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홈

인터뷰

피드

뉴스

조회수 1339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알려주겠다! Scatter 계정 만들기 (feat. HexBP 연동하기)

스캐터(Scatter)는 암호화폐 지갑 계정에 대한 신원인증을 대행해주는 일종의 신원인증 프로그램으로, 별도의 보팅포털에 접속해서 신원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도와주는 크롬의 확장 프로그램입니다.스캐터를 사용하게 되면, 기존에 여러 지갑 및 사이트로 부터 EOS 프라이빗 키를 부여 받아야 했던 번거로움 없이, 한번만 등록해놓으면 다양한 사이트에서 스캐터 계정 하나로 자신의 EOS 계정을 증명할 수 있게 됩니다.이러한 스캐터를 사용하는 방법을 지금 부터 알아보겠습니다.Step 1. Scatter 설치 및 계정 생성Scatter에서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셔야 합니다.설치 후 크롬 브라우저에 설치된 Scatter 아이콘을 누르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새로운 비밀번호 (최소 8글자)를 입력하시면 됩니다.비밀번호 입력 후 Create New Scatter 버튼을 누르세요.그럼 아래와 같이 12단어가 표시된 화면이 나타납니다. 바로 단어들을 복사 혹은 화면 캡처를 하여 보관해야 합니다.( * 저장하지 않은 채 다른 창을 누르시게되면 해당 화면이 사라지게 되니 꼭 바로 저장하셔야 합니다.)이 단어들은 나중에 비밀번호를 잃어버렸을 때 필요합니다.다 복사를 하셨으면 [ I wrote it down]을 눌러주세요.그 다음 화면에서 백업을 하실 지, 그냥 넘기실 지 선택하셔야 합니다.선택하시면 다음화면으로 넘어가게 됩니다.이제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국어 설정으로 바꿔 볼 거에요!우측 상단의 톱니바퀴 모양을 누르신 후[Language]-한국어 선택 -[Change Language] 차근차근 클릭하여진행하시면 됩니다.짜잔! 이제 한국어 버전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이제부터 Scatter를 통해 자신의 EOS 프라이빗 키를 등록하셔야 합니다.왼쪽 상단의 [ < ]뒤로가기 버튼을 누르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여기서 두번째 줄에 보이는 키 쌍(Key pairs)을 선택합니다.우측 상단의 [신규 생성]버튼을 클릭 하셔서 계정을 생성 하셔야 합니다.버튼을 누르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이는 ‘현재 등록이 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프라이빗키 항목에 자신의 EOS 프라이빗키를 넣고이름은 영어나 숫자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이름을 정하시면 됩니다.*프라이빗 키를 입력하면 퍼블릭 키는 자동으로 입력됩니다.*반드시 키 쌍 생성 버튼이 아닌 저장 버튼을 누르셔야 합니다.정상적으로 등록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다들 잘 따라오셨나요?만약 이 절차를 진행하셨음에도 등록이 안되었다면 계정이 EOS에 등록이 되지 않은 경우입니다.Step2 : Scatter 설정하기이제 등록된 Scatter 계정을 통해 HEX BP 사이트의 투표 시스템과 연동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Scatter의 첫 화면으로 돌아가서 [톱니바퀴]를 선택합니다.해당 버튼을 누르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네트워크]를 선택합니다.해당 버튼을 누르시면 아래와 비슷한 화면이 나타납니다.이제 다시 우측 상단의 [신규 생성] 버튼을 누릅니다.해당 버튼을 누르면 네트워크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이름 : eosnet.hexlant.Io* https 선택* 도메인 혹은 IP 주소 : 목록 중에 선택* 포트 : 80* 체인 ID : aca376f206b8fc25a6ed44dbdc66547c36c6c33e3a119ffbeaef943642f0e906복사하여 붙여넣기모두 정확하게 입력 하셨으면 저장 버튼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이제 등록한 Chain을 계정에 연결해야 합니다![신원인증 ID]를 눌러주세요그 다음 [신규 생성]을 클릭 합니다.EOS Mainnet을 설정 한 후에 자신의 계정을 선택합니다.모두 선택하셨으면 [가져오기]를 누릅니다.[가져오기] 버튼을 누르신 후 잠시 기다리시면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이때 acticve 권한을 클릭 후 [선택한 계정 사용] 버튼을누르시기 바랍니다.*아래 개인 정보 입력하는 부분은 옵션이기 때문에 굳이 입력하지 않으셔도괜찮습니다. 모두 입력 하셨으면 [저장] 버튼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이제 스캐터 새 계정이 성공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짝짝짝Step 3 : 투표하기[Login] 눌러서 Scatter 로그인 하기2. [신원인증 ID 선택]-[수락] 클릭하기3. Log out으로 바뀐 화면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4. 투표를 하기 위해선 [Vote] 버튼을 누르셔야 합니다.5. Vote 버튼을 누르시면 체크박스가 생성됩니다! 이제 21명의 BP가 되길 원하는 후보자를 선택하시면 됩니다.누르시면 아래부분에 선택한 BP 후보자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후보자를 다 선택하셨다면 [Done] 버튼을 눌러 투표를마무리 해주시면 됩니다!6. [Done] 을 누르시면 마지막으로 Scatter 화면이 뜹니다. 여기서 [Accept]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자 이제 투표도 모두 완료되었습니다!#헥슬란트 #HEXLANT #블록체인 #개발자 #개발팀 #기술기업 #기술중심 #Scatter
조회수 2264

전산팀의 홍일점, 김민서 개발자

안녕하세요 써티입니다!벌써 4월 중순, 벚꽃 흩날리는 봄이에요.비욘드펀드는 오늘도 상품 두개나 오픈했어요!오늘의 인터뷰 주인공은전산팀의 홍일점! 김민서 개발자입니다.입사 4개월차 신입이지만맡은 몫을 완벽히 해내고 계신 민서님:)사내인터뷰를 거부하며 3주간 저를 피해다니셨지만............ 언주역 태양빌딩에서 나의 인터뷰를 피할 수 있는 자 아무도 없으리.재밌는 이야기 들어볼까요?1. 안녕하세요 민서님. 전산팀의 유일한 여자 개발자이시네요. 현재 맡고 있는 일을 간단히 설명해주세요.일단 전산팀은 부장님, 과장님, 대리님, 저까지 총 4명인데요. 저는 비욘드펀드 홈페이지 프론트엔드를 맡고 있습니다.2. 프론트엔드가 뭔가요? (역시 개발자 인터뷰가 젤 어렵;;)음….홈페이지 구성할 때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있는데요. 프론트엔드는 브라우저로 보이는 기능들을 만드는거고 백엔드는 프론트엔드가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거거든요. 지금 백엔드는 과장님이 하고 계시고요. 제가 하는 일은 사용자들이 비욘드펀드 홈페이지에 들어갔을 때 보이는 모든 것들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3. 여기가 첫 직장이시라고 들었어요. 어떻게 오게 되셨어요?비욘드플랫폼에 합류하기 전에 한국정보기술연구원(Kitri) 산하 학원에서 웹/어플리케이션 과정을 공부하고 있었는데요. 추천 채용이 들어와서 면접을 보게 됐어요.4. 그러면 전공도 공대쪽이겠네요? 혹시…. 공대 아름이?+_+여대였어요……………………(절망) (역시 여대나온 써티도 함께 웁니다)서울 모 여대에서 컴퓨터학과를 졸업했습니다^^5. 면접 보고 어떠셨어요? P2P금융이라는 산업에 대해서는 알고 계셨었나요?잘 몰랐어요. 금융회사의 개발자가 되라라고는 상상도 못했죠. 사실 스타트업에서 일한다는 생각 자체를 해본 적이 없어요. 아는 분이 스타트업에 다니셔서 제안을 받아본 적은 있지만 진지하게 고려해보지 않았었거든요. 항상 일이 많은 전산팀...... ㅠㅠ 태양빌딩 3층에서는 커피를 양손에 들고 전산실로 걸어가는 그녀의 모습을 종종 발견할 수 있다.6. 오, 그런데 비욘드플랫폼에는 합류를 하신거네요?처음에는 회사소개에 ‘카드론’, ‘대부업’ 같은 단어가 나오니까 걱정이 좀 됐었어요. 사실 아직도 P2P금융이 일반인들에게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잖아요. 더구나 저처럼 금융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들은 더더욱 들어본 적이 없고요. 친구들에게 ‘여기 어떤 것 같아?’라고 물어봐도 다들 가지말라고 하더라고요ㅎㅎ그런데 홈페이지 들어가보니까 깔끔한 분위기가 맘에 들었어요. 트렌디한 회사 같다는 느낌? 대표님도 삼일회계법인 임원 출신의 대단한 분이라서 믿고 입사를 하게 됐어요.7. 그래서 P2P금융에는 관심을 좀 갖게 되셨어요?아니요. 돈이 없어요ㅋㅋㅋㅋㅋㅋㅋ 농담이고요. 비욘드펀드 상품이 좋은건 알겠는데 개발자다 보니 솔직히 완벽히 상품을 이해하진 못했어요. 지금은 사회초년생이라 투자할만한 돈은 없지만 목돈이 생기면 P2P로 재테크해볼 생각입니다.8. 비욘드펀드가 이제 좀 커나가고 있는데, 어떤 회사가 됐음 좋겠어요?비욘드펀드라고 말했을때 ‘거기 믿을만하다!’라는 평을 들을 수 있는 그런 회사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사내 복지 쪽으로는 아침을 주면 좋겠…)9. 일적으로 목표가 있다면?솔직히 아직 잘 모르겠어요. 그게 문제라고 생각하기도 하면서도… 이제 4개월차 개발자니까 한창 고민할 때라고 생각해요. 예전에는 모호하게 알던 것들이 이제 조금 구체적으로 다가와요. 점점 더 디테일하게 알아가면서 깊이 공부하고 싶은 부분들이 생기는 것 같아요. 일단은 비욘드플랫폼에서 주어진 일을 열심히 해나가는 것이 목표입니다.10. 마지막으로 민서님이 제일 좋아하는건?누워있는거요. 주말에 약속 잡는 친구들이 제일 싫어요. 완전 집순이거든요. 그래서 우리 회사 휴게실에 있는 영롱한 오렌지색의 이케아 빈백이 너무 탐나요. 나중에 사려고요.민서님이 좋아하는 휴게실 빈백(옆)에서 진행된 즐거운 인터뷰!요즘 비욘드펀드가 상품출시를 활발히 하다보니 민서님이 많이 바쁘신 것 같은데, 화이팅입니다:)#비욘드플랫폼서비스 #비욘드펀드 #개발자 #인터뷰 #팀원 #팀원소개 #팀원인터뷰 #사내문화 #조직문화 #기업문화
조회수 2367

