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홈

인터뷰

피드

뉴스

조회수 3575

LG화학인은 무슨 일을 할까요? #4 – 영업/마케팅 직군

LG화학 하반기 공채 시즌을 맞이해 진행 중인 LG화학인 직군 인터뷰 4탄, 많이들 기다리셨죠? 이번에는 서울 본사에서 근무 중인 정성원 사원(자동차전지 유럽마케팅팀), 오현화 사원(자동차전지 미주마케팅팀)과 함께 영업/마케팅 업무에 대해 들어볼까해요. 누구보다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소통하는 영업/마케팅 직군의 버라이어티한 업무 이야기, 함께 들어보시죠.Q. 안녕하세요. 만나서 반갑습니다. 두 분 모두 자동차전지 영업/마케팅을 하고 계신데, 담당 지역이 다르네요. 각자의 업무에 대한 간단한 소개 부탁드릴게요. 오현화 사원 안녕하세요. 자동차전지 미주마케팅팀에서 일하는 오현화입니다. 저는 미주 지역 자동차 메이커 고객사를 담당하고 있어요. 입사 전에는 해외 고객사와 소통하는 업무만 있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영업직이 내부적으로 챙길 게 굉장히 많아요. 기본적으로 고객사를 수주하는 것부터 생산 계획, 출하 및 수출 업무까지의 기본적인 흐름을 읽을 줄 알아야해요. 물론 저도 들어와서 배운거지만요.(웃음) 소통을 통해, 회사와 고객사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파트너십을 유지하는 게 주된 업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정성원 사원  저는 자동차전지 유럽마케팅팀 정성원입니다. 제 업무도 오현화 사원과 프로세스가 비슷해요. 이미 앞서서 많은 얘기가 나왔지만…저는 무엇보다 ‘주인의식’이 가장 필요한 직군이라고 생각해요. 내가 파는 제품이 우리 회사를 대표한다는 생각을 항상 가지고 있습니다. 제품과 관련한 대부분의 이슈를 저희가 먼저 접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저희가 가지는 책임과 권한이 큰 직군입니다.Q. 수주부터 사후 관리까지 생각보다 업무 범위가 넓은데요. 말씀을 들어보니 여러 담당자와 커뮤니케이션이 제일 중요할 것 같은데, 1년 동안 쌓인 업무 노하우가 있나요?오현화 사원 앞선 질문에서 말씀드렸듯이, 고객과 회사 내부의 의견을 조율해 양측이 만족할 수 있도록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게 저희의 가장 큰 역할이에요. 사실 업무를 하다보면 ‘이견’이 생길 수 밖에 없거든요. 그럴때마다 단순하게 말을 전달하는 게 아니라, 저희 쪽에서 제시할 수 있는 옵션을 제시하면서 협의점을 찾는 게 제일 중요하죠. 저희 업무를 좁게 보자면 코디네이터(Coordinator)고, 넓게 보자면 PM(Project Manager)에 비유하고 싶어요.정성원 사원  고객사의 입장을 먼저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안 된다, 힘들다’는 말을 하기가 굉장히 어려워요. 대신에  ‘내부적으로 확인해보겠다, 기다려 달라’는 말을 자주 하게 되요. 그리고 최대한 만족할 수 있는 대답을 할 수 있도록 길을 찾죠. 그 과정에서 R&D부터 생산까지 다양한 직군과 커뮤니케이션 하게 되는 거고요. 노하우라면..고객사를 설득할 수 있는 ‘논리’를 만들어야 하는데, 결국 그러기 위해선 현재 제품에 대해서 누구보다 잘 아는 수 밖에 없어요. 정보력이 곧 노하우입니다. (웃음)Q. 해외는 우리나라와는 아무래도 문화가 다르잖아요. 해외 고객사와 일을 해본 두 분의 경험담을 짧게 들려주신다면요?정성원 사원 나라마다 문화가 다르니까, 업무할 때의 문화도 비슷하게 따라가는 것 같아요. 프랑스는 비교적 더 자유롭고 여유로운 느낌이고, 제가 주로 담당하는 스웨덴은 추운 나라 특유의 이성적이고 냉철한 분위기랄까요. 서양 사람들은 미팅 때도 ‘아이스브레이킹(Ice-breaking)’으로 분위기를 풀고 시작을 하는데, 저희도 그럴 때마다 고객사의 문화에 맞는 주제를 준비해갑니다.정성원 사원오현화 사원 제가 미주 쪽을 담당하지만 고객사의 연구소가 독일에 있는 경우도 있는데, 확실히 그쪽 분들은 더 칼 같은 면이 있더라고요.(웃음) 미주도 고객사에 따라, 또 그 안의 부서에 따라 차이가 존재해요. 그래도 미주 쪽 고객사는 유럽보다는 여유가 있는 것 같아요. 문제가 생기더라도 우선은 저희 쪽 입장을 듣고 차분히 풀어나가는 분위기에요.정성원 사원  사실 제가 유럽 담당이긴 하지만 대부분의 고객사(자동차 회사)가 전 세계에서 사업을 하고 있거든요. 그렇다보니 담당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업무에 따라 미국, 중국 고객사와 소통을 하는 일도 많아요. 그래서 타 문화에 대한 오픈 마인드가 굉장히 중요해요. ‘아, 이럴 수도 있겠구나’하는 마음의 준비를 항상 해요.오현화 사원 일로 엮인 사이지만 고객과의 인간적인 관계 역시 정말 중요해요. 결국 문제가 생기더라도 풀 수 있는 건 ‘사람’을 통해서 하는 거잖아요. 그래서 유대감을 만드는 노력도 많이 해요. 고객사가 우리나라에 미팅을 오면, 전통체험부터 한식 맛집까지 다양한 경험들을 해볼 수 있게 저희가 도와주고 있어요. ‘문화사절단’ 같은 느낌을 받을 때도 종종 있고요.(웃음)Q.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를 대상으로 업무를 한다’는 게 다른 직군은 하기 힘든 경험인데요. 그래도 두 분은 담당자니 아무래도 힘든 적도 있으셨을텐데 어떠신가요?오현화 사원 아무래도 시차가 있어서 컨퍼런스 콜, 미팅 등을 할 때 어려움이 있죠. 일정을 조율하다 보면 아침 일찍, 혹은 밤 늦게 회의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처음에는 미팅을 위해 늦게까지 기다리는게 참 힘들었어요. 극복법은 그냥 익숙해는 것?(웃음) 이게 내 일이라는 마음가짐으로 그 시간을 견디는 게 노하우같아요. 그래서 저희 직군은 끈기가 있고 자신을 잘 추스를 수 있는 사람이라야 적응하기 좋죠.정성원 사원 보람도 있지만, 저희가 예측하거나 컨트롤 할 수 없는 일도 종종 일어나요. 일단 제품이 생산되고 난 후에, 배에 싣고 출하를 해야하는데요. 항구에서 파업을 해서 제때 제품을 싣지 못하거나, 배에 문제가 생겨서 도착이 지연되거나 한 적도 있어요. 물론 그런 부분들은 어느 정도 무역보험으로 해결이 가능하지만 겪을때마다 난처하긴 하죠. ‘일어날 수 없는 일이란 없다’는 생각을 하고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Q. 외부에서 가장 많은 선입견 중 하나가, 영업직군은 술자리도 잦고 야근도 많을 것 같다는 건데요. 입사하셔서 그런 선입견이 바뀐 부분이 있는지요?   오현화 사원오현화 사원 저도  당연히 술을 많이 마실 거라 생각했어요. 그런데 별로 그렇지 않았어요. 저희가 속한 전지사업부의 경우는 30대 직원들이 대부분이라 연령대가 낮은 편이에요. 그러다 보니 술을 많이 마시거나 강요하는 분위기보다는 자유롭게 대화를 나누며 한 잔 하는 정도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또, 전지사업부에 ‘차징데이(Charging Day)’라는 게 있는데요. 배터리만 충전하는게 아니라, 사람도 충전이 필요하다고 매주 수요일은 정시퇴근을 원칙으로 하는 제도입니다. 물론 아주아주 바쁜 날은 약간 늦어질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이 제도를 지키려고 해요. 이런 세심한 부분들도 업무의 활력소가 되는 것 같아요.정성원 사원 사실 같은 팀이라도 담당자들이 업무 시간대가 제각각이라 회식을 할 시간도 맞추기가 어려워요. 그래서 만약에 회식을 해도 가볍게 먹고 일찍 끝나는 편이죠. 물론 고객사들이 우리나라에 올 경우는 저희가 시간이 없더라도 만들어서 시간을 쏟아야하죠.(웃음) 하지만 그 대부분은 술보다는 한국의 음식이나 문화를 체험하는 식으로 진행되어서 별로 부담이 없습니다. 경복궁 투어, 난타 관람 같은 걸 함께 다니면 해외 바이어들이 굉장히 신기해하고 좋아하거든요. 그래서 저희 팀에는 난타 공연만 6번 본 분이 계실 정도예요.Q. 이제 질문을 ‘취업’ 관련한 쪽으로 조금씩 돌려볼게요. 특별히 국내영업이 아닌, 해외영업 직무를 선택한 이유가 있나요?오현화 사원 저는 항상 ‘새로운 일’을 좋아했어요. 학생 때는 경영학과 심리학을 복수 전공했지만 새로운 일을 하고 싶었고, 취업을 생각하는 와중에 ‘자동차전지’라는 말을 처음 들었을 때 뭔가 새롭고 미래가 무궁무진하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게다가 좀 더 알아보니 LG화학의 자동차전지가 세계에서도 최고 수준이라는 걸 알고 망설임 없이 지원했죠. 뭔가 다이나믹한 일들이 있을 것 같아서(웃음)정성원 사원 전 신소재공학을 전공했는데, 제가 해외영업을 쓴다고 하니 친구들이 모두 의아해하더라고요. 대부분은 전자제품을 만드는 회사로 취업을 하니까요. 하지만 저는 활동적인 성격이어서 생각이 좀 달랐어요. 처음 지원할 때는 영업직에 공대생을 뽑아줄까 하는 걱정이 있었는데, 다행히 가능성을 보고 뽑아주신 것 같아요. 공대생은 제품에 대한 이해도가 문과전공자들보다 높은 장점이 분명해요. 겁내지 않고 과감히 도전한다면 얼마든지 영업 직군에서 빛을 발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Q. 이건 편견일 수도 있지만, 영업 직군에 여성으로서 지원하는 게 쉽진 않았을 것 같은데요. 오현화 사원은 입사 당시와 그 후 특별히 어려운 점은 없으셨나요? 오현화 사원 제가 워낙 강단 있어 보인다는 말을 많이 들어요. 별명이 ‘대장부’였어요.(웃음) 말투나 행동도 리드를 하는 쪽이고요. 입사 후에도 ‘난 여자니까’라는 생각보다는 이 회사의 구성원으로서 다른 동기들과 똑같이 노력했으니 어려움은 정말 없었어요. 오히려 여성 특유의 세심하고 꼼꼼함까지 있는게 강점이라고 생각해요.정성원 사원 영업 직군에 적합한가는 성별 보다는 성격의 문제인 것 같아요. 여자든 남자든 소극적인 사람보다는 외향적이고 자신감 있는 성격이 아무래도 더 유리하니까요.오현화 사원 맞아요. 저처럼 여자라고 해서 주눅들지 않는 당당한 성격이 중요하죠.오현화 사원Q. 두 분 다 적극적인 성격이라 자기소개서나 면접 때도 강하게 본인을 어필하셨을 것 같은데 좋은 Tip을 몇 가지만 소개해주세요. 오현화 사원 자기소개서를 쓸 때는 제가 경험한 해외영업 인턴 경력과 해외거주 경험을 통해 다양한 문화에 익숙하다는 점을 강조했어요. 사실 내용을 상세하게 적기보다는, 좀 민망하지만 ‘내가 제일 잘 나가, 이래도 안 뽑을래?’하는 느낌으로 자신감 있게 썼던 것 같아요. 면접때도 두려움이 없었던 것 같아요.떨어지면 다른 기회를 찾으면 된다는 생각으로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다 하고, 주눅들지 않았던 게 좋은 인상을 남긴 것 같아요. 여러 명이 함께 하는 영어 면접 때는 앞에 나서서 지원자 그룹을 리딩하기도 했어요. 그래야 눈에 좀 띄지 않을까 싶어서요. 팀원들과 영어로 회의를 해보라는 면접관님의 주문에 분위기를 주도했죠.정성원 사원 가장 기본적으로 제가 전공했던 공부와 대학원, 인턴 경험을 직무에 연관시켜서 강점으로 어필했죠. 또 공대생으로서 제가 잘 할 수 있는 부분에 힘을 줬고요. 미래의 각오보다는 제 경험을 구체적으로 써서 제가 왜 필요한 인재인지를 설득하려고 했던 것 같아요.저도 면접 때는 어차피 떨어지면 다시 못 볼 사람들이니 겁먹지 말자고 마인드 컨트롤을 했어요. 떨렸지만 좀 배짱을 부렸죠. 영어 면접 당시에도 지원자들이 각자 자기 의견을 말할 때 저는 그 생각들을 정리하고 결론을 찾는 발언을 많이 했었고요. 오현화씨가 리딩을 했다면 저는 중재를 했어요.(웃음)Q. 드디어 마지막 질문입니다! LG화학 입사지원자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요?정성원 사원 영업이라는 업무가 정말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며 일을 진행하기 때문에 책임감, 꼼꼼함, 주인의식, 이 세 가지가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어떤 면에서 영업은 정신력이라고 생각하거든요. LG화학의 사업이 돌아가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싶다면 꼭 추천하고 싶습니다.오현화 사원 여러 국가의 사람을 만나기 때문에 오픈마인드가 중요해요. 또 영업은 여러 업무가 실시간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오래 고민할 시간이 부족한 순간도 있거든요. 그래서 스스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생각이 빠르고 주관이 뚜렷한 사람이 제격인 것 같아요. 어서와서 저희와 함께해요! (웃음)#LG #LG그룹 #LG화학 #채용정보 #공채정보 #직무정보 #영업 #마케팅 #구성원인터뷰 #기업문화
조회수 13452

