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홈

인터뷰

피드

뉴스

조회수 1251

깃발 올려, Git Effect!

안녕하세요, 개발 2팀에서 단아함을 맡고 있는 오연주입니다. 평소에 관심이 많았던 깃(Git)을 공부하면서 알게 된 내용들을 글로 쓰려고 합니다. ‘어떤 닝겐이 만들었나’ 궁금할 정도로 천재적인 깃은 도대체 누가 만든 것일까요? 바로 리누스 토발즈(Linus Torvalds)입니다. 이름에서부터 OS의 느낌이 가득합니다. 네, 맞습니다. 그는 리눅스(Linux)의 창시자이기도 합니다. 리누스는 말했죠. “My name is Linus, and I am your God.” 리누스 토발즈 (Linus Torvalds)그가 깃을 만들기 전에는 보통 중앙집중식 VCS(Version Control System)를 사용했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도구들로요. CVSSVN(Subversion)…반면에 깃은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DVCS, 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입니다. 그렇다면 중앙집중식의 대표주자인 Subversion(VCS)에 비해 무엇이 더 좋을까요? 속도가 빠르다. snv log svn diff -rN svn commit 등 대부분의 명령어가 네트워크 연결이 되어야 실행 가능한 명령어입니다. 그러나 git push git clone 등 몇몇 명령어를 제외하고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로컬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용량이 적다. Mozilla의 SVN Repository는 126GB인데 반해 Git Repository은 420MB입니다. 왜냐하면 해쉬, 스냅샷을 이용한 효율적인 파일 변화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브랜치를 만드는 작업이 수월하다. SVN은 diff를 전부 적용해서 파일을 생성한 뒤 네트워크에서 내려받는 반면, 깃은 스냅샷을 가리키는 링크(Commit Object)만 만들면 됩니다.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길래 이런 차이점이 생기는 걸까요?분산 저장소로, 로컬에서도 중앙 저장소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고 볶기가 가능하다니! 여러 개의 다른 저장소를 생성할 수 있고 서로서로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고 유기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델타 기법이 아닌 스냅샷 방식을 사용합니다. SVN의 경우 파일 변화를 diff로서 추적한 반면, Git은 각 시점의 파일 상태를 모두 스냅샷을 찍어 관리합니다.변화를 기억했던 기존 방식변화된 소스를 커밋할 때 스냅샷을 찍는 방식두 가지 특징을 살리려면 깃이 여타 다른 VCS와는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Revision number로 히스토리를 관리했던 Subversion으로 분산된 저장소의 히스토리를 관리하려고 하면 ‘시점 충돌’ 문제가 발생합니다.그..그려봤습니다..금융 프로젝트에 참여했을 때의 일입니다. VCS 중 H사 툴을 사용하였는데 한 소스의 버전을 받고 개발하는 과정에서 커밋의 횟수가 많아지니 중앙 저장소 입장에서는 ver 1 → ver 9로 갑자기 타임워프하는 일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개발자 스스로 본인의 버전을 모두 삭제한 후 ver 9였던 파일을 수동으로 ver 2로 바꿔주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소스가 모두 날아가는 경우가 있어 소스 commit 과정이 공포스러웠죠. 깃은 해쉬(hash)를 이용한 정보 관리를 통해 이런 문제를 말끔하게 해결합니다.Git의 핵심, 정보 Hashing! git reset --hard 3269aecad9ffea81763a42b9fff34c76a0aa4cf0 브랜디 소스 코드를 pull 했는데 특정 시점으로 돌아가 할 일이 생겨 위의 명령어를 입력했던 적이 있습니다. 명령어로 깔끔하게 원하는 시점으로 되돌아올 수 있었죠. 뒤에 붙는 40자리의 기괴한 문자열은 바로 깃이 정보를 관리하는 데에 사용하는 해쉬값입니다. 