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홈

인터뷰

피드

뉴스

조회수 929

아띠 #18. 왕이 된 럭키가이, 라이더 권!

Story #18. 인력거만 타면 왕이 되는 럭키가이!라이더 '권'을 소개합니다.자기소개 부탁해2014년 4월 초 TV에서 아띠를 보고 들어온, 약 3년 차 라이더 권입니다! (웃음)  TV를 보고 아띠를 알게 됐어?응. 우연하게 아띠가 TV에서 보고 '저거 재미있겠다! 해야겠다!' 싶어서 바로 이메일을 써서 지원했어. 학교만 다니는 따분한 일상, 남들과 똑같이 살기 싫고 뭔가 재미있는 게 없을까 궁리를 하고 있었는데 새로운 탈출구를 만난 것 같은 생각에 바로 이메일을 썼지. 사람도 많이 만나고, 운동도 하고, 돈도 벌 수 있다는 매력에 내가 확 끌렸던 것 같아. 평일에는 학교를 다니고 주말에는 거의 매주마다 다 나왔던 것 같아. 그만큼 정말 사랑했었습니다.(웃음) 라이딩을 처음 해본 순간 어땠어?엄청 긴장하고 흥분도 됐어. 내가 늘 하는 얘기처럼, '인력거만 타면 왕이 된다'는 느낌을 처음 받았지. 사람들이 쳐다보는 시선도 즐겼고 인력거만 타면 뭐든지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어. 원래 그런 성격이 아니었는데, 낯선 사람들에게 내가 먼저 말을 걸 수 있을 정도로 자신감도 엄청 생겼었어. 권이 생각하는 라이딩의 가장 큰 매력은 뭐야?스트레스 안 받고 정말 재미있게 돈을 벌 수 있다는 점!(웃음) 그리고 인력거를 끌고 현장으로 나가면 내가 1인 기업이 되는 거잖아. 누구 아래에서 일하는 게 아니니까, 적당한 룰 안에서 내가 뭐든 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지. 그리고 일한 만큼 버는 거니까 의욕도 더 생기고 오히려 스트레스를 풀었지. 사람도 만나고 인연도 쌓이는 게 엄청난 매력인 것 같아.기억에 남는 손님과의 에피소드가 있어?어떤 어머님이 한번 타셨었는데 그 다음에는 따님이랑 같이 와서 타시고, 그 다음엔 할머니를 데려오시고, 그 다음엔 친구들도 데려오시면서 몇 번이나 재방문 하셨던 적이 있어. 내 VIP손님이 이셨지. 그 손님 이후에 한 번 방문한 손님들이 재방문할 수 있도록 만들자는 목표가 생겼었어. 조금 더 신경도 쓰고 항상 더 볼거리가 많이 남아있다는 걸 어필했었지. 그리고 또 있어! 어느 날 라이딩을 하는 데 갑자기 비가 오는 거야. 손님이 예약을 취소하실 줄 알았는데, 안 하시고 같이 우산을 사자고 하시더라고. '나는 비 맞을 준비가 됐다!' 라는 식으로.(웃음) 그래서 나도 그냥 비 맞으면서 라이딩을 했는데 되게 즐거웠어. 남자들이 공하나 던져놓고 비올 때 축구하는 것처럼, 비올 때 운동하는 느낌을 받았었어. 부모님이랑 애기 1명 있던 가족 손님이었는데, 진짜 재미있었어. 내가 지금까지 한 40,000명 정도 손님을 태웠어. 지금까지 기록해놓은 일지랑 사진들 보고 나 혼자 추정해본 결과야.(웃음) 그래서 그만큼 추억들이 많은데, 지금 몇 개만 추려서 말하려니 잘 생각이 안나!반대로 힘들었던 손님은 없었어?다들 한 번씩 겪은 것 같은데, 나는 그런 손님은 한 명도 없었어 진짜! 그래서 행운아인 것 같아. 하하그래도 3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힘들었던 순간도 있었을 텐데!라이딩을 하다보면 체력적으로나 심적으로나 슬럼프가 오는 순간이 있어. 이럴 때는 쉬어야 돼! 아니면 매일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니까 새로운 소재로 코스를 이끌어보기도 하고. 그리고 마인드 컨트롤이 가장 중요하지. 어디 가서 이렇게 재미있게 일하면서 돈도 벌겠냐 이렇게 긍정적으로 계속 생각하는 거지.라이더에게 가장 필요한 건 뭐라고 생각해?자신감과 친절함, 개인적으로는 이 두 가지인 것 같아. 성격이 어떻다는 걸 떠나서 인력거라는 좋은 소스가 있기 때문에 자신감만 있으면, 누구든 주인공이 될 수 있거든. 그리고 손님을 만나는 그 순간을 즐길 수 있는 마음. 친절함은 서비스 마인드의 기본인 것 같아. 나 같은 경우는 투어를 할 때 상대방이 어떤 걸 좋아하고 뭘 원하는지를 먼저 생각하고 파악하려고 해. 많이 하다 보면 노하우가 생기는데, 나는 15분 안에 알지. 역사에 관한 이야기를 할 때 지루해하시는 것 같다 싶으면 마음 속으로 '역사이야기는 이제 그만하고 넘어가야겠다! 바로 컷!' 이런 식으로.(웃음)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자연스럽게 발견하고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어. 그래서 눈치도 조금 빨라야 되는 것 같아. 초등학생은 역사를 지루해할 것이다라고 많이들 생각하는데, 의외로 역사를 좋아하는 친구들도 있어! 이런 것처럼 빨리 캐치를 잘 해야 서로 행복하게 투어를 할 수 있어.(웃음)권은 스텝으로도 근무했었는데, 라이딩만 할 때랑 가장 큰 차이점은 뭐였어?케빈이나 쭌쭈 처럼 주변의 가까운 사람들에 대해 한번 더 알게 된 기회가 생겼다는 점(웃음) 잘 몰랐던 면들을 알게 되고, 예전에는 몰랐던 그 사람만의 매력을 알게 되었지. 그리고 회사가 어떻게 돌아가는 지 알게 된 것도 있었고, 그 속에서 내가 맡은 일들을 책임지고 하다 보니까 얻게 되는 성과나 성취감도 컸지.L7에서 근무할 때는 매력은?호텔이다 보니까 손님 분들이 팁을 많이 주셔서 좋았어!(웃음) 따뜻한 밥도 나오고!(웃음) 무엇보다 L7 식구들을 만난 게 좋았던 것 같아. 지배인님, 매니저님, 프론트데스크 분들 모두 새로운 분야의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서 신선한 매력이 있었지. 새로 들어온 라이더들에게 조언을 해준다면?재미있게 즐기되, 책임감을 가지고 나 자신이 '아띠의 주인이다' 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했으면 좋겠어. 사람을 대하는 법도 배우고, 좋은 추억도 많이 쌓고. 그리고 라이더 중에 나, 권이라는 훌륭한 사람이 있었다는 것도 알았으면 좋겠어.(웃음) 내가 있기에 너희가 있다! 아임 유어 파더! 으하하그리고 나 같은 경우는 아띠에 관심이 많아서 쉬는 날에도 나와서 혼자 투어를 돌았었어. 설명을 하고 지리를 익히기 위해서. 그만큼 아띠를 좋아하는 마음이 있어야 되는 것 같아. 계속 재미있게 즐기는 마음을 찾았으면 좋겠어. 그리고 너무 역사에 얽매이지 말라는 거. 물론 기본적인 것들은 알아야 할 필요가 있지만. 재미있게 즐기라는 거지.(웃음) 바라는 점이 있다면그냥 나의 희망인데, 앞으로 계속 무슨 일을 하든 인력거는 계속 하고 싶어. 좋은 사람들 만나면서 에너지도 얻고 그랬으면 좋겠어. 주는 건 없이 받고만 싶은 욕심이지만. 좋은 사람, 좋은 공간, 나만의 놀이터가 영원했으면 좋겠다는 희망이야.  마지막으로 남기고 싶은 말그만 두는 건 아니지만, 지금까지 아띠를 통해서 정말 많이 배웠어. 사람도 많이 만났고 그 속에서 돈도 벌고 즐거움도 찾으면서 정말 행복했어. 몸은 떨어져 있지만 어디를 가서라도 자신있게 아띠에서 일했었다고 말할 거고, 아띠인력거를 항상 자랑스러워 할거야. 그래서 인력거를 모르는 사람이 있으면 더 알리고 싶고, 아띠가 영원했으면 좋겠다는 거야! 권의 인력거를 '안 탄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탄 사람은 없을 정도'로,재방문 VIP고객 비율이 높은 전설의 레전드같은 라이더 권의 이야기였습니다:)행운 뒤에는 그만큼의 보이지 않은 숨은 노력이 있었겠죠~?라이딩을 사랑하는 권의 앞날에도 행운이 가득하길 바랍니다!#아띠라이더스클럽 #팀원소개 #팀원인터뷰 #팀원자랑 #기업문화 #조직문화 #사내문화
조회수 1096