경영자와 관리자의 차이

경영자와 관리자, 이 두 역할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모두 다 같은 뜻인지? 예전에 그런 생각을 했었다.  흔히, 최고경영자는 CEO, 최고운영책임자는COO라고 한다.  지난 여름, 홍콩 헤지펀드사에서 인턴을 했을 때 내가 좋아했던 상사 한 분이 계셨는데 그분이 COO이셨다.  그때부터 COO라는 직책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사전적인 의미는 다음과 같다.CEO: Chief Executive Officer 약자로 회사의 최고경영운영자이다.  CEO는 나름의 경영 철학을 갖고 회사의 장기적인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이러한 전략을 완수하는데 필요한 최종의 의사결정을 하는 사람이다.COO: Chief Operating Officer 는 기업 내부의 사업을 총괄하는 책임자, 최고운영책임자를 의미한다.2000년도서부터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처음 포지션이 생겨나기 시작해 세계적으로 파급된 직책으로, 기업 내의 사업을 총괄하는 책임자를 말한다.CEO는 기업 전반적인 목표, 비전과 전략 방향 등을 확립하며 기업의 모든 활동을 어떻게 이끌어나갈지 결정하고 이끌어나가는 사람이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의 ‘대표’라고 말할 수 있고, 작은 것에 연연하기보다는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CEO의 철학에 따라, 그 기업이 어떻게 운영되는지가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CEO는 주로 외부적 활동을 많이 한다.COO는 기업의 구체적인 운영과 관리에 대한 업무를 전담하는 직책이다. 대개의 경우에 CEO가 사장이라면 COO는 수석 부사장 등이 맡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주로 대기업에서 이런 형식을 채택하고 벤처기업에서는 CEO와 COO 를 구분하지 않고 두 직책을 CEO가 전담하는 경우가 많지만 기업이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내부와 외부 활동이 나뉘어지며,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두 역할 또한 구분된다.COO는 CEO를 보조하며 전체적인 기업의 구체적인 운영과 관리에 대한 업무를 담당한다. 그렇기 때문에 CEO보다는 기업 내부의 전반적인 상황과 운영에 대한 노하우가 더 요구되는 직책이다.e.g. 고인이 된 잡스가 작년 초까지만 해도 애플의 최고경영자였으며 (현재 애플 CEO가 된) 팀쿡은 당시 COO였다.   잡스가 (신제품 발표 등)의 대외적인 활동과 애플의 큰 그림을 그리는 역할을 맡았다면, 팀쿡은 애플 회사 자체의 내부 경영과 조직관리에 집중했다.하지만 COO만이 CEO를 보조하는 것은 아니고, 주로 규모가 큰 기업에서는 CEO와 COO뿐만 아니라 CFO(Chief Financial Officer), CIO(Chief Information Officer), CTO(Chief Technology Officer), CSO(Chief Security Officer), CMO(Chief Marketing Officer), CCO(Chief Compliance Officer), CRO(Chief Risk Officer), CBO(Chief Brand Officer) 등등 기업의 영업 활동과 사업분야마다 각각 최고책임자들이 있다. 하지만 이런 업무들을 전체적으로 총괄하고 감독하며 관리하는 직책이 CEO와 COO라고 보면 될 것 같다.CEO 와 COO 의 차이점은 Accenture가 발행한 article에서 사례로 보다 자세히 나와 있다. 액센츄어는 COO가 CEO가 되기 위한 훈련생이라고 정의했다.Accenture_Outlook_Mastering_move_from_COO_to_CEO.pdf.나는 CEO 보다 COO, 그리고 경영자보다는 관리자의 역할에 더 많이 관심이 간다.  회사가 성장하기 위해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배를 모는 선장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선원들이 자기가 맡은 역할을 명확히 하고 일할 수 있게 조성해주고 선원 관리를 잘 하는 역할도 무시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서비스업이든, 제조업이든, 뭐든 간에 결국은 사람이 기업을 만들어간다.  그 사람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인재 한 명이 기업을 성장시키고 또 못난 직원 한 명이 기업을 망하게 한다.  최근 UBS 에서 또 한번의 거대 금융 사기가 벌어졌다.  UBS 트레이더가 무려 2억달러 (2조원)의 회사 돈을 한방에 날려먹었다.기업을 살리고 마는 건 결국 ‘사람’이다.  넷뱅에 참여하면서 사람관리의 어려움, 복잡함, 중요성을 절감했다. 그래서 복학하고 이번 학기에 인사관리라는 과목을 수강했다. 무엇보다, 사람관리, 직원관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춰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직원관리와 사내문화가 체계화가 돼야 어떤 새로운 직원이 들어오고 또 기존 직원이 나가도 뼈대가 흔들리지 않고 꿈쩍도 안 할 수 있다.  나는 ‘신생 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있어서 HR의 시스템화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내가 영국으로 떠나기 2주 전부터, 집중했던 것이 팀원 교육이었다.  대표님의 지시하에 교육자료 만들기에 주력하였고 바쁘신 대표님을 대신해 사무실에서 내근하는 팀원들에게 직접 경영 방침, 계획 내용, 취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맡았다.  이를 통해, 현장관리의 중요성도 깨닫게 되었는데, 관리자가 벤처기업 또는 중소기업을 성장시키려면 어떤 식으로 직원관리와 성과관리, 분석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관련 저널을 찾아 읽어봐야겠다.  학교에서 곧 있으면 직원들의 performance 관리와 분석, 평가, 보상에 대해 수업을 들을 예정인데, 잘 들었다가 넷뱅에 적용할 수 있게 대표님께 제안할 생각이다.#넷뱅 #팀빌딩 #CEO #COO #인사이트
조회수 1730

스카이캐슬 (SKY캐슬) 5회 인강, 학원, 과외 어떤 것을 선택할까?

이번 SKY캐슬 5회에서는유독 인강(인터넷 강의), 학원, 과외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와서우리 아이에게 어떤 사교육을 시킬까 고민하시는 분들을 위해각각의 공부 방법을 비교해보는 포스팅을 작성했습니다.정해진 답은 없지만, 선택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국사 선생님) 선행은 다 했을테니까 여기는 넘어가고 ,통일 신라와 발해는 인강으로 듣자(김혜나(김보라 역)) 3월부터 현재까지 주 3회 총 31회 수업 중17개를 인강으로 떼우셨거든요.내신 대비 인강이잖아. 시험 문제 여기서 낸다니까? 질문도 안 받으시고, 수업하기 힘드시죠. 학비가 얼마인데 수업 시간에 인강을 들어요? SKY캐슬 시청자 분들 중에서도위 장면이 놀랍지 않은 분들이 많았을 거라 생각합니다.필자는 지방의 일반 사립고등학교를 2005년~2008년 다녔었는데,국사, 지리 등의 사회탐구영역뿐만 아니라수학 과목에서도 수업시간에 EBS 인터넷 강의를 틀어주시던선생님들이 또렷이 기억에 남아 있습니다.당시만 해도 수능-EBS 출제율의 비중을 높이던 때라,몇몇 무능력한 교사들의 수치심을 덮어주었죠.수업의 질을 고민한다면,가장 많이 팔리는 인강을 들어라.인터넷 강의의 특징은 많은 수의 교사가 필요없다는 점입니다.극히 소수의 제한된 스타강사가화려한 언변과 지도력을 바탕으로 완벽한 강의를 촬영해둔 것 중자신에게 맞는 영상을 찾아서 들으면 됩니다.출처: EBS 인터넷 강의 방송 캡처한 번 녹화해둔 수업을 계속 반복해서 송출하는 것이기 때문에즉, 한 번 촬영해놓은 영상을 한 명이 들으나 열 명이 들으나인강 업체에서는 비용이 크게 달라지지 않기 때문에가격도 저렴한 편이고, 프로모션 행사도 자주 합니다.레벨도 다양하게 나뉘어있고, 학생 스스로의 의지만 충분하다면재생속도를 조절해서 단기간에 빠르게 강의를 습득할 수 있습니다. 자습시간, 오고가는 시간 짬짬이 활용하기엔 인강이 제격입니다.그런데, 똑같은 강의를 듣는다고 해도누구는 1등급, 누구는 5등급?그런데, 잘 가르쳐주시는 학교 선생님의 수업도 그렇고,국가대표급 스타강사의 인터넷 강의도 그렇고,같은 수업을 듣는다고 해서 누구나 똑같은 결과를 내는 것은 아닙니다.솔직히 애들이 몰라서 틀려?실수를 바로잡아 주는 거지.SKY캐슬 1회 중 '한서진' 대사단순히 인강을 듣고 있는 시간이 길다는 것에 만족하면 안됩니다.좋은 수업 다음에는 이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좋은 관리가 병행되어야 합니다.좋은 관리란 무엇일까요?학생 저마다 처한 상황과 고민이 다르기 때문에,나에게 집중할 수 있는 선생님의 할당량이 많을 수록, 좋은 관리입니다.이것은 절대로 일대다(1:다) 형태의 수업들이 잡아줄 수 없는 부분이죠.그 첫번째 선택이 학원이 될 수 있습니다.출처: 조선일보기본적인 관리를 원한다면,학원을 추천합니다.아무 학원에 가라는 것은 아니고 몇 가지 조건을 따져보신 후,다음 조건이 충족되면 추천드립니다.좋은 강의는 인강으로 들으면 됩니다, 좋은 관리가 가능한지 따져보세요.학원도 학교처럼 1:다 형태의 교육기관이긴 하지만, 학교보다 다양한 레벨반 편성이 되어 있어서비슷한 레벨의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약점을 잡아줄 수 있습니다.좋은 관리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한 반에 몇 명이나 들어가는지해당 반의 담당 선생님은 어떤 이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세요.한 반에 너무 많은 아이가 들어가면, 학교와 다름이 없어집니다.잘 가르쳐줄 수 있는 선생님 말고, 잘 관리해줄 수 있는 선생님인지 확인하세요.내 아이에게 딱 맞는 맞춤관리를 원한다면,1:1 과외가 가장 효율적, 효과적입니다.아무리 학원의 관리적 측면이 좋다고 해도, 1:다 상황에서 정확하게 우리 아이가 원하는 질문을 모두 받아주고,우리 아이가 실수하는 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잡아주기엔1:1 과외보다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새벽부터 오밤중까지 학교로, 학원으로내몰리는 아이가 스트레스가 없겠니?니 식대로 하면 당장 학원 관둬야지한국 같은 경쟁 사회에서 어떻게 학원을 끊어?난 내 식대로 내 딸 관리해. 자녀들의 대학입시 성공을 위해서라면 죽음도 각오하는 한서진(염정아 역)은 물론사교육을 멀리하는 우주 엄마 이수임(이태란 역)도,과외는 시키셨더랬죠.성인들도 빠르고 효과적으로 몸을 만들기 위해 1:1 PT도 받는 것처럼무엇이든 '배움'에 있어서는 1:1로 맞춤 수업을 받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다른 사교육에 비해 비용이 높다는 단점이 있지만,결과를 고려해봤을 때 투자대비 성과가 가장 높은 방식이지요.1:1 수업의 장점에 대해 줄줄이 설명하는 건 의미가 없을 것 같아요.대신, 1:1 과외에서는 좋은 선생님을 만나냐가 관건인데,이를 위해 확인하셔야 할 것들을 제안드리겠습니다.1. 최상위권과 최하위권은 일단 추천드립니다.최상위권 학생들의 경우, 아무리 소수 정예반이라 하더라도학원보다는 독학 또는 인강을 통한 자습과질문을 받아주고 방향을 잡아주는 과외를 병행해주는 것이 좋습니다.최하위권 학생들의 경우, 근본적인 문제(공부 동기부여라든지, 공부법)에 대한멘토링을 제공해줄 수 있는 과외를 먼저 받은 후, 다른 교육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100% 서울대 출신 선생님과 1:1 과외수업을 제공하는 수파자 캡쳐화면 2. 내 아이의 목표를 이미 이룬 선생님이라면 더 좋습니다.예를 들어, 아이가 원하는 학교나 전공에 이미 진학하거나 졸업하셔서해당 분야에 대한 조언도 해줄 수 있는 선생님,내 아이와 비슷한 고민이나 문제를 경험하고 해결해본 경험이 있는 선생님가끔 학습상담을 들어보면, 선생님 문의주시는 어머니들 중에서아이의 상황이나 고민은 고려하지 않고,무조건 등급컷이 높은 학과 선생님이라든지성별을 중요시 여긴다든지, 경력만 따지는 분들을 보았어요.이런 것들도 어떤 면에선 중요할 수 있겠죠.그렇지만, 최우선적으로는 내 아이와 가장 잘 맞는, 잘 통할 것 같은 선생님을 찾는 것이과외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입니다.위에서도 재차 강조했듯, 좋은 강의 자체는 인터넷 강의로 들으시면 됩니다.3. 나랑 맞는 과외 선생님을 찾기 위해 시범수업을 꼭 들어보세요.과외는 타 사교육대비 비용이 높은 방식입니다.그렇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수업을 듣기 전에나와 잘 맞는지 꼼꼼히 체크해보고, 선생님을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가장 먼저, 선생님과 말이 잘 통하는지 파악하세요.선생님의 표정, 말투, 분위기 등 선생님과의 수업 시간이 즐거워야 공부도 잘 됩니다.선생님께 본인의 생활 패턴에 대해 말씀드리고,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진단해달라고 하세요.선생님과 앞으로 수업하게 될 방식과 학습 계획에 대해 물어보세요.물론, 단시간에 이것들을 다 파악하기는 쉽지 않겠죠. 그렇지만, 교육은 물건을 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시간이 걸리더라도, 여러번 시도하고 실패를 거듭하더라도꼼꼼하게 따져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결론입니다.필자도 서울대를 졸업했습니다. 고향은 대전입니다.오늘 포스팅을 작성하면서 고마웠던 고등학교 은사님도 떠오르고,너무 잘 가르친다며 푹빠졌었던 인터넷강의 선생님도 떠오르고,학원 최상위권 특별반에서 다른학교 전교 1등들과 경쟁하며학교 시험보다 더 긴장했던 학원 시험도 떠오르고,서울대의 꿈을 심어주시겠다며 서울대 견학투어까지 해주셨던서울대 경제학과 출신 과외선생님도 떠올랐습니다.그럼에도 제 학창시절 대부분의 기억 속에는책상 앞에 앉아서 혼자 끙끙대며 엉덩이 싸움하던 제 모습이 자리합니다.결국 중요한 건, 좋은 선생님과그의 가르침을 학생 스스로가 얼마나 절실하게 소화하는지가 아닐까,조심스레 의견을 붙여봅니다.물론, 제가 성적이 떨어질 때나 오를 때나 언제나 따뜻하게 안아주던 가족들의 힘은 이 글을 읽고 계실 학부모님들이라면 잘 하고계시리라 믿으며, 논외로 하겠습니다.오늘 포스팅은대한민국 아이들의 꿈과 희망을 위해 땀흘리고 계신,모든 선생님들에게 응원의 마음을 담아 마치겠습니다.수파자는 과도한 사교육 시장을 조장하지 않습니다.공교육만으로는 현입시제도를 따라가기 벅찬 것이 현실인 대한민국에서더 많은 아이들이 편하게, 올바른 방향으로질좋은 교육을 누릴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합니다.사교육은 어디까지나 올바른 선택을 할때야만 원하는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스카이캐슬 #스카이캐슬5회 #스카이캐슬학원 #스카이캐슬인강 #스카이캐슬과외#수파자 #스카이캐슬수파자 #화상과외 #온라인과외 #일대일과외 #서울대과외#시범수업30분무료
조회수 1147

