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홈

인터뷰

피드

뉴스

조회수 2967

[인터뷰]벨라의 BM(브랜드 매니저) 직무 스토리

안녕하세요. Ava에요!저는 20살이 갓 되고난 후 사내녀석(?)같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어요.그리고 첫 여름방학 때 여성스러워지리라 다짐하며다양한 화장품과 화장도구를 샀었죠.어떻게 써야할지몰라 여러 블로그, 영상들을 보며 화장을 따라했었어요.미미박스에서 포니이펙트 BM직무를 맡고계신Bella와 인터뷰를 하며 그 시절이 떠올랐답니다. BM이라는 일은 여성들이 자신에게 어울리는 메이크업을 찾아가는아름다운 시간들을 세심히 관찰하고 뷰티에 대한 제안을 하는 일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어요.오늘 소개해드릴 미미박서는 BM직무를 맡고 계신Bella입니다! Q. 벨라, 안녕하세요~ 지금 하고 있는 일 소개 부탁해요A. 저는 브랜드 사업부의 BM 팀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포니 이펙트’ 브랜드 파트장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Q. 미미박스에는 어떻게 입사하게 되셨어요?A. 원래는 천연 기초 브랜드 회사의 상품기획팀에 있었어요. 하지만 색조 화장품을 다루는 일을 하고 싶어 준비하다가 미미박스라는 곳을 알게 되었죠. 마침 미미박스에서도 BM 직무를 채용 중에 있었고요. 직무뿐만 아니라 미미박스라는 회사가 주는 첫인상이 새롭기도 하고 끌렸어요. 왠지 모를 이끌림에 지원하게 되었고 운이 좋게 미미박스에서 원하는 직무를 얻을 수 있었죠. 포니이펙트 브러쉬와 함께 !Q. BM이라는 직무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A. BM(Brand Manager)은 한마디로 브랜드의 생애를 관리하는 일이에요. 브랜드의 기획부터 시작해서 제품 기획, 개발, 디자인, 마케팅, 세일즈 등 유관 부서와 협업을 합니다. 제품을 개발하고 출시할 뿐 아니라 출시 후에 제품과 브랜드에 영향을 주는 모든 것을 관리해요. 주된 업무인 신제품 개발 업무에 대해 설명해 드리자면 먼저 시장분석, 경쟁사, 고객 분석, 콘셉트, 목표 론칭일 등 내용이 담긴 신제품 기획안을 작성합니다. 그리고 연구소에 의뢰하여 샘플링을 시작합니다. 향, 제형, 자극, 효능/효과 등 테스트 및 품평하여 콘셉트에 맞는 만족스러운 최종 샘플이 나올 때까지 샘플링을 합니다. 확정된 샘플을 토대로 제품의 네이밍과 문안 작성 그리고 셀링 포인트를 설정합니다. 그리고 제품의 정보가 담긴 교육자료를 작성해요.이를 토대로 여러 유관부서 담당자들이 제품 출시를 위한 작업을 하고 제품이 출시된 후 판매 현황 분석 통해 재고 처리 및 단종 계획 등도 함께 진행돼요. Q. BM의 가장 어려운 부분은 무엇인가요? A. 제품이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을 때와 커뮤니케이션을 할때가 어려운 것 같아요. 왜냐면 BM은 회사 내외부적으로 브랜드와 관련된 모든 부서 및 파트너사와 잦은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기 때문인데요.예를 들면 제품개발에는 용기, 한 상자, 라벨, 제형(내용물) 등등 각 모든 요소에 각각의 파트너사가 있어요. 일정을 맞추기 위해서는 파트너사와 연락하고 일정을 조율해서 일을 진행해야 하죠. 하지만 이 과정에서 생산 과정 시 불량이라든지 퀄리티가 원하는 만큼 나오지 않는다든지 하면 모든 일정이 어긋나기 때문에 꼼꼼하게 사전 준비를 해야 합니다. 일정을 맞추기 위해 상황에 따라 더 강력하고 카리스마 있게 리드해야 될 때도 있어요. Q. BM을 하면서 가장 매력적인 부분과 가장 짜릿했던 경험은 무엇인가요?A. 아무래도 BM의 주된 업무는 신제품 개발인데요. 제품 개발과 동시에 디자인, 마케팅, PR, 리테일 등 담당자분들과 협업을 통해 제품을 론칭하게 돼요. 이렇게 여러 사람의 땀이 배어있는 제품이 성공적으로 출시되고 여러 유통채널에 입점하여있는 모습을 보거나 사람들이 저희 브랜드와 제품에 관심을 두고 사용하는 모습을 보면 희열이 느껴져요.특히 후기에서 ‘인생템’이다 라는 호칭을 얻었을 때 참 기분이 좋죠. 이런 반응이 모여 여러 채널에서 제품을 다시 찾을 때마다 기분이 좋아요.Q. 
조회수 2895

GitHub 계정으로 Kubernetes 인증하기

초기에는 kube-aws가 만들어준 관리자 인증서를 통해 Kubernetes를 관리했는데 역시나 대내외적으로 여건이 바뀌니 변화가 필요했다. 내부적으로는 개발 인력이 늘고 여러 프로젝트가 동시 진행되니 Staging 환경이 급격히 바뀌는데 계정이 하나이니 누가 무슨 작업을 했는지 확인하기 어렵고 외부적으로는 경쟁사의 보안사고 등에 영향을 받아 보안을 강화할 필요가 생겼다. 하여 보안 관련 작업을 여럿했고 그 중 하나가 바로 GitHub와 Kubernetes를 OAuth로 엮는 일이다.기본적으로는 개발자 각자가 자신의 GitHub 계정으로 인증 토큰을 받고 이를 이용해 Kubernetes API에 접근하는 것이다. 전체적인 흐름은 How I built a Kubernetes cluster so my coworkers could deploy apps faster 등을 참고하면 이해하기 그리 어렵지 않다.1. Admin time should be saved (since they are also our developers)2. New users can generate their own credentials without needing the admin3. User credential is always private for security reasons4. Developers have their own space to experiment5. Project spaces can be accessed and changed by multiple users6. In the future, we may want to enable auditing to track changes다만 저들과 달리 Webhook 토큰 인증 플러그인을 직접 짜지 않고 coreos/dex를 이용했다. Dex를 이용하면 GitHub를 비롯해 다양한 OpenID, OAuth 2.0 인증 서비스와 Kubernetes 클러스터를 엮기 쉽다. 더욱이 kube-aws에 Dex가 통합되어서 설치하기도 쉽다.설치하기구구절절 어떻게 설정하는지 설명할 생각은 없는데 회사와 프로젝트에 따라 세부적인 차이가 꽤나 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대략적인 작업 순서를 간략히 기술하고 끝내려 한다.우선 kube-aws의 cluster.yaml를 보자.# # Enable dex integration - https://github.com/coreos/dex # # Configure OpenID Connect token authenticator plugin in Kubernetes API server. # # Notice: always use "https" for the "url", otherwise the Kubernetes API server will not start correctly. # # Please set selfSignedCa to false if you plan to expose dex service using a LoadBalancer or Ingress with certificates signed by a trusted CA. # dex: # enabled: true # url: "https://dex.example.com" # clientId: "example-app" # username: "email" # groups: "groups" # selfSignedCa: true # # # Dex connectors configuration. You can add configuration for the desired connectors suported by dex or # # skip this part if you don't plan to use any of them. Here is an example of GitHub connector. # connectors: # - type: github # id: github # name: GitHub # config: # clientId: "your_client_id" # clientSecret: "your_client_secret" # redirectURI: https://dex.example.com/callback # org: your_organization # # Configure static clients and users # staticClients: # - id: 'example-app' # redirectURIs: 'https://127.0.0.1:5555/callback' # name: 'Example App' # secret: 'ZXhhbXBsZS1hcHAtc2VjcmV0' # # staticPasswords: # - email: "[email protected]" # # bcrypt hash of the string "password". You can use bcrypt-tool from CoreOS to generate the passwords. # hash: "$2a$10$2b2cU8CPhOTaGrs1HRQuAueS7JTT5ZHsHSzYiFPm1leZck7Mc8T4W" # username: "admin" # userID: "08a8684b-db88-4b73-90a9-3cd1661f5466"우선 GitHub의 Organization Settings 메뉴로 가서 OAuth Apps에 Dex를 추가한다. 이때 Authorization calllback URL은 https://dex.example.com/callback가 된다.GitHub가 준 Client ID와 Client Secret를 cluster.yaml에 적어넣는다.dex: enabled: true url: "https://dex.example.com" clientId: "example-app" username: "email" groups: "groups" selfSignedCa: false # # # Dex connectors configuration. You can add configuration for the desired connectors suported by dex or # # skip this part if you don't plan to use any of them. Here is an example of GitHub connector. connectors: - type: github id: github name: GitHub config: clientId: "GITHUB_OAUTH_APP_CLIENT_ID" clientSecret: "GITHUB_OAUTH_APP_CLIENT_SECRET" redirectURI: https://dex.example.com/callback org: DailyHotel # # Configure static clients and users staticClients: - id: 'example-app' redirectURIs: 'https://kid.example.com/callback' name: 'Example App' secret: 'ZXhhbXBsZS1hcHAtc2VjcmV0'staticPasswords: - email: "[email protected]" # # bcrypt hash of the string "password". You can use bcrypt-tool from CoreOS to generate the passwords. hash: "$2a$10$2b2cU8CPhOTaGrs1HRQuAueS7JTT5ZHsHSzYiFPm1leZck7Mc8T4W" username: "admin" userID: "08a8684b-db88-4b73-90a9-3cd1661f5466"여기서 dex.example.com은 kube-aws가 띄울 dex Deployment와 연결되는 서비스(ELB)의 도메인주소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kube-aws는 Dex의 External service를 생성해주지 않으므로 아래와 같이 직접 서비스를 생성해야 한다. GitHub가 이쪽으로 콜백을 보내야 하므로 방화벽을 열어야 하고 회사 도메인 인증서를 붙일 것이므로 `selfSignedCa`값은 `false`로 한다.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dex namespace: kube-system labels: app: dex component: identity dns: route53 annotations: domainName: dex.example.com service.beta.kubernetes.io/aws-load-balancer-ssl-cert: arn:aws:acm:blahblah service.beta.kubernetes.io/aws-load-balancer-backend-protocol: http service.beta.kubernetes.io/aws-load-balancer-ssl-ports: https spec: ports: # the ports that this service should serve on - name: https port: 443 targetPort: 5556 protocol: TCP selector: app: dex component: identity type: LoadBalancer loadBalancerSourceRanges: - 0.0.0.0/0staticClients / example-app는 Dex에 포함된 예제 프로그램이다. 이를 이용하면 웹 브라우저를 통해 GitHub에 인증하고 토큰을 내려받을 수 있다. DailyHotel/kid 등의 도커 이미지를 사용하면 쉽게 띄울 수 있다. kube-aws는 이 예제 프로그램을 띄우지 않기 때문에 직접 올려야 한다.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kid namespace: kube-system labels: app: kid dns: route53 annotations: domainName: "kid.example.com" service.beta.kubernetes.io/aws-load-balancer-ssl-cert: arn:aws:acm:blahblah service.beta.kubernetes.io/aws-load-balancer-backend-protocol: http service.beta.kubernetes.io/aws-load-balancer-ssl-ports: https spec: ports: - name: https port: 443 targetPort: 5555 protocol: TCP selector: app: kid type: LoadBalancer loadBalancerSourceRanges: - 사무실IP/32 --- apiVersion: extensions/v1beta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kid namespace: kube-system spec: replicas: 1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kid spec: containers: - name: kid image: dailyhotel/kid:latest livenessProbe: tcpSocket: port: 5555 timeoutSeconds: 120 ports: - containerPort: 5555 env: - name: CLIENT_ID value: example-app - name: CLIENT_SECRET value: ZXhhbXBsZS1hcHAtc2VjcmV0 - name: ISSUER value: https://dex.example.com - name: LISTEN value: http://0.0.0.0:5555 - name: REDIRECT_URI value: https://kid.example.com/callback이때 example-app의 REDIRECT_URI는 Dex의 REDIRECT_URI와는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자. 옵션의 이름이 비슷하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다. 또한 CLIENT_ID와 CLIENT_SECRET은 cluster.yaml 중 GitHub connector 설정이 아닌 staticClients 설정에서 쓴 값이라는 점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이 정도만 주의하면 dex를 설치하고 설정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이제 인증하는 방법을 알아보자.인증하기웹브라우저로 kid에 방문해서 토큰을 받는다. 첫 화면에서 Login 버튼을 누른 후 GitHub 로그인을 하면 토큰이 나온다.GitHub Public profile 메뉴로 가서 Public email 설정을 확인한다. 공개 이메일이 없다면 하나 추가한다. 로그인시 사용자 아이디로 쓰기 위함이다.kubeconfig 파일을 열고 kubeconfig 파일을 열고 MY_PUBLIC_GITHUB_EMAIL에는 GitHub 공개 이메일 주소를 적고 VISIT_KID_EXAMPLE_COM_AND_GET_TOKEN에는 앞서 받은 토큰을 적는다.apiVersion: v1 kind: Config clusters: - cluster: certificate-authority: credentials/ca.pem server: https://MY_KUBE_CLUSTER name: kube-aws-cluster contexts: - context: cluster: kube-aws-cluster namespace: default user: MY_PUBLIC_GITHUB_EMAIL name: kube-aws-context users: - name: MY_PUBLIC_GITHUB_EMAIL user: token: VISIT_KID_EXAMPLE_COM_AND_GET_TOKEN current-context: kube-aws-context인증 파일의 설정이 정확한지 확인하려면 kubectl --kubeconfig=./kubeconfig version을 실행해보자. 아래와 같이 Client/Server의 버전이 둘다 나오면 정상이다.$ kubectl --kubeconfig=./kubeconfig version Client Version: version.Info{Major:"1", Minor:"6", GitVersion:"v1.6.1", GitCommit:"b0b7a323cc5a4a2019b2e9520c21c7830b7f708e", GitTreeState:"clean", BuildDate:"2017-04-03T20:44:38Z", GoVersion:"go1.7.5", Compiler:"gc", Platform:"darwin/amd64"} Server Version: version.Info{Major:"1", Minor:"6", GitVersion:"v1.6.2+coreos.0", GitCommit:"79fee581ce4a35b7791fdd92e0fc97e02ef1d5c0", GitTreeState:"clean", BuildDate:"2017-04-19T23:13:34Z", GoVersion:"go1.7.5", Compiler:"gc", Platform:"linux/amd64"}참고 자료johnw188/dex-exampleKubernetes / Authenticating#데일리 #데일리호텔 #개발 #개발자 #개발팀 #기술스택 #도입후기 #일지 #경험공유 #Kubernetes #Github
조회수 674