비트윈 PC 버전 개발기 - VCNC Engineering Blog

 지난 10월 20일, 비트윈 PC 버전의 오픈 베타 테스트를 시작했습니다. PC 버전 덕분에 컴퓨터 앞에서 일과 시간을 보내는 직장인들도 편리하게 비트윈으로 연인과 대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PC 버전에 어떤 기술이 사용되었는지 소개하고 약 4개월의 개발 기간 동안 겪은 시행착오를 공유합니다.비트윈 PC 버전 스크린샷개발 플랫폼 선택PC 버전 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어떤 개발 플랫폼을 선택할 것인지 많은 고민을 했습니다. MFC나 WinForms 같은 네이티브 플랫폼, Qt 등의 크로스 플랫폼 라이브러리, 그리고 웹 기반 앱 등의 여러 후보를 가지고 토론을 거쳐 웹 앱으로 개발하기로 했습니다.웹 기반으로 개발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생산성입니다. PC 버전 팀이 웹 기술에는 이미 익숙하지만 다른 플랫폼은 경험이 많지 않았습니다. 또한, 비교적 자유롭게 UI를 구성할 수 있으며 기존의 각종 개발 도구를 이용하면 빠른 이터레이션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단, 사용자가 기존에 설치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는 방식이 아니라 브라우저 엔진을 내장한 실행 파일을 배포하는 방식을 택하기로 했습니다. 여러 브라우저 환경에 대응하지 않아도 되고, 브라우저에서 지원하지 않는 일부 시스템 기능을 직접 확장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서버 아키텍처의 변화비트윈 서버의 서비스 로직은 Thrift 서비스로 구현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Alfred라는 자체 개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Thrift 서비스를 Netty 기반의 서버로 구동합니다.기존의 비트윈 모바일 클라이언트는 채팅 서버와 Thrift의 바이너리 프로토콜로 통신하고 있습니다.1 그러나 웹 플랫폼에서는 서버와 지속적으로 양방향 연결을 유지하려면 WebSocket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하므로 Alfred에 WebSocket 프로토콜 지원을 추가하였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라이브러리 수준의 변화였기 때문에 기존 서비스 코드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고 새로운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었습니다.Alfred에 웹소켓 지원을 추가하였습니다.비트윈 PC 버전 셸비트윈 PC 버전은 크게 HTML과 자바스크립트로 작성된 웹 앱 부분과 웹 앱을 브라우저 엔진으로 구동해주고 플랫폼 API를 제공하는 셸 (Shell)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비트윈 PC 버전 구조PC 버전 셸은 Chromium Embedded Framework (CEF)를 사용합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Chromium 브라우저 엔진을 애플리케이션에 내장하기 쉽도록 감싸놓은 라이브러리입니다. CEF는 Evernote나 Steam 등 웹 브라우저를 내장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어 선택하게 되었습니다.2자바스크립트에서 셸이 제공하는 플랫폼 API를 호출할 때는 CEF의 Message Router를 사용하였습니다. Chromium은 멀티 프로세스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렌더 프로세스에서 작동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가 브라우저 프로세스에서 작동하는 C++ 코드를 호출하고 결과를 돌려받기 위해서는 별도의 처리가 필요합니다. Message Router는 이 두 프로세스 사이의 비동기 통신을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창 투명도 조절이나 트레이 알림 표시 등 원래는 웹 플랫폼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확장하여 지원할 수 있었습니다.CEF에서는 Chrome 개발자 도구를 사용할 수 있어 디버깅이 용이했고, 디자이너 옆에서 바로바로 좌표나 색상 등을 바꿔볼 수 있어 협업에도 도움이 되었습니다.그러나 PC 버전을 개발하면서 가장 많은 시행착오를 겪은 부분이 CEF를 다루는 것이었습니다.문서화가 잘 되어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실제 작동 방식을 확인하기 위해 직접 소스 코드를 읽어야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일반적인 웹 브라우저에서는 잘 작동하는 API를 CEF가 자원하지 않거나 버그가 있어 다른 방식으로 구현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CEF에 노출된 API에만 접근할 수 있어 Chromium에서 제공하는 플랫폼 추상화 레이어를 활용할 수 없었습니다.비트윈 PC 버전 웹 앱비트윈 PC 버전의 주요 애플리케이션 코드는 HTML과 자바스크립트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로 큰 규모의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할 때 발생하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피하고자 React 라이브러리 및 최신 자바스크립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습니다.ReactReact는 Facebook에서 개발한 오픈 소스 자바스크립트 UI 라이브러리입니다. 일반적인 웹사이트보다는 비교적 복잡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야 했기 때문에 jQuery처럼 간단한 라이브러리로는 부족할 것으로 생각하여 비트윈 PC 버전은 처음부터 React를 사용하였습니다.전통적인 개발 방식에서는 UI를 변경해야 할 때 기존에 렌더링 된 DOM 요소에 명령을 내립니다. 예를 들어 어떤 항목을 삭제하려면 그 요소를 찾아서 삭제 명령을 내리게 됩니다. React를 사용할 때는 이와 달리 해당 요소가 사라진 DOM 트리 전체를 다시 생성하면 React가 이전 트리와 새 트리를 비교하여 바뀐 부분만 반영해줍니다. 전체를 다시 렌더링하기 때문에 기존에 DOM 트리가 어떤 상태였는지 신경 쓰지 않고도 원하는 상태로 쉽게 변경할 수 있어 UI 코드의 복잡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또한, React의 컴포넌트 시스템은 독립적인 UI 요소들을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조합할 수 있도록 해주어, 한가지 컴포넌트를 수정했을 때 의도하지 않은 다른 컴포넌트와 간섭하는 문제가 적게 발생합니다. 비트윈 PC 버전에는 약 40가지의 React 컴포넌트가 쓰이고 있습니다.자바스크립트 모듈 시스템모든 코드를 한 파일에 넣으면 코드를 관리하기가 힘들어집니다. 따라서 서로 관련 있는 코드끼리 모듈로 나누어야 하는데, 자바스크립트에는 모듈 시스템이 기본적으로는 제공되지 않습니다. 비트윈 PC 버전에서는 CommonJS 표준을 따라서 모듈을 나누고, 이를 웹 브라우저가 해석할 수 있는 형태로 합쳐주는 Webpack 빌드 툴을 사용했습니다.Webpack은 자바스크립트뿐만 아니라 CSS나 이미지, JSON 파일 등도 모듈로 취급할 수 있고, 플러그인으로 지원하는 모듈 종류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비트윈 PC 버전을 빌드할 때 실제로 사용하는 플러그인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jsx-loader: React에서 사용하는 JSX 코드를 자바스크립트로 변환합니다. 또한, 미래의 자바스크립트 문법을 현재 브라우저에서 지원하는 형태로 변환합니다.less-loader: LESS 파일을 CSS 파일로 변환합니다.css-loader: CSS에서 참조하는 외부 리소스를 인식하여 의존성을 파악해줍니다.url-loader: 파일 크기가 일정 이하인 리소스를 Base64 인코딩으로 내장해줍니다.ECMAScript 6ECMAScript 6는 차기 자바스크립트 표준입니다. 현재 자바스크립트의 불편한 점을 많이 해소하기 때문에 장점이 많이 있습니다. 일부 기능은 이미 브라우저에 구현되어 있지만, 아직 지원되지 않는 기능도 있어서 jstransform을 통해 ECMAScript 5 코드로 변환하여 사용하였습니다.화살표 함수: 익명 함수를 (a, b) => a + b와 같은 문법으로 훨씬 간단하게 선언할 수 있습니다. 또한, this 변수의 스코프를 현재 코드 상의 위치에 따라 결정해줍니다.클래스: 다른 언어와 유사한 클래스 문법을 제공합니다. 상속이나 접근 제한도 가능합니다.해체(destructuring) 대입: 객체의 필드를 바로 같은 이름의 변수에 대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var {a, b} = {a: 1, b: 2}; 같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기타 사용된 패키지RSVP.js: Promise/A+ 구현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로, Promise 패턴을 사용하여 비동기 로직을 알아보기 쉬운 형태로 작성했습니다.FormatJS: 다국어, 국제화 지원을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 UI 메시지 번역이나 날짜, 시간 등의 포매팅에 사용했습니다.정리비트윈 PC 버전은 개발 비용을 줄이기 위해 웹 플랫폼 기반의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되었습니다.비트윈 서버에서 사용하는 Alfred 라이브러리에 WebSocket 프로토콜 지원을 추가하였습니다.Chromium Embedded Framework를 브라우저 엔진으로 사용하여 웹 앱을 구동하고 웹 플랫폼에서 제공하지 않는 기능을 확장하여 사용했습니다.자바스크립트 코드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React, CommonJS, ECMAScript 6 등의 기술을 활용하였습니다.VCNC Engineering Blog, 비트윈 시스템 아키텍처, 2013년 4월↩Wikipedia, Chromium Embedded Framework - Applications using CEF↩
조회수 1367