Team Profile: Meet Jinyoung

As a yet minuscule startup, each member holds a significant power over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team. And in our ultimate quest to make big waves in the data world, we need to make sure that the people at the helm are at least kind of cool. We think we’ve done a pretty good job so far in assembling a society of unique but equally driven members.So we bring you this seven-part series, one of each devoted to interviewing each of our members in detail, to give you an in-depth glimpse into the people responsible for bringing you the future of machine learning with Daria. Plus, we peppered the interviews with questions from Dr. Aron’s “The 36 Questions that Lead to Love”*, cherry picked to make work appropriate and concise, but interesting.(*actually falling in love with our members highly discouraged)The CEO and co-founder of XBrain, Jinyoung was motivated to start the company while working at a security firm, with a vision to make machine learning “intuitive and accessible to all”. Apropos of his role as headliner of our mission to introduce machine learning to every corner of the world, Jinyoung has varied interests in literature and music, and hopes to be a patron of the arts someday. Learn more about him here!What is your role at XBrain?JY: I am currently the CEO of XBrain, and head of business development. This includes everything from managing sales to developing and carrying out business plans. I spend most of my time meeting new customers and partners, outside of the office. Other than that, I’m trying to develop a new business model other than the one we’re operating on currently.What does a typical work day at XBrain look like for you?JY: I have frequent appointments outside the office, so my days aren’t as regular. But I usually try to schedule any outside meetings in the morning, because we all try to be present at the office from 1–5 PM, which is our coworking time. After dinner I try to work on more mundane stuff, like paperwork.What are the aspects of your job that you most enjoy?JY: First and foremost is meeting new people. Helping people is something that I really enjoy, and I feel it the most when our customers are actually satisfied with the work that Daria is doing. I just like that I get to talk to many different people during the day.What about the parts that you least enjoy?JY: I least enjoy doing housekeeping duties, like keeping track of receipts, but just because it’s a pain in the neck. Something I find most challenging is always interpersonal tasks, which I enjoy at the same time.Can you tell us about the items on your desk that say something about you?JY: I have these Hulk and Iron Man Lego figures, which I put together myself. I like the process of making toys like that, and I always try to keep myself from being too serious. My desk itself is always representative of my state of mind — sometimes it’s clean, sometimes it’s messy.So what made you want to go into startups, or more specifically, XBrain?JY: It was actually quite intuitive. There was no established plan, or rules that I set for myself. I’d always led a life where I was constantly trying new things, new challenges, which led me to XBrain. And I was fortunate enough to have mentors around me who could offer business advice, and investors who supported the venture financially.Jinyoung puts on his CEO face when workingAs our CEO, do you have a specific vision for XBrain?JY: I think about this a lot — I really want Daria, and any of our future products, to be an integrated part in people’s everyday lives. I want our products to be in the background as useful tools, not just because it’s buzzable technology. Team-wise, I really want to provide a community in which each of our members could live out their dreams.Do you have a go-to-playlist when you’re working?JY: I don’t really listen to music when I work…What can you tell us about the JY ten years from now?JY: I will have a family. I will hopefully be a little wiser, and just as receptive to new ideas and knowledge as I am now, if not more.What, in your opinion as its co-founder, has changed the most about XBrain?JY: We’re definitely more established as a community and team. The fact that we’re conducting interviews like this one, and working on a blog, is proof of that. Of course we’ve grown more sophisticated in terms of business and product development.Share with us a memorable moment at XBrainJY: Probably when we had our team dinner in late June…we’d almost finished branding, and it was just a chance to take a breather for us.If you had to have dinner with one XBrain member, who would it be?JY: EK! Not just because she’s leaving soon, but because I think we’d have a lot to talk about, and she’s pretty different from the rest of the team, characteristically speaking.Would you like to be famous? In what way?JY: I would like to be influential — if fame is a prerequisite for that, then yes. I think that in order to bring about the change I want to see in the world, I need to reach a certain position.What would constitute a “perfect” day for you?JY: Probably a day when any issue has been resolved, with good results?If you were able to live to the age of 90 and retain either the mind or body of a 30-year-old for the last 60 years of your life, which would you want?JY: My answer right now is the mind of a 30-year-old. I would still like to be hungry for something, even when I’m old. But then again, this is me talking as my healthy, under-30 self — who knows how my answer will change in a couple of decades?For what in your life do you feel most grateful?JY: For the fact that I have been lucky enough to be born into an environment where I have been free to try new things, and for the people I’ve met.If you could wake up tomorrow having gained any one quality or ability, what would it be?JY: I would like to be healthier, both in mind and body, and to have a stronger drive to keep cultivating the two.If a crystal ball could tell you the truth about yourself, your life, the future or anything else, what would you want to know?JY: I like the anticipation of finding out…that’s why I never even watch movie trailers.Is there something you’ve dreamed of doing for a long time? Why haven’t you done it?JY: I’ve always wanted to do community service regularly — I volunteer from time to time, but I do want to do it more consistently. I think I’ve subconsciously pushed it back to a time when I’ll have more time for things like that, but if I really stop to think about it, I’ve always had the time, just never made it.What is the greatest accomplishment of your life?JY: Probably founding XBrain, and teaming up with AC(co-founder), because casting aside all other matters of competence, we just have the same ideas and aspirations for the organization, and work well together.If you knew that in one year you would die suddenly, would you change anything about the way you are now living? Why?JY: I’d spare more time to do new things. For example, when I was in Helsinki for the annual Slush conference, I had the chance to ride in a reindeer sleigh and see the northern lights, but couldn’t because of scheduling conflicts. I’d probably go do that first.If you were going to become close friends with someone, please share what would be important for him or her to know.JY: I think the people I’m closest to are aware of their own self-worth, and that’s really the first step to recognizing the same value in others as well.#엑스브레인 #팀원소개 #팀원인터뷰 #기업문화 #조직문화 #팀원자랑
조회수 1156

3월에 다녀온 여름나라 코타키나발루 3박5일 이야기 (2)