유튜브 라이브로 클라우드브릭 AMA (Ask Me Anything)/질의응답 진행

클라우드브릭에 대한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습니다. AMA 중 나온 질문들은 아래 텍스트로도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시총 얼마까지 생각하세요?가격에 대한 부분은 말씀드리기 조심스럽습니다. 투자 권유의 형태가 되면 안되기 때문에, 지금의 유통량과 판매가격을 기준으로 일단은 산정해주시고 다른 비슷한 유통량의 코인이나, 물론 보안쪽 코인이 아직 많이 없지만 비슷 류의 코인을 비교하시면서 고민해보셔야할 것 같습니다.클라우드브릭의 비전은 뭔가요? 딥러닝 VISION 말고 회사의 미래 비전이요우선 회사와 서비스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펜타시큐리티라는 국내 20년 정도 된 보안벤더에서 사내벤처로 시작을 했습니다. 저같은 경우도 펜타시큐리티에서 10년정도 근무하면서 주요 보안제품들의 기획을 담당했습니다. 펜타는 기존의 보안 장비 위주의 비즈니스를 하고 있었는데 클라우드 서비스를 새로 시작하기 위해서 신사업으로 사내벤처 팀을 만든게 클라우드브릭이고, 제가 그 신사업을 맡게 되었습니다. 2년정도 서비스를 하면서 글로벌적으로 나름 가시적인 성과를 얻어 53개국, 10,000명의 유저,  25곳의 데이터 센터, 그리고 60곳 정도의 리셀링 파트너를 만드는 성과를 이뤘고, 저희가 서비스 확장을 하려면 본격적으로 좀 더 공격적인 투자를 받아야 더 크게 서비스를 확장시킬 수 있다고 생각해 작년 말 펜타로부터 분사를 하여 스타트업으로 독립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클라우드브릭의 비전은 기존은 웹 해킹 보안을 해왔는데 지금은 리버스 ico를 하면서 암호화폐 해킹 보안까지 영역을 확장하고자 하는건데요, 저희의 최종 비전은 결국 개별적으로 각각 컴포넌트를 보호하는게 아니라 클라우드를 통해서 모든 연결을 저희가 보호해주는 일종의 유니버셜 시큐리티 플랫폼의 개념입니다. 개별적으로 모든 다른 보안 솔루션을 쓰는게 아니라 –  IoT 기기, 또는 기업의 서버들, 또는 개인의 모바일 디바이스, 블록체인, 저희가 클라우드를 통해서 저희 하나 (클라우드브릭 하나)를 통해서 보호하는것이 저희의 비전입니다.어드바이저는 모두 real people 인가요? Samsung CEO?네 모두 real people 입니다. 삼성 CEO는 아니시고, 삼성 중국 법인장 이셨던 김영하 교수님이 저희 어드바이저로 계십니다. 모두 실제 활동하시는 어드바이저분들이십니다로드맵이 조금 두리뭉실한테 좀더 디텔일하게 수정하실 계획 있으신가요?로드맵은 저희가 해나갈 부분들이 큼직큼직하게 잡혀 있습니다. 기존에 하던 웹 해킹 쪽을 발전시켜나가는 부분도 있고. 이걸 암호화폐 해킹 보안쪽으로 확장해서 지갑 보안이나 개인을 위한 보안도 확장도 예정되어 있고요. 사이버 위협 정보들을 블록체인을 통해 기업간이나 국가간의 제약이 없이 다 공유를 통해서 더 안전한 사이버 세상을 만들겠다는것도 있는데 이런식으로 지금은 큼직큼직하게 로드맵이 만들어져 있고 앞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나가면서 상세적으로 보강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다른 질문이 나오기 전에 좀금 더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을 드리자면 저희가 앞으로 해나가고자 하는건 크게 2가지 입니다. 첫번째는 암호화폐 해킹 보안입니다. 거래소나 기업들이 해킹을 당하는걸 기존에 하고 있던 웹 해킹 보안으로 해킹 당하는것을 막아주고 개인 같은 경우도 모바일이나 PC에 대한 보안을 저희가 제공 해서 개인들이 모바일 지갑을 사용할때 해킹당하는것을 보호해주려 합니다. 이런 암호화폐 해킹에 관련된 보안을 제공하고자 하는게 리버스 ICO의 한 부분이고, 이를 위해서 암호화폐 지갑 프로젝트들과 저희가 협업을  통해서 지갑 보안 제공을 진행해가고 있습니다. 거래소는 지금 웹 보안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거래소들이 저희 보안 서비스를 사용하는 케이스도 하나둘씩 늘어나고 있습니다.두번째는 사이버 위협 정보를 저희가 공유하고자 하는것입니다. 사이버 위협 정보를 이미 공유하는 곳들도 있긴 합니다. 이곳들은 대부분 퍼블릭하게 공개되어 있지 않고 기업 간에만 각자 위협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이버 위협 정보는 해커들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기 때문에 공유가 되면 보안 기업이 아니더라도 일반 기업들이 해커를 방어하는데 있어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이런 것들이 각자 기업들이 이 정보들을 돈 주고 팔고 있어서 확장이 잘 안되는 부분이 있고, 국가기관들도 사이버 위협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하고 있는데 이것도 국가간에 나눠져 있어서 국가간 서로 공유가 잘 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무엇보다 사이버 위협 정보들은 보안 솔루션을 쓰는 유저들로부터 수집이 되는데 보안 벤더들이 보안을 제공하면서 해킹을 차단하면서 해커들의 정보를 개인들로부터 수집하게 되는데 이 정보를 제공해주는 유저들의 혜택은 하나도 없는 상황입니다. 이 데이터를 통한 매출은 보안 기업들이 가져가는 상황이고요. 그래서 저희가 하고자 하는건 블록체인을 통해서 어떤 제 3자 보안 벤더나, 국가나, 개인이 위협정보를 서로 투명하게 공유할 수 있게 해서 더 안전하게 사이버 환경을 만들고자 하는게 저희 두번째 목표입니다.홍보는 어떻게 진행하려 하시나요?저희가 ICO를 진행하는것 자체가 홍보의 수단 중 하나입니다. 물론 ICO를 통해서 비즈니스를 해나갈 자금을 확보하는것도 있지만 기존의 B2B위주에서 개인 보안이나 B2C까지 확장 해나가려고 하기 때문에 ICO를 통해서 대중과 밀접하게 커뮤니케이션 하는 부분도 있고요 ico를 하면서 앞으로도 저희의 대한 홍보를 통해 많이 알리는데 집중을 할 생각입니다.토큰 보유시 혜택을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토큰 보유량이 얼마나 되야 클라우드브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나요?개인 보안 부분은 앞으로 개발 해 나가야할 부분이기 때문에, 저희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토큰 보유량에 대한 부분은 아직 완전히 설계가 되지 않았습니다. 적정한 수준으로 설계가 될 수 있도록 설계할 예정이고,  백서에 거버넌스 부분을 보시면 보상에 대한 부분도 처음엔 저희가 설계하지만 추후엔 저희 CLB 토큰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이 거버넌스를 설계하는데 참여할 수 있게 할 예정입니다. 저희 플랫폼에 대한 정책들도 일종의 개인들이 참여할 수 있게 분산화 시킬 예정입니다.상장 될 거래소 살짝 귀띔 해주실수 있으신지요?아마 공지에서 보셨을텐데 상장 거래소에 대해선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상장 거래소를 얘기하는것 자체가 위험할 수 있 있습니다. 상장이 확정이 된 곳은 몇곳이 있어요. 국내 거래소 몇곳이 있는데 어떤 거래소가 저희에게 좋은 거래소일지 내부적으로 계속 고민 하고 있고 우선은 연내에는 상장을 하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센XX이 경쟁사인가요?센XX이 어떻게 보면 같은 보안 프로젝트니까 경쟁사라고도 할 수 있지만 어떻게 보면 또 서로 협업해 나갈 수 있는 협력 프로젝트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희가 이미 Hacken이라는 다른 보안 프로젝트와 파트너십을 맺었는데 보안 분야가 상당히 다양하기 때문에 저희가 제공하는 분야와 다른 보안 분야의 프로젝트들과 협력을 할 수 있습니다. 또는 위협 데이터를 공유하는 측면에서 다른 보안 프로젝트와 공유를 할 수가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토큰 측면에선 토큰의 가격적인 부분 때문에 경쟁처럼 보여질 수도 있지만 실제 비즈니스에선 서로 협력을 할 수 있는 관계라고 생각합니다.거래소 서버터지는것도 막아주실수 있나요?거래소 서버 터지는건 공격이라기 보다 유저들의 동시접속이 많아져서 서버가 터지는 부분인데, 이건 공격에 대한 방어가 아니고 인프라에 관한 부분입니다. 인프라에 대한 부분은 거래소가 대비를 해야할 부분입니다. 다만 이런 동시접속이 아니라 해킹을 위한 목적으로 시도하는 의도적인 DDoS 공격 같은 공격은저희가 보호 가능합니다. 악의적인 트래픽은 저희가 차단을 하거나 다른 인프라로 돌려서 부하를 줄여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격이 아닌 일반적인 대량 접속에 대해 부하를 감당해주는건 저희 역할이 아니고 거래소 인프라의 역할입니다.개인유저랑 기업들이 받는서비스 수준은 다른가요?개인 유저랑 기업들이 받는 서비스 수준은 수준이라기 보다 서비스의 종류가 다를겁니다. 기업들 같은 경우는 모바일이나 PC에 대한 보안이 아니라 기업들이 서비스를 하는 서버에 대한 해킹 보안을 받아야되고, 이건 저희가 이미 사업을 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개인들의 경우, 개인이 사용하는 모바일 지갑이나 PC가 감염되어 해킹이 일어나는 것을 보호해주는 보안을 엔드포인트 보안이라고 하는데, 엔드포인트 보안을 제공할 예정입니다.빠른시일내에 밋업 하실의향있나요?1차 공식 밋업은 한번 진행 했었습니다. 빠른 시일 내에 하게 될진 모르겠지만 2차 밋업을 계획해보도록 하겠습니다.거래소 상장시 유통되는 물량은 전체물량중에 판매분량에 해당되는 44%를 넘지않는건가요?유통되는 물량의 경우 판매 물량 44%를 넘진 않을겁니다. 물론 전략적으로 거래소와 논의를 하기 위해 상장이나 파트너십에 사용하는 물량이 있을 수 있지만 세일에 대한 락업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건 상장 이후에 계산 해봐야겠지만 아마 판매 물량을 넘어가진 않을 것 같습니다.거래소에 대해서 많이 이야기가 올라와 한마디만 보충 설명을 드리자면, 물론 많은 분들이 처음부터 A급 거래소를 가기를 원하는데 현실적인 상황에서 이런 A급 거래소가 신생 ICO 코인들을 올리는 경우가 많지 않습니다. 저희도 1st Tier 거래소를 당연히 목표를 하지만 이것을 위해서 차차 단계별로 밟아갈 생각을 하고 있고 물론 단계별로 밟아갈 거래소 또한 최대한 괜찮은 거래소들로 해나가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인슈어리움과 공동개발하는 사이버보안 보험상품 개발은 향후 보험상품의 판매에 따른 수익도 공유하는 건가요?보안 보험 상품 수익에 대해서는 이건 매출 공개에 대한 부분인데 저희가 비즈니스가 잘 되어가면 굳이 보안 보험 상품 뿐 아니라 전체적으로 공개를 해나가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나아가 월렛 보안까지 하신다고 했는데 어떻게 진행되고 있고, 어떻게 진행될지 간단 설명좀 해주세요~월렛 보안에 보충 설명을 드리자면, 개인들이 해킹당하는 사례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보통 모바일이나 PC가 감염되어 전송하려고 특정 주소를 복사 붙여넣기 하는데 해커의 주소로 잘못 붙여넣기 되서 해킹당하는 사례가 있습니다. 또는 모바일이나 PC가 해킹당해서 로컬에 저장되어있는 개인 키가 탈취 당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희가 월렛 보안을 해주는 경우는 일단 모바일과 PC에 대한 보안이 있습니다. 악성코드나 말웨어에 감염 등으로부터 보호해주는게 첫번째 입니다. 사이버 위협 정보 플랫폼을 런칭하면 해커들의 주소라든지 해커들의 주소와 연결되어 있는 모든 주소들이 사이버 보안 플랫폼에 저장되어 공개될 예정입니다. 그때 월렛에서 사이버 위협 정보와 연동을 하면 유저들이 사용하는 지갑에서 암호화폐를 전송할때 저희 플랫폼에 저장되어 있는 해커의 주소로 전송 시도를 하면 알림을 띄워 보호해줄 수 있는, 전화로 치면 “후후” 처럼 광고전화를 유저가 제보하면 몇번 제보된 정보가 나오듯이, 저희가 수집한 정보를 통해서 유저들이 전송을 할때 해커의 주소나 해커에 연관된 주소로 등록이 되어 있으면 클라우드브릭이 알림을 띄워주는 형태로 막아주는 것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또하나는 피싱 url로 인한 피해도 많이 있는데요, 거래소나 MEW 주소를 살짝 바꿔서 유저가 접속할때 MEW인줄 알고 접속해서 로그인을 했는데 url이 조금 다른 피싱 url이어서 해킹을 당한 사례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피싱 url 정보도 저희 위협 정보 플랫폼을 통해 공개를 하고 모바일이나 PC로 접속을 할때 알림의 띄워서 유저들이 피해 받는 부분을 줄여주는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관공서에서 협업요청도 있었나요?공공기관은 아직 민간에 비해선 트렌드를 따라가는 속도가 늦습니다. 아직은 클라우드로 보안을 받는게 공공기관은 활성화 되지 않았고 조금씩 클라우드 & 공공기관 관련된 인증이 하나둘씩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저희는 이미 3년동안 클라우드 서비스를 해온 업체이기 때문에 오히려 공공기관에서 클라우드에 대한 기준이나 이런걸 많이 문의를 합니다. 앞으로 이런 인증을 해나가면서 공공기관에 들어가는 것도 가능해질 것 같습니다.투자자 나라 ratio는 어떤가요?최종 ICO가 끝나고 정산을 해봐야 알 수 있을것 같습니다. KYC로 들어오는거랑 실질적으로 투자를 하는게 달라서 매칭을 해봐야합니다. 홀더도 아마 ICO가 다 끝나고 최종 배분이 되어야 정산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실제로 기업이나 개인유저 해킹시도 사례가 얼마나 있나요?해킹 시도 사례가 얼마나 있는지는 사실 레포트를 확인해봐야 알 수 있겠지만 실제 금액만 해도 어마어마합니다. 지금 블록체인 시장 자체가 마켓 규모가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데 마켓 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는 부분이 해킹 사례일 정도로, 특히나 거래소 해킹이나 시장 자체를 얼어붙게 하는 부분이 있고 개인에 비해 규모가 크다 보니, 해킹에 대한 부분이 안전하게 보호가돼야 블록체인 시장이 건강하게 성장해나갈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월렛과 업무협약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겠네요?당연히 월렛과 업무 협약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거라고 생각을 하고 이미 지금 여러 월렛들과 파트너십을 맺어나가고 있습니다.OTP처럼 어플형태로 보급되나 궁금했어요개인보안은 어플형태로 제공합니다. 모바일 앱으로 클라우드브릭 보안 서비스를 다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앱을 런칭할 거고 그 앱에 저희 자체 지갑도 들어갑니다. 자체 지갑엔 저희가 제공하는 개인 보안이 포함돼서 제공될 예정입니다. 처음부터 개인 보안이 다 제공되진 않지만 저희가 개발해나가는 단계별로 적용이 됩니다.ICO 들어가야하는 이유를 말씀해주신다면?투자 권유가 될 수 있어서 가격에 대해선 말씀 드리기 어렵고 저희가 앞으로 해나가고자 하는 비즈니스에 대해 간략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저희는 보안이라는 실물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에 관련해서 뭔가를 하겠다는게 아니라, 보안을 블록체인으로 해주겠다가 입니다. 앞으로도 블록체인 뿐만 아니라 다른 IoT라든지 모든 보안이 필요한 영역들은 클라우드를 통해서 저희의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려 하고, 이 보안 서비스에서 저희 토큰 생태계를 합치는 형태로 보안 비즈니스를 해나갈 겁니다. 따라서 저희 비즈니스가 커질수록 토큰의 생태계에서 토큰 활용도도 올라갈 거라고 생각하고요. 지금은 과도기적인 단계이기 때문에 결제가 토큰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까 많은 의구심이 있는건 사실이지만 저희가 토큰 결제에 대한 혜택이나 편의성을 잘 만들어나가면 저희 비즈니스가 확장될수록 토큰의 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생각합니다. 저희 비즈니스에 어느정도 공감하시고 앞으로도 필요하고 확장될 수 있다고 공감을 해주신다면 저희 토큰 세일에 대해서 들어와주실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중앙아시아와 동유럽 진출을 하게된걸로 아는데요. 들어가게 되는 금융기관등이 얼마나 될까요?들어가게 되는 금융기관이라 하시면 저희가 보고하는 금융기관을 말씀하시는 걸까요? 일단은 저희가 지금 동유럽과 중앙아시아 기업인 MUK Group과 파트너십을 맺었는데 저희의 기존 리셀링 파트너십이 60곳 정도 됩니다. 미국, 유럽, 남아공 등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국가들과 파트너십을 하고 있고 파트너의 고객 중 금융기관도 있고 당연히 서버 보안이 필요한 금융쪽엔 저희 서비스가 들어갈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메인넷 계획도있으신가요?저희는 현재 이더리움 토큰 기반의 dapp으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여러 플랫폼 블록체인들이 나오고 있지만 아직은 저희가 봤을땐 검증되었다거나 신뢰할 수 있을만한 플랫폼은 보기 힘들다고 생각해서, 가장 먼저 시작을 했고 가장 많이 검증이 된 이더리움의 dapp으로 시작을 했습니다. 플랫폼은 앞으로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저희는 비즈니스에 집중을 하고자 dapp 형태로 유지하는것으로 생각하고 있고 직접 플랫폼 개발은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플랫폼은 앞으로도 더 많은 기업들이 계속 개발 (이미 카카오나 라인같은 대기업들이 뛰어들고 있는데)을 할 것이고 나중에 플랫폼은 대중화 될거라고 예상합니다. 정말 중요한건 그 플랫폼에서 돌아가는 dapp들이 중요할거라고 생각합니다. 저희는 그때를 위해서 저희 비즈니스를 토큰 형태로 잘 돌아갈 수 있게 개발해 나가는데에 집중하려고 합니다.클라우드브릭의 기술은 모회사의 기술을 바탕으로 암호화폐에 맞게 개선한건가요?클라우드브릭의 기술은 당연히 펜타의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저도 펜타에서 10년간 보안 제품을 기획 개발 해왔고 저희의 개발 팀도 펜타에서 보안 제품을 개발하던 인력들이고 저희의 글로벌 비즈니스 인력들 또한 펜타에서 보안 비즈니스를 하던 인력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당연히 펜타에서 기존에 웹 보안을 해오던 기술을 이어받아 진행하고 있고 최근에 특허 낸 딥러닝 같은 경우는 저희가 이어받은 기술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기 위한 저희 연구 개발을 통해서 진행이 되고 있는 보안 기술입니다.