레진 기술 블로그 - 자바 기반의 백엔드와의 세션 공유를 위한 레일즈 세션 처리 분석

레일즈 기반의 프론트엔드(브라우저에서 서버 사이드 렌더링 계층까지)와 자바 기반의 백엔드(내부 API와 그 이후 계층)이 세션을 공유하기 위해 먼저 레일즈의 세션 처리 과정을 분석하고, 레일즈 세션 쿠키를 다루기 위한 자바 소스 코드를 공유합니다.여기저기 자랑하고 다녔으니 아시는 분은 아시다시피 레진은 구글앱엔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금이야 Java, Python, Node.js, Go 언어와 Flexible Environment 같은 다양한 선택지가 있지만, 레진이 입주할 당시만 해도 Java 7(subset), Python(subset)을 지원하는 Standard Environment라는 선택지 밖에 없었죠.최근 Saemaeul Undong 기술 부채 탕감의 일환으로 자바7, 스프링3.x, JSP(!) 기반의 백엔드에 포함되어 있던 프론트엔드를 레일즈 기반의 프론트엔드 서버(서버 사이드 렌더링을 담당하는 서버는 프론트일까요? 백엔드일까요?)로 분리하고 있습니다.서로 다른 세계의 존재들 - 자바와 레일즈의 세션을 공유해야하는 상황이 문제의 발단입니다.자바와 레일즈의 세션을 공유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가장 단순하고 효과적인 방법은 쿠키(cookie)라고 판단하고, 세션 encrypt/decrypt와 marshal/unmarshal을 동일한 방식으로 맞추기로 했습니다. (백엔드 API를 완전히 stateless하게 새로 만들면 좋겠지만, 코인은 벌어야 소는 키워야죠)이를 위해 레일즈의 세션 처리 과정을 분석하고 정리했습니다.레일즈의 actionpack의 action_dispatch/middleware/cookie.rb를 보면 EncryptedCookieJar 클래스의 초기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digest의 경우 따로 지정안하면 SHA1이 사용되는 듯):class EncryptedCookieJar < AbstractCookieJar # :nodoc: include SerializedCookieJars def initialize(parent_jar) super if ActiveSupport::LegacyKeyGenerator === key_generator raise "You didn't set secrets.secret_key_base, which is required for this cookie jar. " + "Read the upgrade documentation to learn more about this new config option." end secret = key_generator.generate_key(request.encrypted_cookie_salt || '') sign_secret = key_generator.generate_key(request.encrypted_signed_cookie_salt || '') @encryptor = ActiveSupport::MessageEncryptor.new(secret, sign_secret, digest: digest, serializer: ActiveSupport::MessageEncryptor::NullSerializer) end private def parse(name, encrypted_message) debugger deserialize name, @encryptor.decrypt_and_verify(encrypted_message) rescue ActiveSupport::MessageVerifier::InvalidSignature, ActiveSupport::MessageEncryptor::InvalidMessage nil end def commit(options) debugger options[:value] = @encryptor.encrypt_and_sign(serialize(options[:value])) raise CookieOverflow if options[:value].bytesize > MAX_COOKIE_SIZE end end key_generator는 EncryptedCookieJar에 포함된 SerializedCookieJars 모듈에 정의되어 있습니다:module SerializedCookieJars # ... def key_generator request.key_generator end end 흠… 좀 더 파보죠. request.key_genrator는 다음과 같습니다:class Request # ... def key_generator get_header Cookies::GENERATOR_KEY end #... end 흠… 좀 더 파야할 듯 ㅠㅠ.Cookies::GENERATOR_KEY는 다음과 같습니다:class Cookies #... GENERATOR_KEY = "action_dispatch.key_generator".freeze end action_dispatch.key_generator는 레일즈의 엔진 모듈에 해당하는 railties의 application.rb에 정의되어 있습니다:def key_generator # number of iterations selected based on consultation with the google security # team. Details at https://github.com/rails/rails/pull/6952#issuecomment-7661220 @caching_key_generator ||= if secrets.secret_key_base unless secrets.secret_key_base.kind_of?(String) raise ArgumentError, "`secret_key_base` for #{Rails.env} environment must be a type of String, change this value in `config/secrets.yml`" end key_generator = ActiveSupport::KeyGenerator.new(secrets.secret_key_base, iterations: 1000) ActiveSupport::CachingKeyGenerator.new(key_generator) else ActiveSupport::LegacyKeyGenerator.new(secrets.secret_token) end end # ... def env_config @app_env_config ||= begin validate_secret_key_config! super.merge( # ... "action_dispatch.key_generator" => key_generator, "action_dispatch.signed_cookie_salt" => config.action_dispatch.signed_cookie_salt, "action_dispatch.encrypted_cookie_salt" => config.action_dispatch.encrypted_cookie_salt, "action_dispatch.encrypted_signed_cookie_salt" => config.action_dispatch.encrypted_signed_cookie_salt, "action_dispatch.cookies_serializer" => config.action_dispatch.cookies_serializer, "action_dispatch.cookies_digest" => config.action_dispatch.cookies_digest ) end end 너무 깊이 판 느낌적느낌(?)이 있지만, 여기까지 왔으니 좀 더 파보겠습니다.핵심 알고리즘은 activesupport의 key_generator.rb, message_encryptor.rb, message_verifier.rb에 정의되어 있습니다.먼저, key_generator.rb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class KeyGenerator def initialize(secret, options = {}) @secret = secret # The default iterations are higher than required for our key derivation uses # on the off chance someone uses this for password storage @iterations = options[:iterations] || 2**16 end # Returns a derived key suitable for use. The default key_size is chosen # to be compatible with the default settings of ActiveSupport::MessageVerifier. # i.e. OpenSSL::Digest::SHA1#block_length def generate_key(salt, key_size=64) OpenSSL::PKCS5.pbkdf2_hmac_sha1(@secret, salt, @iterations, key_size) end end 계속해서, message_encryptor.rb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def initialize(secret, *signature_key_or_options) options = signature_key_or_options.extract_options! sign_secret = signature_key_or_options.first @secret = secret @sign_secret = sign_secret @cipher = options[:cipher] || 'aes-256-cbc' @verifier = MessageVerifier.new(@sign_secret || @secret, digest: options[:digest] || 'SHA1', serializer: NullSerializer) @serializer = options[:serializer] || Marshal end def _encrypt(value) cipher = new_cipher cipher.encrypt cipher.key = @secret # Rely on OpenSSL for the initialization vector iv = cipher.random_iv encrypted_data = cipher.update(@serializer.dump(value)) encrypted_data << cipher.final "#{::Base64.strict_encode64 encrypted_data}--#{::Base64.strict_encode64 iv}" end def _decrypt(encrypted_message) cipher = new_cipher encrypted_data, iv = encrypted_message.split("--".freeze).map {|v| ::Base64.strict_decode64(v)} cipher.decrypt cipher.key = @secret cipher.iv = iv decrypted_data = cipher.update(encrypted_data) decrypted_data << cipher.final @serializer.load(decrypted_data) rescue OpenSSLCipherError, TypeError, ArgumentError raise InvalidMessage end def encrypt_and_sign(value) verifier.generate(_encrypt(value)) end def decrypt_and_verify(value) _decrypt(verifier.verify(value)) end (Hopefully)마지막으로, message_verifier.rb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def initialize(secret, options = {}) raise ArgumentError, 'Secret should not be nil.' unless secret @secret = secret @digest = options[:digest] || 'SHA1' @serializer = options[:serializer] || Marshal end def valid_message?(signed_message) return if signed_message.nil? || !signed_message.valid_encoding? || signed_message.blank? data, digest = signed_message.split("--".freeze) data.present? && digest.present? && ActiveSupport::SecurityUtils.secure_compare(digest, generate_digest(data)) end def verified(signed_message) if valid_message?(signed_message) begin data = signed_message.split("--".freeze)[0] @serializer.load(decode(data)) rescue ArgumentError => argument_error return if argument_error.message =~ %r{invalid base64} raise end end end def generate(value) data = encode(@serializer.dump(value)) "#{data}--#{generate_digest(data)}" end private def encode(data) ::Base64.strict_encode64(data) end def decode(data) ::Base64.strict_decode64(data) end def generate_digest(data) require 'openssl' unless defined?(OpenSSL) OpenSSL::HMAC.hexdigest(OpenSSL::Digest.const_get(@digest).new, @secret, data) end # ... # encode, decode는 base64사용 이제 레일즈가 쿠키 기반의 세션을 어떻게 처리하는지 조금 눈에 들어옵니다. 그러나 우리의 최종 목표는 레일즈의 내부를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자바에서 동일한 처리를 하는 것입니다. 모듈 의존성 따위는 가볍게 무시하고 무한복붙(?)을 시전해서, 레일즈의 세션 처리 과정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재구성했습니다:require 'openssl' require 'base64' require 'concurrent/map' class Object def blank? respond_to?(:empty?) ? !!empty? : !self end def present? !blank? end end class Hash # By default, only instances of Hash itself are extractable. # Subclasses of Hash may implement this method and return # true to declare themselves as extractable. If a Hash # is extractable, Array#extract_options! pops it from # the Array when it is the last element of the Array. def extractable_options? instance_of?(Hash) end end class Array def extract_options! if last.is_a?(Hash) && last.extractable_options? pop else {} end end end module SecurityUtils def secure_compare(a, b) return false unless a.bytesize == b.bytesize l = a.unpack "C#{a.bytesize}" res = 0 b.each_byte { |byte| res |= byte ^ l.shift } res == 0 end module_function :secure_compare end class KeyGenerator def initialize(secret, options = {}) @secret = secret # The default iterations are higher than required for our key derivation uses # on the off chance someone uses this for password storage @iterations = options[:iterations] || 2**16 end def generate_key(salt, key_size=64) OpenSSL::PKCS5.pbkdf2_hmac_sha1(@secret, salt, @iterations, key_size) end end class CachingKeyGenerator def initialize(key_generator) @key_generator = key_generator @cache_keys = Concurrent::Map.new end # Returns a derived key suitable for use. def generate_key(*args) @cache_keys[args.join] ||= @key_generator.generate_key(*args) end end class MessageVerifier class InvalidSignature < StandardError; end def initialize(secret, options = {}) raise ArgumentError, 'Secret should not be nil.' unless secret @secret = secret @digest = options[:digest] || 'SHA1' @serializer = options[:serializer] || Marshal end def valid_message?(signed_message) return if signed_message.nil? || !signed_message.valid_encoding? || signed_message.blank? data, digest = signed_message.split("--".freeze) data.present? && digest.present? && SecurityUtils.secure_compare(digest, generate_digest(data)) end def verified(signed_message) if valid_message?(signed_message) begin data = signed_message.split("--".freeze)[0] @serializer.load(decode(data)) rescue ArgumentError => argument_error return if argument_error.message =~ %r{invalid base64} raise end end end def verify(signed_message) verified(signed_message) || raise(InvalidSignature) end def generate(value) data = encode(@serializer.dump(value)) "#{data}--#{generate_digest(data)}" end private def encode(data) ::Base64.strict_encode64(data) end def decode(data) ::Base64.strict_decode64(data) end def generate_digest(data) require 'openssl' unless defined?(OpenSSL) OpenSSL::HMAC.hexdigest(OpenSSL::Digest.const_get(@digest).new, @secret, data) end end class MessageEncryptor module NullSerializer #:nodoc: def self.load(value) value end def self.dump(value) value end end class InvalidMessage < StandardError; end OpenSSLCipherError = OpenSSL::Cipher::CipherError def initialize(secret, *signature_key_or_options) options = signature_key_or_options.extract_options! sign_secret = signature_key_or_options.first @secret = secret @sign_secret = sign_secret @cipher = options[:cipher] || 'aes-256-cbc' @verifier = MessageVerifier.new(@sign_secret || @secret, digest: options[:digest] || 'SHA1', serializer: NullSerializer) @serializer = options[:serializer] || Marshal end def encrypt_and_sign(value) verifier.generate(_encrypt(value)) end def decrypt_and_verify(value) _decrypt(verifier.verify(value)) end def _encrypt(value) cipher = new_cipher cipher.encrypt cipher.key = @secret # Rely on OpenSSL for the initialization vector iv = cipher.random_iv encrypted_data = cipher.update(@serializer.dump(value)) encrypted_data << cipher.final "#{::Base64.strict_encode64 encrypted_data}--#{::Base64.strict_encode64 iv}" end def _decrypt(encrypted_message) cipher = new_cipher encrypted_data, iv = encrypted_message.split("--".freeze).map {|v| ::Base64.strict_decode64(v)} cipher.decrypt cipher.key = @secret cipher.iv = iv decrypted_data = cipher.update(encrypted_data) decrypted_data << cipher.final @serializer.load(decrypted_data) rescue OpenSSLCipherError, TypeError, ArgumentError raise InvalidMessage end def new_cipher OpenSSL::Cipher.new(@cipher) end def verifier @verifier end end #key generate encrypted_cookie_salt = 'encrypted cookie' encrypted_signed_cookie_salt = 'signed encrypted cookie' def key_generator secret_key_base = 'db1c366b854c235f98fc3dd356ad6be8dd388f82ad1ddf14dcad9397ddfdb759b4a9fb33385f695f2cc335041eed0fae74eb669c9fb0c40cafdb118d881215a9' key_generator = KeyGenerator.new(secret_key_base, iterations: 1000) CachingKeyGenerator.new(key_generator) end # encrypt secret = key_generator.generate_key(encrypted_cookie_salt || '') sign_secret = key_generator.generate_key(encrypted_signed_cookie_salt || '') encryptor = MessageEncryptor.new(secret, sign_secret, digest: 'SHA1', serializer: MessageEncryptor::NullSerializer) value = "{\"session_id\":\"6022d05887d2ab9c1bad8a87cf8fb949\",\"_csrf_token\":\"OPv/LxbiA5dUjVsbG4EllSS9cca630WOHQcMtPxSQUE=\"}" encrypted_message = encryptor.encrypt_and_sign(value) #encrypted_message = encryptor._encrypt(value) p '-----------encrypted value-------------' p encrypted_message # decrypt encrypted_message = 'bDhIQncxc2k0Rm9QS0VBT0hWc3M4b2xoSnJDdkZNc1B0bGQ2YUhhRXl6SU1oa2c5cTNENWhmR0ZUWC9zN05mamhEYkFJREJLaDQ3SnM3NVNEbFF3ZVdiaFd5YXdlblM5SmZja0R4TE9JbDNmOVlENHhOVFlnamNVS2g1a05LY0FYV3BmUmRPRWtVNUdxYTJVbG5VVUlRPT0tLXd1akRqOU1lTTVneU9LTWszY0I5bFE9PQ==--b0a57266c00e76e0c7d9d855b25d24b242154070' p '-----------decypted value-------------' puts encryptor.decrypt_and_verify encrypted_message p '---------------------------------------' 이 과정을 자바로 구현한 소스는 생략 깃헙에 올려두었습니다. 이 코드를 이용해서 서블릿 세션과 연동하는 방법은 추후 사측(?)과 협의되는 대로 공유할 예정입니다. 물론, 그 전에 쿠키를 공유할 필요가 없어지면(or 공유할 쿠키가 없어지면) 더 좋겠죠 :D
조회수 3322