패션블로그 웹뜰입니다3월에 다녀온 여름나라 코타키나발루 3박5일 웹뜰 해외워크샵 두번째 이야기를 들고 왔습니다. 마누칸 섬에서 패러세일링 까지의 이야기로 1차 후기를 끝냈었는데요 첫번째 이야기는 아래 참고하시면 됩니다:)[웹뜰 창립 10주년 해외워크샵] 3월에 다녀온 여름나라 코타키나발루 3박5일 이야기 (1)패러세일링 이후 점심을 먹기 위해 마누칸섬으로 다시 돌아와 처음에 자리 잡았던 식당으로!!씨워킹을 나갔던 직원분들은 이미 돌아와 계셨구요 두팀으로 나누어 갔던 패러세일링 팀도 모두 왔네요 이제 점심식사를 기다려 봅니다. 점심식사는 현지식이라고 하는데 드디어 나왔네요 따란~!현지식 세트라고 하는데 왠열 엄청 맛있어요 제 입맛에 딱!!가운데 새우랑 고기 바베큐는 일인 일꼬치!그리고 개인에게 플레이팅되어 나온 음식은 볶음밥이랑 샐러드 웨지감자 작은꼬치, 옥수수, 닭고기 등이였어요 패러세일링을 하고 돌아와서 배가 고팠던건지 아니면 입에 정말 잘 맞았던건지 남김없이 흡입 했답니다. 특히나 저 옥수수는 지금도 생각나요 밥도 배부르게 먹고 이제 다시 마젤란수트라하버 리조트로 돌아가기전까지 자유시간이 주어졌습니다. 웹뜰 직원들 각자 흩어져서 섬구경을 하기도 하고 스노쿨링을 하기도 했어요 여기저기 일단 섬구경을 하다보니 바다도 예쁘고 섬 곳곳이 어찌나 이쁘던지 사진찍다 시간이 다 갔을 정도였어요 식당 바로 앞에 있는 코코넛 가게 조차도 포토스팟! 갬성사진 스팟이였다구요코코넛 가게에서만 사진을 몇장을 찍었는지 몰라요 ㅎㅎㅎ정말로 사진이 잘 나와 찍어 준 사람도 찍힌 사람도 만족했답니다. ㅋㅋ마치 윤식당 같은 느낌 물씬이랄까 ㅎㅎㅎ 웹뜰 직원들에게 인기 만점 코코넛 가게 사진을 찍고 있으니 어디선가 나타난 야옹이 한마리꺄아 넘나 귀여워서 야옹아 야옹아 하고 불러보지만 고개를 휙 돌려버리네요 한국말이라 못알아 듣는 걸까요? ㅋㅋ사람들이 하도 귀찮게 하니 코코넛 가게 위로 휙 올라가서 잠을 자네요 이 모습 조차도 어찌나 귀엽던지 ㅋㅋㅋㅋ  마누칸 섬은 정말 조용하고 정말 평화롭더라구요 대부분이 한국 사람이랑 중국 사람이긴 했지만 그래도 동양말고도 세계 각국에서 오신 분들이 많이 계셨어요  밥도 먹고 섬 구경 하면서 소화도 시켰으니 이제 바닷물에 몸도 좀 담구고 스노쿨링도 즐겨봅니다물이 깨끗하고 햇살이 따뜻해서 물에 몸 담궈 놓고 둥둥 떠다니기만해도 기분이 좋았습니다. 스노쿨링 장비는 따로 비용 내고 대여가 가능 하지만 저희는 장비를 본인거 챙겨가서 즐겼답니다. 구명조끼만 마젤란수트라하버 선착장에서 비용내고 대여했어요 스노쿨링 하면서 액션캠으로 찍은 바닷속 영상입니다. 물이 정말 맑고 깨끗했답니다. 얕은 바다인데도 물고기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다만 종류가 생각보단 많지 않아 조금 아쉬움이... ㅎㅎ마누칸섬 바다에서 열심히 놀고 있는데 사람들이 웅성웅성 거립니다. 앗! 두둥 이녀석은 뭐죠? ㄷㄷㄷ 엄청난 녀석이 바닷가에서 어슬렁 어슬렁 사람들이 몰려와 사진찍고 난리가 났는데도 저 녀석은 아무 동요없이 어슬렁 거리다가 숲속으로 사라졌답니다. ㅎㅎ마누칸 섬에서 즐거움을 사진으로 남겨두고 이제 다시 마젤란수트라하버리조트로 돌아갑니다.  잠시 자유시간을 가지고 나서 저녁식사를 하러 나왔습니다. 둘째날의 저녁식사는 아침에 조식을 먹었던 식당에서 뷔페식으로 먹을수도 있구요 비치가 보이는 바에서 간단하게 먹을수도 있었습니다. 저희 웹뜰 직원들도 각자 나누어서 원하는 곳에서 선셋을 바라보며 식사를 했답니다.  코타키나발루의 아름다운 선셋을 보고 정말 말잇못! 다시한번 이곳에 워크샵을 오게 되어 감사하고 행복한 순간 이였답니다. 7시간이 지나며 해가 떨어질수록 노을빛이 붉은색에서 보라색으로 변하는데 너무 아름다워서 선셋 감상하느라 밥먹는 것도 잊을 뻔 했다는 건 안비밀 ~식사를 마치고 본격 웹뜰워크샵 행사를 시작하기 위해 대여한 홀로 모였습니다. 그냥 여행이 아니라 웹뜰 10주년을 기념하는 워크샵이기에 10주년을 기념하는 대표님의 말씀도 듣고 앞으로 나아갈 웹뜰에 미래에 대한 건설적인 이야기도 하고 푸짐한 상품을 놓고 여러가지 게임들을 했었답니다.   워크샵 오기전에 웹뜰에 대한 각자의 이야기도 동영상으로 풀어놓고  10년동안의 웹뜰 사진이나 동영상들을 차곡차곡 모아놨다가 이렇게 기념하는 자리에서 틀어놓으니 감회가 정말 새롭더라구요  대표님의 소중한 말씀웹뜰 주식회사 창립 10주년기념 함께한 10년 , 함께 할 10년함께 고생하며 10년동안 잘 꾸려온 회사 앞으로 10년 20년 30년... 쭈욱 함게 할 웹뜰 기대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대표님 말씀에 이어 부장님의 말씀웹뜰의 10년이 지나는 동안 오랜 세월 함께 한 부장님이시기에 더욱 감회가 새로우셨다고 합니다. 앞으로 웹뜰의 성장과 더블어 여기 있는 웹뜰 직원들 모두 함께 성장하기를 바라신다는 말씀! 그리고 생일 축하파티까지!원래 한달에 한번씩 매달 생일자 파티가 있는데 이번에 워크샵 자리에서 축하하게 되었습니다.   매번 회사 사무실에서 생일파티하다가 먼 나라에서 생일파티 하니 더욱 분위기가 새롭네요생일자 분들도 감회가 새롭다 하더라구요 :)다시한번 축하드려요 두분 생일 그리고 3월의 우수사원시상도 하였답니다. 우수사원 받으신 분들도 축하축하 드려요~~앞으로도 웹뜰을 위해 열심히 일해주실꺼죠? ㅎㅎㅎ이제 본격적으로 게임을 하기 전 강당대여하면서 코타키나발루 마젤란수트라하버에서 제공되는간단한 주전부리로 배를 채워 봅니다. 게임이 격할 수 있으니 힘내야죠 ㅋㅋ 먼저 조 소개와 구호소개가 있었습니다. 사회자와 심판 사진촬영사는 빠지고 제비뽑기로 1조부터 4조까지 5명씩 총 4개조로 나누었답니다. 구호에서 부터 천차만별 조의 특색이 보이는 것 같더라구요  첫번째 게임은 몸으로 말해요 입니다. 스케치북에 주어닌 속담을 보고 말하지 않고 몸으로 표현하는 건데 과연 어떤 모습들을 보여줄지!!ㅋㅋㅋㅋㅋㅋ 말 하지 않고 몸으로면 표현하려니 답답들했죠?기상천외한 행동들과 표현력 ㅋㅋㅋ 그렇지만 못알아듣는 조원들 그 중 누가 구멍일까 지켜보는 재미도 쏠쏠하고 지켜보는 사람들은 함박웃음 빵빵 터졌답니다. ㅎㅎ 그리고 카드 뒤집기 게임앞면과 뒷면으로 나누어 어느쪽이 더 많으냐에 따라 이기는 게임인데 웹뜰 직원들 정말 기동력에 행동력 짱짱! 아무도 몸 사리지 않고 열심히 게임을 하는 모습보고 놀랬답니다.  카페트에 미끄러지지 않으려고 맨발로 하는 투혼까지! 심판의 준비~시작!과 날아다니는 모습들 ㅎㅎ정말 대단했어요 몸사리지 않고 어찌나 열정적이던지!! 이모습은 현장에서 직접봐야 더 대단한데 말입니다. ㅋㅋ절대 싸우는거 아님 게임하는거 맞습니다!! ㅎㅎㅎ 게임이 끝났네요 후끈후끈 열정적으로 게임한 팀들은 너무너무 지쳤어요 언뜻보아 노란색면과 흰색면의 카드색이 비슷해 보이는데과연 어느 팀이 이겼을지 두구두구두구  심판의 확인결과 !! 짜잔 노란카드 팀의 승리입니다.  결승전까지 불태워서 승리한 1조는 환호를 한뒤 모두 지쳐버렸다는 후문이 ㅋㅋㅋㅋ이후로도 두어번정도 게임을 더 진행하였으나 스크롤의 압박으로 그냥 넘기실지 몰라 게임은 여기까지만 올리겠습니다. ㅋㅋㅋ최종우승은 역시나 게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열의를 불태운 1조 였답니다. 평소에 성격이 조용하신 분들로 구성된 팀이라 저렇게 열의를 불태워서 1등을 할지 전혀 몰랐는데 말이죠 ㅎㅎ역시 할때는 시원하게 하는 웹뜰 직원답네요 최고!1등한 1조원들은 게임상금 30만원입니다. 부럽습니다요 :)1등 한 조 외에도 각각 상품이 어마어마해서 많은 직원분들이 상품을 받아가셨답니다. 10주년 워크샵을 위해서 해외여행부터 상품까지 크게쓰신 웹뜰 이태경대표님께 다시한번 감사인사 드립니다. 마지막으로 다같이 웹뜰 창립10주년 구호함께한 10년 함께할 10년를 외치며 건배를!! 모든 직원들이 함께여서 정말 즐겁고 기분좋은 날이였답니다. 마지막으로 단체사진 한장!  끝으로 워크샵을 마쳤습니다함께여서 즐거웠던 시간이였고 앞으로도 함께할 날이 기대되는 웹뜰입니다. 이 날의 그 마음 변치 않고 열심히 더 좋은 상품으로 보답하고  고객님들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며 직원끼리도 화합하며 일하는 웹뜰이 되겠습니다. 워크샵이 끝났다고 해서 여행이 끝난건 아닙니다. 아직 저희에겐 이틀의 시간이 더 남아있답니다. ㅎㅎ 이렇게 둘째날 밤도 끝나는게 아쉬운 직원들은 워크샵 이후에 한 방에 모여서 한잔으로 마무리!아쉬워할꺼라 미리 예상하신 대표님께서 웹뜰 직원들을 위해 양주까지 챙겨주셨답니다. 대!! 박!! 감사히 잘 마셨습니다. 이렇게 둘째날 밤도 마무리 하였구요 이제 코타키나발루는 셋째날 과 넷째날 이야기가 남았네요 웹뜰 10주년 기념 코타키나발루 워크샵 두번째 이야기는 이렇게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셋째날 넷째날 이야기도 기다려 주세요 #웹뜰 #웹뜰워크샵 #웹뜰10주년워크샵 #코타키나발루 #마젤란수트라하버 #해외워크샵 #해외여행 #워크샵 #말레이시아
조회수 3304

LG화학인은 무슨 일을 할까요? #2 – TS&D 직군 인터뷰

지난 R&D 직군 인터뷰 많은 도움이 되셨나요? 이번에는 역시 대전에 위치한 LG화학 테크센터의 TS&D 직군 인터뷰를 준비했습니다. TS&D라니, R&D보다 낯설고 어렵게 느껴진다고요? 걱정 마세요. TS&D 직군의 주 업무부터 딱 맞는 인재까지, 블로그지기가 신정철 사원(사출기술팀)과 이지현 사원(EP사업부 시장개척팀)에게 꼼꼼히 묻고 답을 들었습니다. LG화학 TS&D 직군이 궁금하다면 이 글을 놓치지 마세요!Q. 반갑습니다. 인터뷰로 LG화학 테크센터를 찾은 건 처음이네요. 사실 TS&D라는 직군이 저도 낯선데요. 우선 두 분 소개와 업무를 부탁드립니다.신정철 사원 안녕하세요. LG화학 테크센터에서 근무 중인 신정철입니다. TS&D는  Technical Service & Development의 약자로, 말 그대로 기술지원과 개발이 주 업무입니다. 저는 사출기술팀 소속으로 고객이 LG화학 소재로 제품을 생산하다가 문제가 생겼을 때,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일을 맡고 있죠. 사출은 플라스틱 소재를 열로 녹여서 ‘금형’이라고 불리는 틀에 찍어서 실제 제품을 만드는 일이라는 뜻이에요. 쉽게 말하면 붕어빵 기계에 팥과 반죽을 넣고 굽는 것과 비슷한 거죠.이지현 사원 안녕하세요. 저는 EP사업부 시장개척팀 이지현입니다. EP사업부에는 소재개발팀, 응용기술팀 등이 있는데요. 시장개척팀은 그 중 고객과 가장 가까이에서 밀접하게 기술 지원을 실행하는 팀이에요. 소재에 대한 고객사의 요청을 확인하고 알맞은 부서에 그 내용을 정리해 의뢰를 합니다. 예를 들어 고객사에서 기존 소재의 개선을 요청해온다면 그에 필요한 요건을 확인하고 소재개발팀이나 사출기술팀 등 연관 팀에 자세히 업무를 의뢰하고 조율하는 일종의 코디네이터(coordinator)죠. 그 중에서도 저는 자동차 소재 관련 중국 고객사를 담당하고 있어요.Q. 같은 TS&D 직군이라도 두 분의 업무 영역이 굉장히 다른 것 같은데요. 구체적인 차이점을 알 수 있을까요?신정철 사원 저희 팀은 기존 고객사의 사후 관리, 사후 기술 서비스라는 측면이 강해요. 이미 LG화학의 소재를 쓰고 있는 고객사에서 기술적 문제가 발생했을 때 국내외를 막론하고 현장에 직접 달려가 해결을 하고 솔루션을 제시하죠.이지현 사원 시장개척팀은 사후 관리를 담당하기도 하지만, 그 전에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한 업무도 수행하고 있어요. 미래 고객사의 요구조건을 확인해 최대한의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안팎으로 기술적인 조율을 맡고 있습니다.Q. TS&D 직군이 생각보다 업무 범위가 넓군요. 워낙 낯선 직군이라 예비 LG화학인들에게 좀 더 팁을 드려야 할 것 같은데, 두 분의 업무 분야에서 요구되는 능력은 무엇인가요? TS&D 직군을 지망하는 이들에게 힌트 좀 주세요.신정철 사원신정철 사원 아무래도 고객사와 직접 소통하는 건 기본이고, 필요할 때는 현장으로 달려가 파견근무를 하기 때문에 해당 직군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매우 중요해요. 이를테면 저희 사출기술팀에는 사출이나 금형 관련 전공자가 온다면 더욱 업무가 수월하겠죠. 그리고 해외 고객사가 많은 만큼 원활한 소통을 위해 외국어 실력 또한 중요한 역량이 될 수 있고요.  보통 현장에 파견을 갈때는 영업사원들과 동행하는만큼 다른 직군의 사람들과도 의견을 그때그때 공유하고 사실을 확인하는 게 중요한 것 같아요.이지현 사원 사실 R&D와 약간 헷갈려 하는 분들이 많은 계실 것 같은데.. Development라는 표현이 두 직군 이름에 들어가다 보니 겹치는 부분도 있어요. 하지만 R&D가 실험과 연구를 통해 새로운 기술을 만들고 이를 상품화하는 데에 주력한다면, 저희 팀은 ‘고객의 요구’에서부터 그 연구가 시작되는 점이 다른 것 같아요.  TS&D는 고객 서비스라는 측면이 크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요청 받은 요건(SPEC)에 부합하는 제품을 만들어야 해요. 때문에 무엇보다 고객이 원하는 바를 잘 알고 이를 내부에 전달하는 소통 능력이 중요하죠. 선행기술을 연구하는 CRD 연구소나 영업 같은 직군의 사람까지 다양하게 의견을 주고 받아야 해요.Q. TS&D라는 명칭 자체를 낯설게 느끼는 분들도 많을 텐데요. 두 분은 처음에 어떻게 이 직군을 알고 지원을 하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이지현 사원 저는 LG화학이라는 회사 자체를 공부하면 공부할수록 매력적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어요. 사실 제 전공이 화학 쪽은 아니라서 고민도 했는데 ‘결국 전공은 다 이어지는 분야지, 뭐’라는 생각으로 용기있게 지원했어요.(웃음) 사실 TS&D 직군에 지원할 때는 정확히 어떤 일을 하는 곳인지는 알지 못했지만, 정적인 면과 활동적인 면을 다 갖고 있는 제 성격과 잘맞겠다고 생각했고요.신정철 사원 저는 전공이 기계공학, 그 중에서도 유체역학 쪽을 주로 공부했어요. 저도 제 전공과는 다른 분야였고 테크센터의 존재나 TS&D라는 직군에 대해서도 아는 게 별로 없던 터라 처음에는 막막했죠. 그래도 신입사원은 어느 곳으로 발령이 나도 처음부터 직무에 대해 다 알기는 힘들잖아요. TS&D 역시 실무를 접하고 배워나가다 보면 그렇게 낯설거나 어렵지 않다는 걸 느끼게 될 거에요. 낯설다고 항상 어려운 건 아니에요.Q. 역시 쉽지가 않네요(웃음) 결국 TS&D 직군은 ‘문제를 해결한다’는 측면이 가장 중요한 것 같은데, 지난 1년 동안 익히게 된 노하우가 있다면 무엇인가요? 신정철 사원 저희는 보통 문제해결을 위해 고객사에 파견을 가는데요. 그곳 현장에서 오래 근무하신 직원분들과의 소통이 가장 어렵고 중요해요. 나름의 원칙이나 방식을 고집하실 때도 있어서 문제 해결을 하고, 이를 잘 설명해드리는 게 제일 어렵죠. 그래서 현장에 가면 제가 알고 있는 지식을 전부라 여기지 않고 귀 기울여 현장 분들의 노하우를 듣고, 거기에 저희가 가진 해결법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일해요. 고객사 직원들의 경험에 LG화학의 기술 서비스가 더해지는 게 가장 이상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거든요.이지현 사원 처음 입사했을 때부터 가장 중요하다고 배운 것이 CTQ(Critical To Quality, 핵심품질인자)인데요. 고객이 요구하는 바를 정확히 파악해서 그에 딱 맞는 솔루션을 제공해야 한다는 뜻이에요. 그래서 고객과의 소통에 앞서 관련 지식을 알고 상대가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을 파악하는 일이 중요한데, 경험이 많지 않은 만큼 아직은 그게 쉽지 않아요. 입사해서도 꾸준히 공부하는 습관을 길러야해요. 제가 아는 영역이 아니라, 모르는 영역을 새롭게 알아가며 일을 해야한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어요. Q: TS&D라는 직군도 정말 많은 공부가 필요하군요. 혹시 업무능력 향상을 위한 내부의 시스템이나 팀내 지원이 있나요?신정철 사원 저희 팀은 새로운 기술지식 습득을 위해 매년 직원들이 MBO(management by objectives)를 작성해 연구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요. 저는 일단 파견을 가기 전에, 선배님들이 이전에 문제를 해결했던 기록들을 쭉 살펴보고 가요. 저희는 회사 시스템에 예전 업무기록이 남아있기 때문에 실전에서의 경험을 참조하는게 가장 많은 공부가 되는 것 같아요.이지현 사원 저희 팀도 사내에서 지원되는 교육은 적극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배려를 해주세요. 아직 많은 배움과 경험이 필요하기에 세미나, 고객 미팅 등도 현장에서 직접 느낄 수 있도록 자주 보내주시고요. 그리고 옆에 계신 선배들에게도 적극적으로 여쭤봐요. 아직 배우는 단계인 걸 다들 공감해주셔서 감사할 따름입니다.Q. 다시 테크센터 질문으로 돌아올게요. 아직 입사희망자들에게 비교적 낯선 곳인데요. 간단히 소개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이지현 사원 대전 테크센터에는 센터장님 이하 TS&D 직군 300여 명이 함께 근무하고 있어요. 일단 저희는 다들 얼굴을 알아요. 실제로 업무관계가 없더라도 다 인사를 하거든요. 모든 구성원들과 친밀하게 지낼 수 있는 가족 같은 분위기라 좋아요. 또 인포멀을 통해서 다양한 취미생활이나 공부도 함께 할 수 있고요. 기숙사나 주말 셔틀버스 같은 혜택도 있으니까 불편하지 않아요.신정철 사원 소개는 제가 해볼게요. 제가 사내행사에서 MC도 자주 보기 때문에.. 소개나 이런 것을 잘합니다. (웃음) 테크센터는 1979년에 럭키중앙연구소로 처음 개설되었고요. 고객사와 가까운 곳에서 언제든 기술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미주, 유럽, 일본, 중국 등에도 설립되었습니다. LG화학의 고객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언제든지 도움을 드리고 있어요. 이 인터뷰를 통해 많은 분들이 TS&D 직군과 LG화학 테크센터에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어요. 웰컴입니다.이지현 사원Q: 입사 지원 후 많은 관문을 통과해 LG화학인이 되셨을텐데요. 두 분의 면접 당시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재미있는 에피소드가 있나요? 신정철 사원 무엇보다 대학시절을 알차게 보낸 게 도움이 되었던 것 같아요. 전공 공부도 열심히 했고, 그밖에 인턴 등 대외활동도 폭넓게 경험했고요. 그리고 면접에서는 저 자신을 과대포장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보여드리려고 노력했어요. 면접관을 너무 의식하거나, 같이 면접에 들어간 사람들을 반드시 이겨야겠다거나 하는 부차적인 것들을 의식하지 않았어요. 솔직함에서 우러나온 자신감 있는 모습, 그게 면접에서 좋은 인상을 남기지 않았을까 싶습니다.이지현 사원 저는 사실 면접에서 ‘무조건 잘 할 수있다’고 했는데….(웃음) 면접보기 전날 너무 떨려서 잠도 오지 않았어요. 새벽에 저절로 눈이 떠지기에 좀 이른 시간이지만 면접장으로 갔죠. 면접 3시간 전에 도착해서 1시간을 로비에서 기다리다 2시간을 남겨놓고 면접장에 올라가 대기하고 있었어요. 혼자 기다리고 있는데, 인사팀 직원분이 저를 발견하시고 긴장을 풀어주셨어요. 면접관님들도 제가 면접 2시간 전에 가장 먼저 도착했다는 얘길 들으셨는지 더 많은 것들을 질문해주셔서 적극적으로 저를 어필했어요. 자신 없는 질문도 일단 ‘할 수 있다’고 당당하게 말씀드렸어요. 정말 운이 좋았죠.Q: 그럼 LG화학인을 꿈꾸는 이들에게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이 있나요?이지현 사원 항상 선배님들께서 하시는 말씀이 있는데요. 가장 중요한 건 다른 사람들과의 조화이고, 그 다음은 일에 대한 열정과 지식, 그 다음이 흔히 말하는 ‘스펙’이라고 하시거든요. ‘스펙이 좋은 사람’보다는 함께 웃으며 일할 수 있는 적극적인 분들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자신의 전공을 살려 더 많은 연구와 공부를 하고 싶다면,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의 소통에서 재미를 느끼는 분이라면 TS&D 직군에서 날개를 활짝 펼 수 있을 거예요.신정철 사원 좋은 얘기는 이미 앞에서 다 했네요. (웃음) 현재 자신이 속한 환경에서 최선을 다하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학생이라면 전공분야에 대해서 빠삭하게 공부하는 것이 가장 ‘기본’이라고 생각합니다. 서류에서나 면접에서나 ‘제가 전공공부를 열심히 했다’는 부분이 절대로 마이너스가 될 일이 없거든요. 그렇게 하나하나 기본을 밟아나가시면 좋겠습니다.#LG #LG그룹 #LG화학 #직무정보 #구성원정보 #직무인터뷰 #구성원인터뷰 #공채정보 #사원인터뷰
조회수 2418