단발성 성과만 기대하는 투자자들이 토큰을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장치나 마켓팅이 있을까요?이부분은 저희가 앞으로 계속 좋은 모습을 보여드리는것밖에 없지 않을까요. 물론 지금 구매를 하신 분들 중에서도 거래소 상장을 하면 바로 팔 생각이신 분들도 많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저희는 그런 부분들이 저희가 상장 이후에도 계속 좋은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면 그런 분들의 생각도 바뀌게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해외에서의 클라우드브릭 보안 기술력은 어느정도되나요?저희가 받은 수상 중에 SC Magazine이라는 글로벌 보안 매거진 수상이 있습니다. Best SME Security Solution이라고 해서 최고의 중소기업을 위한 보안 솔루션이라는 수상을 받았는데 SC Magazine이 해외에서 가장 잘 알아주는 권위있는 매거진이고 해외에서 상당히 인정을 받는 수상중에 하나입니다. 저희가 SC Magazine 어워드에 2016년에 지원해서 finalist에 올랐을때 같이오른 기업들이 소포스 라든지 해외에서 유명한 큰 기업들이 같이 저희와 경쟁을 했었습니다. 보안 기술면에선 이미 펜타가 웹해킹 보안을 10년 해오고 있고요 그 기술력을 이어받아 하고 있기 때문에 저희의 보안 역량은 글로벌 경쟁 벤더와 비교했을때 뒤쳐지지 않는다고 자신을 합니다.외국 경쟁사혹시 아시는 분들도 있을 수 있지만 Cloudflare 라는 곳이 있는데요 스타트업 사이트들이나 또는 거래소 사이트들이 많이 사용합니다. 글로벌 경쟁으로는 가장 성공한 회사중에 하나인데 사실 Cloudflare는 보안 전문 기업이 아닙니다. 여기는 CDN이라고 해서 캐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고객 서비스를 하는 기업의 서버가 해외에 있어도  다른 해외에 있는 유저가 접속을 해도 빠르게 보여줄 수 있도록 웹사이트 정보들을 로컬 서버로 복사해 보여줘서 웹사이트에 빠르게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Cloudflare는 CDN이 메인인 회사입니다. 하지만 서비스를 하다 보니 보안에 대한 수요가 있으니까 보안을 같이 하게 된 회사입니다. 보안적으로는 매우 역량이 떨어지는 회사로 구글에서 Cloudflare security 라고 검색을 해보셔도 웹해킹에 대해서는 많이 역량이 떨어진다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두 회사를 비교를 할때 저희도 CDN을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Cloudflare의 보안강화 버전이라고 얘기를 합니다. 물론 시작은 늦어져서 아직 Cloudflare 만큼의 시장 지분을 차지하지는 않지만 대형 거래소나 이런 곳들이 저희 서비스를 사용하는 협업을 해나가면 이를 통해서 시장에서 더 많은 점유율을 차지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입니다.홍보글의 사용자수와 기업들은 클라우드브릭의 사용자수인지 펜타시큐리티의 사용자수인지 궁금합니다홍보글의 고객은 다 클라우드브릭의 고객입니다. 실제 클라우드브릭을 사용하고 있는 유저와 실제 클라우드브릭을 리셀링하고 있는 파트너입니다. 펜타시큐리티에서 클라우드브릭을 서비스를 할때부터의 고객과 파트너들이고, 그 모든 서비스와 비즈니스는 지금 저희 클라우드브릭 멤버들의 펜타시큐리티 사내벤처 팀에 있을때부터 해왔던 결과물들입니다.ICO전과 후가 다른 업체들이 많은데 꾸준히 소통부탁드립니다ICO 이후에도 저희는 대중과의 커뮤니티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고 앞으로도 열심히 소통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비전이 어떻게 보안성을 높이는거죠?딥러닝의 경우 데이터가 중요합니다. AI를 한다고 하는 프로젝트는 많이 있습니다. 블록체인 프로젝트 뿐만 아니라 다른 스타트업들에서도 AI를 하는 프로젝트들이 매우 많은데 AI의 핵심은 데이터입니다. 많은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올바르게 학습 시켜야 AI 엔진이 똑똑해지는것이고 저희는 이미 3년간 서비스를 해왔고 그 서비스에서 한달에 약 8백만건 이상의 데이터가 수집됩니다. 사이버 위협 정보라고 할 수 있죠. 해킹을 방어하면서 수집되는 사이버 위협 정보입니다. 저희가 이 데이터를 일일히 보안 전문가들이 학습을 해서 일종의 레이블링이라고 합는데 분리를 해서 딥러닝 엔진에 학습을 시킵니다. 약 일년간 학습을 해오면서 딥러닝이 더 똑똑해지도록 여러 방법으로 테스트를 해왔고 최근 올해  7월 저희는 그 방법에 대해 특허를 출시했고 이에 대한 베타가 곧 출시 예정입니다. 딥러닝의 경우 데이터가 매우 중요하고 앞으로도 블록체인을 이용한 사이버 위협 정보 플랫폼을 오픈하게 되면 더 많은 데이터들을 수집할 수 있게 되니 딥러닝 엔지은 더욱 똑똑해 질거라고 생각합니다.클라우드브릭이 그렇게 좋은데 왜 아직 대기업은 쓰지 않나요?보안 장비와 클라우드의 차이가 있습니다. 지금 클라우드 시장은 아직까지 모든 기업들이 클라우드 환경으로 넘어가지 않았습니다. 아직까진 아마존이 클라우드 분야에 있어선 선두주자 입니다. 최근엔 게임이나 스타트업 위주로 아마존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사용하다 최근엔 대기업들도 조금씩 클라우드 인프라를 사용하는 쪽으로 넘어가고 있습니다. 보안같은 경우 이 인프라를 따라게게 되어있는데 인프라가 먼저 가야 보안도 따라가게 됩니다. 클라우드 보안같은 경우도 스타트업 같은 작은 사이트, 개인 사업자, 중소기업 까지 지금 넘어가고 있는 추세이고 대기업도 앞으로 클라우드 인프라로 넘어가게 될수록 저희 서비스를 사용하는 대기업들도 앞으로 많아질거라고 생각합니다.코인을 보안에 이용하면 뭐가 좋은가요?일단은 동기부여 측면이 강한데요. 앞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사이버 보안 위협 정보들을 보안 벤더를이 수집하지만 이에 대해 유저들에게 제대로 된 보상을 해주지 않아, 저희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플랫폼에서 저희에게 정보를 제공한 유저들에게 CLB 토큰을 보상드리고자 하는 것입니다. 사실 보안을 개인이 돈 주고 잘 사용하지 않잖아요. 어떻게 보면 저희 보안 서비스를 사용하게 되면 저희는 그 유저들을 통해 저희 서비스를 더 안전하게 만들수 있는 위협 정보들을 수집하게 되는데, 그에 대한 보상을 유저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유저들이 조금 더 저희 보안 서비스를 많이 사용하게 하고, 개인들이 보안 서비스를 많이 사용하게 되면 보안 시장의 규모는 더 커지게 됩니다. 결국은 저희 보안 시장의 파이를 더 키우기 위한 용도로 유저들에 대한 보상 그리고 위협 정보 수집에 대한 보상으로 토큰 보상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인슈어리움 보안보험 상품 출시 및 적용을 위해 밀접하게 실무미팅이 진행중이라 하셨는데~ 공개하실 수 있는 정보들 공유안될까요?인슈어리움 보안 보험 상품에 대해선 사전에 말씀드리긴 어려울 것 같고 실제 출시가 되면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보험 자체는 기업들 대상으로 먼저 시작하게 될거고 보안이 잘 적용되어야 보험 상품을 사용할 수 있겠죠? 보안을 제대로 안하는 기업에게 보험 상품을 제공하기엔 보험 회사 입장에선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보안 보험 상품은 어느정도 보안을 갖춘 기업들 대상으로 제공할거고 클라우드브릭은 보안을 제공하는 벤더이기 때문에 이런 부분과 맞물려 같이 비즈니스를 진행할 것 같습니다.어느 거래소에서 클라우드브릭 서비스를 사용하게 될지 알순 없겟죠?현재 저희의 보안 파트너십으로 홈페이지에 공개한 벤더들이 있는데 그곳들은 저희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다고 100% 사용하는건 아니지만 저희 서비스를 사용하는 기업들은 올라와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클라우드브릭과 유사한 목표로 나온 코인들이 어느것들이 있나요? 보안관련 코인은 처음접해봐서 생소하네요보안 관련 코인들이 여럿 있지만 대부분 똑같습니다. 저희처럼 해킹 차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 프로젝트들은 전문 보안을 개발했거나 비즈니스를 하던 기존 기업들이 아니기 때문에 다들 컨셉 차원에서 보안을 제공하겠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고 대부분 사이버 위협 정보를 수집해서 그 위협 정보로 막아주겠다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보안이라는게 단순히 정보/데이터만 있다고 보안을 할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면 사이버 위협 정보 플랫폼은 현실 세계에서 비교하자면 범죄자 전단지와 비슷합니다. 경찰이 도둑이 침입하는걸 막기도 하지만, 도둑에 대한 정보를 전단지로 배포하면 일반인 또한 제보를 통해 도둑을 잡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사이버 보안도 동일합니다. 해킹을 막아주는 차단 서비스나 솔루션이 있어야합니다. 그리고 이것에 대한 보조 수단으로 수집된 해커 정보를 사이버 위협 정보 공유 플랫폼을 통해 공유를 하면 일반 기업이나 공공기관 같은 곳들도 해커의 IP같은 정보를 사용해 보조적으로 안전하게 막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대부분의 프로젝트들은 실제로 공격을 차단해주는 서비스가 없습니다. 없는 상태에서 사이버 위협 정보를 수집해서 그 정보를 기반으로 막아준다는 수준에 그칩니다. 저희가 보았을땐 제대로 된 보안이라고 보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제대로 된 보안 업체라면 당연히 정보를 공유하는것에 그치지 않고 그 정보랑 무관하게 해킹을 막아줄 수 있는 보안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개인들은 별도의 비용 지불없이 클라우드브릭의 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건가요?개인은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CLB 토큰을 일정량 이상 보유하면 계속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보유량에 대해선 아직 확정된건 없습니다. 무료 사용 기간을 통해 앞으로도 계속 사용하게 할 수 있고 아니면 일정 부분은 무료 평가 시기에 보상 받는 토큰을 통해 일정 부분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 부분은 더 검토를 통해 확정짓고 난 후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현재 클라우드브릭에서 개인들이 쓸수있는 서비스가 있나요?현재는 개인이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없습니다. 현재 제공하는 서비스는 웹 서버에 대한 해킹 방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개인이 블로그나 웹사이트 서비스를 하고 있다면cloudbric.com에서 등록해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범용적인 개인들이 현재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없습니다.비전(VISION) 특허 냈다는게 무슨 뜻인가요? 클라우드브릭이 개발한 보안 기술인가요?VISION은 저희가 현재 개발하고 있는 딥러닝 엔진의 이름입니다. 현재의 클라우드브릭 엔진을 더 똑똑하게 하고자 인공지능 엔진을 개발하고 있는거고 이 부분에 대한 특허를 냈습니다. 이 특허에 대한 기술은 당연히 클라우드브릭이 연구개발하고 있는 기술입니다.펜타시큐리티 시스템과는 어떤 관계죠?펜타는 저희가 시작한 뿌리 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내벤처로 시작을 했고 클라우드브릭 멤버들도 다 펜타의 보안 개발과 비즈니스를 해온 핵심 멤버들로 구성되어 있고, 지금은 별로 스타트업으로 완전히 분사를 해서 모회사/자회사처럼 지분 관계로 엮여 있진 않고 파트너십 관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클라우드브릭은 유틸리티 토큰인데 가격변동이 심하면 fee로 사용되기 힘들어질거 같은데 혹시 스테이블 코인 혹은 페깅 코인 개발 계획은 없나요?토큰으로 결제를 할 수 있더라고 하더라도 일단 시작은 토큰을 기준으로 결제 금액을 맞추지 않고 현재 USD달러나 원화 기준으로 서비스 비용을 맞출 생각입니다. 이런 토큰의 변동성 부분을 잡아주기 위한 스테이블 코인이나 패깅을 하는 별도의 코인을 하나 더 두는건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게 대부분의 유틸리티 코인이 많이 쓰고 있는 방법인데, 저희도 이 방법을 따라갈지 아니면 저희에게 맞는 토큰 이코노미를 설계할지 고민하고 있습니다.클라우브릭 멤버들은 모두 영어를 사용하나요?그렇진 않고 저희가 한국 기반의 기업인데 글로벌 서비스를 하다 보니 하이브리드 같은 개념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영어가 유창하고 한글이 유창하지 않은 직원들도 있고 저처럼 토종 한국인이라 한국어는 유창한데 영어는 원어민처럼 유창하지 못한 직원들도 있고, 한국어만 하는 직원도 있고, 영어만 하는 직원도 있고 섞여 있습니다. 그래서 회사가 재밌는게 어떤 사람은 영어로 계속 이야기하는데 그 말을 듣고 다른 사람은 한국말로 대답하면서 한국어와 영어로 계속 대화가 이어가는 이런 뒤섞인 문화를 갖고 있습니다.이메일을 통한 해킹 웜웨어가 작동될때 클라우드브릭으로 방어가 될까요?이메일을 통한 해킹은 저희가 개인 보안을 개발하면 막을 수 있습니다 PC과 모바일 보안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메일을 통한 웜웨어에 대한 보안도 물론 포함합니다.코인시세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를 하실계획이신가요?코인 시세 관여를 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저희가 관여를 한다고 말씀드리는건 말도 안되는 이야기이고요. 다만 저희는 어떻게든 저희 코인의 가치가 떨어지지 않기 위해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최선을 다 할 예정입니다. 그래서 상장가를 물어보시는 분들도 많은데 상장가라는게 저희가 정할 수 있는게 아닙니다. 시장에서 판매를 하는 사람과 구매를 하는 사람 사이에서 첫 거래가 이루어질 때가 상장가이기 때문에 그부분에 대해서 저희가 얼마라고 답변을 드릴 수 없으니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새로운 유저분들이 오셨을때 이와 관련된 반복적인 질문들이 많이 들어오는데 오래 계셨던 커뮤니티 여러분들이 같이 답변을 도와주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실제 토큰 유저로서 보안서비스와 보상을 경험하는데 얼마나 걸릴까요?2019년 상반기까지는 보상 시스템을 접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인데 보상 시스템의 경우 단계별로 나갈 예정입니다. 저희의 현재 웹 해킹 방지 서비스에 먼저 보상 시스템을 적용할 예정이고 개인 보안 부분이 확장되면 보상 시스템도 같이 제공될 예정입니다. 2019년 내로는 개인 보안까지 경험하실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국내 거래소 보안부분으로 한곳만 추천해주세요저희가 다른 거래소의 보안 평가에 대해 공개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은 적절치 못한 것 같습니다. 또한 보안 부분에 대해 제대로 평가를 하려면 외부에서 바라보는것만이 아닌 내부 시스템에 대해서도 확인이 필요합니다최근 거래소 해킹이 직원들의 메일 열람으로 시작된다고 뉴스가 나오곤 합니다. 직원들의 메일은 법인 계정(이메일)이라서 해킹방어가 된다는 말씀이시죠메일 계정과는 상관 없고 그 메일을 볼때 사용하는 PC나 모바일이 감염이 되게 됩니다. 첨부파일 등을 다운받을때 어떤 메일 계정이든 파일 다운로드 혹은 실행을 통해 모바일이나 PC가 감염됩니다. 개인 보안이 런칭되면 클라우드브릭 앱이나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개인의 PC나 모바일이 이메일 첨부파일을 잘못 다운받아 해킹되는걸 막아줄 수 있고 거래소 내부 직원들의 경우도 당연히 이런 부분으로부터 안전하려면 저희 프로그램이나 앱을 사용하면 됩니다.IoT 분야에도 클라우드브릭 보안 시스템이 들어가게 되나요? 5G 이후 그 시장이 굉장히 커질텐데요IoT 보안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커넥티트 카라든지, 스마트 홈에 있는 개별 CCTV 보안, 스마트 팩토리 등에 대한 보안도 중요한데요, 이걸 전통적인 방식으로 보안을 하려고 하면 개별 기기에 보안 제품들을 일일히 넣어야하는데 매운 힘든 영역입니다. 저희는 이걸 클라우드를 통해서 보안을 제공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로드맵을 보시면 IoT 에 대한 부분이 뒤에 들어있습니다.거래소 해킹 공격에 대한 내용이 투자자들에게 공개되나요? 아니면 거래소에게만 공개되나요?이런 공격 방어를 통해 수집되는 위협 정보를 사이버 보안 플랫폼으로 블록체인을 통해 투명하게 공개한다고 말씀을 드렸는데, 당연히 유저들도 이 공격 정보가 특정 거래소에 대한 공격이라는건 알 수 없겠지만 공격 자체에 대한 정보는 사이버 위협 정보 플랫폼을 통해 확인 가능해질 예정입니다.클라우드브릭에 대한 궁금증들이 많이 풀렸는지 모르겠네요. 유튜브나 네이버에 클라우드브릭을 쳐보시면 리뷰나 동영상도 꽤 있습니다. 물론 커뮤니티에서도 질문 주시면 적극적으로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클라우드브릭의 ICO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공식 웹 사이트,  LinkedIn, Twitter및Facebook를 참고하세요.문의사항이 있으시거나 클라우드브릭 팀과 실시간으로 대화하고 싶으시면 텔레그램을 방문해주시기 바랍니다.공지 전용: t.me/cloudbric_announcement      한글 커뮤니티: https://t.me/cloudbric_KR뉴스레터 구독: https://www.cloudbric.io#클라우드브릭 #기술기업 #이벤트개최 #이벤트후기 #블록체인 #기업문화
조회수 974