160317_페이스북 포스팅 복기

들어가기 전 그냥 생각3주 동안 제품에 대한 내용을 매거진 형식으로 소개하겠다고 말을 했다. 하지만 현재 그러지 못하고 있다. 근데 고객은 그것에 대해 반응이 없다. 페이스북은 휘발성이 강하다. 그만큼 사람들의 머릿속에 남은 스위처에 대한 이야기 역시 휘발이 빠른 걸까? 그렇다면 사람들의 머릿속에 남는 것은 무엇일까?상황 설명3월 17일 포스팅한 컨텐츠지난 포스팅 에는 무료체험 이벤트 결과 및 댓글로 질문했던 내용들에 대해 짧게 답을 드렸다.해당 콘텐츠를 포스팅하기 전 나의 목표는 "무료체험에 신청했던 참여했던 사람들이 이번 포스팅에도 참여시킨다"였다. 이를 위해 지난 포스팅에 남겨준 댓글에 무료체험 결과 포스팅 링크를 하나씩 달아주었다.+ 사람들을 새로운 포스팅에 '@ 태그' 하고 싶지만 안되는군.콘텐츠 기획무료체험을 모집하는 포스팅에서 70명의 사람이 댓글을 남겨주었다. 모든 사람이 무료체험을 신청하겠다고 댓글을 남겨준 것은 아니었다. 그래도 "이벤트와 결과 포스팅"에 대한 연속적인 참여감을 보고 싶었다.그래서 무료체험 결과를 소개 및 문의 사항을 정리한 내용을 사람들이 남겨준 댓글에 모두 링크를 남기면 어떻게 반응할까? 궁금했다.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이번 포스팅의 '독자'와 'TPO'를 생각할 수 있었다.독자 : 무료체험 모집 포스팅에 댓글을 남겨준 사람들TPO : 스위처 페이스북에 자신이 신청한 무료체험에 대한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문제점1. 언제까지 신청해주세요 라는 데드라인 명시가 없었다.- 이게 있었으면 사람들의 기대감이 좀 더 올라가지 않았을까?2. 무료체험에 떨어진 사람들에 대한 생각을 하지 않았다.- 그 실망감은 어떨까?콘텐츠 제작미디엄을 통해 글을 작성하였다. 사진의 경우 지난 포스팅 내용을 캡처하였고, 새로 촬영한 사진은(제품 10개) 1장밖에 없어서 걸림돌은 없었다.글의 길이 역시 2 min로 만들어서 이론상 큰 문제는 없었다.결과1. 댓글을 남겨준 사람들에게 링크를 달아주었고, 해당 링크의 클릭률은 117%다. 중복 클릭이 있을 수 있다고 가정해도 90% 이상은 무료체험 결과 글을 클릭은 해봤을 것이다. (이 중 Read ration는 63%) 해당 글 전체 view는 240이다. 링크를 달아준 사람들의 클릭은 83 click이다. 전체 1/3 수준.2. 하지만 읽는 것과 해당 콘텐츠에 '참여' 하는 건 역시 별개의 문제 인 것 같다. 지난 포스팅/이번 포스팅 모두 참여한 사람은 17명 지난 포스팅 참여 인원 중 24%밖에 되지 않는다.3. 다른 페이스북 페이지에서의 '이벤트 결과' 관련된 포스팅의 경우 일반 포스팅에 비해 '참여'가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왜 일까? 이유는 아직 모르겠다. 관련된 내용을 좀 더 공부해서 내용을 포스팅해야겠다.처음부터 잘 안될 거라 생각을 하고 가진 게 잘못된 것 같다. 잘 안될 거라고 생각해서 댓글을 달아주면 어떨까?라고만 생각한 건 안일했던 것 같다. 안 될걸 알면 되게끔 다양한 것을 생각해봐야 할 텐데 그냥 댓글만 달아준다는 단순한 생각에 안주한 게 큰 잘못.4. 다시 생각을 해보니 독자 생각하는 단계에서 또다시 원점이 됐다. 누구나 생각할 수 있는 부분까지만 생각하고 그걸 가지고 콘텐츠를 만드려다 보니깐 근본적인 부분부터가 잘못된 것 같다. 바보..#스위처 #Switcher #마케팅 #마케터 #SNS마케팅 #SNS마케터 #페이스북 #페이스북마케팅
조회수 3001