사운들리 백엔드 이야기

사운들리는 '귀에 들리지 않는 소리'를 이용해서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는 SaaS 플랫폼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제품의 구성요소는,음파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단음파를 모바일에서 수신할 수 있는 Android, iOS SDK그리고 컨텐츠를 제공하고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는 백엔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오늘은 구성 요소중 백엔드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그림 1. 사운들리 솔루션 구성도>사운들리의 인프라는 모두가 잘 아시는 아마존 웹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크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API서버 부분, 로그를 수집, 분석하는 부분, 그리고 컨텐츠를 관리하는 CMS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소프트웨어 스택Java : 현재 사운들리의 일부 시스템을 제외하고는 전부 자바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Node.js로 시작하여 PHP를 거쳐 지금의 자바 기반의 시스템으로 구성하게 되었습니다. 다양한 사람들이 개발을 해오면서 각자 가장 잘할 수 있고, 빠르게 구현할 수 있는 언어로 개발되어 가다 현재의 자바로 통일되어 구성되게 되었습니다.Spring : API서버는 HTTP 기반의 REST API를 이용해 컨텐츠를 전달하고 있으며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이용해 개발되었습니다. 이외에도 일부 분석에 스프링 배치를 사용하고 스프링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해주는 스프링 부트도 이용하고 있습니다.gRPC : 분산되어있는 서버들끼리 이기종 언어간 통신을 하기 위해서 Protocol Buffers 기반의 gRPC를 이용하고 있으며 서버들의 모니터링하는 서버와 에이전트들 사이의 통신 목적으로 사용합니다.Flume : 분산된 서버들에서 로그를 수집하는 역할을 합니다. 수집된 로그는 파일로 저장하며 실시간으로 볼수 있도록 엘라스틱서치에 같이 저장하고 있습니다. SDK에서 전송되는 로그 또한 웹서버의 엑세스 로그를 플럼 에이전트가 수집하는 방식으로 비동기로 처리하고 있습니다.ElasticSearch : 수집된 로그들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Kibana를 이용해 시각화하고 있습니다.Angular.js : CMS의 프론트엔드는 Angular.js + Bootstrap을 이용해 개발되었으며, Bower를 이용한 라이브러리 관리, Grunt를 이용한 빌드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소프트웨어 개발/운영GIT : 소스코드는 git로 관리하며 Git-Flow를 이용한 브랜치 정책을 수립하여 가져가고 있고 저장소로는 깃허브를 이용합니다.Quality Practice : QA단계에서 제품을 테스트하기 전 개발자들은 QA 프로세스에 맞게 다음 3가지 기준으로 소스 코드의 품질을 관리합니다.코딩 컨벤션 : 사운들리 내부 코딩 컨벤션에 맞게 개발되었는지 확인합니다. Checkstyle의 규칙을 정의 및 자동화합니다.테스트 코드 : 단위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며 테스트 결과는 모두 통과되어야 합니다.테스트 커버리지 : 단위 테스트 코드가 작성된 커버리지를 계산하며 현재 60%를 목표로 진행하고 있습니다.젠킨스 : 소스코드 저장소에 변동이 일어나면 젠킨스가 소스코드를 빌드하고 위에서 언급한 세가지에 대한 리포트를 작성합니다.소나큐브 : 무료 오픈소스로 코드 정적 분석을 해주며 및 QA 리포트를 같이 볼 수 있습니다.슬랙 : 인력이 적은 저희 팀도 슬랙을 적극적으로 개발/운영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팀 커뮤니케이션 : 팀원들 간의 의사사통을 위한 주요 수단으로 모든 팀원이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분석 리포트 : 젠킨스나 배치를 통해 분석된 데이터들은 분석이 끝난 지표들은 슬랙으로 결과를 전송하여 모든 팀원이 볼 수 있도록 공유하고 있습니다.서버 모니터링 : 서버들의 이상 징후 감지나 배치 오류등을 슬랙을 통해 담당자에게 전송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합니다.애플리케이션 및 서버 모니터링 : 애플리케이션의 모니터링은 Naver에서 오픈소스로 공개한 핀포인트를 사용하고 있고, 서버 상태 모니터링을 위해 자체 개발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을 하는 에이전트와 전체 시스템의 데이터를 관장 하는 서버간에는 gRPC를 이용하여 상태 체크를 합니다. 서버의 상태에 문제가 있을 때에는 slack을 통해 담당자들에게 알람을 주도록 시스템 설계를 하였습니다.개발 문화개발자들은 각각 개발을 할때 정해진 정책에 맞춰 브랜치를 만들어 개발합니다.각각 개발된 소스들은 저장소인 깃허브에 푸시된 후 깃허브의 댓글 기능을 이용하거나 오프라인을 통해 코드 리뷰를 진행합니다.리뷰가 끝난 후 합쳐진 소스는 QP 활동을 통해 분석이 됩니다.빌드가 실패할 경우 커피를 사야합니다 ^^ (커피를 얻어 먹으려는 것이 아닌 소스코드를 푸시하기 전 잘 확인하자는 취지입니다) AWSEC2 : 사운들리의 대부분의 구성 요소인 API서버와 로그 수집, 분석 서버, 엘라스틱서치, 플럼, CMS등이 모두 EC2에 구축되어 있습니다.RDS : 컨텐츠의 주 저장소로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RDS의 Multi-AZ에 배포하여 Active-Standby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데이터들은 레디스와 로컬 캐시를 이용하여 API서버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S3 : 컨텐츠에 포함된 각종 정적 데이터들이 저장되며 수집된 로그들도 저장하여 보관됩니다. EMR : 로그 수집서버를 통해 S3에 저장된 로그들은 EMR을 이용해서 분석됩니다.Beanstalk : 개발 서버의 배포에 사용됩니다. 최근 IntelliJ의 플러그인이 업데이트 되면서 IntelliJ 15버전을 지원하게 되므로써 로컬에서 개발하고 개발 서버에 배포까지 편리하게 하고 있습니다. VPC : 인터넷이 필요 없는 서버들은 VPC 내부 private-zone에 배포 및 ELB를 통해 외부에서 접근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그림 2. AWS 배포 구성도>이상으로 사운들리에서 사용하고 있는 백엔드 소프트웨어들을 소개해 보았습니다. 적은 인력으로 빠르게 사업을 진행하는 스타트업에서는 비즈니스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툴이나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또한 코드를 잘 작성하여 에러를 줄이는 것도 필요하지만 여유가 많지 않으면 최소한 제품의 에러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필요한 것 같습니다.#사운들리 #개발 #개발자 #문제해결 #프레임워크 #스킬스택 #스택 #인사이트
조회수 1374

잉여와 SW 개발의 관계...

