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사대주의에 빠지지 말자.

그리고, 창조경제라는 단어의 허상과 한국적인 환경에 종속되지 말아라.

(주) 와탭랩스 / Hyoun-Mouk Shin

하지만, 탈한국적이라는 것이 사대주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분명한 것은 한국적인 환경이 더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 미국이나 일본, 중국의 환경만을 부러워하는 것은 아니다. 아주 단순하게 일반화시켜서 그들의 환상적인 성공사례만 수집해서 이야기하려고 하는 것도 아니다.

정말 중요하게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는 한국적인 환경은 정말 암울하다고 경고하고 싶을 뿐이다.

미국에서 창업하거나 M&A 이후에 가볍게 버림받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오히려, 국내 특정 대기업의 분위기는 한번 식구로 받아들여지면 쉽게 내치지 않는 문화를 가진 특정 상황들도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런 케이스들은 특정 케이스 들일뿐, 대부분의 분위기는 어느 정도 일반화되어있다고 이야기하겠다.

사실, 계약관계에 의해서 더 이상 단물이 나오지 않는 조직과 사람에 대해서 가차 없이 인사관계를 진행하는 것은 미국적인 관행이 더 살벌하게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더 높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최소한 그들은 법적인 단계나 계약서를 뛰어넘는 행위에 대해서는 윤리적인 행위에 대해서 대부분은 지키려 한다고 이야기하겠다.

국내 대기업들처럼 유망하거나 의미 있는 서비스를 만든 중소기업과 유사한 제품을 만들거나, 더 싸게 하기 위해서 비슷한 기업들에게 해당 기업의 노하우를 비공식적으로 공개한다던지 하는 행위는 분명하지 막 매우 적다.

그들의 세계에서 그른 올바르지 않은 행위들이 자신의 신뢰를 깎아먹는 것인지에 대해서 너무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부분 그들의 세계는 신뢰와 계약, 윤리적인 단계에 의해서 시스템이 움직인다. 그래서, 그들은 계약관계가 끝나거나 계약에 의해서 정해진 목적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면 가차 없이 잣대를 들이댄다.

가끔 제가 글을 올리는 것에 대해서 너무 심한 일반화가 아니냐는 비판을 하시는 분도 계신다. 물론, 그 의견에도 공감한다. 왜냐하면 내가 글을 올리는 것은 내 경험을 기반으로 나열되는 것일 뿐, 완전 일반화가 되는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냥, 내 경험상 그랬다는 것이고, 후배들에게 조금이라도 그 경험적인 가치에 대해서 전달하고 싶을 뿐이다. 가능한 많은 실패에 대해서 많이 전달하는 것 그것이 선배가 경험한 것을 최소한 전달해야 한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한국이건 중국이건 일본, 미국이건 스타트업을 만들고 생태계를 넘어서서 무언가 혁신을 이룬다는 것은 정말 매우 힘든 행위이다. 하지만, 불행한 것은 불행하다고 이야기해야 하는 것이 선배 된 입장이라고 생각한다.

기존의 악습과 관습을 그대로 유지해야 시스템에서 받아들여주지, 그것을 조금만 벗어나려고 한다면, 수많은 잣대와 기준으로 사업 자체를 틀어막는 행위가 가장 극심한 나라가 한국이라고 악평을 해야겠다.

차라리 틀이 잘 짜인 일본의 생태계를 성급하게 일반화시킨다면, 정해진 룰을 넘어선 방법으로 소비자들과 공급자를 연결하는 방법을 고안한다면 해당 시스템에 대해서 진지하게 기존 생태계가 바라보며, 그 혁신적인 시스템이 그대로 사장되지 않도록 보호하려고 애를 쓴다. 다만, 그 속도가 너무 느리기 때문에 일본의 시스템이 불안해 보이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일본의 시스템은 그런 움직임이 조금씩 진보적으로 움직인다.

중국의 경우에는 악습이나 관습이 완전하게 경제 시스템 전체를 지배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매우 혁신적인 시스템이 시장에 도입되고 사용되는 것에 대해서 굉장히 빠른 속도로 움직이다. 일종의 불협화음 마저도 혁신의 속도의 과실까지 시스템이 허용하고 있다는 것을 느낀다.

각 국가마다 나름대로 혁신을 포용하는 방법이 다르다.

느리다는 일본도 다양한 방식으로 경제활동이 파급되도록 시스템이 개방되고 있다. 중국이나 미국은 두말을 할 이유가 없다.

하지만, 한국은 아니다.

슬프게도 꼰대들이 만들어 놓은 기존 시스템이 가진 관습을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

헬스케어이건 금융이건 똑같다. 한국적 창조경제의 핵심은 그러하다. '기존의 악습과 관습이 유지되는 혁신'을 하라는 것이다.

그 말이 가능한지 모르겠지만, 그렇게 사용되고 있다. 매우 창조적으로...

하지만, 희망은 버리지 않고 있다. 우리가 분명하게 할 수 있는 일들이 많으며, 주변의 스타트업은 국내의 상황과 꼰대들의 바람과는 다르게 움직이고 있다.

굳이 한국적인 서비스를 만들지 않으며, 꼰대들이 만들어 놓은 생태계에 몰입하지 않으며, 중국보다 더 디테일한 서비스를 만들며, 일본보다 빠르게 움직이고, 미국보다 더 창의적이고 지식기반으로 움직이는 사업들이 분명 존재한다.

그런 멋진 후배들에게서 한국의 미래를 발견한다. 다들 파이팅이다!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