디자이너가 혹시라도 멋져보인다거나 그러면.

포토샵을 열어요. 대지를 만들어요. 레이어를 만들어요. 고민을 해요. 핀터레스트를 본다. 빠져둔당. 2시간 순삭. 사진을 찾자. 2시간 순삭. 와씨...점심먹을 시간됨. 점심먹고 앉아서 다시 레이어를 만든다. 사진을 찾았다. 다른이름으로 저장... 문서에서 열어서 컨트롤 에이, 씨, ㅂ (욕 아님. v발음이예요.) 옮겨서 컨트롤 티 크기조정하고 마스크씌우고 쓱싹쓱싹 닦아내고 지우고 컨트롤 엘. 레벨조정 스윽... 밝아지고, 커브로 배불뚝이 S라인 만들어주고, 다시 레이어 만들고 눌러서 드롭섀도 주고 레이어 만들고, 텍스트 복붙하고 레이어만들고...아 맞다. 저장.레이어만들고, 흰색칠하고 다시 레이어만들고 마스크 씌우고 잘라내고, 그림 불러오고 고급개체 만들고 자유변형해서 기울이고 그림자 주고 레이어만들어서 광원효과 주고. 레이어만들고 텍스트 또 복붙해요. 아까 그 레이어랑 그룹핑 시켜줘요. 레이어 만들고 유튜브를 하나 볼까?..(중요)2시간 순삭.아씨...다시 레이어 만들고, 일러를 켜고. 일러에서 패스따서 아이콘 만들어요. 내보내기해서 고급개체로 불러왔는데 아놔 뭔가 작아지니까 안이뻐. 다시 만들고 또 만들고, 패스따고 도형만들고 합치고, 나누고 나부랭이 지우고 레이어 만들어서 아래꺼 고정시키고 레이어만들고 선만 따로 그룹핑, 레이어만들고 나머지 그려주고. 견본색 스포이드로 찍어서 따로 저장해놓고 선 끝처리 해주고 내보내기.포토샵으로 돌아오기 전 배고프니까 간식 와구와구..... 하나만 먹어야지. 한 봉지만... 컵라면도.. 피씨방인줄.포토샵으로 돌아와서 레이어만들고..아 왜 만들었지? 다시 지우고 아 맞다...그거 할려고 했지. 다시 만들고 그라데이션 만들고 레이어 만들고 글자쓰고 글자 테두리 따서 클리핑해주고 위로 옮겨요.그리고 레이어만들고..( 무표정.... )레이어 만들고 칠해주고 또 레이어 만들어서 위에 클리핑해주고, 레이어 만들어서 브러쉬로 뭐 그린다음 패턴지정하고 저장해서 다시 패턴채우기. 레이어만들고 브러쉬2000pt 잡고 흰색으로 삥! 만들어서 광원효과만들고 투명도 주고 다시 레이어 만들어서 빤짝이를 만듭니다. 레이어를 만들고 글씨를 쓰고 하늘색 정렬선 쭉쭉 끌어오고 레이어만들고 정렬맞춰요. 아오..텍스트가 애매하게 줄바꿈 되었어요. 한 단어만 툭 튀어나옴. 한툭튀. 뭔가 지울 게 없나 살펴봅니다. 클라이언트에게 전화를 해요. 이거 텍스트 좀 수정해도 돼요? 안돼요. 네. 자간을 좀 줄이자... 겨우 맞춤. 정렬선만들고 제목선 맞추고 정렬선만들고 두개 만들고 세개 만들고 문단맞추고 정렬선만들고 정렬선 또 만들어서 하단 맞추고 정렬선 만들고 오케이 계획대로 되고 있어.저장해주기.언스플래쉬가서 사진 찾기. 맘에 드는 거 없어. 턱수염아저씨들밖에 없음. 얼굴없는 걸로 셀렉. 불러와서 컨트롤 ㅆㅂ. (C+V) 레이어만들고 다시 편집, 레이어만들고 사진 위에 필터효과 주기, 레이어만들고 광원효과.레이어만들었는데 허리아퍼...일어나서 끄으으아아아어으아으아ㅡ아으아으앙 뚜둑.다시 앉아서 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잠깐 멍......턱을 괴고 쳐다봅니다.맘에 안들어...다시 레이어 그룹핑해서 잠시 눈 꺼놓고 다시 만듦. 색조정하고 레이어 만들고 아놔..... 메뉴꺼짐. 다시 불러와서 또 레이어만들고 클릭 딸깍..클릭 딸깍..레이어만들고 마스크만들어줘요. 폭염에 마스크쓰고 그룹핑에 쳐박힌 레이어기분을 니들이 알아?(feat. 마미손) 레이어만들고 반전주고 투명도23% 멀티플잡아주고 레이어만들고 가자 렛츠고.번아웃...하기싫어졌습니다. 손목이 아파서 잠시 허리를 풀어봅니다.(사실 손목을 어떻게 푸는 지 모르겠어..) 바람을 쐬고 와야지.. 바람을 쐬고옵니다. 다시 컴퓨터로 돌아오니 미치겠음. 갑자기 일정을 다시 보면 뭔가 달라지진 않았을까 싶어서 일정을 다시 확인함. 데드라인은 변함없어요. 오늘의 나는 노쇠했으니 내일의 나에게 기대를 걸어보는 것은 어떨까? 그런데 어제도 그랬어.이젠 아무 생각이 없어지고 레이어 만들어요. 노운프로젝트에서 아이콘 다운받아서 (이젠 일러로 만들기도 싫음) 포토샵으로 데려와서 아이콘 박아주고 선택툴 만들고 색바꿔주고 레이어 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잠깐! 아..이거 로고상태가....?  로고 파일을 JPG로 주셨네.자동지우개.. 허용치10...정도 주고 흰색을 날려보자..오호 로고에 흰색이 섞여있어서 같이 날아가네? (이 때 해야할 방법을 알지만 그것 말고 다른 방법은 없을 지 잠시 생각.. = 없음)패쓰로 누끼따기.... 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딸깍쉬프트 다 됬다.. 이제 다시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레이어만들고.. 레이어에 색칠해서 그룹핑 정리해주고 이름..........은 귀찮아서 안바꾸기로. 어차피 수정오면 다시 내가 만들건데 뭐...일단 다른 이름으로 저장. 알컨쉬+에쓰. 이미지로 뾱.. 피앤지로 저장. 메일을 쓰자...'담...당..자 님.... 요청..하신 시안...드립...니다... 확인..하시..고.. 피..드백..부..탁(시러) 드..립..니....다.'보내기 꾹. ㅓㅜㅑ 어깨야...Q. 총 몇 개의 레이어가 만들어져 있을까요?
조회수 1237

타인의 시선에 신경쓰지마요.

타인의 시선이란 그런 것입니다. 당신에게 설명을 들은 것도 아니고, 당신을 이해하고 있는 것도 아닙니다. 당연하게 오해할 수 있고, 잘못된 방식으로 당신이나 당신이 하는일을 오해할 수 있습니다.오해를 하게되면, 대부분 반감이 생기게 되고, 당신의 페북이나 트윗에 반감어린 댓글이나 맨션을 달게 됩니다.그렇게 생긴 반감이나 오해를 풀기 위해서 해명을 하거나, 이해시키려고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어떤 오해이건 대부분의 것들은 시간이 지나면 해소되거나 오해가 풀어집니다. 안풀린다고 안타까워하거나 가슴아퍼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평판이 조금 깍이면 어떠합니까? 엄청 유명한 정치인도 아니고, 연예인도 아닌데 말이죠?연예인들은 평판을 먹고 살고, 평판이라는 이미지를 재판매하는 이미지 생산자라서 그렇게 신경쓰는 것 뿐입니다. 정치인들도 마찬가지이구요.타인의 시선은 그런 것입니다. 그리고, 오해를 가지고 있다면 그냥 가지도론 내벼려 두세요.정말 당신과 대화를 나누고 싶거나, 오해를 풀고 싶다면, 다시 이야기할 것입니다.그때까지 기다려도 무방합니다.너무, 타인의 시선을 쓰면서 살 필요가 없습니다.내일과 내 주변의 사람들,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과 대화하고 만나고, 같이 어울리기에도인생의 시간은 부족합니다.즐겁게 살도록 노력해야지, 오해거나 쓸데 없는 평판에 매몰될 필요없습니다.타인의 시선에 신경쓰지 말고, 편하게 사세요.그렇게 생각하건 말건...
조회수 1768

