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홈

인터뷰

피드

뉴스

조회수 4307

미미박스 하형석 대표가 말하는 스타트업의 모든 것

오늘은 스파크랩 디너때 1기 얼럼나이로 미미박스 하형석 대표님이(디노) 오셨다. 마침 내일(?) 생일이셔서 스파크랩 인턴분이 깜짝 파티도 해주셨다. 나는 거의 딱 2년전에 대표님을 뵙었고 질문도 드렸었다. 이렇게 스파크랩 커뮤니티의 한 일원으로 만나니 감회가 새로웠다. 그때 2년전 대학생이였던 내가 했던 질문은 "팀빌딩은 어떻게 하는 것이 맞나요?" 라고 해서 다음과 같이 답해주셨다. (블로그에 기록이 남아있어서 발췌했다.)열정있는 사람은 못따라가는 것 같아요. 실력보다 얼마나 많이 즐기면서 열심히할 수 있느냐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채용 공고도 대학교들에 이리저리 낼 생각이예요.그리고 2년 후 이렇게 다시 만났을 때 짧은 세미나에서 그의 모든 것을 적고 싶었고 모든 걸 흡수하고 싶었다. 그래서 거의 한 글자도 빠뜨리지 않은 전문을 공유하도록 한다. 요약해서 브런치에 글을 남기고 싶었지만 그렇게 해버리면 기사에 나도는 인터뷰나 형식적인 조언밖에 안될 것 같아 글의 운율을 느끼면서 글로써 실제로 하형석 대표가 이 글을 읽는 독자들에게 직접 말하고 있는 것처럼 느껴지길 바랐다.스타트업이 매번 반복되서 고민하는 것들에 대해서 대부분 하형석 대표님이 말씀해주셨다. 투자, 현금 관리, 문화, 사업 운영 등..  이런 창업자분이 한국에 있어서 참 감사하다라는 감정이 들었다. 우린 선배들의 창업 DNA를 빨아들여 더 훌륭한 기업가로 도약해야할 것이다. 심장이 뛰는 밤이다. [전문]스파크랩 1기 2013년. 2014년 YC했다. 현재 미국 사무실을(1층) 와이컴비네이터와(2층) 렌트해서 같이 쓰는 중. 회사가 커나가면서 엄청난 성장을 하고자하는 감정들이 좀 없어지는게 아쉬운데 제가 그때 당시에 스파크랩 데모데이 했을 때가 가장 재밌는 것 같다. 미미박는 굉장히 사업분야가 다각화다. 5개국 화장품 팔아서 커미션, 파트너 광고 매출, 데이터 셀링 매출, 화장품 인더스트리에서 할 수 있는 시도는 모두 다하고 있다.커뮤니티도 만들고 있고 미국 같은 경우는 탈 커머스로 가면서 커뮤니티 키우는 것도 하고 있다.산업 내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게 뭘까? 고민을 하면서 계속 여러 시도를 하는 중이다. 큰 꿈을 그리는 것보다 우리가 어떤 것을 기여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면서 미래를 그리고 있다. 지미 대표님 만났을 때보다 100배 성장한 것 같다. 2012년 9월에 지미 대표님과 처음 만났고 2~3주동안 얘기 진행하다가 펀드 생길 때까지 기다려라. 꽤 오래 기다렸다. 초기 기업때 언제 죽을지 모르는데 6~7개월 기다린거다. (웃음) 우리 그때 거래액 몇억 됬고 씨드 받았다. 멘토로부터 "글로벌 너네 나가야한다." 계속 들었다. 그때부터 준비했다. 2014년부터 회사 2년차 준비해서 갔다.스파크랩 질문 Q)해외에 나갔을 때 꼭 미국을 가야되는 이유가 있었나?하형석 대표 A)우린 800만원으로 창업했는데 1년 2개월동안 우리 돈으로 먹고 살았다. 월 몇억 매출. 우리는 A시리즈 투자받을 기회가 없었다. 그래서 "죽기전에 꼭 실리콘밸리로 가야된다." 라고 해서 그냥 갔다. 계속 지미 대표님이 글로벌로 가야된다.. 우리는 글로벌 액설레이터다. 로컬 액설레이터가 아니다. 1기분들은 다 글로벌 가야된다. 그래서 우리가 진출했었다. 미국 실리콘밸리로 가보니 중국 진출, 대만, 홍콩 다 어렵다고 생각이 안들더라. 지지난주에 전 우버 CEO 칼라닉, 에어비엔비 코파운더 CTO, OFO CEO 만났는데 우리보다 훨씬 큰 규모의 스타트업인데 글로벌 노하우를 물어봤었다. 에어비엔비는 시스템을 갖추기 전에 그냥 바텀업으로 올리고 우버는 중국으로 6명 출장 가서 (CEO포함) 3명 아파트 놔두고 3명 또 다르게하고. 그렇게 스케일업했다. 우리도 비슷했다. 호텔에 방잡아놓고 밑에서부터 다시 다 올렸다. 나라별로 뭐가 다르고 이 미미박스랑, 저 미미박스랑 다르고.. 내년부터는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대한 가이드북을 내려고 한다. 어떤 마켓에서는 수익을 내고 있고 , 어떤 곳은 명확히 낼게 보인다.스파크랩 Q) 파운더들끼리 얘기하면서 미국 가는 것에 대해서 갈등이 있었는지?하형석 대표 A) 멘토들이 그냥 앞뒤 보지말고 그냥 가라. 미국 가라. 계속 가라. 거기 가면 버나드 있다. 라고 했다. 케이뷰티는 어디로 가야되는지에 대해서 고민했다. 동남아? 중국? 이런 고민했는데 어차피 어딜가나 어렵다고 생각해서 그냥 미국 갔다. 같은 노력이라면 미국이 낫다고 판단했다. 그때 "나는 글로벌 벤쳐다." 프로그램해서 1천만원 받아서 미국 갔는데 햇빛 내리고 좋더라. 그때 YC 파트너 한분 만났는데 그 분이 너네 왜왔어 그러길래 ? (그때 천만원 받은 걸로 아울렛 다니고 있었다. (웃음) )  내가 대답을 못하고 있으니깐.. "쓸데없는 짓 하지말고 너네 회사나 열심히 키워" 이러고 퇴장했다. 그때 우리가 진짜 멋있다... 너무 멋잇는거다. 왜 왔어? 그냥 가. 이러는데 그냥 멋있었다.이래서 내가 남고 다른 코파운더가 한국에 돌아가서 내가 알아서 회사 키울테니 넌 1년안에 미국에서 투자받아라. 나한테 임무를 줬다.쿠팡의 김범석 대표님이랑 얘기하니 내부에도 해외 진출 프로젝트가 굉장히 많다. 왜 해외 프로젝트 있냐하니 ? 그냥 가고 싶어서. 해외 진출 가고 싶으니깐. 그 이상의 이유가 딱히 없지 않을까 한다.스파크랩 Q) 씨드부터 해서 지금까지 쭉쭉 받아왔다. 펀드레이징 조언을 해줄 수 있는가?우리 투자를 1,800억 받았다. 조만간 또 받아야되기는 할 것 같다.우리 초기 당시에 지미 대표님이 우리한테 얼마주실지.. 벨류에이션도 어떻게 할지.. 잘 몰랐다. 지미 대표님이랑 커피빈에서 만났다. 한시간 정도 있다가 "대표님 이게 기업 가치를 잘 모르고.. 스파크랩이랑 같이 해보고 싶습니다." 그때 그냥 대표님 보고 결정했다. 그때 펀드레이징을 통해 뷰티를 해야되고 커머스를 해야되는 것이 중요한게 아니였다. 그냥 기업은 변화하고 그 안에 구성원들은 안변하는 사실이다. 그냥 사람보고 투자받고 투자하는 것 같다. 펀드레이징은 그냥 항상 가서 우리는 이런거 이런거 하고 있고요. 이거 잘되고 이건 잘 안되요. 또 가서 이건 잘되고 저건 안되고. 그 관계에 집중하는게 중요한 것 같다. 네트워킹이랑은 좀 다른 개념이다. 사람 믿고 투자하는게 진짜 큰 것 같다. 시리즈 A때 130억 정도 받았고, 첫 이사회때 시리즈 B 얘기 나와서 바로 200억 , 시리즈 C 애기 또 나와서 몇달 뒤에 발표했다. 모든 회사는 시리즈B 이후 일 망가지는 것 같다. 통장에 갑자기 몇백억이 꽂히고 기사막 나고 돈이 생기면 회사의 오퍼레이션이 갑자기 헤이해지는 것 같다. 돈이 생기면.. 그냥 써야되는 기분이 드는 것 같다고 해야될까. 그래 이거하니깐 좀 써야지. 저거하니깐 좀 써야지..몇개월 있다가 재무재표에 비용이 완전 j그래프를 그린다. 에어비엔비나 드랍박스도 다 그렇게 겪었고 여기서 컴백하는 회사가 살아남는 것 같다.. 비용이 진짜 기하급수적으로 늘더라...미미박스는 매년 8억 30~40 / 백몇십억 / 작년이 830억? 매출냈다. 중국 사건이 터지면서 매출이 절반에 날라가더라. 이때 외부 변수에서 매출이 절반 날라가니 이런 말이 생각나더라.마이클 타이슨모두가 나와 싸우기 전에 계획을 다 가지고 온다. 근데 나한테 한번 맞는 순간 다 계획이 없어진다.3분기 이사회때 장미빛 미래 그리며 4분기 수익전환이였다. 근데 한방 맞은거다. 그래도 회복을 많이 했다. 스파크랩Q )글로벌은 K뷰티를 타고 동남아나 이런 쪽으로 더 집중을 하는 것인가?저희는 장기적으로 그냥 미국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2016년 6월에 중국 위기 올줄은 몰랐다. 내부에서 군대 스타일로 막 밀어붙였다더니 매출이 막 올라가더라. 근데 그때 미국가서 개척해야될 것 같다은 기분이 들었다. 근데 그때 1~2분기만 기다려보자라고 나보고 그래서 늦게 움직였는데 그게 중국이 터진거다. 우리 직관대로 빨리빨리 했었어야 했다.미국 오퍼레이션은 전혀 다르게 구성원들이 이끌더라. 나는 내가 실무자가 아니고 던져주기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미국 구성원들은 생각하는 것도 다 다르고, 뷰티를 정의하는 단어도, 스타트업을 정의하는 것도 다 다르더라. 스파크랩 Q) 초기 썹스크립션 모델에서 계속 어떻게 피봇팅을 들을 시도했는지? 하형석 대표 A)미미박스가 솔직히 커뮤니케이션 잘 못한다고 생각한다. 2012년 미미박스 13년 파운더, 15년, 16년파운더, 17년 파운더 계속 다 달랐다. 회사 내에서 이걸 변화시켜야지 저걸 변화시켜야지했다. 세계 기준에서 미미박스는 반란하는 회사다. 근데 또 미미박스 안에 그런 반란자가 있고 근데 그게 사용자를 중심으로 그런 행동들을 한다면 그걸 들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내가 모르는데 회사가 막 굴러가고 있다. 쉬쉬하면서 쿵짝쿵짝 하면서. 그런게 나한테는 굉장히 떨리는 모멘트인 것 같다. 여러분들이 통장이 800만원있을때랑 800억 있을때랑 상상하는 범위가 달라진다. 우리가 한국에서 이사를 15번했다. 연쇄창업가같은 엘론 머스크들은 우주를 갈려면 우리 이거이거 해야되 해서 그림 그리면 딱 그렇게 하면 되는 것 같다.  근데 처음 하는 사람들은 하는 도중에서 계속 바뀌는 것 같다. 스파크랩 Q) 빨리 성장하는 과정에서 문화 같은 것을 의도적으로 만들었던 팁같은 것이 있는지.하형석 대표 A)올해 600명 갔다 400명 됬다. 컬쳐 부분에 대해서는 잘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우리가 약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21세기에 스타트업을 해서 막 스케일업을 하는데 사람들이 들어올 때 그 사람이 어떤 장점있는지, 어떤 특이사항이 있는지 그 와중에 고객은 계속 들어오고 근데 hiring 속도는 그걸 못따라간다. 난 재무재표 구경하고 펀딩 받아오는것만 하지 (1%) 나머지는 돈도 다른 사람들이 쓰고 일도 다른 사람들이 (99%) 한다. 모든 컨슈머 회사가 다 개인화로 가는 것 같다. 내가 브랜드 매니저인데 제품을 내놓고 그걸 파는게 아니라 소비자를 원하는 것을 정확히 이해하고 그걸 기획해서 맞춤화해서 내는 것 같다. 뷰티나 푸드나 자동차나 다 똑같은 것 같다. 잘 팔리길 기도하고 그냥 내는게 아니라 유저를 계속 관찰해서 그걸 가지고 프로덕 낸다. 이제는 발견하는 방법들이 달라지고 있다. 오프라인에서 경험하던 것들을 이제 유투브, 페이스북 이런 걸 타고 이제 사람들이 보지 않는가.스파크랩 Q) 미미박스과 고객으로부터 신뢰를 얻고 그들을 촉진시키기 위해 무엇을 했는가?하형석 대표 A)우리가 지금까지 살아남아있는 이유는 아까 팀원들이 미미박스를 쥐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초기 유저들이 50% 의 매출을 만들어내고 있다. 화장품의 X친 분들이 제일 미미박스를 먼저 알게 되고 그걸 계속 유지하고 있다. 글로벌도 똑같은 것 같다. 스파크랩 Q) 따로 고객 관리를 했나? 제조는 어디서 하고 퀄리는 세계에 비춰봤을때 어떤가?