미국의 금리인상이 한국의 스타트업에 미치는 영향

 사람을 화성에 보내네 마네, 가상현실세계가 구현되네 마네 하는 지금 이 시대에도, 미국이 금리를 올리고 내리면 항상 경제면 탑 뉴스를 장식하게 되는 건 변함이 없다. 대체 미국 금리가 지구 반대편에 사는 우리와 무슨 상관이 있을진대 저렇게 떠들썩한 걸까? 세상 사람들이 저렇게 너도나도 달러와 금리를 외치고 있는데, 과연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우리들은 그런 사바세계의 삿된 번뇌와 거리를 두고 묵묵히 자기 일만 하면 되는 걸까? 뭘 끄적이면 좋을까 생각하던 차에, 항상 나를 놀라게 하는 우리 팀원들이 전혀 겹치지 않을 거라 생각했던 이 두 점을 하나로 이어주었다. 전혀 새로운 관점에서 기존의 것을 바라보게 되는 경험은 언제나 신선하고 놀라웠으며, 머릿속에서 글자들이 마구 떠오르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렇게 오늘의 주제가 되었다. 미국의 금리가 오르면, 한국의 스타트업 시장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 최대한, 아주아주 쉽게 설명해 볼 생각이지만, 생각보다 어려울 수도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이 정도의 지식만 알아도, TV나 신문에서 떠들어 대는 경제 관련 뉴스의 6할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1. 금리? 환율? 달러? 대부분의, 경제라는 것이 어설피나마 작동하고 있는 나라는 '기준금리'라는 것을 정한다. 미국의 경우는 연방 기금 금리(통칭 FF Rate)를 FRB(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월별 회합에서 정하며, 한국은 한국은행 휘하 금융통화위원회의 월 정례 회의에서 정하고 있다. 어려운 얘기는 여기까지만. 아주 간단하게 말하면,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은행끼리 돈을 빌리고 빌려줄 때의 이자율이 높아져서, 시중 은행들도 거기에 맞춰 금리를 올리게 된다. 그래서 금리가 올라가면 돈 빌린 사람은 갚을 이자가 늘어나고, 돈 빌려준 사람은 받을 이자가 늘어난다. 그리고 우리 모두가 알고 있듯, 외국에 나가서 콜라를 사먹고 만 원짜리 지폐를 꺼내 계산할 순 없다. 황당한 눈으로 바라보는 점원의 눈빛은 당신을 이미 얼간이로 규정지은 뒤일 것이다. 여기서 환율이라는 것이 등장한다. 1달러, 100엔, 1유로, 1캐나다 달러, 1스위스 프랑...모든 화폐는 저마다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만약 조개껍데기를 돈으로 쓰는 나라가 있다면, 조개껍데기 1개=200원 하는 식으로 가치가 매겨지는 것이다. 옛날옛적에는 사람들이 환율을 따질 때 영국의 파운드를 기준으로 삼았었다. 하지만 그리 멀지 않은 과거에 그 기준은 아메리칸 달러로 바뀌었고, 이 '기준이 되는 나라의 돈'을 '기축통화'라고 한다. 기축통화가 무엇이고 왜 필요한 지는 아주 간단하게나마 설명하고 넘어가자. 2018년 10월 11일의 원-달러 환율은 1달러당 1,135.66원이었고, 달러-엔 환율은 1달러당 112.473엔이었다. 그럼 1,000원은 몇 엔일까? 1$=1,135.66₩=112.473¥이다. 112.473/1135.66*1,000으로 계산하면, 1000원은 약 99.04엔이 된다.  이런 식으로, 세계 모든 돈의 가치를 달러로 재기로 정해놨기 때문에, 달러의 가치가 달라지면 환율은 심하게 요동치게 된다.  마지막으로 하나만 더. 돈의 가치는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의해 결정되므로, 찾는 사람이 많거나 세상에 나도는 양이 적으면 가치가 올라가고, 사람들이 죄 내다 팔거나 세상에 나도는 양이 많아지면 가치가 내려간다.  *이 때의 일급 4딸라는 대략 16만 3천원 정도라고 한다.2. 1+1+1+1=?? 이제 이것들을 하나로 합쳐볼 것이다. 슬슬 짜증이 나기 시작하겠지만, 여기만 잘 이해하면 나머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으니 조금만 인내심을 갖고 논리적으로 잘 따라오기만 하면 된다. 얼마 안 남았다. 앞서 설명했듯이, 달러는 기축통화로서의 지위를 갖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적인 가치를 갖고 있다. 1미터의 길이가 어느 날은 95센티미터였다가, 어느 날은 121센티미터가 되거나 하면 세상 모든 길이의 개념이 뒤죽박죽이 되어버릴 것과 같다. 미국은 아직도 미터법을 안 쓰는 해괴한 나라라서 어쩌면 상관없을 지도 모르겠지만.  그리고 기준금리가 올라가면 돈을 빌려주는 사람이 유리해진다. 같은 돈을 투자해도 더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즉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안정적인 가치를 가진 달러를 이용하여 투자했을 때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게 된다. 100달러 투자해서 10달러 버는 것과 1,000원 투자해서 100원 버는 것, 어느 쪽이 더 이득일까? 당연히 전자다. 이제 사람들이 원은 필요없으니 팔아버리고, 달러로 바꿔서 투자를 한다. 그래서, 설명이 아주 길었지만, 결론적으로,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원-달러 환율이 올라가고, 세계의 투자자금이 마치 블랙홀에 빨려들어가는 것처럼 미국으로 향하게 된다.*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원의 가치는 대략 이런 느낌이 된다.3. 그래서 스타트업이랑 무슨 상관인데 눈치가 빠른 사람들이라면 이미 눈치챘을 것이다. 투자자금이 미국으로 몰린다는 얘기는, 한국의 투자시장에서 돈이 빠져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게 되면 주식, 채권, 부동산 할 것 없이 시장이라는 시장은 죄다 끝간 델 모르고 하락세로 돌아서게 된다. 외부 요인에 의한 경기 둔화가 시작되는 것이다. 돈은 돌고 돌아야 돈인데, 그 돈이 자꾸 외국으로 나가니 시장이 얼어붙기 시작한다. 그래서 많은 나라들은 미국의 기준금리보다 높은 금리를 유지하려고 한다. 나라라기보다 거대 경제 블럭에 가까운 EU, 해괴하기가 이를 데 없는 명목상 마이너스 금리를 시행중인 일본 같은 특수 케이스를 제외하면, 어쨌든 미국보다 높은 금리를 유지해야 자본이 밖으로 흘러나가지 않기 때문이다. 시장의 안정성이 낮을 수록 이 경향은 강하다. 말인즉슨, 한국도 기준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압박이 가해진다는 뜻이다. 사족으로, 대출을 받아놓은 사람들은 늦기 전에 변동금리가 아니라 고정금리 상품으로 갈아타는 것을 추천한다. 이미 은행에서 미리미리 그런 상품들은 다 치워버렸거나 이자율을 높여놨을테지만. 모든 기업이 그렇지만 특히 스타트업은 돈이 부족하다. 운영자금조차 없어 허덕이기도 하고, 임대료와 인건비도 제대로 못 맞추는 경우조차 허다하다. 대표가 빚을 내는 건 비일비재하고. 대출금리까지 오르면 그야말로 죽을 맛이다. 거기다, 같은 스타트업 시장에 투자를 해도 미국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게 더 이득이 된다. 가뜩이나 좁아터진 시장인데 득실계산을 해보면 더더욱 메리트가 떨어지기에, 글로벌 단위로 움직이는 투자사들이 포트폴리오의 국가별 구성비를 변경할 가능성이 높다. 같은 아시아 지역의 마이크로 펀드라고 해도, 어차피 리스크를 질 거라면 금리가 더 높은 나라의 기업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거나 현금 보유비율을 높여 자산 가치를 보전하는 쪽을 택하게 된다. 금리가 그대로면 투자자본이 이탈하고, 금리가 오르면 대출이자 부담이 늘어난다. 결국, 미국의 금리가 오르면 한국의 스타트업 시장도 장기적인 자금 압박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다.*안 그래도 돈 없어 죽겠는데 더 힘들어질 거라고 하면...4. 오늘 굶으나 내일 굶으나 굶긴 매한가지 아닙니까 그러면 의문이 든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당장 창업한 기업을 때려치우고 공무원 시험이나 알아보아야 할까? 전혀 그렇지 않다. 어차피 하이퍼 리스크-하이퍼 리턴을 노리고 창업을 하는 건데 그까짓 거시경제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리스크 요인 하나가 더해졌다고 해서 여러분의 심장이 쫄깃해질 필요는 어디에도 없다. 생각해보면, 미국의 금리 인상이 가져올 충격이 한국에 도달하기 전에 우리 회사는 이미 망해있을 수도 있으니까. 중요한 것은 일단 살아남는 것이다. 당장 굶어죽을 판인데 독이 든 사과면 뭐 어떤가, 일단 삼키고 봐야지. 그 사과를 안 먹으면 100% 죽고, 먹으면 50%확률로 산다면 결론은 불보듯 뻔하다.  지금 하는 사업에 자신이 있고, 성공을 확신한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하지만 여러분이 따스한 감성의 소유자라면 뭐 그럴 수도 있겠다고 생각한다.5. Winter is coming 그래도, 적어도 오래도록 살아남아 성공의 꿈을 이루고자 한다면 어느 정도 준비는 해야 할 것이다. 특별한 수는 없다. 사업 아이템을 더 가다듬고, 비즈니스 모델을 고도화하고, 서비스나 제품 퀄리티를 높이고...때로는 정공법만이 답일 때가 있으니까. 그래도 한 가지 말해두고 싶은 건, 조금 더 뾰족하게 갈아둘 필요가 있을 거라는 것이다. 어차피 한국의 시장은 너무나 작고, 그 중에서도 스타트업 시장이라면 더더욱 작다. 아마 중소규모의 펀드에서도 한국의 스타트업 시장이라면 포트폴리오의 0.01%도 차지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체적인 영향은 덜 받겠지만, 아주 작은 자금 흐름의 변동으로도 체감상 변화는 크게 느껴질 수 있다. 아직 뚜껑을 열어본 것은 아니기 때문에, 어떻게 될 것이라고 단언할 순 없다. 세상에 절대라는 건 절대로 없으니까. 하지만 큰 물줄기가 바뀌어 가는 것을 먼저 감지한다면, Plan B를 준비해둬서 나쁠 건 없다. 조금 더 단기적인 현금의 확보와 매출의 성장, 중장기 운영 자금 조달을 위한 핀포인트 비즈니스 모델을 준비해 놓고, 언제든 시장에서 변화의 낌새를 알아챘을 때 시행할 수 있도록 해두면 좋을 것 같다. 뭐 누구는 돈을 벌기 싫어서 안 버느냐는 말이 당연히 턱밑까지 치고 올라오겠지만, 기존 비즈니스 모델과 해리감이 있더라도 단기적 현금 흐름의 확보에 집중한 계획, 즉 Business Contingency Plan을 말하는 것이다. 사실 매일매일이 Contingency로 꽉 차서 하루는 커녕 1시간 뒤에 무슨 일이 터질 지 모르는 게 스타트업이긴 하지만.*1딸라에 만족하지 않고 4딸라를 추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팀원들이 던져준 아이디어에 덥썩 숟가락을 올려놓으며 생각해 본 것은, 이전 직장에서 하던 일과 현재의 일은 아무런 연결점이 없을 것이라고 나 스스로 단정짓고 있었다는 점이었다. 분명 이질적이고, 상당히 다른 업계지만, 돈을 다루고 금융에 조금이라도 관련이 있다면 어디에선가 분명히 이어지는 점이 있을 것이라는 점을 한참동안 잊고 지냈던 것 같다. 작은 계기였지만, 시장과 미래를 예측하는 감각이 오랜만에 움직이는 것을 느꼈고, 낯익지만 무언가 새로운 경험을 한 것 같다. 이럴 때 주식투자를 해야한다는 생각이 강하게 듦과 동시에, 이번달 휴대폰 요금이 제대로 납부될런지 걱정하며 글을 마친다.#더팀스 #THETEAMS #인사이트 #증권 #금융지식 #금융권 #스타트업 #세계시장 #관계
조회수 1568