잔디 팀에서 가장 자유로운 영혼을 가진 그녀! 고객 경험(CX)팀의 Soo를 만나다

맛있는 인터뷰: 고객 경험(Customer Experience) 매니저 Soo ▲ 점심엔 역시 맥주 한 잔이죠? 알코올과 함께 하는 맛있는 인터뷰 먼저 인터뷰를 제안해 온 사람은 처음이다. 본인 소개를 부탁한다Soo(이하 ‘S’): 반갑다! 잔디 팀에서 고객 경험: CX(Customer Experience)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Soo라고 한다. 고객 응대뿐 만 아니라 서비스 번역이나 비즈니스 팀에서 사용되는 제품 메뉴얼 작성, 영상 작업 등 고객 경험에 연관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하는 일이 꽤 많은 것 같은데?S: 잔디 팀원이라면 당연히 이 정도는! 타이 음식은 오랜만이다. 이 곳을 오게 된 이유가 있다면?S: 우리가 온 곳은 망고플레이트에서도 평이 좋은 태국 음식점 ‘알로이 타이(Aloy Thai)‘다. 개인적으로 동남아 음식을 너무 좋아한다. 미국에 있을 때 먹었던 쌀국수 맛이 늘 그리웠는데.. 수소문 끝에 알아낸 인생 맛집이다. 선릉역 2번 출구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있다. 정확한 주소는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8… 잠깐! 광고비를 받은 건가? 맛있는 인터뷰는 원칙적으로 협찬을 금지하고 있다S: 무슨 소리. 인생 맛집이라 이렇게라도 알리고 싶었다. 아님 말고..S: ..^^ 음식과 함께 술을 주문한 인터뷰이는 Soo가 처음이다S: 평소 술을 즐기는 편이다. 하지만 오해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술을 좋아하는 거지 잘 마시는 건 아니다. 가끔 집에서 혼술하는 것도 좋아한다. 술 말고 좋아하는 건?S: 게임을 좋아한다. 미국에 있을 때는 집에서 혼자 농구게임을 엄청 많이 했고, 친구들과 철권을 즐겼다. 한국에서는 롤을 무척이나 많이 했다. 아침부터 새벽까지 랭겜을 돌리곤 했다. 티어가…?S: 그것은 비밀이다. (웃음) 술, 게임, 쌀국수까지. Soo의 미국 생활이 진심 궁금하다S: 남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중학교를 제외한 학창 시절을 모두 미국에서 보냈다. 한국에서 이렇게 오래 지내보는 건 처음이다. 잔디 팀에 조인하면서 한국 생활을 시작한 격인데 처음엔 무척 낯설었다. 2년 지난 지금은 꽤 괜찮아졌다. ▲ 미국에 있을 당시의 Soo 모습. 왼쪽에서 화사하게 웃고 있는 사람이 Soo다.어떻게 잔디 팀을 알고 지원했는지 궁금하다S: 대기업에서 인턴을 해보니 수직적인 기업 문화가 맞지 않았다. 때마침 지인에게 잔디 팀을 추천 받게 되어 입사하게 되었다. 스타트업은 뭔가 열정이 넘치다 못해 폭발하는 사람만 가는 곳이라 생각했는데, 지금은 그 ‘스타트업’ 중 한 곳에서 일하고 있다. 묘한 감정이 든다. (웃음) 잔디 팀의 업무 문화는 마음에 드는가?S: 잔디 팀에서 일하면서 가장 좋은 점은 내 직무에서 풀어야 할 숙제를 스스로 한다는 점이다. 개인적으로 가장 재미있고 신나는 경험이다. 너무 교과서적인 대답이다. 신박한 답변을 원한다S: 역으로 질문하고 싶다. 잔디 팀의 업무 문화가 마음에 드는가? 소중한 말씀 감사합니다..S: ^^ 주말에는 무엇을 하고 지내는가?S: 보통 술을 마신다. (웃음) 아니면 집에서 영화를 본다. 뭔가 #술 #알코올 #혼술 #집스타그램 해시태그를 붙여야 할 것 같은 인터뷰다. 다른 이야기를 해보자!S: 언제든지! 잔디 표지모델은 어떻게 하게 되었는지?S: Product 팀의 DL이 부탁해서 촬영하게 되었다. 사진을 본 내 친구들이 이게 뭐냐며 비웃었던 게 가장 기억에 남는다. DL이 보정을 해준다고 했는데 실제로는 목주름만 보정해줬다. 뭔가 슬펐다. ▲ 잔디 홍보 자료에 자주 등장한 Soo 일하는 자리를 보면 아기자기한 물건들이 많다. 애착이 가는 물건이 있다면?S: 내가 기르고 있는 식물이다. 귀엽기도 하고, 물만 줘도 조용히 잘 자라는 녀석들이 기특하다. 펫을 기른다는 기분으로 정성스레 기르고 있다. 이름도 지어주었다. 이름이?S: 밝힐 수 없다. 맛있는 인터뷰를 통해 공개하기엔 부적절한 이름이다. (웃음) 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했다고 들었다. 전공과 무관한 고객 경험 업무를 하게 된 계기가?S: 고객 응대만을 하는 CS(Customer Service)가 아니라 총체적인 ‘고객 경험’에 참여하는 CX 라는 점이 끌렸다. 제품과 고객을 잇는 브릿지 역할을 한다는 점이 매력적이었고, 잔디를 이용할 때 퍼널(Funnel) 최전방에서 가장 먼저 접하는 사람이 나라는 점도 흥미로웠다. 그리고 주 전공인 영상 제작 업무도 CX 일을 하며 할 수 있어 좋았다. 업무를 하다 보면 재미있는 에피소드가 있을 것 같다S: 연령대가 높은 사용자 중 생각보다 컴퓨터 사용법을 잘 모르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 협업 트렌드를 배우고자 열심히 노력하는 모습이 너무 인상적이었다. 더욱 더 도와주고 싶다는 생각이 자연스레 들 정도다. 협업툴에 대한 요구가 많아졌음을 직감하는지?S: 협업툴에 대한 요구도 많아졌지만 그보다 더 피부에 와닿는 변화는 고객의 인식이 확연히 바뀌었다는 점이다. 처음 CX 업무를 시작했을 때 접한 잔디 사용자들은 돈을 주고 서비스를 사용한다는 개념을 생소하게 여겼다. 반면 지금은 다르다. 최근 잔디 도입을 문의하는 고객 대다수는 서비스 요금부터 문의한다. 잔디 도입 문의 어디에 하는 게 효과적인가?S: 잔디 웹사이트 우측 하단에 있는 파란색 버튼을 클릭하거나 도입 문의 폼을 남기면 CX팀과 세일즈 팀이 바로 도움을 드린다. ▲ 인형과 식물이 가득한 Soo의 업무 공간잔디 팀에서 배운 점이 있다면?S: 사람과 소통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배웠다. 아무래도 한국 문화에 익숙하지 않아 ‘한국식 소통 방법’이 낯설었는데 사회 생활을 통해 자연스레 학습할 수 있어 좋았다. 잔디 팀에서의 경험 덕분에 자신감이 생겼다. 다른 곳에 간다고 해도 잘 할 수 있을 것 같다. 첫 직장으로서 잔디 팀의 생활이 만족스럽다는 걸로 들린다S: 물론이다. (웃음) 정말인가?S: 물론이다. 건배나 하자. 태국 음식엔 역시 맥주가 짱이다. (웃음) 어떤 꿈을 가졌는지 궁금하다S: 사실 무엇을 해야할 지 정한 건 없다. 막연하지만 나만의 것을 해보고 싶다. 사무실에 앉아서 일하는 것보단 무언가 발로 뛰며 성취하는 경험을 해보고 싶다. 이전 인터뷰이였던 잔디 HR 담당자 Amy의 질문이다. 자신의 인생에서 가장 행복했던 순간은?S: 행복했던 순간이 너무 많아 한 가지만 고르기 힘들다. 뭔가 성취감을 느꼈을 때 행복을 느끼는 것 같다. 그 외에는 맥주 한잔하면서 집에서 뒹굴뒹굴할 때가 행복하다. 일상의 소소한 것에서 느끼는 즐거움이 진짜 행복은 아닐지 생각해본다. 다음 인터뷰이를 위한 질문을 부탁한다S: 올해 꼭 이루고 싶은 목표는? ▲ 술과 음식으로 점철된 맛있는 인터뷰가 열린 선릉역 맛집 ‘알로이 타이’마지막 질문이다. 왜 맛있는 인터뷰가 하고 싶었는지?S: 잔디 팀과 함께 한 시간이 어언 2년이다. 팀의 일원으로서 잔디 이름을 가진 어딘가에 내 흔적을 남기고 싶었다. 맛있는 인터뷰가 그 흔적으로 적합하다고 생각하는가?S: 물론이다. 맛있는 인터뷰를 보면 그간 잔디 팀과 함께 했던, 그리고 함께 한 멤버들의 모습을 꺼내볼 수 있다. 일종의 추억 보관함이라고 해야할까? 내 이야기도 잔디 팀의 누군가에게 추억이 될 거라 생각해 내 이름을 꼭 남기고 싶었다. 인터뷰 해줘서 너무 고맙다. (웃음) #토스랩 #잔디 #JANDI #팀원소개 #인터뷰 #기업문화 #조직문화 #팀원자랑
조회수 8983

왜 SQLite 에서 Realm 으로 옮겼는가?

SQLite 와 Realm잔디 앱은 2015년 중반부터 앱 내에 Offline Caching 기능이 포함되면서 본격적으로 Local-Databae 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당시에 Realm 과 SQLite 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사유로 Realm 을 포기하였습니다.1.0 이 아직 되지 않은 미성숙된 상태의 라이브러리사용 사례에서 리포팅되는 버그들 (CPU 지원 등)Data 의 상속을 지원하지 않는 문제Robolectric 미지원 (안드로이드 팀 당시 테스트 프레임웍은 Robolectric 이었으며 현재 Android Test Support Library 입니다.)위의 문제로 인해 SQLite 를 선택하였고 여러 SQLite-ORM Library 를 검토한 후 ORMLite 를 선택하였습니다.누구보다 가볍고 빠르게2016년 6월경 앱의 핵심 데이터에 대해 개선작업이 되면서 그에 따라 기존의 Cache Data 로직도 많은 부분이 변경되었습니다. 그에 따라 실시간성으로 DB 를 대상으로 Read-Write 동작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Locking 등에 대한 처리가 되면서 성능에 대한 이슈가 계속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간헐적인 성능 이슈는 사용자에게 나쁜 UX 로 다가갈 수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병목지점들에 대해 성능 향상을 꾀하였습니다.서버와의 통신 향상비지니스 로직 개선내부 DB 로직 향상서버와의 통신 향상병목 지점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API 를 찾아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요청을 서버팀에서 개선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비지니스 로직 개선불필요한 객체 생성, 비동기로 처리해도 되는 동작들에 대해서는 로직 수정, 최소한의 검증 후에만 앱 실행, 네트워크 동작 최소화, 캐싱 활용 등 다양한 전략을 시도하였습니다.내부 DB 로직 향상SQLite 를 대상으로 빈번한 쿼리 작업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2~3개의 쿼리로 이루어진 부분에 대해서 최소한의 쿼리만으로 동작하도록 여러 시도를 하였습니다.ORMLite 의 한계점ORMLite 를 대상으로 여러가지 시도를 하였습니다. 쿼리를 최소한으로 하고 1:N, N:M 동작에 대해서 로직 중간에 Query 가 발생하지 않도록 애초에 Join Query 를 하도록 하는 등 여러가지 전략을 시도하였으나 궁극적으로 ORMLite 자체에 대한 성능을 개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도출하였습니다.여러 시도를 하였으나 고작 10~20% 정도의 성능향상밖에 없었으며 이는 사용자 관점에서 여전히 느릴 수 있다고 느끼기 충분한 수준이었습니다. 기존에 목표했던 100ms 이하의 쿼리를 기대하기엔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그래서 GreenDAO, Requery 라이브러리를 검토하였습니다.GreenDAO 의 문제점GreenDAO 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겪은 가장 큰 문제점은 실제 Object 코드에 GreendDAO 코드가 생성이 붙으면서 유지보수에 큰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되었습니다.Requery 의 문제점성능면에서 ORMLite 에 비해서 큰 개선을 가져오지 못했습니다. Requery 는 JPA 를 가장 잘 채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렇다고 SQLite 자체의 성능을 극적으로 개선했다고 보기엔 어려운 부분들이 있었습니다.SQLite vs RealmSQLite 가 가진 자체적인 성능 이슈를 SQLite 기반 라이브러리 범위안에서는 개선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였습니다.검토 방법 : 기존의 Object 를 대상으로 ORMLite 와 Realm 을 대상으로 성능을 검토합니다.데이터는 1:N / 1:1 관계가 되어 있는 여러 Object 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Database 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때는 Eager Loading 방식으로 택한다.Write : 20회, Read : 20회 를 수행했고 그에 대한 평균 성능을 비교한다. SQLiteRealm성능 향상Write4039ms1142ms3.5xRead6010ms2450ms2.5x(Realm 의 벤치마크 정보와 너무 상이하여 재테스트한 결과 수정하였습니다.)위의 비교차트에서 봤듯이 Realm 은 무시무시한 성능이 입증되었습니다.도입 검토시에 Realm 버전은 2.0 이었기 때문에 충분히 신뢰할 수 있을 만큼 성숙되었다고 판단하고 최종적으로 도입을 결정하였습니다.Realm 도입 과정에서 문제점Realm 을 도입한다고 해서 여전히 잠재적인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었습니다.파악된 다음 문제를 해결 해야 했습니다.Primitive 타입에 대해 Collection 저장을 지원하지 않는다.RealmObject 에 대한 호출 Thread 를 유지해야 한다.상속을 지원하지 않는다.Primitive 타입에 대한 Collection 관리를 해결하기이 문제는 ORMLite 에서 이미 겪었기 때문에 의외로 쉽게 구할 수 있었습니다. long, int 등에 대한 Wrapper 를 만들고 Json Convert 등의 과정에서 Post Processing 과정에서 Wrapper 로 데이터를 이관하도록 처리하였습니다.// example class Data extends RealmObject { private transient List refs; private List refIds; } class RealmLong extends RealmObject { private long value; } RealmObject 에 대한 호출 Thread 분리Realm 은 Object 에 대해 query 후 객체를 받는다 하더라도 실제로 객체 내 데이터르 접근할 때는 다시 Query 로 접근하기 때문에 실제로 Object 전체에 대해서 Eager Loading 방식으로 접근해야 합니다.Jandi 는 싱글톤 객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며, Background Thread 에서 진행하고 UI Thread 에서 객체 내 변수에 접근해서 UI 에 그리는 작업이 빈번하기 때문에 Thread 독립을 반드시 해야했습니다.Realm 에서는 Eager-Loading 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Realm.copyFromObject() 를 사용하면 Return 값이 Eager-Loading 된 Object 가 반환됩니다.단, Realm 의 가장 큰 특징이로 보는 ZeroCopy 를 포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신중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example public Chat getChat(long chatId) { return execute((realm) -> { Chat it = realm.where(Chat.class) .equalTo("id", chatId) .findFirst(); if (it != null) { return realm.copyFromRealm(it); } else { return null; } }); } 상속을 지원하지 않는다.가장 큰 문제였는데 해결방법을 찾을 수 없어 결국 상속을 포기하고 모든 Data 를 1개의 Object 에 표현하기로 하였습니다.위의 3가지 문제를 이렇게 해결해서 안드로이드팀에서는 1차적으로 도입을 완료하였습니다.결론현재까지 Realm 전환에 있어서 성공적인 도입으로 판단되어 차후에 다른 데이터에 대해서도 하나씩 DB 이전을 할 예정입니다.Realm 은 이제 충분히 신뢰할 수 있을만큼 성숙되었다고 생각이며 Realm 에서 처음부터 강조하던 성능또한 믿기 어려울 정도로 빨라졌습니다. 더 빠른 Mobile Database 를 원하신다면 Realm 을 적극 추천합니다.#토스랩 #잔디 #JANDI #개발 #개발환경 #업무환경
조회수 2299