하형석 대표 A)회사가 커지면 유저에 집중하는게 아니라 프로세스 관리한다. HR해야되고 파이낸스 해야되고 유저를 잊게 된다. 이렇게 진행하다가 다시 돌아왔다가 잊었다가 돌아왔다가 이걸 반복하는 것 같다. 제조는 한국에서 한다. 퀄리티가 우리가 좋다고는 얘기는 하지 않는다. 이태리나 오히려 이런데가 퀄리티는 더 좋을 거다.스파크랩 Q) 왜 사원들이 600명 갔다가 400명 갔나?하형석 대표 A)전략에 따라서 회사 채용을 달리하는 경우가 있다. A전략 때문에 A'를 뽑아야될 것 같고 B전략 때문에 B'를 뽑아야 될 것 같고.. 근데 보면 이 사람 필요할것 같고 저 사람이 있어야 될 것 같고.. 그렇게 생각하게 되는데 정말 맞는 분이 생기기전에 채용하면 문제가 생긴다. Q) 미미박스 하다보니 화장품이 더 좋아지나? (웃음)하형석 대표 A)싫어진더라(웃음) 근데 유저들은 만나는게 되게 좋다. 요즘 만나고 있다. 나 자신에게 잘했다.. 600억 700억이 들어왔으니 맥주 한번 그냥 먹으면 되는데.. 그렇게 안한다. 어후 이거 큰일났다. 내가 공격적으로 피티한 것 같은데... 항상 회사에서 퇴근할 때 미미박스에서 일하는 건 동료들에게 고마워한다. 다른데 갈 수 있는 수 만가지의 이유가 있는데 여기에 있지 않나. 내마음에 여유가 있을때 이런 마음이 든다. 근데 사무실에 있을 때 내가 이런 일을 하는게 맞나 저런 일을 하는게 맞나 고민하면 여유가 없어지더라. 그래서 칭찬에 대해서 좀 잘 여유가 없더라.스파크랩 Q) 지금까지 가장 큰 실수는 어떤게 있는지?하형석 대표 A)하나도 후회한 건 없었다. 채용, 문화 얘기도 했다. 아직 살아있으니깐.. 근데 앞으로 잘해야되는 것만 있는 것 같고 조금 문제인 것은 5년동안 20명, 30명, 50명일때 피드백이 똑같고 내가 변하지 않았다는 점 같다. 그게 좀 바뀌어야할 것 같다. 커뮤니케이션 문제. 그래서 내가 그냥 커뮤니케이션 매니저 뽑았다. Q&A 받기 전 마지막 말제일 집중해야되는 것은 진짜 성장이다. 회사니깐 뭐 중요하지 뭐 해야지 이거 해야지... 그냥 모든 팀이 성장에 포커스해야된다. 액설레이터하면서 성장에 집중했던 순간이 제일 재미 있었다. 스타트업에 오시는 분들은 천만가지의 이유가 있는데 오는 이유는 강한 성장이다. 강한 성장을 맛보고 나면은 그냥 마약이 된다. 우리 와이컴비네이터에서 주 7일 근무할 때 60%씩 월 성장했다. 와이컴비네이터에서 주 7일을 매일 매일 3시 새벽까지 했는데 정말 잊지 못한다. 우리 회사 사람들에게도 그걸 주지 못하는게 정말 나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회사에 50%인구가 "힘들어서 나가야겠다." 생각할 정도로 그 스타트업이라는 것은 성장에 집중해야되는 것 같다. 페이스북에 와이컴비네이터 출신 한국 그 페이스북 그룹을 만들었다. 와이컴비네이터에서 1위 기업이 에어비엔비다. 미미박스가 천 몇백개 중 16~17위다. (기업가치 벨류에이션으로) 1위부터 10위까지 보면 YC는 비이상적인 팀을 좋아하는 것 같다. 에어비엔비 왜 투자했어? 개네 오바마 시리얼이랑 팔았는데 그것 때문에 했고 미미박스 너네 미국 이름에 안 어울릴 것 같은데 좀 아니야라고 다들 그랬는데 YC는 그냥 뭐 괜찮은 것 같애. YC랑 1층, 2층 같이 쓰는데 그 성장에 몰입이 굉장하다.청중 질문청중A Q. 파운더들이 성장을 따라오게 촉매제가 있었는지, 성장에 맞지 않았을때는 어떻게 관리하셨는지하형석 대표 A) 제일 어려운 질문해주셨는데 아까 얘기 했던 미미박스 스타트업이라는 것은 굉장히 현대 사회에 스포츠, 라이프스타일 같다. 스타트업하시는 분들은 사회에 일관된 틀에 갖힌 생각을 하지않아서 하는 분들이 많다. 회사가 성장해야되는 건 매출이 늘어나고 비용이 줄어드는 건데 오늘은 +이겠지. 이 감정이 회사를 드라이브하는 것 같다. CEO로서 할 수 있는 것은 버스에서 내리게 할 수 있는 거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계속 지각하는 사람보고 뭐라고 한다고 해서 빨리올 수 있는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냥 그 사람맞춰서 좀 다르게 하자. 2020년 매출 2020년 6천억 해보자. 라고 한다. 그럼 나는 6천억 할 수 있는 CEO인가? 아니다. 근데 그런 마음을 가져야되고 그걸 인지하고 있구나. 그런게 되게 중요한 것 같다. 청중 B Q. 왜 매출 6천억? 하형석 대표 A) 개인적으로 매출은 나에게 중요하지는 않다. 그냥 그건 이해하기 쉽게 애기하기 위해 하는 것이다. 나에게 중요한 건 나를 정말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냐. 정말 의미있는걸 만들어냈냐. 우리가 처음에 B2C에서 많이했는데 이제는 B2B로 많이 벌것 같다. 오늘 당장은 립스틱 하나로도 더 팔아서 매출을 내야되는데 우리는 뷰티에서 브레인을 점점 만들어가고 있다. 우리는 미국에 탈커머스로 가고 있을 때 매출 90%날아갔다. 근데 그 숫자가 중요한게 아니라 분명 그 안에서는 미래를 설계하는 사람들이 있어야 된다.우리는 1년 지나면 스톡옥션 부여한다. 한국에서 1천원이랑, 미국에서 1달러 벌리는 가치가 다르다. 결국에 궁극적으로 봤을 때 회사가 줄 수 있는 것은 "좋은 사무실, 급여, 시스템 드릴 수 없어요." 그러나 스톡옵션 한 주가 엄청난 가치가 되게 하는게 성공 포인트가 아닐까. 초기 액설레이터 감정과 성장하고 싶은 욕구가 항상 안에 있기를 바란다.지미 대표님 마무리 말씀미미박스 그때 3명이였는데 라면 먹고 이거할 수 있어? 그때 세명 다 ok했다. 그때까지는 라면으로 해라. 고기는 먹고 싶으면 내가 사줄게. 그때는 뭐 벨류에이션이고 뭐고 처음에 얘기 별로 안했다. 투자해봤자 얼마나 벌겠니 (웃음) 대신 잘됬을 때.  스파크랩 역사가 미미박스랑 같이 갈 수 밖에 없다. 첫 투자가 미미박스였고 그래서 글로벌 벤쳐스 만든거다. 국내에서 다들 별로 미미박스 주목안했는데 우린 잘될 것 같아서 왜 안하지라고 생각했다.  하나 후회하는 것은 있다. A때 따라가고 싶었는데 돈이 부족했다. YC 미국 가니깐 하형석 대표가 "대표님, 커뮤니티가 되게 중요한 것 같은데요. 우리 후배들 모아놓고 얼럼나이 한번 할려고요. 만약 대표님이 안하시면 제가 할게요." 그래서 "아냐 내가 그냥 할게 (웃음)" 잘되는 회사들 보면 되게 담백하다. 잘했으면 칭찬해줘야되고 뭐하면 뭐 해야되고 근데 성장이 제일 마약이다. KPI 잡을때 지금 성장 목표가 제일 쉽다. 나중에는 솔직히 성장 목표가 초기에는 A까지 사람보고 한다. 시리즈 B부터는 그냥 무조건 숫자다. 더 어렵다. 오히려 더 뒤로갈수록 냉정하다. 그게 정말 힘들다. 지금 있는 KPI 이게 힘들면 아무것도 아니다. 성장이 멈추면 안된다. 누굴 만나고 싶어 뭐 필요하고 묻고 하형석이 집요하게 했다. 답이 없으면 계속 보내야된다. 그런 마인드셋이 없으면 안된다.하형석 대표님의 진짜 마지막 얘기나한테 항상 와이컴비네이터도 연락 많이 온다. 왜 미미박스가 펀딩을 많이 받았을까? 물어본것 밖에 없다. "우리는 이런거 하고 있어요."하며 투자를 받은거다. 나는 돌아가서 생각해보니 이건 어떻게 하죠? 저건 어떻게 하죠? 이분 만나고 싶어요. 저분 만나고 싶어요. 물어보는게 중요한 것 같다. 우리는 한 200분 만나면 3~4명 관심 갖는데 우리 거절한 분들 다시 찾아가서 연락해보면 그 사람들에게서 뭔가 더 오퍼오는 기회가 훨씬 더 많았다. 이 스파크랩 커뮤니티를 최대한 이용해봤으면 좋겠다.그리고 나는 질문을 두 개를 했었다.[1]Q. 와이컴비네이터에 정말로 가고 싶다. 하지만 영어에 대한 자신감은 있지만 역량에 대해서는 자신있게 말 못한다. 어떻게 사업을 키우며 이 부분을 보완해야하는가? A. 지원하기전에는 영어가 그렇게 크게 중요한 것은 아니다. 일단 그래서 되는 것에 집중하는게 좋다고 생각한다. 뽑히고 나면 그때 많이 중요해진다. 나는 스탠퍼드 학생 인턴을 뽑아 그 친구한테 영어를 배우면서 공부했고 지금은 많이 나아졌다.[2]Q. 스타트업은 시장 경쟁 상황에서 누군가를 이기기보다 사실은 내가 살아남는 게임인 것에 뼈저리 느끼고 있다. 결국 현금 관리인데 여기에 대한 노하우는 있었나?A. 정말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난 늘 현금이 타들어가는 속도를 뺑소니에 비유한다. 사람들은 이론적으로 도로에 차가 뛰어들면 피해야지라고 안다. 근데 실제 그 상황에 닥쳐보면 절대 컨트롤 못한다. 그것과 같은 것 같다. 정말 정말 보수적으로 생각해야된다. 눈 감고 뜨면 몇 백억이 사라진다.번외편으로 하형석 대표님이 네트워킹 시간 때 규모가 나오지 않은 것을 하는 것에 대해서 얘기 했는데"마켓핏을 맞추고 기술로 스케일업 하는거다. 에어비엔비는 사진으로 가서 다 찍어줬다. 에어비엔비가 다 찍어주고 다시 개네들이 다 올렸다. 그래서 이거 다음에 기술로 하는 거다. 무조건 클라이언트 하나 하나 늘려나가는게 맞는 것 같다. kpi를 무조건 하나씩 그리고 그 하나당 매출을 보는 거다. 기술은 진짜 나중에 해야된다."그리고 미미박스 HR 담당자 분이 내가 몇몇 질문에 대해서 얘기해 주신것.CEO는 은퇴할까지 hiring하는 거다. right한 사람을 뽑지 못하면 그냥 회사가 몇개월 멈춘다. 지금 right하다고 판단되는가? 아니다. 1~2년 뒤에는 또 모른다. 그때 당연히 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서로가 알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헤어질 때 타격이 크지 않다. right 하고 안하고의 확률은 뽑은 다음부터는 그냥 50대 50인 것 같다. 모든 스타트업들은 이걸 실험하는 것 같다. 미미박스 초기 멤버 많이 나갔다 극 소수만 있다. 그 중에 한 팀원 이름으로 미팅룸도 있다. 스타트업이 성장하면서 필요한 역량이 계속 달라지니 팀도 달라지는 것이다. 좋은 리더는비전을 주고 더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는데 집중해야 한다. 기대치는 ceo에 맞춰줄 수 없다. 서로 맞춰야된다.   대표랑 구성원이랑 인간적인 친밀감이 첫번째다. 그리고 메리트라고 생각되는 보상이 뒷따라지 않으면 죽어간다. 그러면서 계속 going 할 수 있는 걸 줘야한다. 팀 내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자생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게 가장 좋은 거다. 근데 스타트업들은 프로세스가 뭐고 그런게 없으니 이런게 힘든 것 같다. HR에 대한 KPI는 딱히 없다. 그냥 HR했는데 조직이 성장했으면 잘한거고 아니면 안하거다. 일부로 측정하려고 하진 않는다. 이런 생각은 한 적이 있다. HR이고 뭐고 일은 다했는데 결국 성장안했을 때. 근데 돌이켜보니 진짜 우리가 성장했는지가 중요하더라. 디노를 보면 (하형석 대표) 어.. 저래도 되? 이런 적이 있었다. 번복이 좀 잦은 편이다. 하기로 했으면 해야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할 때도 있었다. 근데 지금 생각해보니 디노가 맞는 것 같다. 결정이 되게 빠르다. 처음에 A 하겠다고 했어도 막상 상황되서 아니면 빨리 뒤집어서 다른 걸 한다. 근데 대부분 스타트업 CEO들은 말한 걸 뭔가 지켜야될 것 같고 그러다보니 빠른 결정에 실패한다.#페오펫 #peopet #스타트업 #마인드셋 #팀빌딩 #운영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회수 915