냉철한 친절함으로 첫 문을 열어주는 사람들

와디즈의 따뜻한 매형와디즈에서 오픈하는 리워드 프로젝트는 처음과 마지막을 리워드 심사팀과 함께 합니다. 와디즈의 심사 기준에 맞는지, 제품군에 따라 필요한 인증이 있다면 모두 충족되었는지 그리고 서포터들에게 약속한 날짜에 잘 배송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지요. 매의 눈빛으로 냉철하게, 때로는 메이커들이 와디즈에서 더 멋지게 데뷔할 수 있도록 메이커 입장에서 친절하게 심사를 도와드리는 리워드 심사팀의 하루를 소개합니다.09:00 - 두근두근, 신규 프로젝트 확인메이커분들이 밤새 열심히 프로젝트 페이지를 개설하여 검토 요청을 누르시면 제출된 순서대로 꼼꼼하게 확인합니다. 그리고 카테고리별로 심사 담당자들은 신규 심사를 진행하지요. 이렇게 검토 요청들어온 프로젝트 수가 놀라울 정도로 매일매일 늘어납니다. 돌고래 주파수로 행복한 비명을 질러요.10:00 - 기존 심사건 회신카테고리별로 신규 프로젝트 건수와 간략한 내용을 확인 후, 가장 먼저 하는 일은 기존에 저와 소통하는 메이커분들의 이메일에 회신을 하는 일이지요. 대체로 저희가 요청한 서류를 회신으로 보내주시거나 와디즈 프로젝트 심사기준에 맞게 수정했다고 회신을 주시는 경우지요.와디즈 메이커분들은 처음으로 사업을 시작하시는 스타트업이 많아요. 그래서 심사를 하다보면 저희가 제출 요청드리는 서류에 대해 문의하시는 메이커분들이 많아요. 법적으로 반드시 받아야 하는 인증서류이기 때문에 받는 경우도 있지만, 크라우드펀딩이기 때문에 받는 서류들도 많습니다. 쇼핑몰은 결제 즉시 로켓으로 쏘아올린 제품을 배송받지만, 크라우드펀딩은 펀딩 후 평균 1~2개월 후 리워드를 받습니다. 펀딩이 마감될 쯤 성공 여부에 따라 리워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죠. 따라서 메이커분들을 믿고 펀딩하는 서포터분들에게 안전한 리워드를 제공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인증들이기 때문에 저희는 하나도 빠지지 않고 집착을 해서 모두 받아냅니다. 11:30 - 신규 심사건 회신기존에 소통하고 있던 예비 메이커님들과의 메일에 모두 회신을 했다면, 이제 새로운 프로젝트들을 하나하나 확인해 볼 차례예요. 리워드 심사 담당자로서 가장 어렵고도 흥미로운 때는 제가 지금까지 모르던 신기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나볼 때죠. 펀딩 욕구가 뿜뿜할 때도 있지만, 난생 처음 보는 테크 제품은 많은 리서치를 필요해요. 메이커님에게 들은 설명이 부족할 때는 관련 논문이나 기사도 찾아보고, 기관에 전화해서 여쭤보기도 하지요. 리워드로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해해야 심사도 진행할 수 있으니까요.와디즈는 이 제품이나 서비스가 얼마나 매력적인지에 대해 초점을 두고 심사하지 않아요. 매력도는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인 만큼 와디즈 서포터들이 집단 지성으로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이니까요. 다만 이 제품이 생산되거나 서비스가 런칭되어 서포터에게 전달되었을 때, 위험성이나 사회적으로 이슈는 없을지 와디즈 자체 심사기준에 따라 심사하고 있어요.만약 당신이 이런 사람이라면,와디즈 리워드 심사 담당자입니다.- 얼리어답터 성향으로 다양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나보는 것에 설레시는 분- 새로운 지식에 대해 리서치하는 것이 재미있는 분- 어려운 내용을 알아듣기 쉽게 설명하는 재능을 가지신 분- 이슈답게 갑자기 발생해도 당황하지 않고 차분하게 대응하며 해결방안을 만드시는 분- 빠른 실행력과 꼼꼼함으로 중무장하신 분13:30 - 카테고리별 심사 가이드라인 정리이미 카테고리별 심사 가이드라인이 있지만 오늘 새롭게 들어온 케이스를 정리해 두어야합니다. 새로운 심사 담당분들이 입사했을 때도 참고하실 수 있는 자료가 되지만, CX담당자분들이 예비 메이커님에게 심사 기준에 대해 설명드릴 때도 유용하지요. 가장 큰 이유는 제가 찾아낸 노하우들이 사라져버리지 않도록, 오늘 한 고생 내일은 하지 않으리! 이는 와디즈가 일하는 방식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도 합니다.15:00 - 메이커와 대면 심사 진행리워드 프로젝트 심사는 대부분 스토리의 사진과 영상, 보내주신 서류 등을 통해 서면으로 진행됩니다. 직접 대면으로 리워드를 확인해야 할 때도 있어요. 리스크가 높아보이거나 원리나 작동방법을 두 눈 부릅뜨고 확인해야 하는 제품군인 경우이지요. 메이커가 직접 리워드를 갖고 와디즈를 방문하시면, 심사 담당자들이 꼼꼼하게 확인하고 생산 계획 등 인터뷰를 진행합니다. 와디즈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신뢰'를 점검하는 절차입니다. 17:00 - 담당 리워드 콘텐츠디렉터 지정오늘은 모두 심사가 마무리되었어요. 와디즈에서 진행 승인을 받은 팀들은 메이커님이 선택하신 수수료방식과 카테고리에 따라 담당 CD나 퀵오픈 담당자를 배정합니다. 프로젝트 오픈을 도와드릴 와디즈 담당자와 메이커간 찰떡 궁합이길 바라면서요. 이 합이 펀딩 성공의 키는 절대 아니지만, 담당자들이 메이커와 즐겁게 프로젝트 오픈 준비를 하는 것을 보면 이상하게 뿌듯하답니다.와디즈 리워드 심사 담당자에게 물었습니다.Q. 어떤 성향의 사람에게 이 리워드 심사 업무가 적합할까요?A. 다양한 분야를 알아가는데 흥미를 가지고 있다면 즐겁게 일할 수 있을 거예요. 와디즈 펀딩 특성상 리워드 심사 담당자는 아직 세상에 선보이지 않은 아이디어 제품과 서비스들을 가장 먼저 만나볼 수 있는 어마어마한 기회가 주어지죠. 해당 제품/서비스가 와디즈 펀딩의 목적에 부합하는지, 실제 그 제품/서비스 실현 가능성은 있는지, 유통 시 국내 법에 저촉되진 않는지 등 다양한 배경지식을 습득할 수 있어요. 여기에 꼼꼼한 성격이 더해지면 금상첨화!Q. 어떨 때 힘드신가요?A. 워낙 다양한 제품이 들어오다보니 검토해야 할 내용이 많고 정말 많아요. 심사 업무를 하면서 매일매일 발전하는 와디즈를 보게 되지만, 여전히 생각지도 못했던 제품들이 쏟아져 리서치하는데 시간을 많이 써야한답니다. 하지만 새로운 것들은 늘 짜릿함을 동반합니다. Q. 업무하면서 가장 뿌듯했던 순간은요?A. 와디즈 펀딩의 가치를 메이커님께 전달해드려 공감을 이끌어내고 펀딩 성공까지 했을 때이죠. 이건 심사뿐 아니라 와디즈의 많은 직구들이 다 그럴 거예요. 펀딩 성공 후, 정식으로 제품/서비스를 출시하고 투자도 받으셨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가장 뿌듯해요.와디즈에서 서비스운영을 맡고 있는 장민영입니다.  와디즈에서 선한 자금 흐름을 만드는 일이라면 무엇이든 하고 있습니다. 좋은 사람들을 곁에 두고, 운영이라는 것이 얼마나 가치 있는지를 세상에 보여주고 싶다는 자부심으로 오늘도 씩씩하게 출근합니다.글 : 장민영편집 및 사진 : 차재영#와디즈 #기업문화 #기업소개 #조직문화 #팀소개
조회수 824