모니터링 기업 와탭의 시작

2012년 2월 개발자 3명이 모여서 회사를 만들었습니다. 와탭랩스를 만들기 전 회사인 "DesignPlusD" 입니다. 모바일 개발을 하고 싶었던 우리는 무작정 회사를 나와서 법인을 만들고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사무실은 홍대 코워킹 스페이스에서 시작했고 각자의 퇴직금으로 자본금을 마련했습니다. 그 시절 우리는 개발에 대해서는 정말 끝없는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누구보다도 빠르게 만들고, 누구보다도 높은 퀄리티를 제공할 수 있었기에 금방 인정받고 성공할 거라 생각했지만 이렇게 만들었던 회사는 지금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사업이 아닌 개발을 하고 싶어 만든 회사였다는 것이였습니다. 정확하게는 모바일 개발이 하고 싶어 만든 회사였습니다.DesignPlusD의 메모앱 (MemoZy)우리는 여러가지 앱들을 만들었는데 그중 젤 인기있는 앱은 메모앱이였습니다. 독특한 UX를 가진 개성있는 앱이였던지라 국내에서 많은 상을 받았습니다. 한국에서 유료앱으로 1주일간 전체 분야 1위에 올라가기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돈은 벌지 못했죠. 이미 저희보다 먼저 시작한 훌륭한 노트앱들도 상황은 좋지 않았습니다. 2013년이 지나면서 모바일로 돈을 번다는 것은 정말 힘든 일이 되어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이런 고민을 하게 됩니다."우리도 돈 벌수 있는 사업을 구상해보자"우리가 정한 비지니스 아이템의 선정 조건은 다음과 같았습니다.기술기반 서비스. - 서비스를 만드는 과정에서 나온 기술 만으로도 돈을 벌 수 있는 서비스.B2B 서비스. - 있으면 좋은 서비스가 아니라 꼭 필요한 서비스.오랜 기간 변하지 않을 서비스. - 10년이 지나도 여전히 가치를 가질 수 있어야 함.그렇게 아이템 구상에 들어갑니다. 성공 할수밖에 없는 아이템을 찾고 또 찾기 시작합니다. 많은 아이템들을 구상해보고 논의해 보았지만 만족스로운 아이템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중 소개로 만난 회사와의 미팅에서 정말 우연히 IT 서비스 모니터링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게 됩니다. 기존에 있는 모니터링 서비스들은 NOC라는 거대한 공간에서의 모니터링 이였지만 모바일이 지원된다면 한정된 공간에서의 모니터링이 아닌 언제 어디서나 모니터링이 가능해 지는데, 아직 모바일을 지원하는 모니터링이 없다는 것이였습니다.미국 AT&T NOC 공간이런 모니터링은 우리가 정한 아이템 선정 조건에 딱 맞는 아이템이였습니다. 기술 기반의 서비스이면서 B2B서비스 였습니다. B2B는 B2C에 비해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기 좋은 분야입니다. 그리고 모니터링은 IT 서비스가 존재하는 한 없어지지 않을 아이템이죠. 10년 후에도 여전히 모니터링 서비스는 존재할 것입니다. 그리고 2014년까지도 모바일이 지원되는 모니터링 서비스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모바일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서버를 모니터링 할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기로 결정합니다.모니터링 서비스 시작하려고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그렇게 아이템을 선정했지만 신중을 기하기 위해 주변에 아이템에 대한 의견을 물어보고 의견을 공유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렇게 자신의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것은 매우 중요했습니다. 이렇게 의견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많은 분들이 새로운 아이템에 대해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셨습니다. 뿐만 아니라 아이템만 정했을 뿐인데도 투자를 제의해 주시기도 했고, 사업을 같이 하자는 제의도 받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덕분에 좋은 분들과 함께 할 수 있었고, 현재 와탭랩스는 국내에서 만대 이상의 서버를 모니터링 하는 IT 서비스 모니터링 전문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와탭랩스 #와탭 #스타트업 #성공기 #실패기 #아이템 #아이디어 #아이디에이션 #창업초기
조회수 980

고객의 숨은 요구를 찾아라! ‘LG 그램’ 마케터 3인방

‘LG 그램’이 등장하기 전까지 국내 노트북 시장은 ‘가격’과 ‘성능’ 중심의 경쟁이었습니다. 2014년, LG전자가 ‘LG 그램’을 출시하면서 노트북 업계의 화두는 ‘무게’가 중요한 선택 기준이 되었습니다.이후 고객들의 숨은 요구와 불만을 확인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사용시간’이라는 키워드를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2017년 LG전자는 ‘시간’을 혁신한 ‘LG 그램’을 출시했습니다.2017년 ‘LG 그램’의 탄생 뒤에는 소비자의 요구를 정확히 캐치하고, 노트북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그램 마케터들이 있었습니다. LG전자 PC마케팅팀 이동한 책임, 조홍철 선임, 백하늘 선임이 그 주인공입니다.# ‘LG 그램’ 마케팅 담당자 인터뷰 : 이동한 책임, 조홍철 선임, 백하늘 선임l 왼쪽부터 조홍철 선임, 백하늘 선임, 이동한 책임고민의 시작, 고객의 숨겨진 요구를 찾아라! 마케팅팀은 고객이 노트북에 어떤 요구를 하는지 알아내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배터리’는 구매 전 고객들의 우선순위에서는 낮은 비중을 차지했지만, 실제 구매 후 사용하는 고객들은 충분하지 못한 ‘사용시간’에 대한 요구가 많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이동한 차장 : 드러난 고객의 요구는 채울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고객이 말하지 않는 ‘숨겨진 요구’를 찾는 것이죠. 고객을 관찰해서 찾은 것이 바로 ‘배터리’였어요. 늘 어댑터를 가지고 다녔기 때문에 크게 불편하다는 인식을 하지 못했던 거죠. ‘올데이 배터리’를 새로운 구매 기준으로 제시한다면, 한계 효용가치가 엄청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조홍철 과장 : 노트북의 본질은 들고 다닐 수 있는 ‘휴대성’이에요. 다시 말해, 가볍고 오래가는 것이 핵심입니다. 직접 사용해 보기 전에는 ‘배터리’와 관련해 큰 요구가 없었지만, 실제 사용자는 배터리 관련 요구가 많았어요. 실사용 시간을 체크해보니 짧게는 3시간 길게는 7~8시간을 코드 없이 쓰더라고요. 최소 10시간 이상, 2배는 늘려야 고객이 만족할 수 있겠다고 판단했습니다. 시장에 기준을 제시했을 때도 금방 따라오더라고요. 더욱 자신감을 가지고 진행했죠.백하늘 사원 : PC의 경우 시장 트렌드가 중요합니다. 우리가 트렌드를 선도하고, 다른 회사들이 따라오게 해서 이슈화하는 거죠. 이를 위해 개발실에서 우리의 가설이 맞는지 계속 검증합니다. 우리는 고객에게 계속 물어보고, 내부적으로는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한지 타진합니다.이어지는 고민, 혁신을 보여줄 방법을 찾아라!마케팅팀의 고민은 여전히 남아 있었습니다. 신소재인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는 등 기술적 진보로 무게를 유지하며 배터리 용량을 늘리는 건 가능했지만, 이에 따른 ‘시간의 혁신’을 고객에게 직관적으로 보여줄 방법이 마땅치 않았던 것인데요. 돌파구는 역시 고객이었습니다.백하늘 사원 : 기존 ‘무게의 혁신’은 저울이라는 직관적인 툴을 활용했는데, ‘시간’의 경우에는 표현하기 어려웠어요. ‘단 한 번의 충전으로 최대 24시간’과 같은 광고 카피로 실제 사용을 유도하는 쪽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이동한 차장 : 마케팅은 고객 이야기를 많이 듣고, 핵심 기능을 고객이 이해할 수 있도록 실증을 해서 피부에 와 닿게 해줘야 합니다. 배터리 용량이 기존 34Wh에서 60.6Wh로 커진 것을 고객이 이해하기 쉽게 ‘한 번 충전으로 하루 종일 사용하는 컴퓨터’로 풀어 메시지를 잡았죠.조홍철 과장 : 같은 맥락에서 ‘외장배터리 충전’을 지원하지 않은 부분이 있는데, 실제 외장배터리로 충전하는 속도보다 배터리가 방전되는 속도가 빨라 효용성이 낮거든요. 그래서 이 부분을 제외했어요. ‘방전되면 외장 배터리로 충전할 수 있다’는 메시지보다 ‘충전을 하지 않고도 하루 종일 쓸 수 있는 노트북’이라는 점이 고객들에게 훨씬 더 가치가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오해와 우려, 고객의 불안을 해소하라!실제 온라인에서 ‘LG 그램’이 휘어지는 사진을 보고 내구성에 불안감을 느끼는 고객들이 나타났는데요, 이를 어떻게 해소할지 고민했습니다. 제품의 강화된 강성을 보여줄 수 있으면서 불안 요소는 지워야 했습니다.이동한 차장 : 기존보다 얇아진 14인치와 15.6인치 제품이 나왔을 때 내구성 관련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어요. 하지만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플랙서블하게 설계한 결과물이었어요. 휘어지는 게 부드러운 것이지 약한 게 아니거든요. 올해 신제품 발표회 행사에서 이런 기술적인 배경을 언급하니 약하다는 인식이 줄고, 오히려 좋은 평가가 나오더군요.조홍철 과장 : 키패드의 경우도 무게를 줄이기 위해 단자를 빼거나 하지 않고 오히려 숫자키까지 모두 넣었어요. 사용성 자체가 좋다 보니 키패드 관련 반응이 상당히 좋은 편이죠.3년간의 지속적인 혁신, ‘LG 그램’의 미래 LG전자는 ‘킬로그램(kg)’을 ‘그램(g)’으로 만들자는 목표로 그램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고객들에게 초경량 PC는 ‘그램’이라는 인식을 확실하게 심었습니다. 이제는 더 나아갈 계획인데요. LG전자는 지난해 ‘그램 불변의 법칙’에 이어 올해는 ‘그램 진화의 법칙’을 내세우고 있습니다.백하늘 사원 : 개발실에서 사용시간의 혁신을 만들어 냈고 앞으로 마케팅도 고객들이 더 불편한 부분은 없는지 찾아내고 진화할 것입니다.조홍철 과장 : 배터리를 강화한 제품은 앞으로도 많은 업체가 따라올 것으로 예상해요. 저희도 내구성 등 그램의 완성도를 더욱 높이는 방향을 고민하고 있습니다.LG전자는 고객의 목소리를 중심에 두고 연구개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고객의 숨은 요구까지 캐치하는 마케팅 담당자들이 있는 한 고객들의 만족도는 점차 높아질 수밖에 없겠죠?#LG #LG그룹 #LG전자 #2017년_LG그램 #LG그램_마케팅_담당자_인터뷰 #LG올데이_그램 #그램 #원데이_컴퓨팅 #초경량_노트북 #기업문화 #조직문화 #팀워크 #구성원인터뷰 #직무정보 #직무소개
조회수 6988