DevOps 문화 안에서의 APM의 역할 [2] (DevOps+JENNIFER)

전편에서는 개발 프로세스 내에서 모니터링 단계의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APM의 역할이 DevOps 진영에서는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고 정리했었다. 또한 모니터링 프로세스의 세부 단계와 모니터링 기준 값 설정에 대한 내용을 다뤘는데, 이를 기반으로 제니퍼를 활용하여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장애 발견 및 알림제니퍼에서 이벤트 발생 조건은 컴파일 에러나 응답 시간 초과, OOM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에러 유형이나 액티브서비스 개수, 응답 시간, CPU 사용률, 힙 메모리 사용률 등 서비스나 시스템의 상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 설정시 외부연동 활성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모듈을 기본으로 제공한다. 또한 고객이 직접 이벤트 모듈을 구현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와 유틸리티를 제공한다. 참고로 제니퍼를 사용하는 고객사 중에서 자체적으로 구축한 관제 시스템에 제니퍼 이벤트를 연동하여, 별도의 WAS 경고 시스템을 만든 사례도 있다.   서비스 부하량 제어 (운영)제니퍼는 PLC(Peak Load Control)라는 서비스 부하량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트랜잭션 유입 차단의 기준이 되는 최소/최대 액티브서비스 개수를 설정하고, 해당 임계치 값 초과시 사용자에게 가이드해줄 수 있는 메시지나  리다이렉트 페이지를 설정할 수 있다.   만약에 대상 애플리케이션(서버 또는 WAS)이 처리 중인 액티브서비스 개수가 설정한 임계치 값을 초과하면 들어오는 사용자 요청은 거절되며 액티브서비스 이퀄라이저 차트의 요청 효과가 반사되고, 색상 또한 붉은색 계통으로 변하게 된다.사용자의 요청(Request)이 거절되면 PLC 관리 화면에서 설정한 메시지가 보이거나 아래와 같은 화면으로 리다이렉트 되며, 모니터링 대상 애플리케이션의 액티브서비스가 임계치보다 낮아지면 원래의 화면으로 돌아올 수 있다.  장애 원인 분석 (개발)개별 트랜잭션에 대한 프로파일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대상이 되는 패키지나 클래스를 알아야 하는데, 적용 범위에 따라 프로파일 데이터 크기가 매우 커질 수 있으므로 실제로 운영되는 서비스에는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제니퍼의 자동 프로파일링과 스택트레이스 기능은 설정한 응답시간을 초과한 트랜잭션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실제 운영 단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프로파일이란 트랜잭션의 시작점이 되는 메소드의 호출 구조를 상세하게 분석하는 기능을 말하며, 스택트레이스는 앞에서 설정한 기준 값을 초과하는 순간에 호출된 메소드 구조에 대한 로그를 남기는 것을 말한다. 만약에 설정한 응답시간을 초과하여 의심이 될만한 트랜잭션을 분포도 차트에서 찾았다면, 트랜잭션 분석 화면을 통해 문제 시점의 스택트레이스 정보를 참고하거나 응답이 지연되는 프로파일 데이터를 구간 별로 검색하여 콜-트리를 통해 문제가 되는 메소드 위치를 정확히 알아낼 수 있다.소스코드가 배포되었다면 트랜잭션 분포도 차트에서 배포 시점에 세로 축이 하나 그려진다. 해당 축을 선택하면 새로 추가되거나 수정된 리소스 목록을 조회할 수 있으며, 리소스의 배포 전/후의 내용을 분석하는 코드리뷰 기능은 개발 환경에서 반영된 소스코드를 분석해야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준다.배포 이후에 액티브서비스가 빠르게 처리되지 못하고, 트랜잭션 분포도 차트가 기존의 패턴과 다르게 형성이 된다면 새로 반영된 소스코드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결론인류 사회에서 자신이 속해 있는 환경과 전혀 다른 이질적인 문화나 새로운 생활 양식을 접할 때 받는 충격과 공포를 문화 충격(Culture Shock)라고 하는데, 이는 IT 분야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다. 사실 DevOps는 몇년 전부터 계속 주목받고 있으며, 많은 소프트웨어 개발 조직에서 시도하고 있는 개발 방법론이다. 하지만 새로운 문화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해 제대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DevOps가 추구하는 가치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개발과 운영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업 관계 형성은 말처럼 쉽지 않다. 어떻게 보면 이상적일 수 밖에 없는 추상적인 개념이지만 본문에서 다뤘듯이 APM을 상호 간의 의사소통 도구로써 잘 활용한다면 이상이 아닌 보다 현실에 가까워질 수 있다고 필자는 확신한다. APM은 소프트웨어 제품과 서비스를 빠른 시간에 개발 및 배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DevOps를 개발 문화로 성공적으로 정착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구라고 생각한다.
조회수 830

나는 수줍은 사람입니다

이미지 _tvN '응답하라 1988'“이 이상혁이 진짜 우리 상혁이야?” 제 이모님께서 신문기사를 보시고 제 어머니께 전화하셔서 던진 한 마디입니다. 오랫동안 연락이 없었던 동창들도 제게 문자나 전화를 통해 같은 것을 묻습니다. 자신이 아는 상혁이가 이렇게 신문에 나오고 남들 앞에 나설 리가 없다며 말입니다.이미지_ 한국경제 인터뷰그렇습니다. 저는 참 수줍음이 많은 사람입니다. 처음 창업을 해서 지금에 오기까지, 10년이 넘는 세월 동안 했던 언론 매체와의 인터뷰는 정말이지 손에 꼽습니다. 참으로 부족한 제가 마치 무엇이라도 된 것 마냥 나서는 것이 싫어서이기도 하지만, 애당초 대중 앞에 서는 것이 어색하고, 또 조금은 두렵기도 합니다. 그런 제가 이렇게 블로그라는 매체를 통해 여러분께 인사를 드리기로 결심한 데는 적잖은 고민과 용기가 필요했습니다. 앞으로 저와 저희 경영진, 그리고 다른 필진들이 이 공간을 통해 여러분께 전해드릴 이야기들이, 정말 편견 없이 솔직하고 진정성 있게 전달될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도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소통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딛기로 한 이유는, 대한민국 땅에서 새로운 방법으로 성장과 벤처 생태계 촉진을 위한 도전을 하고 있는 우리 창업가들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담아보고 싶었기 때문입니다.저희 옐로모바일에는 저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멋진 창업가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이 분들이 하루하루 보여주는 기업가 정신의 열매들은 옐로모바일의 모든 임직원들에게 정말 큰 귀감이 되고 있습니다. 이 작은 영웅들을 가까이서 모시면서 저희가 느껴왔던 창업과 기업가 정신이라는 것에 대해, 우리끼리만 누리기는 아까운 마음입니다. 이에 이를 여러분과 나누어 볼 수 있다면 정말 좋겠다는 단순한 의도에서 출발해 보고자 합니다. 옐로모바일이 바라보는 창업과 기업가 정신, 옐로모바일의 창업가들, 옐로인들의 이야기, 뿌듯했던 순간들, 옐로모바일의 사업이 궁금하다면, 옐로에게 주어진 질문들… 이와 같이 다양한 코너를 통해 다방면으로 저희의 이야기를 풀어 내고, 또 여러분과 소통하고자 합니다. 앞으로 이 곳에서 펼쳐질 옐로모바일, 그리고 대한민국 창업가들의 이야기에 많은 관심을 부탁드리며, 저는 곧 저희 사내기자 Y와의 인터뷰로 다시 찾아 뵙겠습니다.옐로모바일 대표이사이상혁 올림
조회수 1050

스타트업, 그거 왜 하세요? (2)