미팅룸의 브랜딩 : 비쥬얼브랜딩의 시작

우리 회사도 브랜딩을 해보자!!! 라는 생각이 등장하고 나면 우리 회사의 대부분의 것들이 꼬져 보입니다. 이 브랜딩이란 게 참으로 단어도 멋지고 막 요즘 사방팔방 브랜딩난리이니, 안하면 뒤쳐진 것 같은 느낌과 동시에 브랜딩을 한다는 것이 막 새 집 이사가는 것 같은 설레임을 주기도 합니다. 뭔가 대단한 것을 하고 있는 듯한 기분도 들고, 이번에 확실하게 브랜딩을 해놓으면 막 우리회사가 여기저기 회자되며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고 카페에서도 막 '너 그거 써봤어?' 라는 얘기가 오고가는 상상을 합니다. 브랜딩만 하면 우리 회사 졸라 짱이 되는거야!! 가즈아!!!!브랜딩 가즈아아아!! 하지만 현실은 좀 다릅니다. 브랜딩을 한다고 해서 뭐가 갑자기 바뀌는 것도 아니고, 대단히 엄청난 충격이 쎄게 오는 것도 아닙니다. 단시간내에 우르르 인기를 끈다고 해서 그게 지속되리란 법도 없고, 오히려 급격한 이미지구축은 '쟤 왜 저래?' 라는 갸웃거림을 자아내기도 합니다. 일단 설레이는 마음은 좀 내려놓고 브랜딩을 시작하기에 앞서 생각을 먼저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생각을 정리한 자료를 가지고, 디자이너를 만나보는 것이지요. (또는 내부디자이너에게 요청하거나). 광대하고 우주적인 개념들을 크앙크앙거리며 열변을 토한다고 상대방이 쉽게 이해할 순 없습니다. 일단 미팅을 하고 내 생각을 잘 전달해서 최적의 결과물을 만들려면, 말하는 쪽에서 최대한 깔끔한 언어를 구사해주어야 합니다.준비할 내용이 있습니다.1. A4용지 여러 장2. 연필과 지우개3. 충언을 서슴치않는 직원 1명(팩트폭력역할)4. 지당하신 말씀이시옵니다 직원 1명(멘탈지킴이)5. 자료뭉치(외부레퍼런스와 내부사업자료 모두)6. 마음(멘탈 꽉 잡으시고)각 준비물들의 쓰임새는 아래의 미팅준비단계에서 차근차근 설명하겠습니다. 일단 준비가 완료되면 본격적인 생각정리 스텝을 밟아보도록 하죠.1단계 : 내부정리1. 브랜딩은 일을 벌리는 것이 아닙니다.2. 그러나 일이 생기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3. 새로운 일이 하나 생길 때는 기존의 일을 하나 줄일 수 있는 지 고민해야 합니다.4. 내부 업무부터 효율적으로 만듭니다. 여유공간을 주는 것이지요.5. 내부자료를 꺼냅니다(준비물5번)6. 우리 사업의 사업계획서와 제안서, 업무분장표, 프로젝트현황 등을 나열합니다.7. 우리는 도대체 왜 때문에 바쁘고 정신없는지 충신(준비물3번)으로부터 듣습니다.8. 지당한 말씀 격려를 받으며 멘탈을 잠시 다잡습니다.(준비물 4번)9. 내부에 쓸데없는 일들과 인력낭비를 쳐냅니다.10. 시간과 인력을 확보한 뒤 다음을 진행합니다.위 단계에서 시간과 인력이 확보가 되지 못했는데 억지로 브랜딩을 감행하거나, 원대한 꿈을 맘껏 펼치겠다고 하면 사무실의 7개지옥이 열리고 어디선가 켈베로스가 등장해 컴터를 다 씹어먹는 사태가 발행할 수 있습니다.대표님 마음이야 충분히 이해합니다. 빨리 브랜딩해서 챡챡 정리된 멋진 회사의 모습을 보고싶겠지만... 항상 일은 내가 아닌 실무자가 하고 있단 사실을 깨달아야 합니다. 일에는 순서가 있고 체계와 비용이 필요합니다. 사람이 하는 일이다보니 그렇게 우주적인 내용을 챡챡 만들어내기 힘듭니다.  직원들에게 인피니티스톤이라도 하나씩 크리스마스 선물로 주신다면 모르겠지만.우리 브랜드를 이해하려면 적어도 우주급빌런은 되어야 하지2단계 : 브랜드정리1. 대표님 자신과 직원들을 찬찬히 보십시다.2. 이 사람들을 한 마디로 묶으면 어떤 집단일까요3. 우리가 누구인지부터 규정합니다.4. 그 사람이 뭔 일을 하고 있는지 규정합니다.5. 그거 왜 하고 있는지 살핍니다.6. 누가 무엇을 왜 하는 지 문장으로 만듭니다.7. 여기까지는 그냥 브랜딩 경영서에 나오는 것들입니다.8. 그것과 상관없는 일들을 구별합니다.9. 그건 왜 시작하게 되었는지 생각해봅니다.10. 대부분 그냥 돈때문입니다.11. 일단 그것들은 저리 치워놓습니다.12. 6번내용을 실제로 구현하는 우리 회사의 정책은 무엇인지 살펴봅니다.13. 대부분 없습니다.14. 없으니까 미팅을 하는 거겠죠.15. 로고, 슬로건, 제안서, 회사소개서 등등을 쭉 꺼내옵니다.16. 6번과 관계가 있는지 살펴봅니다.17. 대부분 없습니다..18. 합리화시키지 않습니다. 딱 봤을 때 아니면 아닌겁니다.19. 만들어야 할 것들 리스트를 정리합니다.20. 각 제작물들의 역할과 기능을 정의합니다.내부 브랜딩정리는 참 어렵습니다. 크게 3가지 이유죠.우선은 합리화가 지립니다. 사람이 말은 하면 할수록 말이 된다고...생각이 많아지고 말이 계속될수록 이것도 말이 되고 저것도 말이 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그렇게 오랜 고민을 통해 브랜딩을 인식하지 않습니다. 직관적인 겁니다. 그리고 이성적이지도 않고 논리적인 것도 아닙니다. 그러니 6번을 규정했다면 그 기준에 맞춰서 나머지 것들을 판단합니다.두 번째는 애정이 넘칩니다. 어쨋든 사업초기에 애써서 고생해서 만든 눈물과 애환과 피와 땀이 녹아있는 사랑스러운 것들이라서 쉽사리 버리기가 힘듭니다. 제작물에 인격을 부여하지 마세요. 애정어린 옛 것들로 사업하는 게 아닙니다. 방향에 맞으면 남기고, 아니면 버립니다. 주로 대표님이 혼자 하기엔 마음의 상처가 너무 크니, 냉정하기가 이루말할 데 없는 직원에게 일임하도록 합시다. 마지막으론 6번 정리가 안됩니다. 6번의 잘못된 예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열정 넘치는 사람들이 소비자의 행복을 위해 만드는 가치있는 생활가구세상 멋진 말을 다 가져다 붙이는 게 정의가 아닙니다. 정의...라는 것은 어떤 개념으로 일축되어야 합니다. 정의에 또다른 정의가 필요한 저런 문장은 그냥 똥입니다.; 가구덕후들이 모여 만든 원룸족들을 위한 공간창출 생활가구이렇게 '아, 1인가구 전문기업!' 으로 일축!!... 물론 퀸사이즈도 팔고 3인용 식탁도 팔겠죠. 하지만 그건 플러스알파인 겁니다. 우리가 이것저것 다판다고 해서 '이것저것 다팝니다.' 라는 식이라거나 (아예 다이소처럼 그걸 컨셉으로 가져갈 게 아니라면) 가치있는 가구를 팝니다 는 등의 어쩌라고?식의 문장들만 늘어놓는 것이 딱히 좋은 방식은 아닙니다. 일단 우리의 메인을 잡고 가는 겁니다. '메인은 이건데 너무 1인가구만 팔면 2인가구는 불편할까봐 이것도 팔고있어' 라는 식인거죠. 그래서 6번을 정의할 땐 아주 메인과 부가적인 영역을 잘 구분해야 합니다. 잘 모르겠으면 지금부터 정리해서 잡도록 합시다.아니 브랜드에 멋진 말 안쓰면 회사 기가 죽습니까3단계 : 미팅준비1. 2단계의 19,20번에서 준비한 리스트와 장표를 들고 갑니다.2. 6번문장도 숙지합니다.3. 제작의뢰를 합니다.4. 단가책정을 하거나 총 금액으로 합산합니다.5. 보통 저런 비쥬얼브랜딩 제작물을 따로따로 만들진 않습니다.6. 제작 후엔 관리가이드도 함께 요청합니다.7. 기한을 산정합니다.8. 디자이너와 레퍼런스 정리를 하고9. 이 다음부턴 보통 디자인 커뮤니케이션과 같습니다.10. 브랜딩담당 직원과 컨택포인트를 연결합니다.여기서 10번의 직원은 브랜딩총괄을 하란 것이 아닙니다. 디자이너와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채널을 압축시키는 것이지, 그 사람이 혼자 브랜딩하란 얘기가 절대 아닙니다. 근데 보통은 절대 아니라고 이렇게 말해도 어느덧 시간이 지나면 그사람이 독박쓰는 경우가 99%더군요. 그래서 직원들 사이에서 뭐 똥을 밟았니, 잘못 걸렸다느니 하는 소리가 나오는 겁니다. 업무분장할 땐 이걸 명확히 해줘야 합니다. 그 담당직원에게 '너가 다 하는 게 아니야.' 라고 달래봤자 소용없습니다. 다른 직원들에게 다른 일을 주는 것이 더 중요하죠.넌 디자이너와 컨택만 해넌 실무운영가이드를 만들어넌 현재까지 만들었던 기존 제작물 파일들모아서 외장하드에 봉인시켜넌 대외홍보용 채널 확보해놔넌 매장인테리어, 앱 리뉴얼 단가랑 프로세스 확인해이런 식으로 나누어주는 겁니다. 내부적으로 '아 쟤가 다하는구나.' 라는 분위기를 만들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상처를 치료해줄 사람 어디 없나 가만히 놔 두다간 끊임없이 덧나 사랑도 사람도 너무나도 겁나 혼자인게 무서워 난 잊혀질까 두려워 상처를 치료해줄 사람 어디 없나...제발이렇게 미팅을 시작하도록 합시다. 비쥬얼브랜딩 미팅 이후의 제작단계는 디자이너가 알아서 할 일입니다. 물론 그 디자이너가 어떻게 브랜드제작물을 만드는가는 제 다른 매거진의 글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면 편하실 듯 합니다.1. 로고를 만들어보쟈2. 회사소개서를 만들어보쟈(1)3. 회사소개서를 만들어보쟈(2)4. 제안서를 만들어보쟈5. 컨셉을 잡아보자오늘 글의 본질은 '내 생각을 먼저 정리하고 미팅을 하자' 라는 것입니다. 제 경험상 미팅이 폭망하거나 또는 뭔 말인지 못 알아듣겠거나, 하기 싫거나 또는 해도 결과물이 이상하게 나오거나, 잘나와도 관리가 안되는 모오오오오오오오든 이유는 최초에 '제작의 목적' 자체가 흐지부지였기 때문입니다. 처음엔 그렇게 말하지 않았잖아요...흐르르그르흐르륵제대로 기한을 잡고 내부정리를 먼저 하라는 이유는 서로 언짢고 매너없는 경우를 피하기 위함입니다. 개인적으로 프로젝트하다가 '내부적으로 정리가 안되서요..좀 바빠서요...다음 주에 피드백 드릴께요..' 라는 식으로 계속 딜레이만 되거나 또는 컨택포인트라고 알려준 사람이 전혀 내용을 모르고 있거나, '확인하고 다시 연락드릴께요.' 라거나.... 아니 왜 자기 회사 브랜딩프로젝트를 직원이 확인을 해봐야 하는거지??? 애시당초 내가 몸담고 있는 곳의 정체성이 어떻게 바뀌는 지에 대한 공유와 협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얘기 아닐까요. 대기업이나 BX팀이 따로 존재하는 경우는 그럴 수도 있을 것 같지만, 제가 저런 말을 들은 곳은 소위 '그래서는 안되는 곳' 들 이었습니다. 그러니 프로젝트를 시작하기전엔 일단 우리가 그 프로젝트를 잘 운영할 수 있는 여건인가? 를 확인해 보는 것이 서로를 위해 좋을 듯 합니다.그리고 2단계에서 먼저 브랜드정리를 하는 이유는 추후에 '아 맞다!!..' 또는 제작도중에 계속 방향이 바뀌고 딴 소리가 나오는 것을 최소화 시키기 위해서입니다. 시안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질 순 있겠으나, 전체 방향자체가 바뀌어버리면 안되는 겁니다. 이것은 신뢰도에 문제이기도 합니다. 어쩃든 디자이너도 외부사람입니다. 일단 그에게 비춰지는 회사의 이미지를 생각해보세요. 이랬다저랬다 생각만 많고 정리도 안되어있고... 이런 느낌으로 다가가선 안될 듯 합니다.마지막으로 예산관리는 어떤 것들을 하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솔직히 말해서 50만원들여서 제안서 하나 만드는 걸 브랜딩이라고 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그건 그냥 제안서 만드는 거지 브랜딩이 아닙니다. 비쥬얼브랜딩 프로젝트는 보통 개월단위 또는 연단위로 진행되고 예산도 보통 수백에서 수천까지 예상보다 훨씬 "많이"듭니다.그리고 제작되는 제작물의 가이드와 관리, 운영까지 모두 프로세스잡고 실제 보여지는 과정까지가 비쥬얼브랜딩이기 때문에 시안만 전달하고 안녕~하는 것은 그냥 디자인 작업한 거지 뭐 브랜딩했다뭐한다 얘기하기가 조금 이상한 부분이 있습니다. 디자인의 본질은 그 기능에 있습니다. 디자이너가 결과물의 기능을 100%책임질 순 없지만, 떠내보내고 나몰라라 하는 것도 웃긴 일입니다. 적어도 궤도상에 올리는 단계까지의 가이드는 제공해주는 것이 맞습니다. 가능하면 그 과정까지 인볼브하는 것이 좋구요.모두모두 깔끔한 정리로 깔끔한 미팅과 만족스런 결과물들로 새해를 시작하셨으면 좋겠습니다!!!~~메리 크리스마스 :)
조회수 1053

