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버닝맨을 갔는가

버닝맨을 통해 발견하고 싶었던 혁신의 비밀과 나의 정체성에 대한 답들

(주) 라이프스퀘어 / 최형욱 Hugh Choi


1. 첫 번째 이유: 다른 사람들


국내 한 컨퍼런스에서 Zappos의 토니쉐이를 연사로 초빙하고 싶어 한 적이 있다. 연락을 한 끝에 강연비 7000여만원을 줄 수 있으면 온다는 피드백을 받았다. 꼭 초대를 하고 싶었던 주최측은 그러겠다고 회신을 했고 얼마 후 두번째 피드백을 받았다. 토니쉐이가 내가 꼭 가야하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질문과 함께 자기 생각에 가야 할 특별한 이유가 없다며 거절한다고 말이다. 이럴거면 처음부터 싫다고 하지 왜 이래저래 돌려 말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추측컨데 일단 강연비가 비싸면 대부분 자연스럽게 포기할거라 생각했는데 그러지 않으니 결국 진짜 이유를 댄것이 아닌가. 그 정도 돈으로도 바꿀 수 없는 바쁘고 중요한 일정을 사는 CEO니 당연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결국 토니쉐이를 초대하는 것은 물거품이 되었고 다른 연사를 초대하는 것으로 일단락이 되었던 걸로 기억한다. 


1년쯤 지났을까, 해외 지인들이 버닝맨에 참가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함께 가자는 제의도 받았다. 버닝맨은 몇년전부터 알고 있었던 행사라 궁금하기는 했지만 비용도 있고 일정도 길어 결정이 쉽지 않았다. 마음의 갈등을 조금 했지만 당시에는 한국에서 해야 할 일들에 부담감을 가지고 있던 터라 결국 포기를 했다. 두어달 쯤 후에, 지인들이 버닝맨을 다녀와서 찍은 사진을 볼 기회가 생겼다. 깜짝 놀라지 않을 수가 없었다. 지인 사진에 그 Zappos의 토니쉐이가 앞에 누워서 함께 이야기를 듣고 있는 것이 아닌가. 처음에는 설마 했는데 매년 며칠씩 머물다 간다는 이야기까지 들었다. 7000여만원을 줘도 한국에 오지 않던 그가 자비로 그것도 며칠씩 참여를 한다는 것이 무엇 때문인가? 


구글의 창업자들과 에릭 슈미트도 참가한다는 이야기는 익히 알고 있었지만 토니 쉐이의 참가는 내게 더 피부에 와닿는 호기심을 불러 일으켰다. 게다가 테슬라의 엘론 머스크, 에어비엔비의 칩 콘리, 페이스북의 마크 저커버그도 참가했다고하니 분명히 뭔가가 있다. 물론 실리콘밸리 기업가들이외에도 윌 스미스, 수잔 서랜든 같은 유명한 헐리우드 스타들를 비롯하여 수많은 가수, 모델들이 버닝맨에 참가한다는 것[1]을 구글링만 해봐도 쉽게 알 수 있다. 나같은 사람도 바쁘다고 그 시간과 비용을 들이지 못했는데, 이들이 참여를 한다면 무엇인가 내가 모르는 엄청난 가치가 있을 것 이라는 데 생각이 미쳤다. 어지간한 돈으로 살 수 없는 시간을 사는 사람들이 왜 자신이 비용을 들여 참여하는가? 진짜 이유가 궁금 해 졌다. 



2. 두 번째 이유: 버닝맨 그 자체


1986년에 시작되었으니 30년이 넘었다. 이제는 매년 7~8만명이 찾는다. 도대체 사람들은 왜 버닝맨에 오는가도 의문점이지만 어떻게 아무 것도 없는 사막에 열흘간 도시가 생기고 사람들의 욕망을 담았다가 완전히 사라지는 일을 30여년간 반복 할 수 있을까? 참가하는 사람들도 독특하고 그 안에서 시도되는 실험들도 다양한 버닝맨이라고 불리우는 이곳, 그 자체가 궁금했다. 실리콘밸리 문화와 결을 같이 한다는 말도 들었고, 단순히 축제의 장이 아니라 사람들이 만나 깊이있는 관계가 되고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아이디어와 비즈니스가 실행된다고도 하는데 도무지 어떻게 그것이 가능한지 정말 궁금 해 졌다.  


구글의 문화와 철학이 버닝맨과 닮아있다 하는데 그 비밀은 무엇이며 버닝맨의 어떤 것 들이 구글을 경쟁력있게 만들었을까. 인터넷에서 버닝맨을 검색만 해봐도 알수있는 견줄수 없을 만큼 독특하고 특이한 이 축제가 도대체 구글이나 실리콘밸리의 특별함과 무슨 관계란 말인가? 


엘론머스크(Elon Musk)[2]도 버닝맨에 참가하고 나서 '가보지 않았다면, 그냥은 알수없다’라는 말을 남겼다. 

“If you haven’t been, you just don’t get it. You could take the craziest L.A. party and multiply it by a thousand, and it doesn’t even get fucking close to what’s in Silicon Valley.” 


버닝맨에 뭔가 엄청난 것들이 숨겨져 있을 것만 같은 기대와 호기심이 생겼다. 구글 혁신의 비밀을 발견하고 싶었고 실리콘밸리가 생태계로서 지속가능성과 문화를 지탱 해 내는 힘을 이해하고 싶었다. 



3. 세 번째 이유: 나 자신


자주 받는 질문이 있다. 

도대체 메인직업이 무엇이냐? 무슨일을 하느냐?