빅데이터 '분석가' '전문가'가 부족한 이유...

업계에서는 대기업이나 공공기관 등의 데이터 분석 수요가 커지면서 빅데이터를 다루거나 데이터 분석가들을 찾는 기업이 늘어난다고 하는 기사나 이야기들이 떠돌아다닌다.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발간한 '2015년 빅데이터 시장 현황조사'보고서에 의하면 빅데이터 공급기업과 수요기업 모두 빅데이터 분석가가 필요하다고 내다보고, 많은 데이터 분석가가 필요하다고 이야기했다.분야도 금융을 비롯하여 통신, 커머스 등을 아우르고, IT 관련부서뿐만 아니라, 현업이라고 불리는 마케팅이나 영업도 포함된 관계에서의 데이터 활용을 위해서 빅데이터 '분석가'가 필요하다고 이야기를 한다.죄송하지만.. 한국형 환경에서는 '빅데이터 분석가'나 '전문가'는 그다지 필요 없을 것 같다.1. 변화하지 않는 기업어차피 정해져 있는 프로세서, 내부 R&R과 내부 혁신을 하기 위한 인사이트를 찾고, 데이터 변수를 찾는다고 하더라도 굳이 기업 내부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진정한 데이터 분석가'는 해당 기업에 무의미할 것이다.정말, 전문가라면 '내부 혁신'에 대한 키워드들을 뽑아줄 텐데... 이런 이야기는 '컨설팅'업체에서도 하지 않고, 내부에서도 '금기'시 해야 할 단어들이 대부분이다.만일, 대기업인 중요 키워드가 '오너'의 키가 문제라고 지적한다면... 아마도, 해당 부서나 관련자들은 움직이지도 못할 것이다.죄송하지만, '내부 혁신'이 불가능하고, '오너'중심의 대기업은 데이터 분석가가 필요하지 않다. 다만, '오너'의 생각을 읽고서 적당하게 마사지된 '데이터'를 보여줄 '외부 데이터 분석'서비스 업체만 필요할 뿐이다.그래서, 국내에서는 데이터 분석 서비스 업체 정도가 적당하다.2. 기업과 조직에 데이터가 없다.프로세스 하단에서 동작하는 수많은 로그들을 추적 감시, 감사하는 시스템이 가동되고 있어야 하며, 고객 서비스를 하는 서비스 집단에서도 하단에서 아이디어가 상단으로 올라가는 환경들이 이미 가동되고 있어야 한다. 데이터의 대부분은 그런 인사이트를 증명하는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이미, 중요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을 때에만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할 데이터들이 축적되는데... 사실상, 의미 없이 마사지된 '보고서'들만 존재한다.원천적으로 의미 있는 데이터를 추출할 데이터가 있어야 하는데.. 대부분이 왜곡된 정보들이거나, 특정 힘에 의해서 데이터들이 왜곡돼 있다면, 해당 기업과 조직은 데이터가 없다고 봐야 한다.3. 오랜 경험을 축적한 실전 전문가들이 일찍 퇴직한다.빅데이터를 통해서 단지 현황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미래나 새로운 먹거리를 유도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해당 도메인이나 해당 마켓에 익숙하고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들이 같이 있어야 한다. 실제, 데이터가 의미하는 방향성이나 수치, 지수가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읽어 줄 수 있는 것은 데이터 전문가들이 하는 일이 아니다.해당 업무와 해당 도메인의 전문가가 그 '수치'를 읽어 줄 수 있는 것이다.대부분의 기업에서 '실전'이거나 '실제 업무'에 익숙한 전문가나 경험이 축적된 사람들은 하청업체이거나 이미 퇴직한 경험이 풍부한 사람들이다.해당 기업에서는 아무리 데이터가 분석되어도 어떤 의미인지 판독해줄 사람이 없다.4. IT기술 전문가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빅데이터나 머신러닝과 같은 지식화 인사이트는 절대 IT기술이나 주변의 소프트웨어 설루션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기업 내부에 축적된 '지식'을 기반으로 '사람'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만들어진다. 데이터 분석 전문가는 단지, 그것의 가치를 '판정'해줄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해줄 뿐이다.대부분의 '한국형'조직들은 데이터 거버넌스 조직도 없으며, 제대로 된 인사시스템이 가동되지 않고 있다. 슬프지만, 빅데이터 전문가들은 내부에서 영입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자생적으로 생성되는 것이다.자생적으로 빅데이터 전문가가 생성되지 않는 조직은 이미, 지식화가 불가능한 형태이기 때문에, 너무 무리하지 말고, 현재 환경에서 연착륙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최선일 것이다.역시, '한국형'에서는 굳이 '빅데이터 분석가'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빅데이터 분석가 코스프레'를 하는 사람이 필요한 것 아닌가?오너가 이야기하는 'A'를 'A'처럼 써줄 수 있는 코스프레가 가능한 사람이면 충분한 것 아닌가 한다.
조회수 10374

Next.js 튜토리얼 7편: 데이터 가져오기

* 이 글은 Next.js의 공식 튜토리얼을 번역한 글입니다.** 오역 및 오탈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발견하시면 제보해주세요!목차1편: 시작하기 2편: 페이지 이동 3편: 공유 컴포넌트4편: 동적 페이지 5편: 라우트 마스킹6편: 서버 사이드 7편: 데이터 가져오기 - 현재 글8편: 컴포넌트 스타일링9편: 배포하기개요꽤 그럴듯한 Next.js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방법과 Next.js 라우팅 API의 모든 장점을 배웠습니다.대부분의 경우 데이터 소스에서  원격으로 데이터를 가져와야 합니다. Next.js는 페이지에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한 표준 API를 제공합니다. getInitialProps라 불리는 비동기 함수를 사용하여 구현할 것입니다.주어진 페이지에 원격 데이터 소스를 통해 데이터를 가져오고 원하는 페이지에 props을 통해 전달할 수 있습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둘 다 동작하도록 getInitialProps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Next.j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getInitialProps를 사용하여 공개된 TVmaze API에서 가져온 데이터로 배트맨 TV 쇼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예정입니다.설치이번 장에서는 간단한 Next.js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합니다. 다음의 샘플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주세요:아래의 명령어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이제 http://localhost:3000로 이동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배트맨 쇼 데이터 가져오기데모 애플리케이션 내의 home 페이지에 블로그 포스트 목록이 있습니다. 배트맨 TV 쇼 목록을 표시할 것입니다.쇼의 데이터들을 하드코딩하는 대신에 원격 서버에서 그 정보를 가져옵시다.여기서는 TV 쇼를 가져오기 위해 TVMaze API를 사용합니다.TV 쇼 정보를 검색하는 API 입니다.먼저 isomorphic-unfetch를 설치해야 합니다. 데이터를 가져올 때 사용할 라이브러리입니다. 브라우저 fetch API 구현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지만 클라이언트와 서버 환경에서 모두 동작합니다.npm install --save isomorphic-unfetchpages/index.js를 다음과 같이 변경해주세요:위의 페이지에 있는 모든 내용은 아래에 표시된 Index.getInitialProps를 제외하고는 익숙할 것입니다:애플리케이션의 어떤 페이지에든 추가할 수 있는 정적 비동기 함수입니다. 이것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가져오고 가져온 데이터를 props를 통해 페이지로 보낼 수 있습니다.보다시피 배트맨 TV 쇼 데이터를 가져오고 'shows' props를 통해 페이지로 전달합니다.위에서 보았던 getInitialProps 함수에서 가져온 데이터 숫자를 콘솔에 출력합니다.이제 브라우저 콘솔과 서버 콘솔을 살펴봅시다. 그리고 페이지를 새로고침 해주세요.페이지를 새로고침 한 후 출력되는 메시지는 어디에서 보였나요?- 서버 콘솔- 브라우저 콘솔- 둘 다- 어떤 콘솔에도 출력되지 않았다서버에서만 출력됩니다이 경우 메시지는 서버에서만 출력됩니다.이는 서버에서 페이지가 랜더링되기 때문입니다.이미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 클라이언트에서 다시 정보를 가져올 필요가 없습니다.post 페이지 구현하기TV 쇼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보여주는 "/post" 페이지를 구현해봅시다.먼저 server.js를 열고 /p/:id 라우트를 다음과 같이 바꿔주세요.위처럼 바꾼 코드를 적용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재실행시켜주세요.이전에는 title 쿼리 파라미터를 페이지에 매핑했습니다. 이제 id로 이름을 바꿔야합니다.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pages/post.js를 변경해주세요.페이지의 getInitialProps을 살펴봅시다:여기에서 함수의 첫 번째 파라미터는 context 객체입니다. 정보를 가져올 때 사용할 수 있는 쿼리 필드를 가지고 있습니다.예제에서 쿼리 파라미터로부터 보여지는 ID를 선택하고 TVMaze API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옵니다.이 getInitialProps 함수에서 표시할 제목을 출력하는 console.log를 추가했습니다. 이제 어디에서 출력되는지 볼 수 있습니다.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콘솔를 둘 다 열어주세요.그 다음 홈페이지 http://localhost:3000로 이동하여 배트맨 쇼 제목을 클릭하세요.위에서 애기했던 console.log 메시지가 보여지는 장소는 어디인가요?- 서버 콘솔- 브라우저 콘솔- 콘솔 둘 다- 아무 콘솔에서도 출력되지 않는다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데이터 가져오기브라우저 콘솔에서 메시지를 볼 수 있습니다.클라이언트 사이드를 통해 포스트 페이지에 이동했기 때문입니다. 그런 다음 클라이언트 사이드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은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예를 들어 http://localhost:3000/p/975에 직접 이동한다면 클라이언트가 아닌 서버에서 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마무리데이터를 가져오고 서버 사이드에서 렌더링하도록 만드는 Next.js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를 배웠습니다.대부분의 유스 케이스에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getInitialProps의 기본을 배웠습니다. 더 많은 것을 배우고 싶다면 Next.js의 문서 중 data fetching 문서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트레바리 #개발자 #안드로이드 #앱개발 #Next.js #백엔드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회수 3916