Vue, 어디까지 설치해봤니?

Overview새로운 사용환경 구축에 도전하는 건 개발자의 운명과도 같습니다. 오늘은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는 Vue (프론트엔드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를 도전해보겠습니다. Vue는 다른 프레임워크에 비해 가볍고, 개발하기에 편합니다. 그럼 우선 Vue를 설치합시다! Vue 설치CDNhttps://unpkg.com/vue 주소를 script 태그에 직접 추가 Vue.js 파일다운개발용, 배포용 버전을 다운 받아 script 태그에 추가개발용 버전은 개발에 도움이 되는 모든 경고를 출력하기 때문에 개발 중에만 사용하고, 실제 서비스에서는 배포용 버전으로 사용해야 한다. NPM 설치규모가 큰 프로젝트 경우 컴포넌트별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싱글 파일 컴포넌트 방식 추천 Vue를 설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각자 특성에 맞게 편리한 방법으로 설치해주세요. 이번 글에서는 싱글 파일 컴포넌트 방식을 사용할 것이므로 NPM vue-cli 를 설치해 프로젝트를 구성하겠습니다. # vue-cli 전역 설치, 권한에러시 sudo 추가 $ npm install vue-cli -global vue-clivue-cli를 사용하면 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초기 프로젝트 구조를 쉽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싱글 파일 컴포넌트 체계를 사용하려면 .vue 파일을 웹 브라우저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파일로 변환해 주는 웹팩(Webpack)이나 브라우저리파이(Browserify)와 같은 도구가 필요합니다. vue-cli 설치 명령어 vue init webpack : 고급 웹팩 기능을 활용한 프로젝트 구성 방식. 테스팅,문법 검사 등을 지원vue init webpack-simple : 웹팩 최소 기능을 활용한 프로젝트 구성 방식. 빠른 화면 프로토타이핑용vue init browserify : 고급 브라우저리파이 기능을 활용한 프로젝트 구성 방식. 테스팅,문법 검사 등을 지원vue init browserify-simple : 브라우저리파이 최소 기능을 활용한 프로젝트 구성 방식. 빠른 화면 프로토타이핑용vue init simple : 최소 뷰 기능만 들어간 HTML 파일 1개 생성vue init pwa : 웹팩 기반의 프로그레시브 웹 앱(PWA, Progressive Web App) 기능을 지원하는 뷰 프로젝트여러 설치 명령어 중에 특성에 맞는 초기 프로젝트를 생성하세요. 1) vue init webpack 실행# 해당 프로젝트 폴더에서 실행 $ vue init webpack   # 현재 디렉토리에서 프로젝트 생성 여부 ? Generate project in current directory? (Y/n) # 프로젝트 이름 ? Project name (vue_ex) # 프로젝트 설명 ? Project description (A Vue.js project) # 프로젝트 작성자 ? Author (곽정섭 ) # 빌드 방식 ? Vue build (Use arrow keys) # vue-router를 설치 여부 ? Install vue-router? (Y/n) # 코드를 보완하기 위해 ESLint를 사용 여부 ? Use ESLint to lint your code? (Y/n) # ESLint 사전 설정 선택 ? Pick an ESLint preset (Use arrow keys) # 단위 테스트 섧정 ? Set up unit tests (Y/n) # 테스트 러너 선택 ? Pick a test runner (Use arrow keys) # Nightwatch로 e2e 테스트를 설정 여부 ? Setup e2e tests with Nightwatch? (Y/n) # 프로젝트가 생성 된 후에`npm install`을 실행해야합니까? ? Should we run `npm install` for you after the project has been created? (recommended) (Use arrow keys) 2) 고급 웹팩 기능을 활용한 프로젝트 구성 방식으로 설치3) 설치완료4) package.json 파일에 설정된 라이브러리 설치$ npm install 5) 개발모드 실행# 해당 프로젝트 폴더에서 실행(소스수정시 자동 새로고침) $ npm run dev 6) http://localhost:8080/ 브라우저 실행7) Yeah, You got it!!!!추가 도구: Vue Devtools(크롬 확장 플러그인)Vue Devtools(크롬 확장 플러그인)은 Vue를 사용할 때, 브라우저에서 사용자 친화적으로 검사하고 디버그할 수 있습니다.크롬 개발자 도구에 Vue 탭이 추가됨ConclusionVue를 설치하는 여러 방법 중 고급 웹팩 기능을 활용한 프로젝트 구성을 알아봤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Vue 인스턴스 및 디렉티브(지시문) 사용법을 다뤄보겠습니다.참고설치방법 — Vue.js 글곽정섭 과장 | R&D 개발1팀[email protected]브랜디, 오직 예쁜 옷만#브랜디 #개발문화 #개발팀 #업무환경 #인사이트 #경험공유 #Vue
조회수 6833

내가 보낸 이메일이 스팸메일로 분류된다면?

이메일 뉴스레터를 발송하다보면 스팸메일함으로 직행하는 경우로 인해 어려움을 겪곤 합니다. 아쉽지만 꼼수는 없습니다. 스팸메일함을 피하기 위해서는 스팸메일이 무엇인지, 스팸 필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스펨메일이란?스팸메일은 수신자가 원하지 않는데도 일방적으로 전송되는 이메일입니다. 발신자가 아무리 유용하다고 생각하는 정보일지라도 수신자의 동의가 없다면 스팸메일이 될 수 있습니다.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은 스팸메일과 구분되는 합법적인 광고성 이메일이 지켜야 하는 의무사항으로 수신자의 동의, 발신자 정보 제공, 즉각적인 구독해지 기능 제공 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과태료 부과 및 형사처분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하지만 의무사항을 지켜야 하는 이유가 법적 강제성 때문만은 아닙니다. 스팸 필터나 수신자에 의해 스팸메일로 분류되면 장기적으로는 이메일 뉴스레터의 도달률 자체가 나빠지게 됩니다.스팸 필터는 어떻게 작동하나요?스팸 필터란 이메일 서비스 제공자(예: 구글, 네이버, 다음 등)가 정해진 규칙에 의해 스팸메일로 규정한 이메일을 미리 걸러내는 것을 말합니다.스팸 필터를 통과하려면 기술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구글은 DKIM 서명, SPF 레코드 게시, DMARC 게시를 통한 이메일 인증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이메일 인증 외에도 KISA WHITE DOMAIN에 발신자 등록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스팸 필터는 수신자의 행동을 학습하기도 합니다. 수신자가 어떤 이메일을 스팸으로 분류했다면 스팸 필터는 그 이메일의 특성을 기억하고, 이후에 유사한 이메일 또한 스팸으로 분류합니다.어떻게 하면 스팸 필터를 피할 수 있을까요?기술적 조치들은 대부분 서버 관리자나 이메일 발송 서비스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스팸 필터를 피하기 위해 마케팅 담당자가 할 수 있는 것들은 없을까요?콘텐츠를 제작하고 발송하는 단계에서 주의해야 하는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스팸메일로 오해할 수 있는 자극적인 표현(예: “무료”, “공짜”, “100%”, “!!!!!” 등)은 사용하지 않습니다.본문을 텍스트 없이 한 장의 큰 이미지로만 구성하지 않습니다. 이미지를 불러오지 못한 스팸 필터가 본문이 비어있다고 인식하고 스팸메일로 분류하게 될 수 있습니다.유효하지 않은 수신자는 발송 대상에서 제외합니다. 이메일 발송을 반복적으로 실패하면 스팸메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답장을 받을 수 있는 진짜 이메일 주소를 사용합니다.스팸 필터를 통과했다면 그 다음 스팸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수신자입니다. 반대로 어쩌다 스팸 필터로 인해 스팸으로 분류됐더라도 수신자가 스팸이 아니라고 다시 분류(예: ‘스팸해제’, ‘차단해제’ 등)하거나 발신자를 주소록에 등록하면 더 이상 스팸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나아가 이런 데이터가 쌓이면, 다른 수신자의 편지함에서도 스팸으로 분류될 확률이 줄어듭니다.결국 스팸 필터를 피하는 근본적인 방법은 수신자가 좋아할만한, 신뢰할만한 콘텐츠를 전달하는 것이고, 이는 모든 이메일 뉴스레터의 조건이기도 합니다.참고구글 대량메일 발신자 가이드라인네이버 대량메일 발송 가이드다음 대량메일 발송 가이드Mailchimp, How to Avoid Spam Filters#슬로워크 #스티비 #마케터 #마케팅 #메일링 #꿀팁 #인사이트
조회수 1407