지난 글에서는 개인적인 이유에서 스타트업을 만들고 운영하는 이유에 대해서 기록해 보았다. 그럼 나 좋자고 이런 일을  벌이는가?라는 질문이 생길  수밖에 없는데... 물론 이유가 그것 뿐만은 아니다.  회사 차원에서는 아래 정도의 이유가 있지 않을까 싶다.첫 번째로, Be A Game Chnager! 즉, Fragrance industry의 Game Changer가 되고 싶다.향수를 만드는 업체들은 대부분이 유명 luxury goods brand들이다. 본인들의 브랜드 이미지를 활용하여 향수를 판매하는 경우가 많고, 대단히 높은 마진을  가져간다. 그리고 그러한 상황들이 크게 변화한 경우는 없었다. 평화로운 industry이다.간간이 Niche perfumer 들 (e.g. 영국의 조 말론, 미국의 Le Labo 등등) 이 시장에 참전하기는 하였지만, 그들도 뭐 그다지 다를 것은 없었다. 이미 기존의 player들이 만들어 놓은 좋은 play ground를 굳이 깰 필요가 없었을 것으로 생각된다.물론 그러한 명품 브랜드들이 지금의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서 엄청난 제품 개발을 위한 노력과, 마케팅 그리고 자금이 들어갔기 때문에 누릴 수 있는 고 마진 구조이다. 그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렇게 쌓아 올린 것들이 평생 가게 된다면 인더스트리의 발전이라는 것은 그다지 없을 것으로 보인다.파펨은 Trendy, Speed, Reasonable Price라는 무기를 가지고 이러한 조금은 굳어버린 industry를 깨고 싶다는 욕심이 있다. ZARA, UNIQLO 등이 SPA라는 새로운 영역을 창출해 낸 것과 같이.... 자극이 필요하다. 그래야 더 발전할 것이라는 믿음이다.두 번째, 새로운 시도에 대한 가능성을 타진.유명하지 않은 향수를 온라인부터 판매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파펨이 온라인을 주요 채널로 생각하게 된 것은, 물론 내가 on-line channel에 어느 정도 노출이 된 것도 있었지만, 일단 기존의 off-line  channel들이 너무 비싸기 때문이었다. 40%의 수수료 라니...게다가 최근 몇몇 제품을 보면, 애초부터 가격 책정을 할 때, 판매할 가격이 아닌 어느 정도 할인을 했을 때 본인들의 수지 타산이 맞는지를 계산해보고, 아예 처음부터 그 할인율을 표시한 채, 제품을 출시하는  듯하다. 물론 이것도 하나의 마케팅 전략이겠지만, 새로운  시도라기보다는 기득권을 잘 활용하는 것으로만 보인다. 왜 본인들이 새로운 무기를 만들 생각을 하지 않을까? (아.. 물론 나도 이제 시작이다.)깨고 싶었다. 온라인 채널에서 판매하기 어렵다고 생각되는 상품을 온라인의 강점을 이용해 보란 듯이 잘 만들어 보고 싶었다. 물론 아직은 뭔가 그럴 듯한 결실을 보여주고 있지는 못하지만, 그러한 시도들이 향후에도 계속해서 나올 수 있도록 깰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다.세 번째, 진정한 평가에 대한 욕심..사실 지금까지 직장을 다니면서, 여러 가지 성과 평가를 경험해왔다. 하지만, 그것은 그 프로젝트에서 혹은 내 boss가 만족한 것이지 세상에서 나온 진짜  평가일까?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었다.그럼 진짜 평가는 뭐라고 정의해 볼 수 있을까? 다른 사람이 소중하게 생각하는 무언가를 대가로 줄 수 있다면 그것이 칭찬이 아닐까? 스타트업을 하면서 돈을 번다는 것, 즉 고객이 돈을 지불한 다는 것은.. 어찌 보면 세상에서 가장 냉정한 평가라는 생각이다. 고객 입장에서 어렵게 벌어들인 돈을 의미 없는 곳에 쓰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아닌 경우도 있긴 하다..)네 번째, 같은 목적을 향해 가는 사람들의 성장, 가깝게는 주변 인물 (나와 함께 이 회사를 운영하는..)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의 성장을 이루었으면 좋겠다. 본인의 분야에 대한 성장,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의 성장, 그리고 금전적인 자산의 성장 또한 물론 중요하다.조금 더 확장하면.. paffem이  나오기까지 함께 일하는 협력사들 (fragrance company, bottle manufacturer, 인쇄 업체 등등)이 조금 더 좋은 상황이 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으며,궁극적으로는 이 paffem이라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고객들까지 확대할 수 있겠는데,  그분들은 이 서비스에 대한 반대급부(물론 돈이겠지)를 지불하고도 너무나도 만족스러운 경험을 하는... 가치가 있는  서비스이다!!라는 경험을 할 수 있게 하면 좋겠다.이러한 과정에서 부산물로써 "better world"가 될 수 있다면 좋겠으나, 인위적으로 마케팅을 위해서 혹은  마음속에서 진정으로 우러나오지 않는 무언가를 하면서, 파펨은 그런 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회사 입니다 라는 위선을 떨고 싶은 마음은 없다.다섯 번째, 좀 더 다양한 세상을 만든다는 욕심?멋진 스타트업들은 많다. 내가 좋아하고 자주 이용하는 것들만 봐도.. 페이스 북, airb&b, Uber 등등 세상을 더욱 좋은 & 멋진 곳으로 만들어가는 스타트업들이 많다. 한정된 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세상이 만들어낸 혜택들을 보다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며 즐길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멋진 회사들!그런데 나는 조금 더 재미있는 세상을 만드는데 중점을 두고 싶다.파펨의 중/장기 비전은.. "향의  객관화"이다. 코딩을 할 때, color에 대해서는 이미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color code들이 있다. 하나의 코드를 말하면, 전 세계 모두가 동일한 색을 떠올린다. 이러한 표준을 만든 곳이 PANTONE 이라는 기업니다.하지만, 향은 아직 그런 과정을 거치지 못했는데, 너무나도 다양하기도 하고 개인에 따라 동일한 것도 다르게 느끼기도 쉽고, 인간이 주요 감각인 시각(~60%), 청각  (~20%)에 인간의 관심들이 많이 가 있었기 때문이다.파펨이 향의 객관화/표준화를 하는 회사가 되었으면 한다. 예를 들면,Pantone Fragrance 를 paffem이 만들어 가는 것이다.PANTONE이 색상을 측정하는 tool인 CAPSULA즉 객관적인 측정이 가능 하고 그런 후에, 그렇게 객관화된 향을 직접 만들어내는 machine(?)을 만들어 보고 싶다.  적용의 예를 들면, VR을 통해 시각과 청각적인 가상 체험을 하는 사람에게 후각적인 지원까지 하게 되는 것이다. 필요한 시점에 이 향을 뿌려주고, 저 향을 뿌려주는 것이 아니라, 스크린에 나타난 이미지를 인식하면 그 것의 향기를 자동으로 만들어 내고 뿜어주는 것이다. 엄청난 몰입감이 만들어 질 것으로 생각된다.물론 아직은 나조차 과연 이게 실행될 수 있는  일인가?라는 것 조차 모르지만... 가고 싶고 가야 할 길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마지막 덧. 내가 주커버그나 래리 페이지 같이 이 세상을 크게 변화시킬 만한 회사를 만들고 운영할 능력이 없기도 하거니와.. 그런 회사를 만들어서 (본인들은 행복하겠지만) 죽어라 일하기도 싫다. 조금 웃기게 어처구니 없게 들리겠지만.. 그게 사실이다. ㅡㅡ;;;Image Source : www.pantone.com#파펨 #스타트업 #창업가 #창업자 #마인드셋 #인사이트
조회수 1451

책 읽고나서 독서노트 쓰기 귀찮다면: 리디북스&리페라

저는 삶은 다양한 아이템으로 더 풍요로워진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구매를 정당화 하는데 사용하는 단골 멘트지만 진짜 이렇게 느낍니다. 이 디바이스나 서비스가 제가 번거로워하는 걸 대신 해줄 수 있다면 그걸 쓰는 편입니다. 삶은 아이템빨이라고 믿는거죠. 제 삶의 불편한 점을 생각하고, 어떤 제품이 이걸 도와줄 수 있을지 찾아보고, 가성비가 맞으면 구매하고 써보는 패턴 입니다. 제가 독서 할 때 불편한 점: 종이책을 읽을 때 밑줄, 메모를 많이 하는데 다 읽고나서 이 메모를 다른 곳(보통 에버노트)에 옮기는데 시간이 엄청 오래걸린다.: 보통 책 한권 기준으로 밑줄, 메모 옮기는데 4시간 정도 걸립니다.타이핑 할 생각에 잠시 막막...위와 같은 불편한 점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아이템아이템: 리디북스 전자책 + 리디북스페이퍼라이트(전자책 디바이스)아이템 가격: 가격 89,000원 + 보호필름 11,000원처음에는 독서노트 타이핑 속도나 번거로움이 문제라고 생각해서, 밑줄 부분을 에버노트 scannable 어플로 찍어서 이미지 형식으로 에버노트에 저장하는 방식을 시도해봤었는데요. 에버노트에 이미지 내 텍스트 검색의 정확도가 약간 떨어지고, 이미지라 그런지 로딩속도가 점점 떨어지는게 느껴졌습니다. 그리고 불편한 점 중에 하나였던 시간도 비슷했습니다. 보통 종이책이 평균 400쪽이라고 생각했을 때 페이지 1장을 찍고 이미지를 다듬는데 30초가 걸린다고 생각하면 이미 3시간 이더라구요.그래서 아예 관점을 바꿔, 읽으면서 자동으로 밑줄 그은 부분이 디지털 텍스트로 보관되는 ‘전자책’을 읽기로 생각했습니다. 전자책은 왠지모를 거부감이 있었는데 독서노트를 안써도 된다는 생각을 하니 전자책를 처음 읽을 때 기분이 엄청 좋았습니다. 목적과 수단이 바뀌었다면 전자책을 이렇게 많이 읽긴 어려웠을 것 같습니다.<밀리의 서재> 와 같은 여러 전자책 플랫폼 중에서 리디북스를 선택한 것은 강력한 ‘독서노트’ 기능때문이었습니다. 리디북스는 전자책에서 밑줄그은 부분과 내가 쓴 메모를 백업해주는 ‘독서노트’ 기능이 있고 나아가서 리디페이퍼라이트(리페라)나 아이폰, 맥북 등 제가 가지고 있는 모든 디바이스에서 독서노트를 볼 수 있습니다.기존에 가지고 있던 가장 큰 불편한 점이었던 독서노트 타이핑은 리디북스 덕분에 없어졌고, 독서노트는 리디북스 어플로 대체되었습니다. 고민 해결!장아라blankcorp
조회수 1718