예전 삼성에서 일했던 10년간은 한번도 받아보지 않았던 질문이다. 그 때는 삼성전자에서 R&D를 한다고 하면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없을 정도로 사람들은 쉽게 이해를 했다. '삼성전자 연구원이다' 그러면 '하드웨어냐 소프트웨어냐, 모바일이냐 가전이냐' 정도 추가 질문이 있을 뿐 그 아이덴티티는 너무도 확고했다. 하지만 삼성전자를 나와 지금은 사물인터넷 솔루션을 개발하는 일과 아시아의 혁신가들이 연결되는 플랫폼을 만드는 일, 기술을 통해 세상에 의미를 가져 올 프로젝트들, 컨텐츠와 혁신프로그램 개발, 강연, 방송, 투자, 자문 등 다양한 일들을 하다보니 사람들은 그것을 이해하는 데 불편한 마음을 드러낸다. 


도대체 넌 누구냐?

내가 하는 일 중 한두가지만을 알고 있는 사람들은 혼동스럽지 아니하고, 반면에 나를 아주 깊이 아는 사람들은 이 모든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기에 복잡한 아이덴티티이지만 공감한다. 하지만 대부분은 나를 적당히 알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일관성없어 보이는 나의 일들(Randomness)이 무척이나 의아하다. 설명도 어렵다. 이 모든 걸 관통하는 의미로 future designer, innovation catalyst란 타이틀로 나를 소개하지만 낯선 타이틀에 대한 공감은 요원하다. 그래서 흔들릴 때가 있었다. 내가 제대로 살고 있는 것인가. 이렇게 사는것이 바람직한 것인가. 어떤 사람은 하나라도 잘하라고 하고, 어떤 사람은 정체성이 없어 보인다 했을 것이니 말이다.     

삼성에 근무할 때 사내방송에 출연하여 신기술에 관한 인터뷰를 한적이 있다. 담당피디가 타이틀을 어떻게 표기할까를 물어왔다. 삼성전자 연구원이라 쓰라했더니 다른 타이틀이나 경력이 없냐고 물어 본다. 다들 삼성전자 연구원이니 뭔가 전문성을 더 드러낼 수 있는 책의 저자라던가, 다른 타이틀이 있느냐는 것이다. 없다 했다. 그리고 고민을 했던 기억이 난다. 모두가 같은 타이틀을 가지고 있을 때, 오롯이 나를 담아내려면 난 무엇이라야 하는가. 이때부터 시작된 고민의 답을 찾기 위해 회사를 그만두고, 시도하고, 새로 해 온 일들이 오히려 지금은 반대의 상황을 만들어 내고 있다. 


2016년, 버닝맨 웹사이트를 둘러보다 낯선 단어를 하나 발견한다. 

Polymath


위키피디아[3]를 찾아보면 Polymath는 르네상스맨처럼 '다방면에 박식하고 전문적인 깊이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버닝맨은 매년 달라지는 주제에 맞춰 참가자를 칭하는 단어를 하나 정해서 티켓에 표기를 한다. 2016년은 'Davinci’s Workshop’이라는 주제였고 여기에 맞춰 레오나르도 다빈치같은 다재다능한 분야의 전문가이며 다양성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실험과 결과를 만드는 사람을 칭하려 한것 같다. 한가지에 전문가가 되기도 힘든 세상에 복합적이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다는 것이 다빈치나 미켈란젤로같은 천재가 아니면 가능할까하는 의문이 잠깐들었지만, 순간 내 고민의 지점과 겹치는 느낌이 들었다. 이런 사람들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예술가로 알고 있던 다빈치이지만 사실 그의 업적은 엄청 다양하지 않은가. 그는 예술가인가? 과학자인가? 철학자인가? 작가인가? 그의 존재가 그 자체로 복잡하고 설명하기 힘든 정체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가? 


뭔가 그 곳에 가면 내가 가지고 있는 고민의 답을 발견할 것 같은 느낌, 또 그런 사람들을 만나면 얼마나 좋을까하는 바램이 함께 생기는 순간이었다. 그제서야 트위터에서 한 미국인 친구가 나한테 인터뷰를 해달라고 했던 일이 떠올랐다. 'Polymathic generalist’에 관한 책을 쓰는데 내 경력을 보고 인터뷰를 하고 싶다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쉽게 설명할 수 없는 새로운 일과 영역을 만들어낸다고 믿고 있지만, 그것을 한단어로 대체할 수 없는 정체성의 고민을 가지고 있던 나에게 가까이 다가가서 알아내고 싶은 욕망이 생겼다. 


사실 부끄러운 고백을 하나 하자면, 직접 가보지도 않았던 내가 가끔 방송이나 강연때 버닝맨이 만든 혁신과 실험정신이 구글 그리고 실리콘밸리와 닮아 있다고 사례로 들곤 했다는 것이다. 진짜 그 기저에 있는 본질은 겪어 보지 못한채로 버닝맨을 이야기 해 온 것이 늘 마음에 걸렸는데, 이 아쉬움은 버닝맨에 꼭 가야겠다는 욕망에 기름을 부었고, 명분을 주었다. 진짜를 보고 진짜를 이야기하고 싶어졌다. 이렇게 버닝맨은 갈망을 흔들며 내 안을 비집고 들어왔다. 



[1] http://www.vogue.com/13300515/famous-burning-man-attendee

[2] http://www.inc.com/tess-townsend/tech-titans-love-burning-man.html

[3] https://en.wikipedia.org/wiki/Polymath


#라이프스퀘어 #스타트업 #창업자 #창업가 #마인드셋 #조언원문출처 : 브런치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