역에서 훌륭한 챗봇 친구를 얻을 것이다.


맺는말

이상으로 간단하게 챗봇에 대해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을 올려봤다. 깊이 들어가면 한이 없는 분야지만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여 필연적으로 우리와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는 스마트폰 안에 있는 로봇인 챗봇에 대해 모든 사람들이 더욱더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