제대로 콘텐츠 디자인하기 – 판타지 편

수많은 도서 분야 중 리디북스가 가장 집중하고 있는 5개의 장르를 아시나요? 바로 리디북스 홈페이지를 상단 메뉴를 구성하고 있는 일반, 로맨스, 판타지, 만화, BL 장르입니다. 저는 리디북스 콘텐츠팀 디자이너로서 이 5가지 장르에서 진행하는 프로모션 디자인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5가지의 장르 모두 개성이 뚜렷한 만큼 디자인하는 방법도 조금씩 다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5개의 장르 중 판타지 장르의 콘텐츠디자인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판타지는 어둠의 다크?처음 판타지 장르의 콘텐츠디자인을 시작했을 때, 바탕색은 어둡게, 포인트 컬러는 채도가 높은 색을 사용하여 강한 대비를 표현하는 것이 전형적인 특징이었습니다. 저도 그 특징에 따라 일단 어두운 배경을 만들고 하나하나 요소를 넣으며 작업하였습니다. 그렇게 몇 개의 판타지 콘텐츠의 디자인을 하며 도서들을 접하다보니 판타지 도서가 어둡고 강한 이야기도 있지만 신이나 마법, 초현실 등 다양한 주제들로 세분화되기 때문에 맹목적으로 어두운 분위기로 디자인하는 것이 옳은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럼 어떻게 디자인을 해야 다양한 판타지 콘텐츠들에 각각 걸맞은 옷을 입힐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이 시작되었습니다.초반 판타지콘텐츠 디자인 작업. 바탕은 어둡게, 타이틀은 밝게.판타지는 세계다.판타지라는 단어가 갖는 특징은 뭘까 생각해보았습니다. ‘현실이 아닌 이상, 상상의 세계’. ‘개개인이 꿈꾸는 세상’, ‘현실의 극한적 왜곡’ 등등 여러 가지로 생각할 수 있는데요, 저는 개인이 환상을 담고 있는 ‘공간’이라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실제로 많은 판타지 소설들은 이계, 사이버 세계, 중세, 현대. 초현실 등 시공간적 배경을 담고 있습니다.그래서 판타지 도서의 이벤트 페이지를 디자인 할 때 해당 소설이 가진 공간적 배경을 활용한다면 판타지 소설을 더욱 판타지답게 보여줄 수 있겠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독자의 입장에서 볼 때도 소설 특징이 반영된 이벤트 페이지를 보면, 마치 그림책을 보듯이 도서에 대한 이해가 훨씬 이해가 쉬울 것이란 확신도 들었습니다.판타지 디자인 = 공간감과 입체감이후 저는 디자인을 할 때 구성 요소를 ‘공간 안에 넣는다’는 생각을 갖고 공간감 만들기에 집중하였습니다. 많은 게임 웹사이트가 좋은 참고자료가 되었습니다. 평면적인 디자인에 익숙했던 터라 입체적인 판타지 디자인 결과물은 굉장히 색다른 느낌이 들었습니다. 시각적으로 멋지기도 하지만 공간감 때문인지 몰입하게 만드는 힘이 있어서 시선을 강하게 잡았습니다.또한 ‘어둡게 표현한다’는 제한을 없애고 여러 컬러를 활용하여 몽환적이거나 신비로운 느낌의 다채로운 판타지 콘텐츠를 만들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디자인을 하더라도 공간감이라는 규칙이 있었기 때문에 통일감이 생겼고 이 특징은 자연스럽게 판타지 카테고리의 아이텐티티가 되었습니다.다양해진 컬러와 공간감의 표현입체적인 공간 연출법공간감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실내 이미지 사용, 구성 요소에 입체감 주기, 그림자 넣기 등등 많은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중 가장 중요한 요소를 고르자면 바로 ‘빛’입니다. 가상의 조명을 왼쪽, 정면, 오른쪽에 배치한다고 생각해보세요. 가끔은 역광까지 알맞은 위치를 선정하고 그에 맞는 광량을 요소별로 적용하면 입체적인 느낌이 살아납니다.이 때, 일률적으로 똑같은 빛 효과를 주기보다는 위쪽 오브젝트엔 하이라이트와 강한 그림자 효과를, 아래쪽 오브젝트는 밝은 부분을 줄이고 음영 위주로 표현해주는 것이 좀 더 자연스럽게 공간연출을 할 수 있습니다. 막혀있는 공간이 아닌 하늘, 들판을 배경으로 사용한다 해도 빛을 이용하면 쉽게 공간감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배경레이어 위에 타이틀을 올린 예시배경에 빛을 주고 각 폰트에 같은 레이어 스타일을 적용한 예시광원에 따라 자연스럽게 빛 효과를 준 예시맛깔나는 효과공간감을 연출했다면 이제 효과라는 양념을 추가해 좀 더 맛깔나게 페이지를 구성해야 합니다. 너무 과해서 촌스럽지만 않다면 개인의 역량껏, 마음대로 구성해 볼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재미있는 작업입니다.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효과는 포토샵 블렌딩 모드 중 ‘linear dodge’와 레이어 스타일 중 ‘bevel and emboss’입니다.1) Linear DodgeLinear Dodge는 흰색 부분을 유지한 채 검은색에 흰색을 추가해 더욱 밝게 해주는 기능으로 발광 효과를 내는 데 주로 사용합니다. 검정 바탕색에 흰색이 블렌딩 되면서 빛을 내기 때문에 경계선을 뚜렷하게 하는 것보다 blur를 주어 그라데이션을 만들면 빛나는 효과를 더욱 살릴 수 있습니다.2) Bevel and EmbossBevel and Emboss는 평면레이어에 입체감을 주는 효과입니다. 각 항목별로 수치를 조정하여 양각, 음각, 높이와 빛 방향, 빛과 그림자 색 등등 다양한 표현을 이 하나의 기능 안에서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하나씩 조절해보며 자신이 내려고 하는 효과에 맞는 수치를 찾고 적용하면 됩니다. 특히 이 효과를 서체에 적용하려고 할 때 중요한 팁을 드린다면 바로 ‘폰트 선택’입니다. 고딕체에 적용하는 것보다 세리프체나 획의 굵기의 변화가 많고 특이한 모양의 폰트에 적용하면 효과가 더욱 살아납니다. 특이한 폰트가 없다면 기본 폰트선택 후 Convert to Shape하여 일부러 변형을 주어 사용하면 극대화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마치며판타지 도서의 다양한 개성을 표현해보려고 시작한 방법들이 이제는 리디북스 판타지 디자인의 전반적 흐름이 되어 뿌듯하기도 하지만 이것이 정답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처음 일을 시작했을 때 맹목적으로 어둡게 디자인을 하던 시절의 잘못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요즘은 다시 입체적인 것, 효과를 주는 것이 맞는 것인지, 과하지 않은지 반문하고 있습니다. 디자인 트렌드는 계속 변하고 새로운 것이 생겨나기 때문에 틈틈이 좋은 방법이 있는지 찾아보기도 하구요. 더 멋진 판타지 장르 콘텐츠 디자인을 위해 오늘도 열심히 고민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리디북스 #디자인 #디자이너 #콘텐츠 #콘텐츠디자인 #콘텐츠디자이너 #개성 #장르 #판타지 #공간감 #입체감 #광원효과 #고민 #작업후기
조회수 1074

앱 데이터 분석 시 사용자 세그먼트의 필요성

사용자 세그먼트(USER SEGMENTATION)란? 모바일 분석 툴을 사용하면 앱 사용자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방대한 데이터는 오히려 의사결정에 혼란을 일으킬 수 있어 비즈니스에 의미가 있는 데이터를 선별해서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사용자 세그먼트’란 데이터의 필터 기능으로, 1차 데이터를 하위 기준으로 분류해서 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앱 서비스 사용자들을 성별, 연령, 국가, 플랫폼 별로 나누어서 보는 것도 세그먼트에 해당합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우리 사용자는 누구인가?’ 에서 더 나아가, 앱 서비스의 충성고객, 구매고객, 이탈고객 각각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비즈니스 전략을 만들 수 있습니다.아래 내용을 통해 앱분석 시 사용자 세그먼트의 방법과 필요성을 알아보겠습니다.사용자 세그먼트 적용하기사용자 세그먼트가 무엇인지 실제 데이터 분석 툴의 예시를 보며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바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트래커(WISETRACKER)는 기본 세그먼트와 사용자 정의 세그먼트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기본 세그먼트기본세그먼트 기능을 통해 플랫폼, 성별, 연령대에 따라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습니다. 비즈니스에 따라 사용자 구분 시 중요한 지표가 있다면, 그것을 기본세그먼트 항목으로 추가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광고채널, 회원여부, 회원등급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와이즈트래커 세그먼트 설정화면 – 필요한 세그먼트를 더블 클릭하거나, 오른쪽 상단의 ‘Drag Here’ 로 세그먼트 항목을 Drop하면 세그먼트가 적용됩니다. 여러가지 세그먼트를 동시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데이터는 기본 세그먼트 중 연령대(20대, 30대, 40대) 세그먼트를 이용해 [신규방문 vs 재방문] 리포트 데이터를 하위 분석한 결과입니다.이를 통해 단순히 신규방문/재방문의 수치/비율 뿐 아니라, 각 방문 유형별 연령대 구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데이터를 통해 처음방문자의 경우, 20대와 30대의 수치가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반복방문자의 경우 30대의 비율이 20대보다 훨씬 높게 나타나, 앱 서비스가 20대보다 30대에게 지속적으로 어필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사용자 정의 세그먼트사용자 정의 세그먼트를 통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세그먼트를 조합해 비즈니스에 필요한 맞춤 세그먼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앱 서비스의 주요 고객이 iOS를 사용하는 20~30대 여성이라면 아래와 같이 해당 속성값을 가지는 사용자 정의 세그먼트 ‘iOS_2030_여성’을 생성합니다.위에서 생성한 세그먼트를 위의 [신규방문 vs 재방문] 리포트에 적용하면 아래와 같은 데이터가 나타납니다.이처럼 사용자 정의 세그먼트를 이용하면 앱 사용자를 비즈니스에서 정의한 타겟 고객군과 잠재 고객군으로 분류하여 유의미한 사용자 그룹의 숫자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사용자 세그먼트의 필요성데이터 분석은 분석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비즈니스의 성장과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될 때 의미가 있습니다. 그럼 사용자 세그먼트는 비즈니스의 성장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1. 의사결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선별해 추출할 수 있다. 신규 고객을 위한 이벤트 기획 시, 신규 고객들의 성별, 나이, 플랫폼 등을 세그먼트 기능을 통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만약, 아래 테이블처럼 신규 고객의 대다수가 20,30대 여성이라면, 이들의 흥미를 끌만한 이벤트를 기획해 이벤트 참여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와이즈트래커 내 처음방문자 방문수 데이터에 연령_성별 사용자정의 세그먼트를 적용한 화면 ]2. 어떤 유저가 우리 비즈니스에 가장 유의미한지 파악할 수 있다. 앱 서비스의 핵심적인 유저는 앱을 주기적으로 방문하고, 구매 빈도/금액이 높은 사용자입니다. 이들의 특성을 세그먼트를 통해 파악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들의 충성도와 구매율을 높이기 위한 프로모션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와이즈트래커 내 1회 구매자 방문수 데이터에 여성들의 연령_플랫폼 사용자정의 세그먼트를 적용한 화면 ]3. 오디언스 타겟팅(AUDIENCE TARGETING)에 이용할 수 있다.세그먼트 기능을 통해 파악한 특정 사용자 그룹의 특성을 바탕으로 오디언스 타겟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앱에서 한번도 상품을 구매하지 않은 비구매자 그룹의 특징을 파악했다면, 이를 기반으로 해당 그룹의 ADID/IDFA를 추출해 구매를 유도하는 푸시메시지 또는 광고를 노출할 수 있습니다.[ 와이즈트래커 오디언스 타겟팅 설정화면. 비구매자 그룹의 주요 특징이 회원인 40대 국내 남성이라면 이들의 ADID/IDFA를 추출해 구매를 유도하는 푸시메시지/광고 프로모션을 진행할 수 있다.]비즈니스 성장의 지름길 고객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수록 비즈니스는 빠르게 성장합니다. 이 때문에 모바일 비즈니스에서 사용자 세그먼트를 통해 비즈니스 고객군 별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모바일 데이터 분석을 이제 시작했다면, 사용자 세그먼트 기능을 통해 데이터에 깊이를 더하고 비즈니스 성장에 핵심적인 데이터를 확인해보세요! * WISETRACKER는 모바일 광고 성과 측정부터 In-app 이용자/컨텐츠 분석, 푸시메시지 최적화까지 지원하는 모바일 통합 분석/타겟팅 솔루션입니다. 와이즈트래커 솔루션의 무료체험을 원하실 경우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WISETRACKER가 제공하는 무료 데이터 분석 컨설팅를 원하신다면 여기를 클릭해주세요.#와이즈트래커 #앱마케팅 #마케터 #성과분석 #데이터분석 
조회수 1070

이커머스 고객사의 고객경험을 지키는 사람들, 품고 운영 팀장 지원님을 만나다.