IoT의 관점과 함께 최근에 주목을 받는 시계열 DB들이 있다. OpenTSDB나 인플럭스 DB, Graphite와 같은 것들이다. 신기한 것은 최신의 기술이나 플랫폼이라고 불리는 것들은 국내에서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대부분 미국이나 유럽, 이제는 중국이나 러시아에서 등장한다. 물론, 일본에서는 새로운 언어도 많이 등장했다.집안의 전기 사용량을 측적하건, 공기 측정이 되었건 1초에 한번 측정하는 센서에서 만들어지는 데이터를 자세하게 분석하려면 이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아야 한다. 그리고, 최소 연단 위 정도는 모아서 무언가를 분석하거나 추이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더군다나, 센서가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 라면 모여지는 데이터의 량은 상당할 것이다. 기존의 RDB에 축적하는 것은 이런 경우에 좀 맞지 않는다. 데이터가 계속 용량을 늘려나가는 구조이기 때문에 NoSQL형태의 데이터 스토어를 생각하게 된다. 코치이건 하둡이건 몽고이건 여러 가지가 생각난다. 실시간으로 추적 분석하려면 Apache Storm이나 spark도 생각날 것이다.일단, 센서가 시간의 추이에 따라서 데이터를 모으는 형태에 적합한 시계열 DB에 적합한 방법들에 대해서 나름 적합한 형태로 개발되는 구조를 가진 DB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이 글 가장 앞에 언급한 것들이다.관련 자료를 찾아보고 싶으면, OpenTSDB는 http://opentsdb.net , InfluxDB는 https://influxdb.com을 찾아보라. 나름 매력적으로 시계열 형태의 데이터를 모으기 좋은 구조로 디자인되는 설루션을 만날 수 있다.오늘 글에서 언급하고 싶은 것은... 이러한 특정 요점에 맞는 설루션들이 왜? 국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가에 대해서 끄적거려 보고 싶어서이다. 과연, 이러한 태도와 행동, 행위가 특정 개발자의 탁월함 때문일까? 아니면, 국내에 있는 개발자들이 게으르고,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서 일하는 것 때문일까?삐딱한 아키텍트는 그 부분을 이렇게 해석한다.하나. 잉여가 없는 부가가치가 적은 일을 매번 수행하는 국내의 경영자들의 문제.둘. 반복적인 작업이나 자신의 일의 미래에 대해서 큰 관심 없는 개발자의 자세셋. SI형태로만 진행되는 국내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만들어진 플랫폼이나 유틸리티 성의 서비스를 외부에 오픈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함.이 3가지의 가장 큰 이유 때문에 국내에서는 특정 용도나 특정 의미의 환경에 잘 어울리는 설루션들이 오픈소스로 발전되고, 더 넓게 쓰이는 플랫폼까지 진화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하나씩 나름대로 이유를 이야기해보자.하나. 잉여가 없는 부가가치가 적은 일을 매번 수행하는 국내의 경영자들의 문제일단, 부가가치가 높은 소프트웨어나 서비스를 개발한다면, 적절하게 배분되어진 팀과 일정, 부가가치가 높기 때문에 피드백을 통해서 품질을 높이기 위한 시도들이 반복되어진다. 하지만, 대부분 1회성으로 끝나거나, 단기적인 일거리를 해결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사소한 잉여도 발생하기 어렵다.고품질을 지향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추구한다면 매우 당연하게 잉여시간과 잉여 일정, 잉여인력이 투입되는 것이 정상이다. 매우 당연하게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은 게으르기 때문에 반복적인 일을 싫어하고, 게으르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 공을 들인다.이런 게으른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품질 높이기를 포기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그 소프트웨어가 재사용될 가능성이 거의 존재하지 않고, 또다시 요구사항에 따라서 난도질을 해야 하는 경우에 품질 높이기를 시도하지 않는다.결론적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고품질을 만들지 않는 이유는 처음부터 비즈니스 기획과 부가가치에 대한 이윤과 투입되는 비용에 대해서 잘못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든 기획자나 경영자가 그 책임을 져야 한다. 물론, 그런 환경을 주었더라도 잘못된 개발자를 뽑은 '인력관리'의 미스에 대해서도 그 역시... 경영자가 책임져야 한다.대부분 고품질의 소프트웨어가 나타나지 않거나, 잉여가 만들어지지 않는 이유는 경영자가 미 숫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잘못 디자인해서 그러하다.둘. 반복적인 작업이나 자신의 일의 미래에 대해서 큰 관심 없는 개발자의 자세하지만, 경영자의 잘못과 거의 비슷한 수준의 개발자의 관심 없는 자세인 경우가 문제가 되는 경우도 많다. 잉여가 주어졌음에도 빈둥거리거나, 자신만의 놀이를 위해서 그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는 경우도 간혹 있다. 하지만, 필자가 만나본 대부분의 개발자들은 그런 자세가 된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행태 또한 그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걸어온 그 전회사의 경영자의 문제라고 지적하고 싶다.반복적인 일을 줄이고, 미래의 코드에 대해서 신경 쓰는 자세는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자세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자세를 파괴하는 형태의 업무 구조와 생각 자체를 파괴하는 형태로 일을 구성하는 경영진과 같이 일한 개발자들은 슬프게도 잉여를 빈둥거리게 하는데 익숙하게 된다.필자가 개발자 구인 시에 가장 주목하고, 관심을 가지면서 걸러야 하는 개발자는 그러한 회사를 거쳐왔거나 그러한 프로젝트에 매몰되었던 사람들은 피하는 것이다. 한번, 그런 자세가 파괴된 개발자는 다시 자세를 정상으로 복구하는데 엄청난 리소스와 시간이 투입된다.냉정한 사람들이라면 이러한 사람들을 '동료'로 받아들이는 것을 싫어할 것이다.셋. SI형태로만 진행되는 국내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만들어진 플랫폼이나 유틸리티 성의 서비스를 외부에 오픈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함.슬프지만, 3번째의 경우가 사실은 한국에서는 50% 이상 의미 있는 형태로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장되거나 외부에 노출될 수 없는 형태가 되는 경우를 빈번하게 경험했다. 필자 역시, WebService개발 초기에 3 Tier개발에 어려움을 겪는 개발자들을 위해서 SQL 문장을 그대로 WebService에서 CRUD형태로 전송하고 데이터셋과 DB커서를 2 Tier의 형태로 손쉽게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과 컴포넌트를 개발했지만, 이 역시, SI에 종속된 결과물이 되면서 외부에 오픈할 수 없는 경우가 되는 것을 빈번하게 경험했다.슬프지만... 이 3가지의 큰 이유 이외에도 '잉여'가 없는 개발 일정이나 개발자에게 여유가 없어지면서, 정말 더럽게 재미없는 소프트웨어 개발이 반복되는 경우를 많이 보았다. 하지만, 필자의 경험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발을 총괄하고 있다면, 자신의 팀에 있는 개발자에게 약간의 잉여와 고품질을 위한 리소스에 대한 배려를 취하면서 동료직원이 오픈소스를 창출하거나 외부에 오픈할 수 있는 정도의 다듬는 여유를 만들어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가장 훌륭한 CTO나 개발 총괄의 역할은 그 시간을 정말 즐겁다고 생각하는 동료 개발자에게 약간의 잉여와 여유를 허가하는 것이며, 그 잉여가 결론적으로 자신이 속한 개발 조직의 효율이 향상되고, 개발 문화가 부드러워지는 아주 의미 있는 개발 조직으로 완성되어가는 첫 번째 단추라는 것을 알기를 바란다.현재 훌륭한 개발 조직일수록, 카페와 같은 공간만을 만드는 것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개발 공정이나 개발 프로세스 상에 리뷰와 의미 있는 문서화 작업, 피드백과 리팩터링과 같은 시간을 배분하는 이유도 그 때문이라는 것을 잊지 않기를 바란다.훌륭한 하드웨어 적인 공간 위에 재미를 추구하고 의미를 추구하는 잉여가 존재하는 개발 공정을 탑재한 개발 조직이야말로 성공할 수 있는 전제조건을 하나 더 갖춘 곳이라는 것을...
조회수 884