리디북스 서비스 장애 복구 후기

지난 8월 26일에는 약 21분간 리디북스 서비스 전체가 중단되는 장애가 있었습니다.사실 서버 스택 일부에만 영향을 주는 장애는 눈에 잘 띄지 않지만 꽤 흔하게 발생하는 일입니다. 기기 1대당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한 장애가 평균 2년에 1번 발생한다고 가정하면, 서버가 100대 있을 때는 대략 1주일에 1번꼴로 장애가 발생하는 셈입니다.이런 형태의 장애는 서버 스택의 한 곳에서만 발생하므로, 이중화 혹은 클러스터링을 통해서 극복하곤 합니다. 또한 원인이 명확하므로 해당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면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복구가 가능합니다.그러나 이번에 리디북스가 경험한 장애는 달랐습니다. 현재 리디북스는 2개의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에 인프라가 분산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 1차 데이터센터의 전원 공급에 문제가 생겨 특정 서버 랙에 있는 서버 17대가 동시에 내려간 것입니다. 즉, 소프트웨어나 머신의 물리적인 장애가 아닌, 데이터센터의 장애였습니다. AWS로 비유를 하자면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의 장애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원인에 대해이번 장애의 근본적인 원인은 데이터센터가 전원을 정상적으로 공급해주지 못한 것입니다. 물론 데이터센터 혹은 클라우드 서비스(IaaS)는 고객사에게 전원과 네트워크를 안정적으로 제공해주어야 하는 의무가 있습니다.하지만 이들 역시 천재지변이나 사람의 실수에 대한 대비가 100% 완벽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사전에 고려하고 인프라를 설계하지 못한 것이 2차적인 원인입니다.이번 계기를 통해 데이터센터 이중화를 계획하게 되었고, 사용 중인 클라우드 역시 지역(Region) 전체에 장애가 생길 경우에 대한 대비가 되어있지 않아, 이번 계기로 복제 계획(Geo-Replication)을 세우게 되었습니다.구체적인 상황당시 전원이 차단되어 강제 종료된 서버들은 아래와 같습니다.데이터베이스 프록시 x 2메인 리버스 프록시 x 1읽기 분산용 MySQL 슬레이브 x 1서점용 웹 서버 x 3추천 알고리즘 API 서버 x 1알림센터 API 서버 x 2메인 스토리지 서버 x 2출판 플랫폼용 데이터베이스 x 2테스트 및 배치 작업용 서버 x 3그림으로 표현해 보자면, 대략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아래와 같은 상황이 된 셈입니다.서버 스택의 여러곳에 순간적으로 장애가 발생한 상황공인 IP가 할당된 메인 프록시 서버 중 1대가 내려갔지만, 실제로는 아래와 같이 가상 IP로 구성을 한 상태였기 때문에 대기 중인(stand-by) 프록시가 동작하여 곧 서점에 장애 공지를 띄울 수 있었습니다.[이미지 출처: DigitalOcean™]공지 이후의 움직임우리는 데이터센터의 복구 시점을 명확히 알 수 없어서 신규 구축(provisioning)을 시작함과 동시에, 서버들의 물리적인 위치 이동을 고려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다행히 10분이 지난 시점에서 전원 문제는 해결되었고, 서버들은 순차적으로 부팅이 완료되었습니다.일부 서버들은 부팅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지연이 발생하기도 하였지만, 모든 서버의 부팅이 완료된 이후에도 서비스는 완전히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당시 우리가 겪었던 문제와 해결책은 아래와 같습니다.A. 읽기 분산용 MariaDB 슬레이브의 복제 지연(replication lag) 문제슬레이브 서버의 부팅이 완료되자 데이터베이스 프록시(HAProxy)는 해당 서버를 정상으로 간주하여 라우팅 대상에 포함하게 되었고, 애플리케이션 서버들은 정상적으로 커넥션을 맺기 시작하였습니다. 하지만 해당 슬레이브는 수십 분간 마스터를 따라잡지 못한 상태였기 때문에 최신 데이터가 보여지지 않는 문제(stale data)가 있었습니다. 우리는 즉시 해당 슬레이브를 제거하였고 지연이 사라진 이후에 다시 서비스에 투입하였습니다.B. 읽기 분산용 슬레이브의 웜업(warm-up) 문제복제 지연은 사라졌지만 서버의 CPU 사용량이 크게 높은 상태가 한동안 유지되었고, 응답속도는 정상적인 슬레이브에 비해서 많이 느렸습니다. 왜냐하면 캐시가 비워진 상태에서 바로 서비스에 투입되어, 캐시 미스가 휘몰아치는 현상(cache stampede)이 발생하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간단한 쿼리도 평소보다 오래 걸렸고, 그대로 둔다면 커넥션풀이 꽉 차는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곧 우리는 HAProxy로 해당 서버의 가중치를 10%로 낮추어 인입되는 쿼리의 양을 조절하였으며 응답속도는 정상 수치로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이후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수동으로 캐시를 채워나감과 동시에 점차 가중치를 높여 처리량을 정상화하였습니다.프로덕션에서 사용하는 서버는 innodb_buffer_pool 이 100G 이상으로 매우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재시작 시 캐시가 날아가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innodb_blocking_buffer_pool_restore 옵션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메모리를 덤프하지 못하고 비정상 종료가 된 상황에서는 해당되지 않았습니다.C. 인메모리 데이터의 보존 문제알림센터는 다양한 프로모션과 개인화된 정보를 전달해주는 공간입니다. 알림센터의 특징은 데이터의 영구 보존(persistency)이 필요하지 않고, 매일 수백만 건의 개인화된 메시지가 기록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특징은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에 적합하므로 우리는 Redis를 마스터/슬레이브로 구성하여 저장소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어떠한 이유로든 Redis를 재시작해야 할 경우가 생기면, 메모리 상의 데이터가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스냅샷을 남기고 있습니다만, 이번에는 로그가 마지막까지 기록되지 못한 상태에서 메모리의 데이터가 날아가 버렸습니다.다행히 알림 발송과 관련된 메타정보는 모두 MariaDB에 기록하고 있으므로, 우리는 이를 기반으로 소실된 시점부터의 알림을 순차적으로 재발송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모든 알림이 신규 상태로 간주되어 아이콘이 잘못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지만, 고객님들은 너그럽게 이해해 주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앞으로는?리디북스 DevOps 멤버들은 이번 데이터센터 장애를 통해 현재 인프라의 한계점을 실감하였고, 앞으로의 개선 방향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습니다.몇 가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랙 단위로 장애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대비하자.같은 기능을 하는 서버를 하나의 랙이나 같은 가용 영역에 두지 말자.2차 데이터센터는 더 이상 옵션이 아닌 필수다.낙뢰나 지진으로 인해 데이터센터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긴급하게 프로비저닝이 필요한 상황에 대비하자.문서화가 되어 있더라도 경험이 없다면 동일한 구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모든 구성요소들에 대한 Ansible 스크립트를 작성하여두자.캐시 웜업 스크립트도 작성하여 두자.백엔드 구성요소들 간의 불필요한 의존 관계를 끊자.단 한 줄의 코드라도 참조하고 있다면 이는 독립적인 것이 아니다.언제나 서비스 지향적인 설계를 추구하자.Uptime을 관리하자.최대 180일을 기점으로 무조건 리부팅을 하자.재시작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와 개선점이 발견될 것이다.커널 패치, 보안 패치를 할 수 있는 것은 덤이다.아래와 같은 긍정적인 면도 발견하였습니다.장애 상황이 실시간으로 Slack 채널을 통해 전파되었음진행 상황에 대해 모두가 동일한 수준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모니터링 연동(integration) 기능 때문에라도, Slack은 유료로 구매할만한 값어치가 충분하다.같은 기능을 하는 서버들이 다른 랙에 많이 분산되어 있었다.인프라가 확장될 때마다 빈 공간에 필요한 서버를 추가했을 뿐이지만, 자연스럽게 물리적인 위치가 분산되는 효과가 있었다.이 외에도 특정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노드들을 분산하여 배치시키자.서버별로 오너쉽이 부여되어 있어서 빠르게 복구가 된 점여러 명의 백엔드 개발자들이 병렬적으로 복구를 진행할 수 있었다.마지막으로넷플릭스의 엔지니어들은 무질서한 원숭이(Chaos Monkey)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운영한다고 합니다. 이 원숭이는 서비스 인스턴스들을 무작위로 중단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다소 황당하게 들리지만, 넷플릭스에는 일부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부분은 문제없이 운영되어야 한다는 원칙이 있으므로, 이를 수시로 시뮬레이션하는 과정을 통해 복구 능력을 높여둔다는 것입니다.실제로 이렇게 급진적인 아이디어를 실천할 수 있는 회사는 매우 드물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번 계기를 통해 무질서한 원숭이의 필요성을 절감하였고, 이로 인해 서버를 주기적으로 리셋하는 정책을 만들게 되었으며 모든 단일 장애점(SPoF)에 대한 대비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장애를 단순히 피해라고만 생각한다면, 서로를 비난하고 책임을 전가하는 상황이 펼쳐질 것입니다. 하지만 고객의 불편함과 맞바꾼 매우 비싼 경험이라고 생각한다면, 보다 튼튼하고 회복탄력적인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다 보면 언젠가는 데이터센터 전체에 문제가 생겨도 버틸 수 있는 모습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리디북스 #장애복구 #역경돌파 #개발 #개발후기 #개발자 #서버개발 #서버
조회수 2877

