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주의라는 마약을 끊자

단단한 가지보다는 날아오를 수 있는 날개

비주얼캠프 / 이태희 / 조회수 : 2353


 오늘은 완벽주의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이 이야기에 앞서 완벽주의에 대한 정의를 내리기보다는 제가 생각하는 완벽주의란 어떤 것인지에 대해 경험을 통해 이야기를 시작해볼까 합니다.


 제가 얼마나 더럽게 완벽함을 추구했는지를 이야기할 때 보통 우스갯소리로 스타크래프트라는 게임을 플레이하면서 제가 추구했던 전략을 예로 많이 듭니다. 저는 저그 종족을 제일 많이 플레이했었는데 해처리에서 라바를 통해 유닛을 변태 시킬 때 꼭 3마리가 가득 차있어야만 변태를 시켰습니다. 4개의 해처리를 일렬로 짓고 각각의 해처리에서 3개의 라바가 반드시 존재할 때 12개의 라바를 선택한 후 한 번에 유닛을 뽑는 쾌감을 즐기곤 했죠.


해처리의 오와 열을 맞추고 각 해처리에서 라바가 3마리씩 나올때까지 기다립니다


 친구들과 저녁시간에 가볍게 만날 때는 항상 제 계획대로 움직여야 했습니다. 저는 밤에 언제, 어떻게 집에 갈 건지(혹은 밤샘 술과 노가리를 어느 장소에서 깔 것인지) 조차 미리 정한 후에 친구들과 만나곤 했죠. 데이트를 할 때도 정해진 코스로 정해진 시간에 가야만 했고, 만약 영화나 연극을 보기로 했다면 시작시간 10분 전에 가지 않으면 식은땀이 흘렀기 때문에, 자기 자신과 일행들을 보채며 30분 전에 도착해서 땀을 식히곤 했습니다.

 저의 이런 습관은 제가 하는 일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프로그램을 코딩할 때 완벽하지 않으면 만들 시도조차도 하지 않게 하는 겁쟁이가 되도록 만들었습니다.(물론 완벽함을 추구하는 것이 득이 될 때도 있었습니다만)


 반대로, 저의 시뮬레이션대로 위의 상황이 잘 진행되지 않으면 저는 초조했고 짜증이 났습니다. 내가 계획한 Best plan이 있는데 왜 다른 사람들은 알아주지 않는 걸까. 이 사람들은 정말 생각이라는 게 있는 걸까.


 제가 어릴 때 아버지는 준비된 사람에게는 준비된 미래만이 있다며 준비성을 강조하셨습니다. 가훈도 "준비하는 사람이 되자"였지요. 저희 아버지에겐 "준비하는 사람"이 어떤 의미인지는 정확히 모르겠지만 제가 준비성이 철저한 사람이 되려고 노력하면 겪은 경험에 의하면 아버지의 말씀은 반은 맞고 반은 틀렸습니다. 틀린 반쪽에 대한 저의 논리를 뒷받침할 예를 들어볼게요.


완벽은 유연을 이길 수 없다

 중학교 시절 학교에서 있었던 일입니다. 시간표 중에서 일주일에 세네 번가량은 체육수업이 있었습니다. 체육수업이 있는 날은 집에서 체육복을 챙겨가야 했습니다. 저는 저와 우리 가족의 원칙에 따라 체육 수업 전날에는 시간표를 확인하고 체육복을 챙겼습니다.

 하루는 제가 학교에 도착 후에 그날의 시간표를 확인하고 사물함에서 교과서를 꺼내 책상 서랍에 넣는 도중 아차 싶은 겁니다. 예상하셨다시피 집에서 체육복을 가져오는 것을 까먹은 것이죠. 그때부터 저의 등에는 식은땀이 흘렀고 안절부절못하고 다리만 떨 뿐 아무것도 하지 못했습니다.

 다행히 제 짝꿍도 체육복을 가져오지 않았다고 했습니다. 체육시간에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시간 동안 벌을 받아야 했는데 벌을 받는 사람이 나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에 한시름 놓았지요. 그런데 짝꿍이 이렇게 이야기하는 겁니다.