1. 안녕하세요! 지원님, 간단히 자기소개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이커머스 풀필먼트 서비스 ‘품고’ 커뮤니케이션 팀에서 일하고 있는 노지원입니다!  커뮤니케이션팀으로 입사해서 현재 운영 팀장으로 ‘품고’와 함께하고 있습니다.     2. ‘품고’ 운영 팀에서 주로 하고계신 업무는? 고객사 분들께 ‘품고’의 IT 물류 시스템 사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리고  있어요.  제품이 품고를 통해 배송되어, 고객의 손에 닿는 순간까지  배송상황을 체크하고 제품이 고객에게 전달 된 이후에도 고객사와 소통하며 다양한 상황에 대비해드리고 있어요:)     3. 품고 커뮤니케이션 팀만의 강점이 있을까요? 직접 물류를 하면서 쌓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객의 ‘비즈니스’를 함께 고민하고 더 나은 방법을 제안 드릴 수 있다는 점인 것 같아요. 예를 들어 상황에 따라 제품 발송에 있어 비용절감이 가능한 방법 등을 안내해드리고 있어요.     4. 품고 운영팀에서 일하시면서 기억에 남는 일이 있으실까요? 현재 저희와 함께 하고 계신 고객사 ‘하비풀’이 기억에 남아요. 온라인 취미 클래스와 함께 취미 키트를 판매하는 곳이고, 취미문화를 선도하고 있는 기업이라고 생각해요.   키트 제품이다 보니 배송 전 임가공 작업이 필요해요. ‘품고’의 임가공 전문팀이 임가공 작업을 해드리는 고객사 중 하나에요. 물류 업무를 품고에 맡기시고 하비풀에서 잘하시는 상품 기획, 마케팅 등 핵심업무에 집중하신 이후,  현재 하비풀은 저희와 처음 함께할 때보다  주문량이 약 10배정도 늘으셨어요:)     5. 앞으로 품고에 계시면서 해보고 싶은 일이 있으실까요? 현재 품고와 함께하고 있는 고객사 분들 중에 뷰티 브랜드 고객사 분들도 계세요.  요즘  ‘K뷰티’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잖아요?  뷰티업체 중에 혹시 해외배송을 생각하는 업체가 계시다면 만나서 ‘품고’의 해외배송 서비스를 통해 도움을 드리고 싶어요.    ‘품고’는 단순히 배송을 대행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사의 성장을 함께 응원하고 돕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어요.  앞으로도 많은 이커머스 사업자 분들의 품을 덜어드리고 고객경험을 함께 지켜드리는 든든한 물류팀 ‘품고’가 되고 싶습니다:)  
조회수 2235

안정적인 공공기관에서 도전적인 스타트업으로

스푼을 만드는 사람들 세 번째 이야기.별명이 정말 많아 '별명부자'라고도 불리는 사업개발팀의 'Hugh' 소개해보고자 한다. 독특한 이력에, 독특한 점이 넘치는 그의 닉네임들을 나열해보자면..휴장님, 휴 사마, 엄마, 이모, 사카, 뭘 해도 사장님, 사촌오빠, 교장선생님, 평화주의자, 카카오 라이언, 슬라임, 카스텔라 Source: Elmers-SlimeHugh는 마이쿤의 '별명부자' 휴는 다양한 이미지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이다. 부드러운 면에 담긴 카리스마도 있고 가끔은 언니처럼, 엄마처럼 또는 이모처럼(?) 또 다른 때 보면 그는 왠지 교장선생님 같기도 하고.. 어디에 앉아있으나 '사장님'포스를 뿜 뿜 내는 그다. 그런 그를 한 번에 설명하기에 나(Sunny)와 Summer는 그를 '슬라임'으로 지칭하기로 했다. 그는 상대가 누구인지에 따라, 상황에 따라 잘 맞춰주고 변화하지만, 결국엔 가장 'Hugh' 본인의 성향과 가치관은 잃지 않는 그런 멋진 사람이기 때문Q. 가장 좋아하는 별명은?사카(사랑스러운 카리스마). 대학시절부터 가장 오랫동안 불려 왔던 별명이기 때문에구 버전 스푼 캐릭터 - Hugh닉네임이 'Hugh'인 이유 1. 본명이 H로 시작하여 모티브가 되었다.2. 休 (쉴 휴) - 마음의 평화, 스푼과 이미지가 매칭 돼서 3. '외'자는 그냥 멋있음(솔직히 Hugh grant 좋아하셔서 그런 줄 알았어요)다소곳함의 대명사 그는 왜 안정적인 직장을 떠나 스타트업에 왔을까?Q.  스타트업인 마이쿤(스푼 라디오) 사업개발팀에 합류한 계기는?"저는 마이쿤에 입사하기 전엔 7년 정도 공공기관에서 국가의 데이터 정책을 연구/기획하는 업무를 했었어요. 사실상 많은 사람들이 안정적인 직장을 꿈꾸지만 저는 조금 달랐던 것 같아요. 도전적인 업무 그리고 환경에 대한 열망이 있었고, 자극을 받을 수 있는 그리고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곳 그리고 사람들과 함께 일하고 싶단 생각이 들 때쯤, 전 여자 친구이자 현 저의 와이프와 가족들도 저를 응원해주고 지지해줘서 최단시간 빠르게 이직을 결정하였습니다.Q. 그래도 안정적인 미래를 보장하던 곳을 떠난 후회는 없으신가요?"후회하지 않습니다. 저는 누군가에 삶에 활력을 주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입니다. 제가 타인에 삶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수 있을 때, 저도 그로 인해 자극받을 수 있는 환경에서 근무한다는 점이 저에겐 큰 행복입니다. 사람은 살아가면서 늘 도전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래야 발전도 있는 법이고요."Q. 현재 스푼에선 어떤 업무를 하고 계신가요?"저는 사업개발팀에서, 스푼이라는 서비스를 조금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자 국가 확장 전, 서비스를 출시할 나라를 선정하는 업무 및 시장조사, 개발에 필요한 것들을 모두 조사합니다. 새로운 국가 론칭 후, 법인 설립, 초기 채용, 인프라 계약 체결 등의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Q. 전에 했던 일과는 조금 차이가 있는데 어떠신가요?"제가 입사를 2018년 6월에 했는데, 한 두 달간은 정말 뭐가 뭔지 몰랐던 그런 바빴던 시간입니다. 전에 했던 일과는 다르기도 했고, 무엇보다 문서작업이 굉장히 중요하고 정확한 프로세스를 거쳐야 했던 전 직장과는 달리 스타트업은 정말 '빠른 실행' 이 중요한 점이 처음엔 상충되었던 것 같아요. 처음엔 속도가 느렸고 너무 완벽하게 준비하려고 했었던 것 같아요. 그래도 지금은 많이 적응이 된 상태입니다!Q. 회사에 처음 입사하셨을 때 느꼈던 이미지는?"한마디로, 젊다! 너무 젊어서 신선한 충격이었습니다. 그저 연령대만 젊은것이 아니라, 회사에서 까르르르 하면서 웃는 소리를 들어본 건 정말 처음이었거든요."Q. 만약 다른 누군가가 안정적인 직장과 도전적인 스타트업 사이에서 고민한다면?전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다만, 이직을 생각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나는 어떤 환경에서 더 행복한 사람인지를 아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그저 지금 다니는 회사의 상사가 싫어서, 또는 반바지에 운동화 신고 출근하고 싶어서 스타트업으로 간다면 비추천입니다. 무엇보다 나를 잘 아는 가족, 연인 그리고 친구들과 상의하는 과정에서 답을 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당신의 회사생활이 궁금합니다Q. 지금 하는 업무의 만족도는? 일이 재미있나요?"네, 진짜 재미있어요. 화장실도 안 가요. 지금 하는 일이 저에게 정말 잘 맞는 것 같아요. 사실 저는 반복적인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에요. 그런 저에겐 딱 맞는 업무가 아닐까 싶어요. 예를 들면 100미터 달리기 같은 느낌? 한 국가만을 조사하고, 서포트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국가의 여러 다양한 일을 하다 보니 집중력이 유지되더라고요. 이거 하나 끝내면, 저거다! 이런 느낌으로"Q. 회사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어떻게 해야 업무 효율이 조금 더 늘어날 것 같으세요?)"저는 사무실에 화분이 조금 더 많아지면 좋겠어요. 원래 그런 걸 좋아하기도 하고, 요새 미세먼지도 많으니 공기 정화에도 좋을 거고.. 사실 스푼이 노란색이잖아요. 그래서 초록색이랑도 너무 잘 어울리기도 하고,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씀을 드리자면.. 인조보단 생화(이끼 식물 같은..)"Q. 사업개발팀에 합류하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한가요?1. 분석력2. 강한 인내심3. 커뮤니케이션 능력"첫 번째로 이 일은 전공과는 무관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 일을 하다 보면 국가마다 특성이 굉장히 다르다는 걸 알게 돼요. 그래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때도 있기에 타 문화를 수용할 줄 알고 참고 인내심으로 버티는 힘이 굉장히 중요한 업무라고 생각해요. 무엇보다 저희는 다른 팀하고의 협업이 많은 편이라, 높은 커뮤니케이션 능력으로 협조를 구할 줄 아는 그런 사람이 필요합니다." Q. 어떤 사람들과 일하고 싶으세요?저를 귀찮게 하는 사람들과 일하고 싶습니다. 저는 어떤 질문이라도 언제든 대답해드릴 수 있거든요. 모르면 모른다고 저에게 언제든지 물어볼 수 있는 그런 자세를 갖춘 사람과 일하고 싶어요. 늘 배우려는 마음이 있는 그런 자기 주도적 사람이요. 인성도 실력입니다. 저는 인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합니다.Q. 면접 시 짧은 시간 동안 그 사람의 인성을 어떻게 판단하시나요? "물론 면접 동안의 한 사람의 인성을 판단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지만, 사실상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많이 추측이 된답니다. 그 사람이 살아왔던 과정에 대한 질문 그리고 경험을 토대로 비추면 얼추 알 수 있더군요. 무엇보다 저희는 면접이 조금 다른 곳보다 긴 편이기도 하고요. 조금 더 정확한 인성 파악을 위해서 하하.."점심시간마다 그는 통화 중이다..당신의 사생활이 궁금합니다.Q. 점심시간마다 사라지시는데, 이유가 있나요?"네, 저는 점심을 먹고 항상 빈 회의실에서 와이프와 통화를 해요. 그러다 보니 회사에서 가장 좋아하는 공간도 이 곳이고요. 사실은 LIVE룸에서 항상 통화를 하는데, 이렇게 다른 회의가 잡히거나 하면 CAST룸에서도 통화를 해요."(여러분 앞으로 휴를 위해 점심 먹고 회의실 하나는 꼭 남겨둡시다)Q. 진짜 초동안이신데, 혹시 동안의 비결이 뭔가요? "피부가 두꺼우면 된다..? 아닌 것 같고, 음.. 저는 스트레스를 잘 받지 않는 편입니다. 워낙 초낙천적인 사람이라.. 어머님께 물려받은 그런 유전자인가 봅니다.."Q. 좋아하는 음식이 어떻게 되세요?"회! 저는 외식을 하면 주로 회를 먹어요. 고기보다는 주로 회를 늘 먹고, 아 요즘은 디디치킨이 먹고 싶어 졌어요. 인플루언서 방송 때 하도 들어서 그런가 봅니다"Q. 앞으로 더 행복해질 수 있다면, 어떤 요소들이 필요할까요?"지금도 저는 사실 충분히 행복해요. 사랑하는 가족들과 와이프가 있으니까요. 다만 지금보다 가족들과 보내는 시간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Q. 10년 후 어디서 무엇을 하고 계실 것 같으세요?"저는 사주를 가끔 보는데, 평생 일할 팔자라고 하더군요? 좋은 거겠죠?.. 저는 이제 시작한 이 업무에서 전문가가 되고 싶어요. 한 번 시작했으면, 또 열심히 해야죠. 성격상 하나에 집중하는 타입이기도 하고.. 그리고 정말 나중에 조금 더 시간이 흘렀을 땐 '동화작가' 되고 싶어요. 예전에 꿈 그림책 전시회에 간 적이 있는데 너무 감동적이더라고요. 제가 그림을 못 그려서, 글만 쓰고 그림은 와이프가 그려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보고 계시죠 와이프님)공기청정기 같은 남자 Hugh by Sunny사업개발팀 팀원이 휴를 한마디로 표현한다면?Julie 曰:  사랑꾼 - 휴는 그냥 사랑꾼인 것 같아요. 일도 사랑하시고, 와이프분에 대한 애정이 정말 엄청난 것 같거든요. 점심시간마다 통화하시는 모습도 그렇고!
조회수 2883