레코딩 플러그인 이야기

마음챙김명상앱 '마보'의 콘텐츠들은 모두 Waves 플러그인으로 프로세싱된다.(처음과 마지막을 제외하면) Waves에 대해 간단한 생각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머큐리 구입시 UAD와도 고민을 많이 했지만 소프트웨어로만 비교를 한다면 waves가 훨씬 편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CPU로 돌릴 수 있다는 점이 제온 CPU 에서 강력하게 작용한다.(Waves 하드웨어가 필요하다면 영국콘솔회사 DiGiCo와의 합작품인 DiGiGrid라는것도 있다.)근데 문제는... 맥에서는 더이상 CPU파워가 따라주지 않는다는 것이다.이런 상황에서 밖에서 작업하기에 딱 좋은 솔루션이 있었다. Soundgrid라는 waves의 DSP솔루션이다.이 사운드그리드에 대해 요약하면 waves의 플러그인만 따로 모아서 랜케이블로 Soundgrid 연결을 하면 CPU의 부담을 주지 않고 Daw에서 똑같은 프로세싱이 가능하다.이번에 BLS에서 데모로 받은 Waves Soundgrid IMPACT SERVER를 까페에 들고 나왔다.문제는 예상했던 사이즈가 아닌 맥북보다 훨씬 커서 카페에 가지고 다니기 부담스러운 크기... 휴대성이라는 측면에서는 역시 좀 무리가 있지 않나 싶다.(사진참조)어쨌든 카페에서 작업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점. 다만, 카페에 가는데 차가 필요하다는 점이 있겠다.앞서 말했듯 마보 콘텐츠는 waves외에 플러그인의 시작과 끝을 Izotope 플러그인을 쓴다.마지막에는 라우드니스를 위해 오존을 사용한다. 오존은 너무 유명한 플러그인이니 설명도 생략.녹음이 끝나면 바로 첫단에 오디오스위트로 걸어주는 RX5라는 플러그인이 있다.이 플러그인은 보이스를 녹음한다면, 혹은 볼륨이 크지 않은 클래식 악기를 녹음한다면 정말 요긴하다.첫째로 입에서 발생하는 립노이즈들을 효과적으로 빠르게 제거해 준다. 콘덴서 마이크에서 타는 쩝쩝거리는 소리들을 손으로 하나씩 잡을 필요가 없다. 그저 한번 클릭으로 모든 파형의 클릭소리들을 제거해준다.Waves Mercury에도 X-Click이있지만 Izotope의 RX5가 훨씬 퀄리티가 좋다.두번째로 De-noise의 강력한 기능이다. 녹음시에 발생되는 팬소음들은 사실 EQ를 통해 어느정도 제거가 가능한 험의 형태로 발생한다면, 전기적 접지의 부재로 인한 핑크노이즈는 쉽게 제거가 불가능하다.하지만. 이 De-noise의 노이즈 LEARN기능으로 노이즈를 분석한 후 노이즈를 획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칭찬일색으로 보이지만 RX5는 유튜브 믹싱채널을 운영하는 Alan JS Han님도 추천을 하실 만큼 유명하다.(근데 Izotope는 품질은 정말 유명하나 CPU를 정말 힘들게 한다.)자세한 이야기는 각 사진 속에보다시피 크기가 생각보다 크고 3kg에 육박하는 mini-itx PC이다.. 공연장비가 베이스이기 때문에 랜케이블로 연결한다.프로툴 유저라면 한번쯤 겪어본 창프로툴 유저라면 한번쯤 겪어본 창보이스가 없는 부분을 선택해 기본으로 깔리는 노이즈를 분석한다.전 구간에 분석한 노이즈 커브를 적용한 모습.깔끔하게 정리되었다.(SSL프리에서 오는 하모닉스들도 제거)#마보 #콘텐츠 #프레임워크 #스택 #인사이트 #일지
조회수 1729

네이버 신디케이션 — Rails

블로그에 새 글이 올라올 때, naver에 사이트 등록을 한다. 네이버 신디케이션 API를 이용하면 자동으로 등록된다.Wordpress에는 네이버 신디케이션 plugin이 존재한다. Rails gem을 찾아보니 애석하게도 없었다. 직접 만들면서 알게 되었다. 딱히 gem을 만들 만한 일도 아니더라.네이버 신디케이션을 이용하려면 우선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를 이용해야 한다. 해당 url이 자기 것이라는 인증과정만 거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작동방법은 대강 이렇다.네이버 신디케이션 API를 이용해서, 새로운 글이 생성되었음을 알린다. (혹은 글이 지워졌음을)네이버 크롤링 봇, Yeti가 와서 크롤링 해간다.API를 이용할 때 미리 약속된 format으로 만들어야 되는데, ATOM feed와 구조가 거의 같다. 다만 네이버가 정한 룰 때문에 (꼭 이름/저자/업데이트날짜 이런 순서를 지켜야 한다.)Rails에서 제공하는 atom_feed helper를 그대로 이용할 수 없다. 그러나 format만 살짝 바꾸면 되기 때문에 atom_feed helper를 이용해서, feed를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Railscast가 늘 그렇듯 엄청 도움이 된다.(요즘 새로운 episode가 안올라오고 있는데… 힘내시라는 의미에서 예전에 유료결제 해드렸다)atom_feed helper의 코드를 그대로 가져와서 formating만 바꾼 naver_atom_feed helper를 만들었다. 별다른 건 없고, feed option 초기화 부분과 제일 마지막에 나와야 되는 link 부분을 주석처리한게 전부다.module NaverSyndicationHelper def naver_atom_feed(options = {}, █) ... feed_opts = {} //feed_opts = {"xml:lang" => options[:language] || "en-US", "xmlns" => 'http://www.w3.org/2005/Atom'} ... xml.feed(feed_opts) do xml.id... // xml.link... // xml.link... yield ActionView::Helpers::AtomFeedHelper::AtomFeedBuilder.new(xml, self, options) end end end새로만든 naver_atom_feed helper를 이용해서, feed부분만 완성한 code이다.naver_atom_feed({xmlns: "http://webmastertool.naver.com", id: 'http://ikeaapart.com'}) do |feed| feed.title "이케아아파트" feed.author do |autor| autor.name("이케아아파트") end feed.updated Link.maximum(:updated_at) feed.link(:rel => 'site', :href => (request.protocol + request.host_with_port), :title => '이케아아파트')이제 entry쪽을 만들어야 되는데, 네이버가 지정한 순서에 맞아야지만 신디케이션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정말 이상한 형식이다. 아무튼 그래서 Rails에서 제공하는 entry method를 사용하지 못한다. 이번엔 AtomFeedBuilder class에 naver_entry method를 만들었다.#config/initializers/feed_entry_extentions.rbmodule ActionView module Helpers module AtomFeedHelper class AtomFeedBuilder def naver_entry(record, options = {}) @xml.entry do @xml.id... # if options[:published]... # @xml.published(...) # end # if options[:updated]... # @xml.updated(...) # end # @xml.link(..) ...이번에도 순서 때문에 주석처리 한 것 밖에 없다. naver_entry method를 이용해서 완성된 코드가 아래 코드이다.# views/links/show.atom.buildernaver_atom_feed({xmlns: "http://webmastertool.naver.com", id: 'http://ikeaapart.com'}) do |feed| feed.title "이케아아파트" feed.author do |autor| autor.name("이케아아파트") end feed.updated Link.maximum(:updated_at) feed.link(:rel => 'site', ...) feed.naver_entry(@link, {id: link_url(@link)}) do |entry| entry.title(@link.title) entry.author do |author| author.name("이케아아파트") end entry.updated(@link.updated_at.xmlschema) entry.published(@link.created_at.xmlschema) entry.link(:rel => 'via', :href => (request.protocol + request.host_with_port)) entry.content(@link.contents) end end이제 새 글이 만들어 질 때, 이 atom 파일 주소를 네이버 신디케이션 API로 보내주면 된다. 참고로 Rails에서는 어떤 view파일을 사용할지 알아서 해주니, controller에 따로 ‘response_to’ 를 이용해서 format을 나눠줄 필요는 없고, 이름만 잘 맞춰주면 된다. (위 파일명은 show.atom.builder 이다)네이버 신디케이션 API에 핑을 보내는 code이다. 네이버가 지정해 놓은 header를 설정해 줘야 되고, 신디케이션 인증 토큰을 받아서 header에 넣어줘야 된다. 신디케이션 토큰은 네이버 웹마스터 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require 'net/http' ... header = {"User-Agent"=>"request", "Host"=>"apis.naver.com", "Progma"=>"no-cache", "Content-type"=>"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Accept"=>"*/*", "Authorization"=>"Bearer " + ENV["NAVER_SYNDICATION_TOKEN"]} uri = URI.parse('https://apis.naver.com/crawl/nsyndi/v2') http = Net::HTTP.new(uri.host, uri.port) http.use_ssl = true args = {ping_url: link_url(link_id, format: "atom")} uri.query = URI.encode_www_form(args)request = Net::HTTP::Post.new(uri.request_uri, header) http.request(request)네이버 신디케이션 페이지에서 핑이 제대로 도달하는지 바로 확인해 볼 수 있다.#티엘엑스 #TLX #BA #BusinessAnalyst #비즈니스애널리스트 #꿀팁 #인사이트 #조언
조회수 1082