8퍼센트 '프로덕트' 팀 인터뷰

안녕하세요, 8퍼센트입니다.8퍼센트는 다양한 매체와 콘텐츠로 이야기를 전하고 있습니다. 이번엔 인터뷰를 통해 8퍼센트를 이루고 있는 각 팀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며 고객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합니다. 그 첫 번째 주인공은 서비스 개발을 담당하는 ‘프로덕트’ 팀입니다.Q. 안녕하세요, 인터뷰를 위해 프로덕트 팀 허재영 님과 이호성 CTO님이 자리해주셨는데요. 먼저, 8퍼센트의 제품을 만드는 프로덕트팀은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시나요?A. 프로덕트 팀은 8퍼센트의 서비스를 만드는 팀입니다. 고객들이 8퍼센트를 이용하는 데 있어서 불편함이 없도록 서비스를 개선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인터넷 기반 금융 서비스는 공인인증서, Active X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사용자의 편리함에 초점을 두고 있지 않습니다. 저희의 역할은 사용자들에게 더 편리하고 효율적인 금융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새로운 금융서비스를 시도하는 것입니다.Q. 새로운 금융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해나가는 과정이 쉽지 않을 것 같은데, 그것에 대해 어려움과 극복해낸 경험이 궁금합니다.A. 8퍼센트는 이미 만들어진 솔루션을 사용하거나 외주를 통해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존의 회사들과 다르게 직접 바닥부터 금융 시스템을 쌓고 있습니다. 금융시스템은 정확함과 안정성을 빼놓을 수 없는데 사용자가 많아지고 시스템이 거대해질수록 생각지 못한 부분에서 오류가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오류는 회사의 손실을 발생시키고, 고객들의 신뢰를 잃게 합니다. 위와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게 시스템을 정밀하게 설계하는 것은 기본이고 추가로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해 올바르게 대처하는 것이 금융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과정입니다. 물론 힘든 과정이지만 단계별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앞으로 남들과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고 생각합니다.서비스 초기, 지급 프로세스에 문제가 있었던 적이 있었는데, 이를 인지하고 그에 대한 대응을 진행했습니다. 또한, 대응에 그치지 않고 테스트와 수정한 부분에 대해 제대로 동작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QA(Quality Assurance) 프로세스를 갖추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Q. 그렇게 만들어지는 8퍼센트 서비스만의 차별화된 점은 무엇인가요?A. 첫 번째는 '자동 투자'입니다. 자동 투자를 선택하게 되면 예치금과 상환된 투자금이 지속적으로 재투자됩니다. 따라서, 고객이 직접 신경 쓰지 않아도 자산을 쉽게 불릴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스페셜딜'입니다. 일부 스페셜딜은 기업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투자자가 직접 체험해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은 투자 이외의 부수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소개해드릴 마지막 차별점은 다양한 업체와의 제휴입니다. 8퍼센트는 현재, 기존 금융권에 있는 많은 금융 회사들과 제휴를 맺고 있습니다. 기존 금융 회사가 오랜 시간 쌓아놓은 시스템과 노하우, 그리고 8퍼센트의 서비스를 합쳐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저희 서비스의 강점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기존 금융권뿐 아니라 토스와 같은 스타트업과의 제휴 역시, 토스 플랫폼에서 간편하게 8퍼센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런 다양한 제휴는 저희만의 차별점이 된다고 생각합니다.Q. 8퍼센트 서비스에는 정말 다양한 장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좋은 서비스를 구상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이 무엇인가요?A. 프로덕트 팀에서는 제품을 구상하는 데 있어서 ‘고객들에게 전달될 수 있는 가치’, ‘안정성과 정확성’, ‘사용성’ 이렇게 세 가지 기준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금융 서비스는 대부분 돈으로 환산되는 가치를 추구합니다. 프로덕트 팀이 추구하는 금전적인 가치 역시 투자를 했을 때 돈을 벌고, 대출을 통해 돈을 절약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금전적 가치는 개인과 개인들이 서로 연결되어 발생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가치에 기여한다 생각합니다. 또한, 핀테크 서비스들이 나오기 이전에 투자와 대출은 상당히 무겁고 다가가기 힘든 면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프로덕트 팀에서는 투자와 대출로 이뤄진 8퍼센트 서비스를 이용자가 손쉽게 쓸 수 있게 만드는 ‘사용성’이 제품을 구상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예를 들어, 토스 플랫폼을 통해서 저희 투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도 ‘사용성’을 높이는 것의 일환입니다.Q. 얘기를 들어보니 명확한 기준을 통해 좋은 서비스가 나오는 것 같습니다. 8퍼센트 투자나 대출 서비스를 직접 이용하시나요? A. 모두가 소액부터 거액까지 다양하게 투자 서비스를 직접 체험하고 있습니다. 이는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해볼 기회가 되어 일하는데 좋은 자극이 됩니다. ‘개밥 먹기’라고 개 사료를 만드는 회사에서 실제로 먹어보면서 제품이 어떤지 테스트하는 것에서 유래한 말이 있습니다. 8퍼센트 역시 이런 '개밥 먹기' 테스트를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상품 2.0이 처음 출시되었을 때, 직접 소액 대출을 받아 안내, 혹은 연체 문자가 잘 오는지 등 대출 프로세스를 경험하기 위해서 대출 서비스를 이용했습니다. 물론 회사 내부 관계자에게 대출하기 위해 투자자를 모은다는 것은 윤리적인 문제가 있기 때문에 딜을 내부로만 열어서 회사 분들이 투자한 것만으로 모집했습니다. 신용등급은 당연히 떨어지지 않았고 상환하며 아직 잘 쓰고 있습니다.Q. 현재 P2P 금융 법제화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과거 새로운 규제가 생겼을 때 대처한 경험이 궁금합니다.A. 지금까지 가장 큰 변화는 작년 5월 가이드라인이 시행되면서 일어났습니다. 그전까지 투자자들로부터 모집한 자금은 회사의 소속으로 되어있었는데, 회사가 부도가 나게 되면 그 돈이 압류되어 투자자들의 돈을 못 빼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었습니다.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부분 중 가장 큰 것이 바로 이에 대한 것입니다. 투자자의 돈을 제삼자가 보관하게 해라 즉, 금융기관이 그 돈을 보관하게 하라는 것인데 이를 위해 농협과 함께 설계부터 시작해 지금의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농협 측에 자금을 보관하고 저희가 시스템상으로 자금의 흐름을 요청하는 식으로 자금이 직접 저희를 통하지 않고 P2P 거래가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Q. 프로덕트 팀의 대처 능력이라면 법제화 같은 변화에서도 흔들림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프로덕트팀의 목표는 무엇인가요?A. 프로덕트 팀에서는 항상 ‘우리가 바라는 프로덕트가 무엇일까?’ 고민합니다. 개발자로서 가장 안타까운 것은 열 명의 팀원들이 서로 힘내서 만들어내는 서비스가 사라지는 것입니다. 더 나아가,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은 사회적인 가치를 인정받는다는 것입니다. 물론 돈을 만들어낸다는 얘기이기도 하지만 우리가 열심히 만든 자식과도 같은 서비스의 사회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지속가능하게 하는 것이 최종적인 목표입니다. 특히 이번 18년도 1분기에 8퍼센트의 단기적 성장과 함께 미래 계획이 구체화 되고 그에 대한 긍정적인 확신이 생겨 큰 동기부여가 되었습니다. 8퍼센트 고객들도 더 편리하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만들어갈 저희와 끝까지 동행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인터뷰는 8퍼센트의 모든 팀을 소개할 때까지 계속되니 많이 기대해주세요:)> 8퍼센트 서비스 보러 가기 #8퍼센트 #에잇퍼센트 #프로덕트팀 #프로덕트 #인터뷰 #팀원소개 #팀소개
조회수 1279