KBS 분야별 업무소개 - 방송경영

한때 방송사에서 ′경영′이라는 단어가 생소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몇 개의 방송사가 방송 시장을 과점하고 있었기 때문에 재원은 여유가 있었고, 방송사간의 경쟁은 큰 의미를 주지 못했습니다. 당시에는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뉴스를 ′보도′하는 것만이 방송사의 활동이었습니다. 그러나 방송 환경이 과거와는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변한 지금, ′경영′을 빼놓고는 방송을 말할 수 없습니다. 종합편성채널, CATV, 위성방송, 인터넷 등 지상파방송의 지위를 위협하는 많은 매체들이 방송시장에서 경쟁을 부추기고 있습니다.KBS 역시 이 경쟁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우수한 프로그램이라 하더라도 효율성과 경제성을 바탕으로 제작하지 않으면 누구도 방송사의 생존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방송사를 경영하는 것′,  다시 말해 ′조직의 비전을 제시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집중하고 배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기획행정'의 존재이유입니다. 우리는 가장 가까이에서 방송을 바라보고 있습니다.KBS는 한국을 대표하는 공영 방송이며 영국의 BBC, 일본의 NHK 등 세계 일류 공영 방송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방송입니다. 세계 방송의 흐름을 읽고 국내 방송 환경을 개척하며 한국방송을 굳건히 세우는 일. 또 5년 후, 10년 후의 KBS를 조망하고 바람직한 방송 위상을 확립하는 일. 여러분이 정책을 기획하고 조직과 예산을 관리하는 기획예산국과 같은 곳에서 일하게 된다면 여러분은 KBS의 미래로 밤잠을 설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기획행정′은 방송과 함께 합니다.뛰어난 방송 제작을 위해 재원을 마련하고 인력과 물자를 적절히 배분 하는 일이 그것입니다. 대시청자서비스를 담당하며 시청자 제일주의를 실현하는 시청자권익보호국, 공영방송의 소중한 재원인 수신료를 관리하는 수신료정책국, 업무처리의 타당성을 점검하는 감사실, 인력채용·운영과 제도 전반을 다루며 인재를 육성하는 인적자원실, KBS의 주요 정책을 개발하고 예산 및 계열사·지역국을 관리하는 기획예산국, 광고국, 자산을 관리하고 직원 급여 및 후생복지, 제작비, 결산·세무를 담당하는 총무국 등 한정된 자원으로 최적의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기획행정′은 방송 제작의 일선에서도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방송국은 물론 방송을 만드는 곳입니다. 하지만 방송의 이면에는 한 컷의 화면을 위해 온갖 정성을 아끼지 않는 엔지니어, 카메라맨, 디자이너, 작가, 세트제작요원, 분장사, 오디오맨, 효과맨 등 수많은 사람들이 함께 하고 있습니다.′기획행정′은 이러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방송이라는 정점에서 어우르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편성운영부, 보도운영부, 콘텐츠운영부, 라디오운영부, 제작리소스운영부 등은 방송 현장에서 제작자들과 호흡을 같이 하고 있습니다.  KBS, 디지털 이성과 아날로그 감성이 맞물리는 곳사회는 생산성과 효율성에 입각한 정글의 법칙만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일상에 얽매여 자신보다는 조직의 논리에 갇히기 쉽습니다. 사회인이 된다는 것은 스스로의 생계를 유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사회 속에서 자신의 가치를 실현하고 존재의 의미를 확인하는 일입니다. KBS는 최소 투자, 최대 이익의 실현이라는 경영의 논리를 바탕으로 기업을 운영한다는 점에서는 사기업과 같지만 국가기간방송으로서 방송의 이념과 목표를 더욱 소중히 하는 곳입니다. 원리원칙을 지키는 디지털 경영이 KBS의 경영 목표지만, 구성원들이 아날로그의 개성과 장점을 마음껏 구현할 수 있도록 그 토대를 마련해 주는 곳이기도 합니다. KBS는 여러분을 향해 두 팔을 활짝 펼치고 있습니다!선택은 여러분의 몫입니다. #한국방송공사 #KBS #KBS공채 #직무정보 #직무소개
조회수 688

about 파운트

"모든 사람들의 경제적 자유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겠습니다." 파운트는 로봇이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 회사입니다. 기존의 은행이나 증권사 지점의 금융전문가(PB)들이 제공하는 자산관리 서비스를 기계가 대신해서 대중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영화 속에 등장하는 여느 로봇들처럼 하나의 인격체로서 로봇이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면 좋겠지만, 로보어드바이저는 전통적인 퀀트 모델링을 기반으로 기계학습 등의 요소가 접목되어 고객들에게 투자에 좀 더 현명한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기술입니다. 로보어드바이저는 고액자산가만이 누릴 수 있었던 자산관리를 일반 대중들도 누릴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장시켰다는데 그 의의가 있습니다.ㅣ 전통적인 자산관리 vs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or)의 강점전통적인 자산관리는 금융전문가가 직접 투자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서비스였습니다. 하지만, 금융전문가는 사람인 만큼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고객들이 한정적이었고 그에 따라 높은 수수료를 부담할 수 있는 고액자산가가 주된 고객이었습니다. 하지만, 고도화된 기술 발달에 힘입은 로보어드바이저의 등장을 통해 컴퓨터로 수천에서 수만명의 고객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일반 대중들도 소액 투자금액과 낮은 수수료로 자산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뿐만 아니라, 자산이 어떻게 운용되고 어디에 투자되는지 등을 알기 위해서는 금융전문가에게 연락을 하거나 직접 만나야만 했지만 로보어드바이저를 통해서는 모바일과 PC를 통해서도 실시간으로 자산관리 현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죠. 즉, 언제 어디서든 자산관리 서비스를 받아볼 수 있는 접근성에서도 우수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사람의 잘못된 감정이 개입되지 않고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투자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강점도 가지고 있습니다.이처럼 로보어드바이저는 저렴한 비용, 접근성, 데이터 중심적인 투자 의사결정 등에 경쟁력이 있습니다.ㅣ 로보어드바이저의 현황 및 전망은?국내는 대략 2015년부터 로보어드바이저 기업들이 등장하기 시작해서, 초기단계지만 최근 들어서는 정부 주도하에 코스콤이 주관하는 테스트베드도 시행하며 점차 성장하는 추세에 있습니다. 국내 대형 은행사와 증권사를 비롯해, 자산운용업계에서도 로보어드바이저 기업들과 협력한 금융상품들이 계속해서 출시되고 있는 것이 이를 반증하고 있습니다.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은 약 4~5년 전부터 미국에서 태동하기 시작해 매년 80%씩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세계적 컨설팅 회사인 A.T Kerney의 보고서(2015년 기준)에 따르면 미국 시장은 2020년까지 연평균 64.56%씩 2.2조 달러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보고 있으며, 실제로 세계적인 자산운용사인 블랙록(Black Rock)을 비롯해 골드만삭스 등 유수의 투자은행들도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상황입니다.ㅣ 파운트의 목표와 투자철학은?로보어드바이저는 인간보다 뛰어난 분석력을 바탕으로 높은 수익률을 담보하는 서비스가 아닙니다. 아직은 많은 고객들이 로보어드바이저를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서, 고도화된 IT기술력을 바탕으로 높은 수익률을 담보하는 서비스라고 이해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는 시스템(System) 트레이딩의 목표이지 로보어드바이저의 목표는 아닙니다. 파운트는 시장의 위험을 최소화 하면서, 시장 벤치마크 + 알파의 수익률을 추구하는 자산관리 서비스이며, 글로벌 자산배분과 정교화된 알고리즘, 그리고 안정화된 엔진 기술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파운트(fount)의 명칭은 분수(fountain)라는 라틴어에 그 어원을 두고 있습니다. 투명하고 언제나 샘솟는 분수처럼 파운트의 서비스를 통해, 모든 사람들이 경제적 자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앞장서겠습니다.
조회수 2350