앱 공모전 기획자에서 비전공 개발자가 되기까지

스푼을 만드는 사람들 다섯 번째 이야기클라이언트팀의 유일한 여성 개발자 Julia를 소개하고자 한다.바나나 최대 몇 개까지 드세요?"마케팅팀 썸머에겐 아귀찜이 있다면, 저에겐 '바나나'입니다. 저는 바나나 우유도 좋아하고, 바나나 한 송이를 그 자리에서 혼자 다 먹을 만큼 좋아해요. 카카오톡 이모티콘도 바나나 이모티콘을 가장 많이 사용할 정도로요. 바나나는 맛도 있지만, 먹으면 기분이 좋아지는 과일이에요"(인터뷰 후, 줄리아에게 바나나 한 다발 선물해드렸습니다. 맛있게 드셨길 바라요)Q. 할머니 감성을 가지셨다고 들었는데, 사실인가요? "네,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시겠지만 저는 친구들이 '할머니'라고 불러줘요. 이유인즉슨, 건강에 관심이 워낙 많아서 영양제도 잘 챙겨 먹고 꽃무늬 옷이 많거든요. 정확히 말하면 꽃무늬 치마! 그리고 사석에서는 고향(전라도) 사투리를 많이 써서 그런 것 같아요"줄리아 닮은꼴: 닥터 슬럼프 아리 '줄리아'를 더 알아가고 싶어요본인은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하세요?독한 사람 - 저는 웬만한 것에 있어서 타의적으로 절대 포기를 하지 않아요. 제 스스로가 싫증이 날 때까지는 꼭 끝까지 해내고 말거든요.그래서 전 제 스스로를 독한 사람이라고 말하고 싶어요. 이전부터 개발자로서 커리어를 쌓아오셨나요?"저는 원래 문과생이에요. 비전공자죠. 대학 때 독어를 전공했고, 개발과는 사실 거리가 먼 사람이었어요. 저는 이 전에 많은 경험들을 해왔어요. 세계일주를 하고 싶어서 해상 승무원 준비도 했었고, 중국에서 무역회사에서 근무도 했었고요. 통역도 잠시 했었고, 이 전에는 앱 공모전 기획자로서의 삶도 있었어요. 앱 공모전 기획자라는 건, 회사 및 대회를 홍보하기 위해 직원 대상 또는 시민을 대상으로 행사 및 공모전을 기획해서 행사업체를 고용하거나 직접 운영하는 업무랍니다. 그리고 현재는 안드로이드 개발자로 커리어를 쌓고 있습니다."많은 커리어를 거쳐 개발자가 되신 계기가 있다면?"저는 인생 계획을 짧으면 5년, 길게는 10년씩 잡고 살아가요. 20대 때는 해보고 싶은 게 너무 많았고, 지금도 여전히 많아요. 그래서 20대는 정말 하고 싶은 모든 걸 해보자라는 마음으로 살아왔어요. 30대가 되면서 조금 더 안정적으로 살고픈 마음이 생기기 시작했고 무엇보다 하나의 전문적인 직업을 가지고 싶단 욕구가 커졌어요. 그래서 개발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책상에 약이 굉장히 많네요?"제가 아까 할머니 감성이 있다고 했는데.. 저는 건강을 엄청 챙기거든요.. 그래서 탕비실에도 돼지감자 차 및 영양제 등 굉장히 뭘 많이 챙겨 먹습니다. 그래서 제 책상엔 비타민 등 영양제가 가득하답니다!"집에서 가져온다는 돼지감자 차 당신의 회사생활이 궁금합니다Q. 여성 개발자로 일하는 삶은 어떤가요?"사실 저는 '개발'을 하는 일을 성별로 나누고 싶지는 않아요. 남자 개발자가 많은 이유는 아무래도 공대에 남성 비율이 더 많기 때문이라고 생각이 들기도 하고, '여자' 이기에 특별히 다르다거나 불편한 점은 없어요. 아직은 신입 개발자이다 보니, 배우고 있는 시점이기도 하고요. 그저 열심히 배우는 단계라고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무엇보다 제 위로 8년 차, 14년 차 선배분들과 함께 일하면서 정말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Q. 일하면서 언제가 가장 뿌듯하세요?"개발을 하시는 분들은 공감하실 텐데.. 안되던 문제가 갑자기 될 때(?)에요. 분명히 어제는 안됐는데, 오늘은 되는 날이 있거든요. 반대인 경우도 있고요. 그때 정말 뿌듯(?)하고 행복해요. 또 다른 하나는, 보통 다른 곳은 신입 개발자는 보조만 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하지만 팀원들이 저를 믿어주셔서 제가 새로운 기능을 맡아서 짠 추가 코드가 프로덕트에 적용이 될 때가 정말 뿌듯해요."Q. 회사 다니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이 있다면?"제가 입사 후 함께 처음으로 새로운 국가에 출시했을 때요. 저는 새로운 국가에 서비스를 출시할 때마다 너무 기대되고 업무가 더 즐거워져요. 조금 더 다양한 업무가 주어지고, 생각도 더 많이 하게 되거든요. 그리고 저는 건강에 정말 신경 많이 쓰는데, 저번에 Jun 이 막내 특집(?)으로 홍삼 음료를 주셨는데.. 너무 취향 저격인 거예요. 딱 제가 정말 좋아하는 건강한 맛! 그래서 그날도 너무 행복했어요."Q. 어떤 사람과 일하고 싶으세요?배울 점이 있는 사람이요. 저 또한 누군가에게 배울 점이 있는 사람이고 싶어요.줄리아 업무 공간 당신의 사생활이 궁금합니다Q. 안드로이드 개발자는 안드로이드만 사용하나요?"모두가 그런 건 아니겠지만, 저는 사실 여태 살면서 안드로이드 폰만 사용했었어요. 무엇보다 저는 안드로이드 캐릭터가 너무 귀엽다고 생각하기에.."Q. 주말에는 무엇을 하며 시간을 보내세요?"저는 지난 1년간은 매주 주말마다 코딩 스터디를 해왔어요. 아무래도 비전공자에 늦게 시작한 개발자다 보니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거든요. 지금도 스터디를 하고 있어요. 그리고 2019년부터 목표는 한 달에 한 번쯤은 리프레쉬하기 위해 가까운 곳이라도 여행을 가려고 노력하고 있어요."Q. 개발자가 된 후 삶에 있어 변한 점이 있다면?"예전에는 어떤 것을 설명하거나 표현할 때, 굉장히 문과적(?) 이게 표현을 했었던 것 같아요. 지금도 완전히 바뀌진 않았어요. 하지만, 무언가 문제가 있을 때 원인과 결과를 먼저 파악하는 성향이 생겼달까요? 그리고 편견일 수도 있지만 조금 더 프로페셔녈 해 보이고 싶어서 백팩이나 후디를 자주 입습니다!" 비전공자로서 개발자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먼저, 비전공자라 하여 못할 거라는 생각을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어요. 저도 여전히 배우고 있는 입장이지만 생각보다 비전공자 중에 개발자로서 훌륭하신 분이 굉장히 많거든요. 늦더라도 정말 하고 싶은 마음이 있다면 꼭 도전하라고 말하고 싶어요. 그리고 꼭 영어 공부하세요. 아무래도 문서들이 영어로 되어있으니, 영어를 배워두면 번역기의 도움이 없이도 되기에 큰 도움이 되고 시간이 절약되거든요! 아, 그리고 개발을 배우고자 만약 학원에 가서 수업을 들을 예정이시라면, 수업을 듣기 전에 혼자라도 미리 예습을 하고 가셨으면 좋겠어요. 학원을 다닌다고 해서 정말 모든 걸 알려주진 않거든요. 얼마나 열심히 하고 노력하느냐에 따라 성패가 달린다고 생각합니다."안드로이드 팀원들이 줄리아를 한마디로 표현한다면?Derek 曰:  “줄리아는 강한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외부의 환경에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꿈을 향해 계속 전진하는 강한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Yong 曰:  "낯선 길에서 의지를 잃지 않고 가고자 하는 길을 걷는 사람, 그리고 미소가 예뻐서 꽃 같은 사람입니다" 
조회수 3527

코인원 개발자는 어떻게 일할까?

코인원의 파이콘 한국 2018 참여기 그 두번째 이야기!코인원의 핵심, 코인원의 자랑 ‘코인원 개발자’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려 합니다.지금의 코인원이 있을 수 있는 이유는 바로 더 좋은 프로덕트를 만들어내기 위해 치열하게 고민하는 개발 크루들의 노력이 있었기 때문입니다.코인원은 지난 파이콘 한국 2018 ‘열린공간(Open Speak Talking)’ 세션에 참여했습니다. 이 시간을 통해 그동안 코인원 개발 크루들이 축적한 지식과 경험 그리고 노하우를 공유했어요. 파이콘이 개발자들을 위한 행사인만큼, 코인원의 개발문화와 환경, 채용 원칙에 대한 심도깊은 이야기가 오고갔답니다.그래서 예고했던대로 코인원 개발자들의 ‘Mini Interview’를 통해 개발 크루들은 기술본부를 어떻게 만들어나가고 있는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파이콘 한국 2018' 후기 1탄 현장스케치▼코인원X'파이콘 한국 2018' 현장스케치!파이썬 개발자들의 즐거운 축제, ‘파이콘 한국 2018’이 지난 19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습니다. 이번 행사...blog.naver.com지난 8월 19일 진행된 파이콘 열린공간 현장, Open Speak Talking!진우님(CTO)을 집중 심문하고 있는 피플팀 수장 대경님코인원 기술본부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진우님(CTO) : 안녕하세요, 코인원 CTO(Chief Technical Officer, 최고기술책임자) 이진우 입니다. 현재 코인원 기술본부는 총 8개의 팀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Core팀, Web팀, API팀, APP팀, QA팀, SRE팀, 데이터팀, 기술연구팀으로 나뉘어진답니다. 코인원 기술본부는 사용자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프로덕트를 만들어나가고 있어요. 먼저,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보여지는 화면인 프론트엔드를 책임지는 ‘Web팀과 APP팀’ 그리고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지만 시스템의 안쪽에서 수행되는 백엔드를 책임지며 프론트엔드에서 필요로하는 결과를 제공하는 ‘Core팀, API팀, QA팀, SRE팀, 데이터팀, 기술연구팀’이 인터렉티브하게 일하고 있습니다.저희는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원을 더욱 더 잘 구축하고, 개선하고, 안전하게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어요. 또한 개발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블록체인 연구를 통해 거래소에 최신 기술 트렌드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항상 고민하죠.파이콘의 질문왕, 웹팀의 경화님 :)저 멍때리는거 아니에요, OST에 집중하고 있는거에요. (feat. 새로찬가로찬님)눈감은거아니에요, 뜬거에요. (feat. 킹갓제너럴대현님)코인원 개발자들은 어떻게 일하나요?경화님 (Web developer) : 코인원 개발자들은 서로 어떤 업무를 하고 있는지 눈으로 트래킹 할 수 있고, 투명하게 업무를 공유할 수 있는 개발환경을 만들고 있어요. 저희는 협업툴로 Jira와 Confluence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협업툴로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새로운 개발업무에 집중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어요. 또한 협업툴 이외에도 새로운 기술 도입에 긍정적이라 자기주도하에 여러가지 기술을 실무에 적용해볼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죠.새로찬님 (Engineer) : 주어진 요구사항에 맞게 그대로 개발하기 보다는 요구사항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더 좋은 방향으로 만들 수 있도록 기획, 디자인, 개발 모든 단계에서 능동적으로 의견을 제시합니다. 기술본부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상황에 맞추기 위해 매일 아침마다 PM, 개발자, 디자이너가 모여 *데일리스크럼을 진행하는데요, 서로의 Task나 Project 진행상황을 공유하고 최고의 프로덕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요. *데일리스크럼이란? 정해진 시간에 개발크루들이 모여서 어제 했던 일과 오늘의 할 일 등을 공유하고, 다른 개발 크루들이 이야기하는 업무현황을 들으면서 내가 기여할 수 있는 부분과 이슈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자리에요! 대현님 (Engineer) : 서비스를 만드는데 있어 주도적으로 그리고 적극적으로 개발업무를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코인원 Live Service에서 Manual하게 처리하고 있었던 이슈들을 자동화하는 프로젝트가 있었는데요. 수동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지만, 이를 서비스 기획자분들과 연계해 Task로 만들어 해결방안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여기서 그치는게 아니라, 계속해서 코인원 사용자들을 위해 필요한 기능들을 추가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많은 재미를 느꼈죠.왼쪽부터 파이콘의 나이스걸 (윤정님), 개발자 (희수님), ddddeveloper (선우님)개발본부의 공식포즈, 쁘쁘브브브이 종헌님 ㅇ_ㅇV코인원 개발자가 되면 어떤 점들이 좋나요?희수님 (Engineer) :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거래소 프로덕트를 만들어볼 수 있다는 점이 정말 좋습니다. 저는 원래 암호화폐와 핀테크에 관심이 많았는데요. 코인원에서 거래소 프로덕트를 직접 만들면서 관심 분야에 대해서도 더 많이 알게 되고, 또 이런 서비스를 개발할 때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고민해보면서 배워가는 것이 정말 많아요. 제가 코인원 합류 이전에 개발한 프로덕트들과는 성향이 많이 달라서 더 재미를 느끼고 있어요!종헌님 (Web developer) : 함께 일하는 모든 개발자 분들이 더 효율적인 개발 프로세스를 만들기 위해 치열하게 고민하는 것을 보면서 매일 놀라고 있어요. 서비스를 개발하며 느끼는 문제점을 도출하면서 치열하게 토론하고, 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들을 직접 시도해 볼 수 있어서 좋아요. 일을 더 효율적으로, 즐겁게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과정이 코인원만의 애자일을 만들어나가는 것 같아 더 열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선우님 (Web developer) : 많은 사용자들이 직접 이용하는 서비스를 만드는 개발자로서 다양한 문제 상황을 직면하고 해결해 나가며 보고 배우는게 많습니다. 또 코인원 기술본부는 여느 코인원 조직처럼 언제든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하는 분위기가 형성돼있어요. 특히 하나의 프로젝트가 끝나면 회고(Retro)를 진행하는데, 프로젝트의 진행과정, 이슈, 결과물을 공유하면서 저 자신을 성장시켜나갈 수 있는 요소들이 많습니다.안녕하세요, 코인원 신입개발자 (a.k.a CTO) 입니다. (인사성 밝음밝음)“코인원에서는 어떤개발자를 원하나요?진우님 (CTO) : 블록체인을 좋아하고, 개발을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언제든지 환영입니다. 코인원 개발 크루들을 생각했을 때 ‘몰입’이라는 단어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데요. 모두가 마니아적이고 덕후기질이 있어, 자기주도적으로 업무를 하고 적극적으로 개발할 것들을 찾고 실행합니다.  앞으로 코인원 개발 크루로 합류하실 분들 또한, 적극적으로 아이디어를 내고, 그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를 리딩할 수 있는 분이었으면 해요. 물론 개발하는데 있어서는 누구보다 신중한 자세가 필요하겠죠? 누구보다도 내가 짠 개발코드를 꼼꼼하게 검토하고, 표용력이 있어 좋은 아이디어에는 귀 기울일 줄 아는 분들이셨으면 좋겠습니다. 참고로 Node.js, Python, Spring, C#, AngularJS를 업무에 많이 활용하고 있답니다.개발을 사랑하시는 분! 블록체인을 함께 탐험할 준비가 되신 분! 코인원 개발자 채용에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코인원 개발자 채용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지금까지 미니 인터뷰를 통해 코인원 개발 크루들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블록체인이라는 새로운 기술 영역에서 매일매일 즐겁게 도전하고 있는 코인원 개발팀에 합류하고 싶은 분들은 현재 코인원 개발자 채용이 진행되고 있으니 지금 바로 확인해주세요!#코인원 #블록체인 #기술기업 #암호화폐 #스타트업인사이트 #기업문화 #조직문화 #팀원소개 #인터뷰
조회수 1605