환상 속 브랜딩: 소비자들의 마음속엔 무엇이 있을까

비트코인캐쉬로 한 5만원 벌어서 기분이 겁내 좋았습니다. 자고 일어나보니 5만원이 시뻘겋게 깜박이고 있는 거죠. 이제 제가 어떻게 했을까요? 그 5만원을 뽑아서 카카오 적금에 차곡히 넣어놓았을까요? 음, 아마 누구도 그러지 않을 겁니다. 인생의 즐거움은 돈을 모으는 게 아니라 써버리는 탕진잼에서 비롯된다는 진리를 몸소 실천코자 냉큼 신발을 사버렸죠. 왜냐! 코인은 계속 오를 것 같았으니까! 기영이가 등장했으니까. (미친..) 일단 카드로 신발을 샀으니 지출한 건 코인이 메꿔주겠지~~ 라며 룰루랄라 하고 있었습니다. 기영이가 나타나면 오른!!!....(미친)다음 날 어떻게 되었을까요? 네 그렇습니다. 거래소 폐쇄! 중국발 악재! 선물옵션 종료! 큰손들 빠져나가기! 개미무덤! 그렇습니다. 나이아가라 폭포의 시원함을 맛보게 되었죠. 이렇게 모지리즘을 실현하고 나니,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도대체 소비자의 마음 속엔 무엇이 있는걸까.(응?...) 아니..정확힌 도대체 난 무슨 생각을 살고 있는걸까...난 왜 살지..하아.한강가즈아.... 여튼 오늘은 소비자들의 알 수 없는 마음에 대해 한 번 알아보고 싶어졌습니다. 저만 알아보면 재미가 없으니 여러분도 함께 알아보도록 합시다. 사람은 기똥찬 신상 조던이나 발색이 아름다운 틴트를 발견했을 때 두 가지 경로를 거쳐 판단을 합니다. 틴트를 보고 '저 틴트의 발색은 효과가 2시간밖엔 안갈거야. 난 또 알게 모르게 츄릅츄릅 틴트를 갈비탕과 함께 삼키고 말겠지.... 굳이 내 뱃속으로 들어갈 틴트를 32,000원이나 주고 살 필욘 없을거야. 차라리 그 돈이면 고기를 먹는 게 낫지 않을까?'라며 심사숙고하며 결정을 내리는 "중심경로 프로세스(central route processing)" 와 보자마자 어머 이건 사야돼! 라며 틴트 이름을 외우기도 전에 '저거 뭐지, 저거 주세요.' 라고 냉큼 사버리는 "주변 경로 프로세싱(peripheral route processing)"이 있습니다. 인간은 하루에 약 70번 정도의 결정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모든 선택에 심사숙고를 하게 되면 엄청 피곤해지고 배가 고파지겠죠? 그러니 효율적인 선택을 하기 위해 주변경로를 활용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지인의 추천, 화려한 광고문구, 점원의 말발 등 환경적 요소와 필요하진 않지만 왠지 갑자기 필요한 이유를 만들어내는 알 수 없는 그 존재(=지름신)의 강림 등 말입니다.이러한 주변경로 활용은 두 가지의 장점이 있습니다. 일단 소비자입장에선 정신적 에너지를 아끼고 구매에 대한 책임 등에서 자유로워 질 수 있습니다. 사고 나서의 합리화나 편향기제가 작용하는 것도 훨씬 용이해지죠. 지름신이 시킨 일이니 나의 잘못은 별로 없다고 여겨지거든요. 예쁜 쓰레기는 예쁨으로서 역할을 다했다....는 식의 현명(?)한 사고가 사람을 지배하게 됩니다.나머지 하나는 빠른 결정입니다. 이건 기업 입장에서도 즐겁고 행복한 일이죠. 4일 밤낮을 공부하고 연구하며 저걸 살지말지 고민하는 것보다 보자마자 이거 주세요! 를 외치는 극단적 시원함(COOL) 속성 고객을 만나면 매우 즐겁지 않겠습니까. 제가 아디다스에서 신발팔때는 이런 고객님이 오면 왠지 양말이라도 하나 더 챙겨드리고 싶었.....하지만 이러한 주변경로 프로세싱이 항상 좋은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인간의 선택을 너무 다각화시키고 충동/감정적으로 만들어서 예상치 못한 행동들을 만들어내는데 이 때문에 브랜딩이나 마케팅전략을 세우는 데 있어 꽤나 골치를 썩게 되죠.예를 하나 들어보죠. House-money effect 라는 이론이 있습니다. '꽁돈 효과' 라고도 하죠. 코인으로 5만원을 벌면 저축을 하지 않고 더 큰 돈을 써버리는 겁니다. 이스라엘의 경제학자인 랜즈버그(Michael Landsberger)가 진행한 '랜즈버그 조사'에선 한발 더 나아가 꽁돈이 소액일수록 그 이상의 지출을 쓰게 된다고 했습니다. 로또 정도의 거액에 당첨되면 오히려 그걸 저축하고 관리하려고들 하죠. 하지만 한 번에 구매할 수 있을 정도의 금액이라면 오히려 거기에 얼마를 더 얹어서 큰 지출을 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볼께요. 오늘 길가다가 78만원을 주웠습니다. 근데 마침사고싶던 미러리스 카메라가 90만원인거예요. 그럼 12만원 얹어서 카메라를 사고 생각하겠죠. 우와 12만원에 카메라를 샀어!! 라고. 사실 그 돈이 없었다면 카메라가 필요없다고 느꼈을 지도 모릅니다. 몇 달 지나면 머릿속에서 지워질 충동이었을지도 모를 일이죠. 이는 '심적회계(mental accounting)'의 작동 때문입니다. 우리 마음 속엔 전혀 논리적이지도 정확하지도 않지만 꽤나 놀라운 성능의 계산기가 하나씩있죠. 말도 안되는 계산을 척척해내는 물건입니다. 1. 기프티콘은 현금지출에 비해 돈을 아끼는 듯한 기분이다.2. 다음 달에 낼 돈은 미래의 내가 알아서 하겠지.3. 오늘은 고생했으니 써도 된다.4. 나를 위한 선물이다.5. 왠지 다음달엔 돈이 들어올 것 같아.6. (당연한 돈을 받았는데) 내 계획에 없었으니 꽁돈이다.7. 오늘 기분이 개똥이므로 질러버리자!8. 다 먹고살자고 하는 건데 먹는 데 쓰는 건 괜찮아9. 할부로 내면 충분히 가능할 듯10. 비트코인골드 호재가 있으니 다음주엔 오를거야등등의.... 초자연적인 계산을 가능케하는 계산기죠.  하지만 놀라운 건 이 심적회계엔 하나의 스위치가 있습니다. '감정회계'라는 모드죠.우연히 구스다운 주머니를 뒤지다가 1만원 짜릴 발견하면 냉큼 치킨을 시켜버립니다.그러나 돌아가신 어머님의 유품을 정리하다  어머니 바지에 있던 1만원을 우연히 발견했다면 고이고이 평생 간직할지도 모릅니다.같은 돈이라도 감정에 따라 그 가치가 엄청나게 달라지게 되는 것이죠. 이러한 긍정적 공돈효과를 극단적으로 활용하는 곳이 바로 휴대폰 정책입니다. 18개월간 쓰고 중고폰을 반납하면 나머지 6개월분의 할부금은 없애줄께! 하는 등의 조금만 알고보면 호갱트랩인 정책들이죠. 왠지 지금 이것저것 할인을 붙여 왠지 싸게 사는 듯한 기분이 드는 겁니다. 백화점이나 뷰티브랜드의 '통합포인트 제도' 도 이와 비슷하죠. 잠자고 있던 포인트를 깨우라는 건 당신을 위한 배려가 아니라 올리브영에서만 쓸 수 있는 포인트가 꽁돈으로 생겼으니 어서 달려가서 질러라!! 는 얘깁니다.이러한 체제를 휴리스틱이라고 하며, 다양한 마케팅이나 인지편향을 활용한 브랜딩전략으로 자주 활용되고 있습니다. 인간이 기본적으로 지니고 있는 인지편향심리는 소비와 브랜드인지에 아주 크나큰 영향을 미칩니다. 몇 가지를 좀 알아보도록 할까요1. 가용 휴리스틱 (availability heuristic)사람들은 먼저 배운 정보를 과도하게 신뢰합니다. 특히 부정적인 정보를 제압할 때 많이 사용하죠. 우리 아부지는 술 매일 마셔도 건강하게 잘 지내시는데?? 하면서 과음의 폐해를 축소시켜 인지하는 등의 심리입니다.에베베베베베2. 선택 지원 편향 (choice-supportive bias)흔히 단레몬기제라고도 하는데, 일단 무언가를 지르고 나면 그 선택에 대해 잘했다고 생각합니다. 맥북을 질러버렸으면 고장나지 않을 거야! 설사 고장이 나더라도 오히려 비싼 돈을 주고 AS를 받는 것을 기꺼이 납득하는 경우입니다. 내 선택이 틀리지 않았다는 것을 강화시키고 싶으니까요.3. 클러스터 착각 (clustering illusion)그냥 운으로 이루어진 경우인데 뭔가 그 속에서 패턴을 찾아내려고 하는 겁니다. 이는 도박사의 심리와도 연관이 되어 있는데 동전의 앞면이 9번 나왔으니 10번째는 뒷면이 나올 것이다! 라거나, 고양이 3마리가 차트에 등장했으니 반드시 내일 고점 돌파한다!! 는 식의 말도 안되는 논리이죠.4. 최신 편향 (recency)사람들은 최신정보를 더 신뢰합니다. 항상 최신이라고 해서 옳은 정보가 있는 것은 아니죠. 마케팅에서 흔히 '지금까지 알던 것은 잊어라!!' 또는 '우리는 잘못 알고 있었습니다...' 는 등 심각하게 정보의 오류를 찝어내는 식의 문구를 쓰는 것은 이러한 최신편향에 기대는 전략입니다.5. 특징 효과 (salience)브랜딩에 특징효과는 매우 중요합니다. 사람들은 '행복한 것' 을 떠올릴 때 단순히 삼시세끼 잘먹고 잘 곳있으면 되지~는 식을 떠올리지 않습니다. '행복한 것 = 로또당첨' 등의 극단적인 이미지를 먼저 떠오리려고 합니다. 가끔 담백하고 솔직한 마케팅이 실패하는 이유 중 하나라고 할까요. 큰 특징을 잡기 힘든 평범한 이미지로 브랜딩을 하려고 해도 소비자들은 극단적인 정보로 인식하려고 합니다. 특히 보고들은 정보를 누군가에게 전달할 때 이는 아주 심해지죠.6. 제로 리스크 편향 (zero-risk bias)확실한 것! 을 추구하길 좋아합니다. 때문에 두 번 세 번 확인하는 절차도 기꺼이 감당하죠. 그리고 놀라운 건 이렇게 확실한 절차를 거치고 나면 그것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라는 믿음을 가집니다. 흔히 금융/법률 서비스등이 여러가지 복잡하고 완고한 절차를 요구함에도 그러한 번거로움이 신뢰로 변환되는 경우가 이러한 제로리스크 편향의 좋은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7. 현상유지 편향(status quo bias)몇몇의 요지부동 소비자들의 심리입니다. '이불밖은 위험해' 라는 생각이죠. 비슷한 개념으로 부작위 편향(omission bias), 손실 회피 편향(loss aversion bias)이 있는데, 이는 소비자보단 경영측면에서 더욱 많이 활용됩니다. '새로운 건 젊은 애들이나 하는 거야!' 는 식의 의견을 합리화하는 데 유용한 마인드입니다.8. 사후확증편향(hindsight bias)오....이것은 매우 흥미진진한 편향입니다. 어떤 일이 일어나고 나서 평가할 때 "내가 그렇게 될 줄 알고 있었어!" 라고 무릎을 탁 치는 거죠. 정말 알고 있었을까요? 노놉. 이는 누군가가 좋은 아이디어를 냈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그 정돈 나도 할 수 있겠다!" 는 식의 심리죠. 그럼 미리 하지 그랬어요. 누군가의 성공이 쉽게 이해되고 그 원인을 마구 분석할 수 있는 것도 이러한 사후확증 편향에서 비롯됩니다. 그러니 성공사례에 대한 분석을 너무 믿진 마세요.9. 내집단 편애(ingroup favoritism)코란도를 구매한 사람들은 구매한 사람들끼리의 커뮤니티가 있습니다. OO을 사랑하는 모임 등도 비슷한 원리죠. 팬클럽을 조직하거나, 간담회, 베타테스터를 만들려는 이유는 이러한 내집단 편애현상을 활용해서 소비자계층을 끈끈하게 만들려는 심리입니다. 내가 산 제품을 너도 샀다는 데에서 동질감을 형성하고 그것은 이 제품을 비난하는 사람들을 적으로 간주하여 대신 공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10. 임의적 추론이건 매우 .....이상한 심리입니다. 흔히 원인과 결과가 동일시 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 나는 이걸 사고싶다- 그러니 이걸 사겠다.....이해가 확 되시나요? 근거가 곧 결과가 되버리는 이상한 추론인데, 심적회계 못지않게 초월적인 논리력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 이런 임의적 추론은 브랜딩전략을 구축할 때 엄청난 노력으로 고객 타겟팅을 해서, 고민고민한 슬로건과 워딩, 소개콘텐츠등을 순식간에 바보로 만들어버릴 수 있습니다.- 이건 뭔가 맘에 안들어(뭔진 모름)- 그러니까 싫어(응????)흔히 이러한 편향과 오류들은 정보를 분석해야하는 경우에 많이 발생합니다. 내가 에너지를 쏟아서 뭔가를 판단해야 할 때 두뇌는 귀찮아져버리죠. 그래서 주변정보에 기대버리려고 합니다. 또는 지난 경험이나 습관에 의존하려는 성향이 있죠. 그렇다면 브랜드는 고객에게 어떤 워딩으로 어떤 정보를 줘야 할까요?ㅎㅎㅎ 이건 숙제입니다. 저는 스압이 강력해서 여러분들의 눈이 피곤해질 걱정으로 이만 글을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숙제검사는 17화에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 모두 감기조심하세요!
조회수 989

스타트업을 시작하며... 7

Phase 31. D-day가  다가올수록.. 하나 둘 문제들이 톡톡 튀어나온다.물론 시간이 있다면 이런 문제들은 그다지 큰 문제들은 아니다.. 다시 하면 되니까.. 오늘은 중국의 bottle 제조업체에서 연락이 왔다. spray와 cap을 matt black으로 만들어야 하는데, 제조업체에서 shiny로 만들어서 보내왔단다.. OTL이런 상황에서 젤 중요한 건.. 시간 내에 다시 만들 수 있는지? 그리고 비용이다. 25일까지는 bottle이 한국에 와야 최종 제품을 제조하는데 문제가 없는데.. 그 시간 안에 될 수 있는 일인지? 아니면.. 일단 9월 제품에 대해서는 어울리지 않는 & 의도하지 않은 디자인을 이용해야 하는 것인지? 일단 생산 일정에 따라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마지막에 똥줄이 타오는 순간에.. 외줄 위에서 침착하게 의사결정을 할 줄 아는 것이 중요하다!Phase 32. 고민 같지 않은 고민이라고 말하기엔..우리 패키지가 나왔고.. 이제 제품의 모양을 거의 실물로 확인할 수 있는 단계가 되었다. 그래서 주변에 보여주기 시작하면... 10,000원이라는 가격 대비!! 너무 고급스러워 보인다는 것이다.그게 왜 고민인고 하니... "포장에 너무 신경 쓰느라 정작 내용물은 부실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는 것이다. OTL (정말 발품 많이 팔고 노력해서 만들었는데도 이런 결과가.. ㅜㅜ)그래서 고민이 시작되었다.사람들이 느끼기에 포장이 아주 좋은데... 본질은 향을 맡아보았더니 아주  좋더라!!라는 의견을 끌어낼 방안들을 찾아내야 한다.Ps. 오히려 이 상황에서 가격을 올리는 것은 잘못된 방향의 문제 해결 아이디어가 될 것이다.Phase 33. 고객이 지불하는 돈이 어디에 쓰이는지를 알리지 말라!Paffem 정기구독의 가격은 배송비 포함 월 10,000이다. 이 가격은 초기에 서비스를  디자인할  때부터 fix 한 사항이고, 그 금액 안에서 cost structure를 구겨넣어 만들어내는 내는 작업을  하였다.근데.. 사람들이 말하길, 생각대비 너무 싸단다.. ㅎㅎ(그건 지금까지의 향수 maker들이 폭리를 취해왔다는 것의 반증이기도 하다)그래서 6개월 이후부터 정기구독을 하는 사람들은 배송비를 본인이 직접 내야 한다는 전제를 가지고서 가격을 책정하였는데... 사실 매달 배송비 2,000원을 본인이 내야 한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것도 위험하다는 생각이다.차라리 향수 가격이 2,000원 인상되었으면 고개를 끄덕끄덕하겠지만, 내가 택배비에 2,000원을 매달 낸다고 생각하면.. 아깝다는 생각이 들 수 있을 것이라는 고민인데.. 사람들은 동일한 금액을 지불해도 그게 어디에 쓰이느냐를 알게 되면 오히려 비싸다고 생각할 수 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참 어렵다.파펨 론칭 파티 이후의 업데이트 (마지막엔 정말 바빠서.. ㅜㅜ)Phase 34. 마지막 진통..난 계획적으로 일하는 것을 좋아한다. 그래서 무리하지 않게 시간 운영을 하고 싶고.. 하지만 역시나 론칭 직전에는 많은 사건/사고가 있었고, 무리수가 따랐다. 중국에서 만들어온 bottle은 silk printing이 샘플로 온 것과는 현저한 퀄리티 차이를 보이고 있었고.. bottling 업체에서 병입을 하고 보니 최고 40%까지 불량으로 판명이 날 정도의 수준이었다. 말이 안 되는 수준이다. 납득이 안된다. 하지만 이미 엎질러진 물.. 바틀안에 들어있는 향수는 정상품이기 때문에, 프린팅에 문제가 있는 제품은 론칭 파티에 방문해 주시는 고객분들에게 하나씩 선물하는 것으로 결정!더 큰 문제는 론칭 이틀 전에 맡아본 향에서.... 알코올 향이 너무 강했다. ㅜㅜ 숙성 시간이 부족해서 아직 알코올향이 남아있던 것이다. 아.. 이 충격은 너무나 강해서 정말 패닉이었다. 패키지에 문제가 있는 것은 개선하겠지만.. 고객에게  첫인상이 안 좋으면 이건 뭐.. 그냥 Game over인데 그 많은 사람들을 불러다가 불완전한 제품을 공개해야 한다니..하! 지! 만... 론칭 파티 당일까지 이틀의 시간이 지나면서 숙성이 진행되었고.. 다행히도 원하는 수준의 90%까지는 만들어졌다. ㅜㅜ 피를 말리는 순간들..그 전에는 중국에서 수입하는 바틀에 made in Korea 글귀가 있어서 세관에서 잡고 시비를 걸어온 경우도 있었다. 관세사는 내가 당일 아침  9시부터 준비할 것이 없느냐?  문제없느냐?라는 콜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후 5시에 전화를 해서 20분 내에 서류를 보내지 않으면 오늘 중 출고가 안된다는 통보를 하기도 했다. 아쉬운 놈은 20분 만에 그럴듯한 서류를 만들어 관세사에게 전달할 수 밖에 없었다.Phase 35. 내가 멘붕이 오면 안된다..이런 강펀치들을 맞다 보니... 사실 나는 마지막 2주 정도는 불면증에 시달리고 있었다. 머릿속에 생각의 창이 20개는 떠 있어서 이 생각 저 생각, 이 고민 저 고민하다 보니.. 잠을 잘 수 가 없었다. 심지어는 내가 제일 싫어하는 "오타"를 막 내고 있었는데.. 당시 내 메일을 받았던 어떤 분은, 그냥 내가 외국에서 오래 살다 와서 그런 줄 알았단다. ㅜㅜ 사실 쉽지 않은 준비였기도 했지만.. 이렇게 멘붕이 오면 안 되는 것이었다.침착해 침착해!!#파펨 #스타트업 #창업가 #창업자 #마인드셋 #인사이트
조회수 848

[Buzzvil Culture] 자유가 회사를 바꿀 수 있을까?