"체육복이 없으니 옆반에 빌리러 가야겠다"

 우리 반 친구들은 똑같은 시간에 체육수업을 들으니 친한 우리 반 친구의 체육복을 빌릴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그날 체육복을 빌리는 방법은 단 한 가지. 바로 그날 체육수업이 있는 반을 찾아서 누군가에게 헬프를 요청해야 하는 겁니다.

 하지만 저는 체육수업이 있는 반을 찾고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하기보다는, 체육복을 까먹은 자신을 탓했고, 체육 선생님께 꾸중을 들어야만 했습니다.


즐기는 사람은 (완벽한 사람보다) 행복하다

 어렸을 적에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깡통차기, 얼음땡과 같은 고전 놀이를 하며 친구들과 지냈던 좋은 기억이 있습니다. 위에 언급된 놀이의 공통점은 소수의 술래가 존재한다는 것이고, 술래가 된 사람은 필사적으로 술래에서 벗어나기 위해 열심히 뛰어다녀야 했습니다. 그리고 놀이를 잘 하는 아이들은(술래를 잘 따돌리고 술래를 하는 빈도가 낮은 아이들) 다른 아이들보다 멋진 녀석처럼 보였지요. 그래서 저도 친구들과 놀이를 할 때면 술래가 되지 않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하곤 했습니다. 가끔은 야비한 수를 쓰기도 했고요.



 저와 친했던 웅희라는 친구는 달랐습니다. 이 녀석이 얼마나 특이했냐 하면, 녀석이 술래에게 잡혀 자신이 술래가 되면 입버릇처럼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더 좋아"

 도대체 뭐가 더 좋다는 건지 처음에는 이해를 할 수가 없었습니다. 술래가 더 좋다니? 웅희 녀석은 씩 웃더니 "더 좋아"를 신명 나게 외치면서 우리를 잡으러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그 모습이 얼마나 멋있었던지 우리는 술래가 될 때마다 웅희를 따라 "더 좋아"를 외치기 시작했지요.


 술래잡기가 끝나고 저는 웅희에게 다가가 "더 좋아"의 의미에 대해 물어보았습니다. 왜 네 녀석은 술래가 되었는데 더 좋은지 말이죠. 웅희는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맨날 안술래(숨는 역할)만 하면 재미없잖아. 가끔은 술래도 해야 재밌지!"

 위에서 등장한 두 아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이들은 일이 벌어지기 전에 미리 이것저것 걱정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상황 대처능력이 빠릅니다. 그리고 자신을 믿고 상황을 즐기기까지 합니다. 이 아이들의 힘의 원천을 한마디로 하면 다음과 같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A bird sitting on a tree is never afraid of the branch breaking,
because her trust is not on the branch but on it's own wings.

나무에 앉아있는 새는 가지가 부러질까 걱정하지 않는다.
그녀가 믿는 것은 나뭇가지가 아니라 자신의 날개이기 때문에.


 여러분도 완벽한 나뭇가지를 찾기 위해(또는 만들기 위해) 스트레스를 받고 시간을 낭비하고 있진 않은가요? 만약 제가 유연성을 가지고 체육복을 빌릴만한 비슷한 체구의 아이들을 친구로 만들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면 어땠을까요? 안술래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술래가 되었을 때의 또 다른 즐거움을 알게 된다면 어떨까요?


 현실이 아무리 비참하더라도 날아오를 날개가 튼튼하다면 걱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아버지가 말씀하신 준비는 날아오를 때를 대비하여 날개를 단련하라는 뜻인지도 모르겠네요.


 심리학자 아들러의 말을 마지막으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현실은 엄격성보다 정신적 유연성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우리가 몸담고 있는 현실은 추상 작용을 숭배하거나 신격화할 것이 아니라 적절히 이용할 것을 요구한다는 뜻이다.
 어쨌든 세상을 살아가는 데 엄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원리 같은 것은 절대로 없다. 어떤 문제의 해결책으로 아주 정확한 것까지도 지나치게 전면으로 내세워질 경우에 삶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청결과 진실을 삶의 목표로 삼은 경우에 그 목표 자체가 그 사람의 인생을 방해하게 되어 있다.
- 아들러의 말 page62에서 발췌, 알프레드 아들러

#비주얼캠프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언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