로봇 공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화정밀기계의 협동 로봇을 만드는 로봇사업부 인터뷰!

한화정밀기계의 협동로봇 HCR-5 / 출처 - 한화정밀기계 이제 번거로운 작업은똑똑하고 안전한 협동 로봇에게 맡기세요! 제조 산업의 다양한 과정들이 점차 기계화되어가고 있습니다. 기계화의 과정에서도 사람이 개입되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들이 남아있기 마련인데요. 사람이 꼭 필요한 섬세하고 동적인 역할까지 수행하면서 기계의 편리성을 살릴 수 있는 ‘협동 로봇(코봇)’의 탄생으로 그 고민이 해결되었습니다.머지않은 미래에 협동 로봇의 춘추전국시대가 예상되는 가운데, 2017년 시장에 진입한 한화정밀기계의 HCR 시리즈 협동 로봇은 뒤늦게 시장에 합류했지만, 유려한 디자인과 다양한 기능, 안전성을 고려한 특색 있는 제품 생산으로 전 세계 고객들의 사랑을 받으며 점유율을 확대해가고 있습니다. 협동 로봇의 발전으로 개발과 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직업도 탄생했는데요. 한화정밀기계에는 협동 로봇 전문가집단인 로봇사업부가 존재합니다. 이 부서의 수장인 장우석 로봇사업부장에게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보겠습니다. Q. 안녕하세요. 우선 협동 로봇에 대해 간단히 설명 부탁드립니다!한화정밀기계 장우석 로봇사업부장 / 출처 - 한화정밀기계안녕하세요. 한화정밀기계 로봇사업부의 장우석입니다. 산업 현장에서 사람들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로봇이 바로 협동 로봇입니다. 이들은 정확성과 일관성이 요구되는 반복적인 업무들을 처리하는데요. 기존의 반복적인 업무를 대신하고, 작업자는 주관적인 판단이나 유연성이 요구되는 일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죠. 현재의 협동 로봇 이전에 주로 사용했던, 기존의 산업용 로봇은 굉장히 한정적인 업무만을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가령 물건을 하나 옮긴다고 가정하면, 그에 맞는 고난도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입력해야 그 일을 할 수 있습니다. 만약 다른 장소로 물건을 옮기려고 한다면 조립공정을 멈추고 중장비를 사용해 옮겨야 합니다. 따라서 시간과 비용이 굉장히 많이 듭니다. 반면 협동 로봇은 이러한 번거로운 과정들을 한 번에 해결해줍니다. 특히, 한화정밀기계의 HCR 협동 로봇은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어서 작업자가 작동법을 익히는데 하루도 채 걸리지 않습니다. 또한, HCR 협동 로봇의 워크플로를 세팅하거나 변경할 때는 단순히 필요한 항목들만 클릭해 바꾸면 됩니다.싱가포르 합자법인 공장에서 HCR-5를 생산하고 동남아시아 시장에 공급할 예정인 한화정밀기계 / 출처 - 한화정밀기계 Q. 한화가 로봇 산업에 진출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한화그룹은 4차 산업혁명의 일환으로 로봇 산업을 시작했습니다. 다양한 분야 중 저희는 협동 로봇에 초점을 맞췄고, 작년에 국내 최초의 협동 로봇인 HCR 시리즈를 출시했습니다.한화그룹은 항공엔진, 에너지, 산업 장비, CCTV 카메라와 같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을 키우고 선두가 되기 위해, 한화는 정밀기계, 동작 조종 기술, 사물 인식 소프트웨어, 자동 내비게이션과 같은 분야에서 전문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든 것의 중심이 바로 로봇 산업입니다.이렇게 다양한 산업 지식, 경험 그리고 기술을 바탕으로 로봇사업부를 키울 수 있었고, 지금의 HCR 시리즈 같은 제품을 시장에 내놓을 수 있게 된 것입니다. 특히 로봇 공학 분야와 소프트웨어 개발에 매우 높은 전문성을 가진 인력을 보유하여 협동 로봇 기술 개발(R&D)을 빠르게 진전시킬 수 있었습니다. 한화정밀기계와 싱가포르 정밀 엔지니어링 전문 업체인 PBA 그룹의 합자법인 "PBA-Hanwha Robotics"의 개소식 모습 / 출처 - 한화정밀기계  Q. 한화 협동 로봇의 제품 현황과 고객 반응은 어떤가요?한화정밀기계의 협동로봇 HCR-5 / 출처 - 한화정밀기계한화정밀기계는 현재 세 종류의 협동 로봇(HCR)을 출시하였으며, 각각 3kg, 5kg, 12kg의 무게를 들 수 있습니다. 이 세 종류의 협동 로봇은 크기가 작고, 옮기기 쉬우면서 방대한 범위의 업무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업무 지원이 필요한 중소 제조 기업에 이상적인 모델이라 할 수 있습니다. HCR 시리즈의 시장 내 고객 반응은 매우 호의적입니다. HCR 시리즈만이 가진 가장 큰 장점은 사용자가 단일 제어 장치에서 두 개의 HCR 협동 로봇을 실행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운영비가 최대 10%까지 절감되는 효과가 있죠. 거기에 HCR 시리즈 조작이 쉽다는 점까지 장점으로 작용하면서 시간을 절약하고 생산성을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기능과 안정성을 모두 잡은 HCR 시리즈만의 디자인 또한, 고객들은 HCR 협동 로봇의 수려한 디자인을 가장 크게 평가합니다. 보통 산업용 기계는 튀어나온 부분들이 있어서 긁히거나 부딪힐 위험이 있는데 HCR은 부드러운 곡선 모양으로 제작되어 안전하고 디자인이 뛰어납니다. 산업 디자인은 보이는 게 전부가 아닙니다. 사람들이 협동 로봇과 같이 일할 때 실제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 이유로 더 안전하고 부드럽게 보이도록 곡면을 살려 디자인했습니다. 디자인과 기능 면에서도 HCR 시리즈는 매우 안전한 제품입니다. HCR 협동 로봇은 작업자의 옆에서 업무를 보조하는데, 자동 충돌 감지 기능이 있어서 부딪히면 즉각적으로 작동을 멈춥니다. 2017 iF 디자인 어워드, 제품 디자인 부분에서 본상을 수상한 HCR 협동 로봇 / 출처 - 한화정밀기계 Q. 협동 로봇의 미래에 대한 예측과 향후 개발하고자 하는 협동 로봇은?미래에는 AI와 딥러닝, IoT 등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기술들이 접목된 협동 로봇이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 예측합니다. 특히 AI와 딥 러닝 기술로 인해 조만간 로봇 산업에는 큰 지각 변동이 있을 것이라 예상합니다. 원래는 5년이나 10년 주기로 일어날 것으로 생각했는데, 이제는 그것보다 더 앞당겨질 것 같네요. 예전에는 몇 년 더 걸릴 것으로 생각했던 기술들이 AI와 딥러닝 기술이 접목된 지 2년 반 만에 이미 구현되고 있으니까요!그래서 한화정밀기계에서는 앞으로 생산될 제품에 AI나 빅데이터, IoT를 어떻게 접목하고, 실제로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AI가 접목된 협동 로봇은 어떠한 상황이나 조건에서도 최대한 쉽게 일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술 접목 분야에서 한화그룹은 다양한 산업군과 계열사가 있다는 것이 매우 큰 장점인데요. 다양한 계열사에 자문하면서 실제로 협동 로봇이 어떻게 업무에 적용이 되고, 앞으로 어떻게 발전시킬지 논의하고 있습니다. 협동로봇 합자법인 공장 투어 모습 / 출처 - 한화정밀기계 한화정밀기계의 장우석 부장은 피처폰에서 스마트폰 시대로 바뀌었듯이, 로봇 시장도 향후 몇 년 이내로 큰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나리라 전망했습니다. 단순히 몇 개의 일을 수행하는 로봇에서 거의 모든 일을 처리할 수 있는 로봇으로 변화하는 것입니다. 협동 로봇 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으며 시장 규모도 매우 작지만, 앞으로의 사업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큰 분야입니다.한화정밀기계는 현재 유럽과 동남아시아 시장의 큰 성장 가능성을 두고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요. 단기적인 목표는 시장점유율을 매년 두 배로 늘리는 것이며, 장기적인 목표는 협동 로봇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 기업이 되는 것이라고 합니다.4차 산업혁명에 힘입어 자동차와 스마트 팩토리를 중심으로 기술 트렌드를 이끄는 기업을 목표로, 글로벌 로봇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 되기 위해 끝없는 노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점차 확대되는 협동 로봇 시장을 선도하는 한화정밀기계의 미래를 함께 응원 부탁드립니다!#한화 #한화그룹 #한화정밀기계 #구성원인터뷰 #직무정보 #기업정보 #기업문화 #비전 #목표 #채용정보 #공채정보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