하얗게 불태웠다. 트레바리 홈페이지 리라이팅 후기

1월부터 4월까지 한 시즌에 걸쳐 트레바리 홈페이지를 다시 구현하였다. 겉으로 보이는 UI/UX 디자인 개편을 넘어, DB 설계와 서버 및 웹 페이지 개발까지 새롭게 진행했다. 기존의 홈페이지를 완전히 버리고, 새로운 아키텍처를 가진 홈페이지를 구현하여 데이터를 이전하는 일이었다.4개월 동안 반응형 웹 사이트 1개, 크루/파트너 어드민 사이트 2개와 함께 서버까지 구현했다..지난 시즌 동안 홈페이지의 여러 기능들을 개선하면서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단순히 '남이 짜둔 코드가 별로예요'에서 나온 불편 때문만은 아니었다. 회사가 겪는 빠른 성장에 발맞춰 시스템이 뒷받침이 되어줘야 하는데 기존의 아키텍처로는 그러기가 어려웠다. 적은 트래픽에도 툭하면 죽는 서버 덕에 접속이 몰리는 멤버십 신청 기간 동안에는 서버 비용을 배로 늘려야 했고, 푸시 알림의 필요성으로 모바일 앱을 구현하고 싶어도 별도의 API 서버가 존재하지 않아서 시도하기 힘들었다. 결국 지난 시즌 말, 홈페이지를 새로운 아키텍처에서 다시 구현하겠다는 호기로운 결정을 내렸다.처음 시작할 때만 해도 아주 큰 어려움은 없겠거니 했다. 트레바리 입사 이전에 여러 프로젝트를 턴키로 수주받아 진행했던 경험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몇천 명, 많게는 몇만 명이 접속하는 운영 중인 서비스를 만들어 이전하는 일은 새 서비스를 만드는 일과는 또 다른 일이었다.게다가 이전 글에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트레바리에는 풀타임으로 일하는 개발자나 디자이너가 나 혼자이기 때문에 해야 하는 일이 절대적으로 많았다. 개발 맨 아랫단부터 웹 페이지의 디자인까지 기간 내에 해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덕분에 매일이 도전이었던 4개월을 보냈고, 런칭 3주 전쯤에는 잠시 슬럼프를 겪기도 했다. 하지만 트레바리가 한 번은 꼭 겪어야 하는 과제였기에 꾸역꾸역 해내면서 런칭까지 왔다. 오늘은 그 이야기를 정리해보려고 한다.리라이팅왜, 무엇을 했나요?1. 과도한 서버 비용과 느린 속도홈페이지를 다시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가장 많이 하게 된 이유는 비용과 속도였다. 동시 접속 유저 수가 천 명이 안 되는 서비스에서 월 100만 원가량의 서버 비용이 나왔고, 평균 페이지 로딩 속도가 3초를 넘어갔다.그동안 트레바리 홈페이지는 여러 프리랜서 개발자들이 거쳐가며 유지되느라 DB나 쿼리 구조에 대한 고민을 장기적으로 해볼 기회가 없었다. 요청받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테이블을 그때그때 만들고, 활용할 데이터가 다른 테이블에 있다면 조인을 해서 불러왔다. 그 결과 대부분의 데이터 요청에 n+1 쿼리가 존재했고, 한 명의 유저가 한 번의 접속만으로도 수많은 쿼리 요청을 하는 상황이었다.최대한 기존의 홈페이지에서 이를 해결해보려고 노력했다. 처음 입사했을 때만 해도 10초 이상의 시간이 들었던 독서모임의 리스트 요청을 3초까지 줄이고, 접속자 수가 40%가 늘어났어도 서버 비용을 늘리지 않을 수 있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빨라졌을 뿐 느린 편이라는 점은 변함이 없었다. 매 시즌 멤버 수가 30~40% 씩 증가하는 추세대로라면 다음 시즌에도 비슷한 비용을 유지할 수 있을 거란 보장 또한 없었다.여기서 더 개선하려면 DB 구조를 변경하고, 수많은 코드를 갈아엎어야 했다. 필요하다면 하면 되는 일이었지만 기존의 아키텍처인 레일즈 웹 애플리케이션을 유지한다면 당장의 퍼포먼스를 개선하더라도 언제까지 높은 퍼포먼스를 유지할 수 있을지 의문이었다. 성장에 따라 요구되는 시스템들을 다 지원해줄 수 있을지도 미지수였다. 언젠가 아키텍처를 변경해야 한다면 최대한 빠른 시일인 지금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판단했다.Heroku에서 관리하던 서버를 AWS의 EC2로 변경하면서 DB 또한 PostgresSQL에서 AWS 의 DynamoDB로 이전했다. RubyOnRails를 사용하여 단일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했던 홈페이지를 Typescript를 기반으로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나눴다. React로 사용하여 웹사이트를 구현하였고, Node.js로 GraphQL을 적용하여 서버를 구현하였다.덕분에 월 100만 원가량이 들던 비용을 월 30만 원까지 낮출 수 있었다. 속도는 이전보다는 빨라졌으나 기대만큼 빨라지지는 않아 캐싱 등을 적용하여 차츰 줄여나가고 있다. 변경한 현재 아키텍처로는 트래픽이 늘어나더라도 이전처럼 비용을 배로 늘리지 않아도 되었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속도를 개선하는 작업도 시도해 볼 수 있게 되었다.2. 기술 부채기술 부채가 쌓인 모습 (...)이미지 출처: 스마트스터디앞서 말했던 것처럼 기존 홈페이지는 여러 프리랜서 개발자들이 거쳐간 터라 뻔하게도 기술 부채가 쌓였다. 홈페이지와 관련된 문서는 없고, 크루들은 사용하는 기능들을 부분적으로만 알고 있었다. 그런 상황에서 몇 명의 크루들이 퇴사와 입사를 거치니 그나마 구전으로라도 유지되던 홈페이지 정보가 점점 사라졌다.홈페이지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기면 직접 코드를 뒤적이며 파악해보는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모든 크루들이 유일한 개발자인 나에게 물어보는 것 말고는 홈페이지에 대해 알 수 있는 다른 방도가 없었다. 이 외에도 새로운 기능을 구현했더니 미처 파악하지 못한 곳에서 버그가 터진다거나, 안 쓰는 줄 알고 삭제한 코드가 사실 어디선가 제기능을 하고 있거나 하는 때도 잦았다.이런 기술 부채를 청산하려면 1) 대부분의 기능들을 파악하고 있는 담당자가 있고 2) 지원하는 기능들을 잘 정리한 문서가 필요했다. 1번은 직접 처음부터 리라이팅을 진행했으니 자연스레 해결되었으나, 다른 크루들도 많은 기능들에 대해 파악하고 있으면 더 효율적일 거라 생각했다. 그래서 새로 구현되는 기능이나 변경 사항에 대해서 매주 주간 회의 때 공유를 하고 있으며, 배포를 할 때마다 실시간으로 에버노트와 슬랙의 배포 노트 채널을 통해 배포 내용을 공유하고 있다. 이전에도 하고 있었으나 더 잘, 자주, 자세히 해야겠다고 새삼 깨달았고 노력 중에 있다.2번을 위해서는 홈페이지 기능 설명에 대한 문서를 작성하기 시작했다. 아직 가장 효율적인 포맷이 무엇인지는 찾지 못해서 방황하고 있지만 최대한 쉽고 자세하게 쓰는 방향으로 진행 중이다.사랑과 따뜻함이 넘치는 우리 크루들 3. 복잡하고 이유 없는 UI기존의 홈페이지는 의외로(?) 다양한 기능들이 있었지만 유저들이 모르거나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대부분의 기능들과 인터페이스들이 중요도에 대한 고민 없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다'는 이유로 덕지덕지 추가되었다. 게시판이나 다이어리 같은 메뉴들은 사용률이 채 5%가 안되지만 상단 메뉴에 자리 잡고 있었고, 북클럽 리스트의 페이지에는 딱 한 번만 읽으면 되는 설명글이 화면의 반을 차지하고 있었다.멤버들이 트레바리에서 가장 활발하게 누려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활동은 독서모임과 이벤트다. 내 클럽이 아닌 다른 다양한 클럽에도 참여해보고, 살면서 해보지 못한 경험들을 이벤트를 통해 체험해봤으면 좋겠다. 그런 고민으로 상단 메뉴에는 독서모임과 이벤트, 내 활동 정보를 볼 수 있는 마이페이지만 배치하였고 FAQ나 공지사항과 같은 자잘한 것들은 하단의 footer로 내리거나 일부 기능들을 임시적으로 지원하지 않기로 했다.리라이팅 전리라이팅 후직관적인 UI는 파트너 어드민에서도 절실하게 필요했다. 기존의 어드민 UI는 따로 교육이 필요할 정도로 복잡했기 때문이었다. 한 명의 파트너에게 자신이 관리하는 클럽 외의 모든 클럽 정보가 노출되었다. 클럽 정보에서도 봐야 할 정보와 보지 않아도 될 정보가 혼재되어 보이고 있었다. 파트너의 수는 점점 늘어나는데 그때마다 홈페이지까지 교육까지 따로 해야 하는 것은 리소스가 많이 드는 일이었다.파트너가 자신의 모임을 이끌기 위해 정말 필요한 일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신경 써서 구현했다. 모임에 참석하는 멤버 리스트, 모임에서 읽을 책과 발제문 등을 등록하고 수정하는 페이지, 출석 체크를 할 수 있는 기능만으로 구성했다. 항시 봐야 하는 매뉴얼과 FAQ는 따로 메뉴로 빼두었다.파트너 어드민의 모임 정보 설정 페이지 리라이팅 전과 후4. 데이터로 소통하는 회사트레바리는 점점 데이터로 소통하는 회사가 되고 싶다. 어떤 유저가 어디에서 불편을 겪고, 어떤 부분을 좋아하는지 알고 싶다. 사람들이 독서모임에 만족하면 홈페이지에서 어떻게 활동하는지, 혹여 만족하지 않았다면 그때는 또 어떻게 활동하는지 궁금하다. GA와 A/B 테스트 등의 방법들을 통해 데이터를 보며 이를 파악하고 싶다.기존 홈페이지는 전통적인 페이지 단위로 돌아가는 레일즈 웹 애플리케이션이었으므로 따로 제이쿼리 등을 사용해야지만 이를 구현할 수 있었다. 그래서 페이지 단위의 웹을 벗어나 React를 활용한 컴포넌트 단위의 웹 사이트를 구축했다. 장기적으로 계획적이고 세밀한 트래킹이 가능하도록 기반을 닦았다.또 기존의 홈페이지에서는 유저에게 오류 제보를 받아도 이를 확인해보는 것이 어려웠다. 그래서 지금의 시스템에는 Apollo engine과 Cloud watch를 이용하여 여러 로그들을 트래킹 하기 시작했다.리라이팅 런칭 2주 차,아쉬웠던 점들리라이팅 한 홈페이지를 런칭한 지 2주일이 지났다. 런칭 후에 한참을 정신없이 보내다가 이제야 조금 숨을 돌릴 수 있게 되어 이 글도 쓰기 시작했다. 런칭만 하면 마음이 편해질 거라 예상했는데 막상 다가오니 그렇지도 않았다. 더 바쁘고 정신없던 것은 물론이요, 아쉬운 점들만 눈에 밟혀서 마음이 무거웠다. 잘한 것보다 아쉬웠던 점들이 나를 더 성장하게 만들어 줄 것이라는 생각으로 스스로를 위로하여 어떤 것들이 아쉬운지도 정리해보았다.1. 트래픽이 몰리는 피크타임에 대한 대비 미흡배달의 민족이 식사 시간마다 트래픽이 몰리는 피크타임이 존재하듯, 트레바리도 독후감 마감 시간이라는 피크타임이 존재했다. 유저들이 모든 시간 대에 일정하게 접속하는 하는 것이 아닌 특정 시간에 몰아서 접속하는 것을 고려하여 그때의 속도를 잘 잡았어야 했다. 이를 미리 고려하여 캐시와 같은 여러 대비책들을 세워두었다면 유저들이 느린 홈페이지가 주는 불편을 덜 겪었을 거라고 생각한다.2. 치밀하지 못한 안내런칭 직후 오는 많은 문의들이 실제 오류가 아닌 제대로 된 안내가 없어 오류로 인지하는 경우였다. 예를 들어 기존에는 있었으나 사라진 주소와 같은 404 페이지 접근 시에는 안내 후 메인 페이지로 보내버리거나 하는 안내가 있었으면 많은 문의들을 대응하지 않아도 됐을 것이다.3. 운영 크루 업무 이해도 낮음리라이팅을 할 때 다른 크루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일에 많은 리소스를 쏟지 않았었다. 다른 크루들의 업무에 대해 꽤 잘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내가 생각하기에 필요할 것 같은 기능들만 어드민에 담았고, 그 결과로 크루들이 런칭 직후에 엄청난 불편과 수고로움을 겪게 만들었다.4. 조급함리라이팅을 진행하는 기간 동안 마음이 급해서 눈앞에 보이는 기능들을 빨리 쳐내는 것에 급급했다. 그러다 보니 각 기술에 대한 문서들을 꼼꼼하게 읽어내지 못해 놓친 부분이 많았다. 특히 한 번도 경험해본 적 없는 각종 브라우저와 브라우저 버전, PC와 모바일 대응 등에서 많이 놓쳤다. 평소 웹 표준 관련 문서를 잘 읽어두었다면 이런 실수는 덜하지 않았을까 생각했다. 또 틈틈이 작성했던 코드를 되돌아보고 개선하는 시간도 가졌어야 했는데 조급함 때문에 그러지 못했다. 이런 부분들은 개발자가 평소에 항시 주의해야 할 모습이라 생각했다.이번 리라이팅을 시작으로 트레바리가 온라인의 경험까지 멋진 서비스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아직은 부족한 점이 많지만 사람들이 독서모임에 참석하기까지 겪는 온라인에서의 경험을 멋지게 만들고 싶다. 필요한 기능들을 적재적소에 구현하고, 말보다는 UI로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다.지난 4개월 동안 참 힘든 시간도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루들과 주변의 개발자분들에게 여러 도움을 받으면서 어려운 난관들을 헤쳐나갈 수 있었다. 홈페이지 변경이 아니어도 바쁜 일이 많은 시즌 시작 시기에 홈페이지 관련 문의가 쏟아졌다. 그런 상황에서 나를 탓하기보다는 오히려 걱정해주고 격려해주는 동료들이 있었다. 새삼스레 좋은 사람들과 함께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며 일을 더 열심히, 잘 하는 것으로 보답하고 싶다고 생각했다.#트레바리 #기업문화 #조직문화 #CTO #스타트업CTO #CTO의일상 #인사이트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