버즈빌은 OK 캐시백, KT 클립, 롯데 엘포인트 등 국내외 50개의 파트너사에게 독보적인 잠금화면 광고 SDK 탑재를 통한 앱을 제공하는 버즈스크린을 세계 최초로 출시했습니다. 전 세계 잠금화면의 80%를 장악하겠다는 큰 꿈을 함께 만들어나가는 구성원을 위해 버즈빌은 각 개인의 성장을 응원하고 있습니다. 이 시리즈는 버즈빌의 HR 매니저인 James의 조직문화에 대한 고민이 담긴 연재글입니다. 그의 글을 통해 조직의 성장에 대한 고민을 함께 해봤으면 좋겠습니다.   회사에 자유를 풀어두면 어떤 일이 생길까? 책 <자유 주식회사>의 핵심 질문이다. 사실, 이 질문에 대한 올바른 한 가지 정답은 없다. 애초에, 회사라는 곳은 자신이 만들고자 하는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형성된 조직이며, 이러한 조직 구성이나 운영 방식도 저마다의 맥락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950-60년대 저렴한 노동력을 기반으로 제조 공장을 운영하는 사장님께 이런 질문을 한다면 어떻게 될까? 단정할 수는 없지만, 대부분의 경우 비웃음을 날리거나 혹은 헛웃음을 지을 것이 분명하다.  자유가 웬 말인가, 직원들이 밥 먹는 시간도 아껴서 일을 해야 조직의 ‘성과’ (= 많은 결과물의 생산)를 달성할 수 있는데 말이다. 하지만, 이제 대전제가 바뀐 것은 분명하다. 2017년, 이제 조직의 ‘성과’는 더 이상 구성원들의 근면 성실에 의지하지 않는다. ‘성과 = 많은 결과물의 생산’에서, ‘성과 = 고객 가치의 극대화’로 바뀐 지금은 과거와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피터 드러커가 <자기경영노트>에서 말했던 것 같이, 이제 우리와 같은 지식 노동자들에게 주어진 유일한 과업은 ‘목표 달성 능력’이다. 육체 노동자와 다르게, 지식 근로자를 직접 또는 세세한 면까지 감독할 수는 없다. 지금의 근로자는 예전과 달리 스스로 방향을 정해야 하고, 그 방향은 ‘목표 달성’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에이잭스 비누회사 사무실 안에는 스미스 부장이 책상 위에 다리를 올려놓은 채, 천장을 향해 담배 연기를 내뿜고 있다. 문 밖으로 지나가던 나이 든 두 사람 중 하나가 다른 사람에게 이렇게 말한다. “그런데 스미스 부장이 지금 비누 생각을 하고 있는지, 우리가 어떻게 알 수 있지?”  <자기경영노트 P.15> 정말이지, 우리는 지식 근로자가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지 확인할 도리가 없다. 이 전제는 모든 것을 바꿨다. 특히 고도의 기술과 지식, 창의성에 의존하는 산업일수록 더욱 그러하다. 이제 회사의 성과는 ‘구성원의 진심 어린 관심과 창의성, 그리고 협력’에서 비롯되고,  이는 ‘조직의 목적성과 구성원들의 자율성’이라는 주요 원인에서 시작된다.  그럼에도 ‘자유’의 힘을 믿지 않는 분이 많다.  그런 분들에게, 나는 예전 ‘차이나는 클라스’에서 유시민 작가가 말했던 답변을 빌려오고 싶다.  질문은 이것이다. “민주주의는 왜 대세가 되었나요?” 그는 이렇게 답한다. “민주주의 국가가 전쟁에서 이겼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다양한 형태의 정치 체제가 있어왔지만, 결국 민주주의가 독재나 군국주의에게 모두 이겼다. 그런데 왜 이겼을까? 가장 경쟁력 있는 체제이기 때문이다. 모두 참여할 수 있고, 자유롭게 개성을 발휘하며, 나쁜 지도자도 교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차이나는 클라스, 유시민편> 나 역시 그러하다. 민주주의가 살아남은 이유는 구성원에게 자유를 보장했기 때문이라 믿는다. 기업도 예외일 수는 없다. 구성원에게 ‘자유’를 주지 않는 체계는 결국 점차 경쟁력을 잃어 갈 것이다.  ‘비자유’가 그릇되거나, 틀려서도, 비도덕적이어서도 아니다. 답은 단순하다. 자유가 없는 조직은 ‘성과’를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자유는 위대한 성과를 낳는다. 인간은 정치, 경제, 놀이, 가족생활을 불문하고 중요한 문제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기를 원한다.”  <자유 주식회사 p.11> 지금의 조직 문화와 리더십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이 책 ‘자유 주식회사’와 ‘커넥티드 컴퍼니’ 그리고 최근에 읽고 있는 ‘홀라크라시’를 권하고 싶다.  *현재 버즈빌에서는 함께 성장할 인재를 채용 중입니다. (전문연구요원 포함)작가소개 James, HR Manager 안녕하세요, 버즈빌에서 인사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James(강정욱)입니다. 리더십과 조직 문화에 관심이 많고, 그에 관한 책을 읽거나 대화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최근에는 직무 분석부터 성과 평가까지 전반적인 성과 관리 방식을 체계화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구성원 한분 한분의 역량이 뛰어나고 팀워크도 좋은 편이라 많이 자극 받고 또 배우고 있습니다. 지금과 같은 멋진 조직 문화를 계속해서 유지하고 발전시키는데 기여하고 싶습니다.
조회수 709

다들 가길래 나도 대학을 갔다

안녕하세요. 저는 대학생 4학년 2학기를 재학 중인 학생입니다! 이번에 이렇게 사연을 보내게 된 이유는 저가 이번에 곧 몇 개월 후에 졸업을 하게 되는데 졸업을 하고 나서 이제는 사회인이 되다 보니 저의 생활비를 스스로 감당해야 하는데 "만약 앞으로 이렇게 알바만 하면서 어떻게 살까, 이렇다간 진짜 굶으면서 살게 되지는 않겠지?" 하면서 계속 너무 고민하게 됩니다. 아직 저의 일에 대해서 자리가 잡혀있는 것도 아니라서 더 고민이 됩니다.- @VL4353 님의 사연OECD 국가 중 한국은 대학 진학률은 68%로 '1위'그렇다. OCECD 국가 중 가장 대학을 많이 진학하는 나라는 역시나 한국이었다. 그리고 청년실업률은 19년만래 최악인 10%라고 한다. 우리는 졸업 후 어떻게 되는 걸까? 대학은 꼭 반드시 가야만 하는 곳인 걸까?초등학교 2학년 때 시계를 읽을 줄 몰라 선생님께 혼이 났다."너는 이거 하나 못해서 나중에 대학은 어떻게 가려고 으휴.."그리고 중학교 1학년 땐 담임 선생님이 수학 선생님이셨는데, 수학을 워낙 못하는 내게 하신 말 씀이 아직도 기억이 난다. "너는 좋은 대학은 못 가겠구나 수학을 못해서, 그럼 니 인생은 불행할 거야"놀랍지만, 내가 담임 선생님께 들었던 말이다. 나는 공부를 못하는 아이 었다. 열심히 하지도 않았지만.. 그리고 나의 머릿속에 뿌리 깊게 박혔던 건, 좋은 대학교에 가야 나의 인생은 자연스럽게 풀릴 것이란 것. 그만큼 나의 어린 시절, 나와 내 주변 친구들에겐 적어도 '대학이 인생의 전부'였다. 왜 대학에 가야 하는지,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모르면서도 그저 대학에 가지 않으면 인생에 낙오자가 될 것만 같았다. 그냥 대학도 아닌 소위 말하는 인 서울대학에 가야만 하는 줄 알았다.대학을 가면 모든 게 끝난 줄 알았다. 대학에 가면 이것도 할 수 있고 저것도 할 수 있고, 앞으로 인생에 고비는 없는 것처럼 속아왔다. 흔히 부모님들이 실수를 범하시는 말씀,  대학만 가면, 너 하고 싶은 거 다할 수 있어. 그럼 고생 끝이야명문대에 진학하던, 지방대에 진학하던 우리는 모두 대학에 입학하자마자 앞으로 넘어야 할 더 큰 산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좋은 학교를 나온다고 하여 취업이 보장되던 시대는 지났다. 그리고 좋은 직장 = 대기업 또는 공무원이라는 공식도 이제는 변하고 있다.(물론, 공무원은 안정적이란 장점이 있지만) 우리는 왜 대학교를 졸업 후 어떻게 살아야 할지 모르는 걸까? 무엇이 문제일까? 놓지 말아야 할 자기 결정권 주변에 보면 20대 후반이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이런 말을 하는 친구들이 있다."엄마가, 이렇게 하라고 하시더라고..""아빠가 이 직종이 미래가 밝다고 하셔서.."물론 부모님의 인생 경험과 조언은 우리를 바르고 더 편하길로 인도해주시기 위함인걸 알고 있지만, 우린 어쩌면 너무나도 주체적이지 않게 살아온 건 아닐까 싶다. 내가 정말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공부하고 싶은 것은 어떤 것인지 어떻게 살아가고 싶은지에 대한 자기만의 생각과 시간이 턱없이 부족했다. 나 또한 예전엔 그런 사람 중 한 명이었다. 사회적인 분위기에, 부모님의 말씀으로 당연하게 대학에 가야 한다고 믿었다. 안 가면 나는 낙오자가 되고 취업도 할 수 없고, 꿈도 꿀 수 없는 줄 알았다. 그래서 가고 싶지도 않은 대학이라는 곳에 돈을 내며 갔었어야 했다. 결국 나 스스로와 상의하고 판단하여하고 싶고 도전하고 싶은 것을 찾아 대학이 아닌 밖으로 눈을 돌렸다. 집단주의가 가장 뚜렷한 나라 한국(Collectivism)대학을 다니면서 배운 것 중 아직도 기억에 남는 수업은, 바로 '집단주의' 관련된 이야기였다.독일에서 초청 교수님이 오셨는데,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에 대한 예시로 덴마크 그리고 한국을 비교하신 적이 있다. 남한과 북한은 그 어느 나라에선 볼 수 없는 집단주의가 존재하며, 그것이 단기간 경제성장에 큰 영향을 끼쳤지만, 동시에 한 마디로 한국은 공산주의는 아니지만 '우리'라는 단어에 집착하며, 결속력을 중요시하고 한마디로 '남 눈치'를 가장 많이 보고 남의 신경을 많이 쓰는 나라라고 하셨다. 그래서일까? 너도 나도 대학에 가니 왠지 나도 반드시 가야만 할 것 같은 그런 기분.. 그러다 보니 사회적 분위기에 휩쓸린 건 아닌지 모르겠다.(우리 부모님도 내게 그러셨다. 그래도 전문대는 꼭 나와야 하는 게 한국 사회라고)결론은 그래서 사회 분위기를 맞춰 그렇게 살아야 한다는 말도 아니고, 반대하여 마이웨이를 무조건 걸어가란 소리도 아니다. 사는데 정답이 없듯이 감히 누가 누구에게 조언을 할 수 있을까? 다만 같은 고민을 하고 걱정을 했던 사람으로서 경험을 나눠줄 수 있을 뿐. 어쨌든, 저질러진 일이다. 이미 되돌릴 수 없는 것이 시간이다. 앞으로의 미래에 대한 걱정보다 오늘을 먼저 열심히 살아보는 건 어떨까. 오늘이 버거울 때가 매 순간이겠지만, 결국 어쩔 수 없이 우리가 마주쳐야 할 현실이다. 그저 현실을, 상황을 탓만 하며 또는 미래에 대한 고민만 하며 시간을 보낼 순 없다. 같은 고민을 하며 살아왔고 살고 있지만 사실, 정말 뭐라도 하면 굶어 죽을 일은 없다는 것을 알았다. 비록 내가 원했던 영위 로운 삶 또는 원하던 물질적인 욕구는 채울 수는 없을지언정 말이다. 사실, 미래에 대한 해답은 그 누구도 대답해줄 수는 없다. 현실과 타협하라는 말도, 그저 어쩔 수 없으니 수긍하고 살라는 말은 아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가 처해있는 상황과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의 이 사회를 바꿀 수는 없음도 알았으면 좋겠다.(사실 그저, 고민을 하는 누군가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공감만 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씁쓸한 현실을 다시 한번 마주한다)"괜찮을 거야! 다 잘될 거야" 라는 위로보단, 어쩌면 냉철한 현실을 말해주는 누군가도 필요하다고 생각하기에, 현실을 마주하고 자기 결정권을 가지고, 어떻게 살아가고 싶은지 부모님의 결정 또는 사회가 바라는 내가 아닌, 진정 앞으로 무엇을 하고 싶은지 할 수 있는지를 다시 한번 차차 생각하고 실행하는 시간을 가지길 바라며, 대학을 가지 않아도, 대학을 졸업한 후 그리고 하고 싶은 일을 하며 행복하게 그리고 굶어 죽을 일 없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누구에게나 사연은 있다.당신의 사연, 고민을 함께 나누는 공간 스푼 라디오입니다.사연에 채택되신 스푼 유저분들께 스푼 라디오 공식 굿즈를 선물로 보내드립니다.여러분의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스푼 라디오에 사연을 보내주세요.사연에 채택되신 분들께 소정의 선물을 보내드립니다.자세한 사항은 [email protected]으로 문의 바랍니다.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