클라우드 서비스 이해하기 IaaS, PaaS, SaaS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으로 가상화 된 IT 리소스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가상화 하여 서비스로 제공하는 대상은 인프라스트럭쳐, 플랫폼, 소프트웨어입니다. AWS와 Azure가 대중화되면서 클라우드를 인프라스트럭쳐의 가상화 개념으로만 이해하기도 하지만 클라우드는 인프라스트럭쳐 뿐만이 아니라 플랫폼과 소프트까지 포함하는 온라인의 모든 영역을 다루는 꽤 광범위한 개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클라우드는 분야별 특성별로 나누어서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는 아래와 같이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Infrastructure as a Service (IaaS, 아이아스, 이에스)서비스로 제공되는 인프라스트럭처입니다. 개발사에 제공되는 물리적 자원을 가상화합니다. Platform as a Service (PaaS, 파스)서비스로 제공되는 플랫폼입니다. 개발사에 제공되는 플랫폼을 가상화합니다.Software as a Service (SaaS, 사스)서비스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고객에게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가상화합니다.클라우드 구분하여 알아보자IaaS: 서비스로 제공하는 인프라스트럭쳐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 서비스는 확장성이 높고 자동화된 컴퓨팅 리소스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것입니다. IaaS는 컴퓨팅, 네트워킹, 스토리지 및 기타 인프라스트럭쳐를 사용하기 위한 서비스이며 사용자는 필요할 때 마다 서비스를 통해 리소스를 구입할 수 있습니다.(IaaS는 한국에서 이아스 또는 아이아스로 부르며 영미권에서는 이에:스 또는 아이아스로 발음합니다.)PaaS: 서비스로 제공하는 플랫폼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는 주로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 할 때 필요한 플렛폼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PaaS는 사용자 정의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용할 수있는 개발자를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개발사는 미들웨어를 설치하지 않고도 미들웨어에서 제공하는 API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SaaS : 서비스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가상화하여 제공하는 것입니다. SaaS는 타사 공급 업체가 관리하는 사용자에게 응용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을 사용합니다. 대부분의 SaaS 애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직접 실행되므로 클라이언트 측에서 다운로드 나 설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무엇을 제공하는가클라우드는 온라인의 광범위한 영역을 모두 다루는 광범위한 영역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들은 제공하는 범위에 따라 IaaS, PaaS, SaaS로 나뉘고 있으므로 각각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하는 내역을 살펴보는 것은 클라우드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IaaS: 물리적 자원 제공IaaS는 고객에게 서버, 네트웍, OS, 스토리지를 가상화하여 제공하고 관리합니다. IaaS는 가상화 된 물리적인 자산을 UI형태의 대시보드 또는 API로 제공합니다. IaaS의 고객들은 서버와 스토리지를 접근할 수 있지만 사실상 클라우드에 있는 가상 데이터 센터를 통해 리소스를 전달받는 형태입니다. IaaS는 기존의 데이터센터에서 제공받던 물리적인 자산을 완벽하게 가상화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서버 사양의 변경 등 물리적 자산의 수정이 필요한 경우 기존의 방식에 비해 훨씬 빠른 대응이 가능합니다.IaaS의 제공업체는 서버, 하드 드라이브, 네트워킹, 가상화 및 스토리지를 관리하며 고객은 OS,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와 같은 자원들을 관리해야 합니다. PaaS: 소프트웨어 개발을 돕는 플랫폼 제공PaaS는 고객에게 OS, 미들웨어, 런타임과 같은 소프트웨어 작성을위한 플랫폼을 가상화하여 제공하고 관리합니다. 이 가상화 된 플랫폼은 웹을 통해 제공되며 개발자는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저장소 또는 인프라에 대한 관리 없이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PaaS를 사용하면 기업에서는 특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PaaS에 내장 된 응용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또는 미들웨어는 특정 클라우드 특성을 채택 할 때 확장 가능하고 가용성이 높습니다.SaaS: 고객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제공SaaS는 고객을 대신하여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제공하고 관리합니다. 패키지 또는 On-Prems 방식이라고 하는 기존의 소프트웨어 전달 방식과 다르게 SaaS는 개별 컴퓨터에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SaaS를 통해 서비스를 공급하는 업체는 데이터, 미들웨어, 서버 및 스토리지와 같은 모든 잠재적 인 기술적 문제를 관리하기 때문에 고객은 유지 보수 및 지원을 간소화 하면서 비지니스에 집중 할 수 있습니다.클라우드의 장점과 단점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를 사용할 때의 장점과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사용할 때의 장점은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이에 3가지 클라우드 서비스의 장점과 단점을 각각 설명합니다. IaaS: 장점비용물리적 자원을 소비 형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고정비가 들지 않습니다.속도물리적 자원을 즉시 소비할 수 있습니다.관리물리적  자원에 대한 관리를 논리적인 영역으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물리적 자원에 대한 자동화 된 배포가 가능합니다.물리적 자원에 대한 안정적인 운영을 벤더에 맞길 수 있습니다.물리적 자원에 대한 규모의 확장 또는 축소가 자유롭습니다.  PaaS: 장점비용필요한 플랫폼만 소비 형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속도개발 및 배포 프로세스를 빠르게 확보할 수 있습니다.관리소프트웨어 유지 관리가 쉬워집니다.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구축되어 비즈니스가 변함에 따라 리소스를 쉽게 확장 또는 축소 할 수 있습니다.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테스트 및 배포를 지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수많은 사용자가 동일한 개발 응용 프로그램에 액세스 할 수 있습니다.PaaS: 단점특정 플랫폼 서비스에 종속될 수 있습니다.SaaS: 장점SaaS는 소프트웨어 설치, 관리 및 업그레이드와 같은 지루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임으로써 직원과 회사에 많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기술 직원이 조직 내에서 보다 긴급하고 중요한 문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비용소프트웨어를 소비 형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비용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속도즉시 사용이 가능합니다. 관리소프트웨어를 설치할 물리적 자원이 필요하지 않습니다.언제 어디서든 접근가능합니다.SaaS: 단점커스터마이징이 어렵습니다. 클라우드 언제 적용해야 하는가IaaS: 빠른 변화를 원한다면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에게 IaaS는 훌륭한 옵션이므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데 시간과 돈을 낭비 할 필요가 없습니다. IaaS는 응용 프로그램과 인프라를 완벽하게 제어하고자하는 대규모 조직에 유용하지만 실제로 소비되거나 필요로하는 것을 구매하려는 경우에만 유용합니다.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의 경우, IaaS는 요구 사항이 변화하고 발전함에 따라 특정 하드웨어 나 소프트웨어에 전념 할 필요가 없으므로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확장 또는 축소 할 수있는 많은 유연성이 있으므로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에 어떤 요구가 필요한지 확실하지 않은 경우 도움이됩니다.PaaS: 신속한 개발을 원한다면PaaS를 이용하는 것이 유익하거나 필요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동일한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여러 개발자가 있거나 다른 공급 업체도 포함해야하는 경우 PaaS는 전체 프로세스에 뛰어난 속도와 유연성을 제공 할 수 있습니다. PaaS는 사용자 정의 된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려는 경우에도 유용합니다. 또한이 클라우드 서비스는 비용을 크게 절감 할 수 있으며 앱을 신속하게 개발하거나 배포하는 경우 발생하는 몇 가지 문제를 단순화 할 수 있습니다.SaaS: 비지니스에 집중하고 싶다면보안상 민감한 사항이 아니라면 모든 기업에게 SaaS는 훌륭한 옵션입니다. 또한 협업이 필요한 단기 프로젝트라면 SaaS 를 도입하는 것이 훨씬 유리합니다. 일반적으로 On-Prems 솔루션은 모바일 액세스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모바일 액세스가 필요한 경우에도 SaaS를 사용하면 비용가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클라우드 서비스 예클라우드는 적용된 분야별로 이해해야 합니다. 아래는 분야별 서비스 예입니다. IaaSAmazon Web Services (AWS), Microsoft Azure, DigitalOcean, Google Compute Engine (GCE)PaaSAWS Elastic Beanstalk, Windows Azure, Heroku, Google App EngineSaaSGoogle Apps, Dropbox, Salesforce, WhaTap마무리지금도 많은 기업의 임원분들이 클라우드의 적용 여부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으며 많은 스타트업들이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회사에 클라우드를 도입해야 한다면 IaaS를 도입할 지, PaaS를 도입할 지 아니면 SaaS를 도입해야 하는지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자사의 서비스가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라면 고객에게 왜 도입해야 하는지 쉽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제가 다니는 와탭랩스(whatap.io)는 국내에서 드물게 SaaS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5년 1월에 시작한 서비스는 이제 만 4년을 달려가고 있습니다. 앞으로 한국에서 더 많은 클라우드 서비스들이 나왔으면 합니다. #와탭랩스 #개발자 #개발팀 #클라우드서비스 #서비스소개
조회수 796

공간 디자인의 중요성

2009년 가을, 독일 함부르크에 위치한 하겐베크 동물원(Tierpark Hagenbeck)에 방문하고나서 공간을 이해하는 관점이 완전히 달라졌다.100년이 넘은 역사를 자랑하는 하겐베크 동물원은 철장이 없는 방사식 동물원으로 유명하다. 같은 대륙의 동물들이 같은 장소에서 생활하게 하되 각 서식지 사이에 해자(성 주변에 둘러 판 도랑)를 만들어 서로 해치지 못하게 하는 방식을 세계 최초로 도입한 것이다. 사람의 시선에서는 해자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마치 광활한 평지에 여러 동물들이 자연에서 함께 어울려 사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습성에 따라 함께 지내는 것이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오는 동물들은 함께 서식하고, 많은 동물들이 인도에 자유롭게 활보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세계 최초의 방사식 동물원. 출처 : 하겐베크 동물원 페이스북 페이지 하겐베크 동물원은 우리 안에 갇힌 동물들을 "관찰"하는 공간이 아니었다. 동물들의 자연 서식지에 인간이 "방문"하는 공간으로 느껴졌다. 사람 중심의 공간이 아니라 그곳에 서식하는 동물 중심의 공간이었다. 이 경험이 신선한 충격이었던 가장 큰 이유는 아이들과 함께 동물원을 방문한 가족들의 모습 때문이었다. 동물원의 중요한 역할은 교육에 있다고 보는데, 이러한 방사식 공간 구성은 동물들의 자연 서식을 조금이나마 더 현실적으로 보여주고 생명 존중의 가치관을 훨씬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때부터 공간을 연구하고 디자인하는 것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 호기심이 많다보니 궁금증이 생기면 끝없이 구글 검색을 하는 편인데, 공간의 효율성이 치명적인 역할을 하는 병원의 공간 연구, 창의성을 극대화하는 사무 공간 연구에 대해서 많은 논문을 뒤져보았다. 사실 당시 대학원 유학 준비를 시작할 때였는데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의 근원지인 스탠포드 디자인 프로그램이 유일한 목표였던 나에게 새로운 호기심을 불러일으켰고, 마침내는 코넬 대학의 공간 디자인 연구 박사 과정에 동시 지원하기도 했다. (스탠포드에 진학하지 않았다면 지금 어떤 일을 하고 있을지 궁금하기도 하다.)공간에 대한 전문가는 아니지만 사무 공간 역시 공간을 사용하는 사람들에 대한 많은 배려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넓은 공간에 좋은 책상과 의자를 배치하고, 회의실을 여러개 만들어두고, 비싼 인테리어 마감을 하는 것이 다가 아니다. 다양한 사람들과 하루동안 가장 많은 시간을 쓰는 사무 공간이야말로 과학적인 배려가 필수적이다. 디즈니, 3M, 페이스북과 같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기업들이 공간 연구에 많은 리소스를 투자하여 홀로 집중할 수 있는 공간, 협업을 유도하는 공간 등의 다양한 조화를 만들어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미흡하지만 개방과 폐쇄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 직접 디자인한 렌딧의 사무 공간. 렌딧 민트가 포인트인 Lendit Wall 열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개방 공간 Creative Hall1:1 회의 공간. 답답함을 줄이기 위해 천장 개방전체적으로 개방된 공간에 각자의 자리가 있기 때문에 가끔씩 필요한 1인 집중 공간 Burning Man좀 더 편안한 분위기의 공용 휴식 공간
조회수 1876