이유가 필요한 #데이터

그렇다. 항상 이유가 필요했다.무엇을 하든지 자세하진 않더라도 대략적인 방향성이 잡힌 이유가 필요했다. 그래서일까. 그 때문에 내 인생의 방향성을 찾기 위해서 어른들이 흔히 말씀하시는 쓸데없는 짓(?)을 꽤 많이 했던 것 같다. 핀다에 합류하게 된 것도 그 때문이었다. (그렇다고 핀다의 조인한 게 쓸데없는 짓이라는 뜻은 아니다) 학교에서 가르치는 과목들을 왜 배우는 지도, 실무에서 어떤 식으로 쓰이는지도 모르고 수업을 듣자니 좀이 쑤셨다. 그래서 선택한 게 ‘인턴’이었다.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고 있는 나는,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주최한 이공계 인턴쉽 프로그램 ‘오픈 챌린지'에 참여한 덕분에 ‘핀다’를 만날 수 있었고, 얼떨결에 우수 인턴으로 선정되었다. 25개의 인턴쉽 참여 기업들과 참여 인턴들 앞에서 대표로 성과공유를 발표해보는 좋은 경험도 해볼 수 있었다. 인턴쉽이 끝나고 정식 인턴으로 채용되어 현재 나는 핀다의 Database를 맡고 있다.미래창조과학부에서 주최한 이공계 인턴쉽 프로그램 ‘오픈 챌린지' / 우수인턴으로 발표하는 영광을!핀다에서의 많은 업무 중에서도 제일 재미있었던 것은 데이터 분석(Data Analysis)이다. 특히, 데이터를 여러 관점에서 나누고 그 안에서 인사이트를 내는 것은 굉장히 두근거리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처음 입사했을 때 간결하게 정돈되어 있는 Data Sheet를 보고 감동했을 정도였으니까.# 소비자(유저) 리뷰 분석핀다에서는 사용자들의 실질적인 리뷰를 중요시한다. 다만, 우리나라 문화상 (미국에 비해) 리뷰에 대한 태도가 자발적이지 못한 편이다. 따라서, 퀄리티 높은 리뷰를 많이 얻는데 굉장히 힘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게 힘들게 얻은 상품 리뷰가 어느덧 1,000개 정도가 되었다. 이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우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은 어떤 고객들이고 금융 상품을 선택할 때 어떤 특징들에 민감한지, 나아가 앞으로 핀다가 집중해야 하는 고객은 어떤 특성을 가진 고객인지를 알아보는 데에 기본 바탕이 될 수 있다.1) 먼저 상품 카테고리 별 만족도는 ‘주택담보대출’이 가장 높았으며 ‘신용대출’이 가장 낮았고 할 말이 제일 많았던 카테고리는 전세대출(리뷰당 단어 수 전체 평균: 33.4 / 전세대출 평균: 42.2)이었다.2) 내용면으로 봤을 때 ‘금리’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고 (‘금리’ 언급 비율: 55.9%) 흥미로웠던 것은 2030을 타겟으로 하는 핀다에서의 리뷰임에도 직원 혹은 지인 추천, 오프라인 가입과 같은 ‘오프라인 관련 요소’(21.6%)가 끼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는 것, 그리고 영업점이 가까워서 혹은 처음 계좌를 만들 때 엉겁결에 가입하게 되는 ‘주거래은행’(17.5%) 역시 상품을 선택하는 데에 있어서 크게 기여한다는 것이다.3) 여담이지만 오프라인, 온라인 상담 관련한 내용(30.9%)도 많았는데 그중 83%가 상담이 친절했다거나 설명을 알아듣기 쉽게 해주었다는 등 긍정적인 내용이었다. 보통 리뷰는 리워드가 있는 이벤트성이 아닌 이상 부정적인 내용이 많을 거라고 생각했던 나에겐 신선한 충격이었다.핀다가 전하는 경제 소식, 오늘의 뉴스는 매일 오전8시에 업데이트 된다.# 오늘의 뉴스 분석핀다에서는 매일 아침 금융 관련 주제를 가진 ‘오늘의 뉴스’를 페이스북 페이지에 게시한다. 당연한 소리겠지만 같은 시간대에 올려도 어떤 기사는 좋아요, 공유, 도달률 등의 수치가 좋고 어떤 기사는 좋지 못하다. 그리고 이건 핀다의 페이스북 페이지 전체 도달률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때문에 오늘의 뉴스에 엮여있는 수치들을 분석하여 페이스북에서의 뉴스는 어떤 주제를 어떤 식으로 게시해야 반응이 좋은 지 인사이트를 내야 했다.도달률을 결과로 보고, 원인으로 기사 주제, 게시할 때 사용하는 헤드라인과 사진 등이라 했을 때,데이터를 분석하는 일에는 어느새 매의 눈이 되는 나! 집중 :)A. 전기세, 공카족(카페에서 공부하는 사람들)과 같이 생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제이거나 특정 영화나 미디어의 어투, 워딩을 패러디한 헤드라인을 사용했을 경우, 또 전체적인 글의 분위기가 비교적 가벼운 기사들이 도달률이 높았다.B. 반면에 사드 배치로 인한 중국 관련 주식 하락, 미국 기준 금리 상승과 같이 거시적이거나 노령화, 보이스피싱과 같이 SNS 이용자의 대부분인 2030에게는 와 닿지 않는 주제인 기사는 도달률이 낮았다.C. 그리고 다른 부수적인 조건에 상관없이 높은 도달률을 달성하는 기사 주제가 있었는데 그건 바로 대기업이나 정부의 비리 관련된 주제의 기사였다. 요즘 사회 분위기를 대변하는 데이터가 아니었나 싶다. ‘어떤 데이터든 그 데이터가 발생된 이유(원인)가 있고 그 데이터는 또 다른 결과의 이유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그런 데이터들 역시 목적이 없으면 한낱 글자나 숫자에 불과하다. 즉, 데이터는 그에 맞는 목적을 갖게 될 때 빛난다.’라는 게 현재까지 내린 결론이다.앞으로도 핀다는 데이터를 통해 다양한 소비자들의 반응을 보고 컨텐츠와 서비스의 방향을 고도화해 나갈 예정이다. 그 과정에서 내가 분석한 인사이트들이 반영이 되고, 조금씩 더 나은 컨텐츠와 더 발전된 서비스로 세상과 만날 수 있다면 정말 기쁘지 않을까!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핀다의 데이터 꿈나무,권영진 드림Database AnalystYoungjin from Finda#핀다 #데이터애널리스트 #DataAnalyst #팀원소개 #인사이트
조회수 1949

11. 신내림

마이쿤의 두 번째 투자사와의 만남은 쫄투를 통해 시작되었다.2013년 5월 창업 당시 본엔젤스의 1차 투자 유치 이후 서비스를 확장하면서 개발팀 빌딩에 대한 니즈가 내부적으로 있던 시기였다.당시 스타트업 업계에서 "쫄지말고 투자하라" 하라는 인터넷 방송 프로그램이 유명했었다. 현직 VC와 스타트업 대표들과의 토크쇼 형식의 프로그램으로 기획 의도가 신선했다. 지금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유명 스타트업들도 초창기에는 "쫄지말고 투자하라 (줄여서 쫄투)"라는 해당 프로그램을 거쳐 갔다. 현재까지 수년째 방송이 유지되면서 그 명성과 인지도는  더욱 성장했다. 혹여나 출연을 고민하는 스타트업이 있다면 적극 추천을 한다. 어떻게든 회사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몇 번이고 쫄투 프로그램 출연을 이희우 대표님께 페이스북을 통해서 문의를 드렸다. 3번째 시도에서 드디어 출연 허락을 받았다. 회사 서비스에 대한 홍보로 돈이 안 들어가는 모든 채널로 노출을 시도할 시기였고, 그중에 쫄투 출연은 우선순위가 가장 높았었다.쫄투 출연 날짜가 확정되었고 항상 입고 다니는 유니폼과 모자를 쓰고 당시 쫄투를 촬영하는 디캠프를 방문했다.  이희우 대표님이 방송 녹화 전에 잠깐 시간이 괜찮냐고 저녁식사를 하자고 제안하셨다. 그렇게 디캠프 인근에서 평가옥이란 식당에서 첫 만남을 가졌다. 남자 둘이 첫 만남을 가졌는데 분위기가 뻔하지 않은가? 어색한 분위기를 풀기 위해 이대표님이 맥주 한잔을 하자고 하셔서 그렇게 우린 어복쟁반을 안주 삼아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었다.< 첫 시작은 어복쟁반에 맥주 한잔으로 >식사 중에 이대표님이 물어보셨다. 혹시 투자가 필요하냐고? 투자를 하고 싶다고 그날 첫 만남 첫자리였는데...VC라서 마이쿤이라는 회사와 만땅 서비스 어느 정도 사전 조사나 서비스 분석을 하시고 말씀을 하셨겠지만 첫 만남 자리에서 식사 중에 받은 조금은 황당한 제안이었다.식사 후 다행히 사고 없이 쫄투 촬영을 무사히 잘 마쳤다. 솔직히 너무 긴장을 해서 어떻게 촬영했는지도 기억조차 나지 않는다. 맥주도 한잔 했고...< 어떻게 쫄투에 나가긴 나갔고 그뒤로도 회사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투자 결정당시 우리는 내부적으로 개발팀 빌딩을 위해 본엔젤스 강석흔 파트너님과 2차 시드 투자를 논의하던 시기였다. 본엔젤스에서는 1억 원의 후속 투자를 약속해주셨고 추가로 약 3억 원 정도의 자금이 필요한 상태였다. 그렇게 몇몇의 c초기 투자 VC 연락을 했고 이희우 대표님께도 연락을 드렸다. 쫄투 촬영이 끝나자마자 약 일주일 만에 그렇게 IDG 사무실에서 2번째 만남을 가졌다. 지금 보면 정말 참으로도 부족한 사업계획서를 들고 가서 투자가 지금 왜 필요한지? 어떻게 자금이 쓰이는지? 등을 설명드렸다. 구두상으로 3억 원의 투자 결정을 그 자리에서 바로 약속해주셨다, 스타트 업서 시간 뺐으면 안 된다고 정말로 그 뒤로 최대한 빠르게 실제 계약과 주급납입까지 2주 만에 모든 프로세스를 마무리 지었다.신내림해당 투자뿐만 아니라 중간중간 조언을 구 할 때마다 통쾌하고 시원하게 툭툭 내뱉은 이대표님의 예상이나 조언이 맞아떨어지기 때문이다. 업계 경력이나 경험에서 오는 내공인지 아니면 진짜 신내림일 수도...아무튼 진짜 그렇게 된 경우가? 많아서 나와 부대표는 신내림을 받은 분이란 표현을 쓴다.창업하는 VC투자활동을 하시면서 "요즘 예능"이라는 앱 서비스를 론칭하고 서비스 운영을 하시기도 했다. 해당 서비스는 SBS와 같은 큰 기업 와 한판 붙는? 사건으로 한바탕 이슈가 되기도 했다. 스타트업도 매번 성장과 혁신에 대한 고민을 하지만 VC가 창업을 하고 서비스를 론칭하는 모습이 옆에서 볼 때 정말 신기했다. 그래서 창업팀이 가지고 있는 속 이야기를 함께 공감할 수 있는 분이라 술자리에서 가장 편한 투자 사분 중에 한 분이기도 하다. 요즘 예능 서비스는 잘 안 되었지만 다시 한번 본인은 도전을 하겠다고 하셨다. VC가 나가서 VC 만든다면 그게 창업 아니냐? 그렇게 말로만이 아닌 실제 VC를 새로 만드셨고 그 투자사가 바로 지금의 코그니티브 인베스트먼트이다.지속된 인연2차 시드 투자유치 이후 두 분과 함께 곱창집에서 소주를 정말 많이도 마셨던 기억이 있다.  첫 투자사인 본엔젤스의 강대표님이 경청을 하고 차근차근한 모범생의 스타일이라면 시원시원한 성격의 이대표님은 서로 다른 성격이신 분들인데 매달 있는 이사회 회의도 두 분의 만남이 정기적으로 지속되었고, 마이쿤을 계기로 그렇게 어우러져 가는 모습이 보기 좋았었다.  마이쿤 이후로 본엔젤스와 IDG는 다시 한번 카닥에 동반 투자를 하셨고 엑시트를 하는 좋은 성과를 내기도 했다.500 스타트업 배치 기간 미국에서 잠깐 한국으로  돌아온 사이 고생했다며 먼저 불러서 소주를 사주시던 모습이나 폐업 위기에서 고민할 때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많은 배려를 해주셨다. 그리고 현재까지 마이쿤의 투자사의 느낌이 아닌 인간적인 모습을 많이 느끼고 배우는 분으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언제 어디서 어떤 모습으로 투자사를 만날 기회가 생길지 모른다. 항상 그래서 언제 어디서나 서비스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하고 투자 역시 사람과 사람이 만나 관계를 맺는 것이기에 좋은 분들을 만나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 느끼고 배워 가고 있다.#스푼 #Spoon #이벤트참여 #이벤트후기 #후기 #경험공유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