당신의 회사는 fbstart에 지원 가능합니다

페이스북에서 스타트업에게 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그것은 바로 FbStartFbStart 뭘까?개발자의 제품 빌드와 성장을 돕기 위한 Facebook의 글로벌 스타트업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멤버는 무료 도구와 서비스, 지원, 교육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일 년 내내 Facebook 팀과 직접 연결하여 기술 및 전문가 멘토십을 이용할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또한 Amazon, Dropbox, Stripe, MailChimp 등 수십 개의 Facebook 파트너로부터 독점적인 맞춤 할인 패키지를 받습니다. Messenger 플랫폼 및 네이티브 모바일 앱 개발자는 FbStart.com에서 프로그램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네 그렇습니다.앱 서비스를 하는 스타트업들에게 실질적인 재원을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이죠.FbStart 참여 자격 요건은?라이브 Messenger 플랫폼 봇이 있는 개발자는 물론 Facebook과 협력 관계인 VC, 액셀러레이터, 대학 및 해커톤 파트너로부터 리퍼럴 코드를 받은 스타트업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Facebook은 여러 성장 단계의 개발자를 위해 두 가지 과정을 제공합니다.시작 과정: Google Play 스토어 또는 Apple App Store에 Messenger에서 우수한 품질의 실행 가능한 봇 또는 네이티브 모바일 앱을 출시한 개발자전문 과정: Google Play 스토어 또는 Apple App Store에 Messenger에서 실행 가능한 봇 또는 네이티브 모바일 앱을 출시하고 타겟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성장 중인 개발자  FbStart에 참여하려면 등록된 Facebook 앱 ID와 Facebook 개발자 계정이 있어야 하지만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승인받기 위해 Facebook 제품을 앱에 통합할 필요는 없습니다.어떻게 시작할까요!?Facebook for Developers에 앱을 관리를 하고 계신다면 확인해주시고FbStart  접속저희 회사는 이미 혜택을 받은 상태라 신청 부분란이 없네요..ㅠㅠ아직 혜택을 안 받으신 분들이시면 파란 버튼이 '시작하기'라고 되어 있습니다.시작을 하시면 페이스북에서 물어보는 게 있는데요여기에서 직접 신청하세요. 간단한 신청서에 회사 및 앱 정보를 기재하시면, 2주 이내에 답변을 받게 됩니다.여기서 곤란한 부분!신청란 적는 부분에 재무적인 사항을 쓰는 부분이 있습니다."FbStart에 대한 참여 승인 시 재무 상태만 고려하는 것은 아니지만 비즈니스 전반적인 상태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또한 여러분의 단체가 비상장 기업인지, 규모가 프로그램에 적합한지도 판단해야 합니다."기타 궁금한 사항은 "요기" 에서 확인해주세요즉 누락하여 쓰는 경우 프로그램에 떨어질 확률이 높습니다. 신중하게 써주세요^^저희(오누이)는 여러번 떨어진 결과 붙었습니다..ㅠㅠ그럼 붙었는지 확인하는 곳은!?developers.facebook에서 '알림'을 확인해주시면 확인가능합니다.떨어지면 이렇게 알림이 나오네요 :)떨어지면 나오는 알림그러면 붙으면!?기분 좋아 ㅎㅎ이렇게 알려주네요!!!! ㅎㅎ마지막! 페이스북에서 지원하는 혜택이 뭘까요!?FbStart 혜택1. 클라우드서비스아마존 웹서비스아마존 웹서비스 (12개월) 15,000달러 지원 (17.03.12일 기준) 한화 1,733만 2,500원2. 협업Dropbox (6개월)최대 30명의 직원을 위해 Dropbox를 통해 파일을 안전하게 보관, 동기화 및 공유3. CRM (고객 관계 관리)Salesforce Desk.com (6개월)소규모 기업에 대한 지원을 위해 ProPlan(3명)에 대한 무료 액세스 권한으로 탁월한고객 지원을 제공합니다.5. 고객지원Zendesk (12개월)새로운 고객들은 한달에 300달러의 신용 카드를 받고, 고객들의 지원을 우선 순위로 삼고, 고객 지원 표를 발행하기 위한 아주 간단하고 간단한 시스템을 제공 받습니다.6. 배포GitHub (4개월)코드를 4개월간 무료로 사용하시고 다른 개발자들과 협력하실 수 있습니다.FACEBOOK (12개월)Facebook의 기술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질문을 사용하여 Facebook의 기술 전문가와 앱 검토, 앱 분석, 앱 및 플랫폼 정책에 관한 질문과 관련된 질문을 받으십시오.7. 디자인Adobe 각각 20% 할인 혜택 제공 (12개월)귀하의 모바일 앱에 대한 강력한 컨텐츠를 만들고 디자인하기 위해 창의적인클라우드 사진 촬영 계획(무제한 좌석)에 대한 20%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귀하의 모바일 앱에 대한 강력한 컨텐츠를 만들고 디자인하기 위해 창의적인 클라우드 계획(무제한 공간)을 제공하는 데 15%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fiverr (10개월) 500달러 지원 (17.03.12일 기준) 한화 577,750원디자인 및 복사 리소스를 확보하기 위해  최대 500달러의 크레딧을 받으십시오.ANIMOTO (12개월)6개월 간의 여유로운 비즈니스 크리티컬 비디오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6개월간 무료로 제공되는 무료 비즈니스 비디오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8. 도메인지원Namecheap (12개월)모바일 앱의 온라인 상태를 무료로 제공하는 동시에 무료로 제공되는 무료 Namecheap와 무료 PremiumDNS를 제공합니다.9. HR (인적 자원)AngelList세계 최대 규모의 플랫폼이자 창업자를 모집하기 위한 세계 최대 규모의 플랫폼인 FbStart의 구인 이사회 초청WorkableWorkable의 표준 플랜(5개의 활성화 작업 목록)으로 시작하여 귀사의 채용 노력을 관리하십시오.Workable은 한국에 변역 및 소개된 자료가 없네요..ㅠㅠ (고용 및 채용플랫폼)YandikiYandiki의 개인적 재능을 바탕으로 크리에이티브 인재를 원격으로 채용하십시오. 5,000달러의 비용과 5,000달러의 리베이트를 받은 후에는 매 시간마다 10%의 리베이트를 받아야 합니다.Yandiki은 원격 가상업무 환경을 제공하는 플랫폼10. 다국어화reverieinc최대 1,000,000개의 단어에 액세스 할 수 있도록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언어로 모바일 앱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최대 100개의 단어를 사용하여 최대 200개의 언어로 구성된 정적 문자열을 제공합니다.Transifex다양한 언어를 사용하여 모바일 앱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수집, 번역 및 전달하여 애플리케이션 중심의 프리미엄 플랜을 통해 성장을 돕는 플랫폼입니다.11. 시장조사Sensor Tower 500달러 지원 (17.03.12일 기준) 한화 577,750원앱 스토어 검색을 최적화하고 기본적인 앱 스토어 최적화( ASO)플랫폼을 갖춘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최적화하기 위한 키워드를 식별합니다. 새로운 센서 타워 고객들은 500달러의 크레딧을 얻을 수 있습니다.Sensor Tower은 모바일 앱 시장 조사를 돕는 회사!PitchBook자본을 더 빨리 확보하고 다음 투자자를 6개월 이상 무료로 액세스 할 수 있도록 모바일 앱의 차세대 투자자를 찾을 수 있는 서비스PitchBook은 M&A 및 시장조사 등 데이터 회사Apteligent 3,600달러 지원 (17.03.12일 기준) 한화 4,159,800원애플리케이션 문제를 해결하고 사용자 환경을 개선하여 모바일 사업자가 3,600달러를 지불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12. 마케팅 (심지어...페북 광고비 꽁짜임..!!)FACEBOOK (6개월) 2,500달러 지원 (17.03.12일 기준) 한화 2,888,750원귀하의 모바일 앱이나 Messenger(메신저)를 홍보하기 위해 새롭고 현존하는 광고에 대한$2,500의 페이스북 광고 크레딧을 지원합니다.DocSend (6개월)마케팅, 비즈니스 개발 및 실시간 문서 분석을 위해 최대 10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강화를 위해 최대 10명의 직원을 활용합니다.DocSend는 영업 및 마케팅 팀이보다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컨텐츠 관리 및 추적 솔루션입니다MailChimp (6개월)사용자는 마케팅 e-메일, 자동화된 메시지, 5000여건의 e-메일 서비스를 이용하여 e-메일을 홍보하는 캠페인에 참여하십시오.Twilio (12개월)  5,000달러 지원 (17.03.12일 기준) 한화 5,777,750원음성 및 비디오, 메시징 및 인증 API를 비롯한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5,000달러의 크레딧을 제공합니다.13. 결제Stripe (12개월) 50,000달러 지원 (17.03.12일 기준) 한화 57,777,500원귀하의 사용자에게 원활한 지불 경험을 제공하고 수익$50,000의 무료 프로세싱을 무료로 제공하십시오.Stripe는 온라인 비즈니스 결제 서비스14. 프로젝트 관리TransparentBusiness (12개월)3개의 무료 라이센스를 사용하여 원격 직원을 관리하고, 80%할인된 가격으로 80%의 추가 라이센스를 제공하십시오.TransparentBusiness는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15. 시제품제작Proto.io여러사람들이 모여 함께 동시다발적으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모바일 앱 기획 및 제작에 큰 도움이 된다.)16. 설문조사도구SurveyMonkey (12개월)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골드 계정을 이용하여 귀하의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정보를 수집합니다.SurveyMonkey는 글로벌 설문조사 제공 회사17. 유용성테스트User Testing (12개월)사용자의 직관적인 사용 편의성과 원격 사용 편의성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의 통찰력을 높이고 모바일 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18. 와이어프레이밍Balsamiq (12개월)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mockups를 쉽게 스케치할 수 있는 자유롭고 신속한 모바일 앱을 사용하여 모바일 앱을 디자인합니다.Balsamiq는 디자이너, 기획, 마케터, 개발자 등 모두에게 도움되는 서비스입니다.끝입니다..!! 페이스북에서 이만큼~! 도와주고 있습니다!!물론 오누이도 4번정도 떨어지고 붙었습니다!모두들 리워드 크레딧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오누이 #꿀팁 #경험공유 #조언 #페이스북 #FBstart
조회수 4153

LSTM Tutorial

Summary:이 포스팅은 LSTM에 대한 기본 개념을 소개하고, tensorflow와 MNIST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현해봅니다.LSTM1. 개념 설명LSTM(Long Short Term Memory)은 RNN(Recurrent Neural Networks)의 일종으로서, 시계열 데이터, 즉 sequential data를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기존 RNN모델은 구조적으로 vanishing gradients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RNN은 기본적으로 Neural network이기 때문에 chain rule을 적용하여 backpropagation을 수행하고, 예측값과 실제 결과값 사이의 오차를 줄여나가면서 각 시간 단계의 gradient를 조정합니다. 그런데, 노드와 노드(시간 단계) 사이의 길이가 길어지다보면, 상대적으로 이전의 정보가 희석됩니다. 이 문제는 시퀀스 상 멀리 떨어져 있는 요소, 즉 오래 전에 발생한 이벤트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할 수 없도록 만듭니다.LSTM은 RNN의 문제를 셀상태(Cell state)와 여러 개의 게이트(gate)를 가진 셀이라는 유닛을 통해 해결합니다. 이 유닛은 시퀀스 상 멀리 있는 요소를 잘 기억할 수 있도록 합니다. 셀상태는 기존 신경망의 은닉층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셀상태를 갱신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3가지의 게이트가 필요합니다. Forget, input, output 게이트는 각각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Forget : 이전 단계의 셀 상태를 얼마나 기억할 지 결정합니다. 0(모두 잊음)과 1(모두 기억) 사이의 값을 가지게 됩니다. Input : 새로운 정보의 중요성에 따라 얼마나 반영할지 결정합니다. Output : 셀 상태로부터 중요도에 따라 얼마나 출력할지 결정합니다.게이트는 가중치(weight)를 가진 은닉층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각 가중치는 sigmoid층에서 갱신되며 0과 1사이의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값에 따라 입력되는 값을 조절하고, 오차에 의해 각 단계(time step)에서 갱신됩니다.2. 응용 (MNIST data)MNIST는 손으로 쓴 숫자 이미지 데이터입니다. 하나의 이미지는 가로 28개, 세로 28개, 총 784개의 값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Many-to-One model는 여러 시퀀스를 넣었을 때 나오는 최종 결과물만을 이용하는 모델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784개의 input으로 1개의 output값(A) 을 도출합니다. 이 A를 하나의 층에 통과시켜 10개의 숫자 label중 하나를 할당합니다.784개의 입력값을 사이즈가 28인 벡터가 28번 이어지는 시퀀스(time step)로 보고, input의 크기를 28, 시퀀스 길이를 28로 각각 설정합니다. 28개의 input은 C라고 표현되어 있는 LSTM 셀로 순차적으로 들어가게 됩니다.output의 크기는 셀의 크기와 같으며, 64로 설정하였습니다. 셀크기가 너무 작으면 많은 정보를 담지 못하기 때문에 적당히 큰 값으로 설정합니다. 전체 output은 64개의 값을 가지고 있는 벡터 28개의 집합이 되고, 마지막 벡터만 사용합니다.1층의 fully connected layer를 이용하여 64차원 벡터를 10차원으로 줄이고 softmax를 이용하여 0부터 9까지 중 하나의 값을 예측합니다.LSTM으로부터 나온 예측값을 실제갑과 비교하여 cost를 개산합니다. cost function은 cross-entropy를 이용합니다. AdamOptimizer를 이용하여 cost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모델을 최적화 시킵니다.3. 토의구현 시 어려웠던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였습니다. 전체 코드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batch sizebatch_size = 128 batch_x, batch_y = mnist.train.next_batch(batch_size) MNIST의 train data의 크기는 55,000개 입니다. 이는 (55000, 784) 크기의 데이터를 학습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을 한번에 학습시킨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전체 데이터를 메모리에 올리기 힘들뿐만 아니라, 너무 큰 data 한번에 학습시키면 가장 작은 cost값으로 수렴하기 힘들어진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너무 작아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큰 덩어리를 일정크기의 작은 덩어리로 잘라서 모델에 넣어 학습시는데, 이 작은 덩어리의 크기를 batch size라고 합니다.작은 덩어리로 짜르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작은 덩어리 단위로 모델에 밀어넣고(propagation) 네트워크의 파라미터들을 조정(update)하기 때문입니다. batch size는 분석하려고 하는 데이터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수준의 batch size가 좋다고 이야기하기 어렵고, 아주 크지 않은 값으로 설정합니다.unstack모델 구현 시 static RNN을 사용하였습니다. Static RNN에서는 unstack을 해주지 않으면 TypeError가 발생합니다.unstack( value, num=none, axis=0, name=‘unstack’)unstack은 R차원(rank)의 데이터를 R-1 차원으로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value로부터 axis 차원을 기준으로 num개로 자른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이 예제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batch_x = batch_x.reshape((batch_size, input_steps, input_size)) x = tf.unstack(X, input_steps, axis=1) outputs1, states1 = tf.nn.static_rnn(lstm_cell, x, dtype=tf.float32) 실제 학습이 진행되는 순서로 보자면, batch size만큼 불러온 인풋 데이터는 (128, 784)에서 (128, 28, 28) 형식의 3차원 벡터로 reshape해 줍니다. 그리고 다시 unstack을 통해 time step을 기준으로(axis=1) 28개의 텐서를 만듭니다. 다시말해, (128, 28, 28)이라는 3차원 형식의 벡터는 (128, 28)이라는 2차원 벡터 28개로 변환되어 모델에 입력되게 됩니다. 이런 변환이 필요한 이유는 28*28의 크기를 가진input들을 차례로 넣게 되면 처리속도가 제한적이기 때문입니다. unstack을 이용하면 하나의 batch 안에 있는 input을 한꺼번에 한줄씩 병렬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Dynamic RNN에서는 unstack을 해주는 과정이 필요 없습니다. Static과 Dynamic의 차이는 추후 포스팅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Training cycle참고한 다른 예제코드들은 서로 다른 스타일의 사이클로 학습시키고 있었습니다. 스타일은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었습니다. 하나의 방법은 전체 학습 횟수를 정해놓고 while문을 통해 학습시키는 방법이었습니다. 다른 방법은 똑같은 데이터를 몇번 반복해서 학습시킬지 결정하는 것입니다. 이 반복 횟수를 epoch이라고 합니다. epoch의 사전적 의미는 ‘시대’ 또는 ‘세’이지만 예제 코드에서 만나는 epoch은 전체 데이터를 학습시키는 반복회수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이 두가지 방법은 스타일의 문제일 뿐입니다. 이것을 언급한 이유는 개인적으로 epoch을 처음 접했을 때 생소했기 때문입니다.for epoch in range(training_epochs): avg_cost = 0 total_batch = int(mnist.train.num_examples/batch_size) for i in range(total_batch): batch_x, batch_y = mnist.train.next_batch(batch_size) batch_x = batch_x.reshape((batch_size, input_steps, input_size)) c, _ = sess.run([cost2, optimizer2], feed_dict={X:batch_x, Y:batch_y}) avg_cost += c/total_batch 위의 코드는 두번째 스타일이고, 각 epoch마다 cost값과 test data로 예측의 accuracy를 계산하여 출력하였습니다. 당연하게도 학습이 반복 될수록 cost는 감소하고 accuracy는 증가하였습니다.4. 정리기본적으로 도식을 통해 input size, time step, hidden_size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tensor의 shape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input과 output의 형식(shape)을 머리속에 떠올릴 수 있다면 에러를 줄일 수 있고 해결하기도 수월합니다.batch size의 의미, unstack을 하는 이유, epoch의 의미를 알아두면 좋겠습니다.ReferenceDEEPLEARNING4J 초보자를 위한 RNNs과 LSTM 가이드Colah’s blog, Understanding LSTM Networks이태우, 엘에스티엠 네트워크 이해하기김성훈, 모두의 딥러닝 lec 9-2. Vanishing gadient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