해쉬값이 제일 많이 보이는 곳은 git log 가 아닐까 싶은데요. commit 옆에 나열된 일련번호같은 문자열이 궁금하진 않으셨나요?깃은 소스 코드를 포함해서 히스토리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이런 해쉬로 저장 및 관리합니다. 이 해쉬값은 40자리 16진수 숫자이며 SHA-1 알고리즘으로 생성됩니다. SHA-1 알고리즘은 보안 표준 해쉬 알고리즘 중 하나입니다. 충돌할 확률은 1 / 10^45로, 매우 매우 낮기 때문에 수많은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기에 안전하고 적합합니다. 4GHz CPU로 SHA-1 해쉬 중복값을 찾아내려면 4000년이 걸린다.앞서 SHA-1 해쉬값으로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고 말씀드렸는데, 과연 어떤 정보를 어디에, 어떻게 저장하고 있는 것일까요? 각 해쉬 값은 깃이 내부적으로 저장하는 파일 이름이 되기도 하는데, 이 파일들은 .git/objects 경로에서 전부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해쉬값 40자리 중 앞 2자리를 디렉토리 이름으로 따고, 뒤 38자리를 파일 이름으로 지정합니다. 각 파일 안에는 서로 다른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해쉬값으로 표현되는 이 파일들은 정보의 종류에 따라 3가지 객체로 분류됩니다. Blob ObjectTree ObjectCommit Object폴더나 파일명이 어떤 오브젝트인지 힌트를 주지 않기 때문에 세 가지의 오브젝트 파일 내용의 캡처를 위해 복불복으로 열어봤는데요, 하나의 파일을 열 때마다 포춘쿠키를 까듯 심장이 쫄깃쫄깃했습니다. Blob Object란 실제 파일을 뜻하며, 실제 소스파일을 가지고 있는 실세 오브젝트같은 느낌입니다. Blob Object - 열어보면 내가 작성한 소스 코드가 들어있다.Tree Object 내부에는 프로젝트 구조의 각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하위에 어떤 폴더와 파일을 가지고 있는지 알려주고, 객체 해쉬 값을 저장하고 있습니다. 이 Tree Object의 제일 상위 객체는 root이며, 프로젝트의 최상위 폴더에 대한 정보를 담게 됩니다.앞서 깃은 각 시점별 스냅샷을 찍어 관리한다고 했습니다. 스냅샷을 찍는 행위는 새로운 Root Tree Object를 만들고, 각 시점에 가지고 있는 Tree Object와 Blob Object로 새로운 트리 구조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Tree Object - 하위에 php라는 폴더와 README.md라는 파일이 들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Commit Object는 커밋 시점의 Repository Root Directory의 해쉬 값을 가지고 있는 녀석입니다. Parent는 내 커밋 전에 커밋이 누구인지를 뜻하는데요. 또한, 커밋할 때의 committer(user), commit message등의 정보도 가지고 있습니다.Commit Object - 해당 commit 시점의 root tree object와 이전 커밋, 작성자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세 종류의 객체는 깃이 분산된 Repository 간의 소스 히스토리를 쉽게 관리하도록 도와줍니다. 해쉬값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특정 스냅샷에 이동하거나, 히스토리를 변경 또는 추가하는 데에 적은 리소스만 필요합니다. 또 분산된 저장소 사이에 상호 시간 순서에 대한 모호함도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이 정도면 갓누스….깃을 공부하기 시작한 이유는 Git UI Tool을 쓰면서 습관적으로 commit, push 버튼을 눌렀기 때문입니다. 깃에 대한 이해도가 있는 상태에서 사용한다면 실수가 줄어들 거라 생각합니다. 다음 글은 Git branching Model을 다루겠습니다. ps. Git, 협업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알고 씁시다! 우리 함께 깃빨 받읍시다!! 참고 Scott Chacon and Ben Straub, ⌈Pro Git, 2nd Edition⌋, Apress(2014)Schneier on SecurityProbability of SHA1 collisions, stack overflowSVN 능력자를 위한 git 개념 가이드, Insub Lee, Slide Share글오연주 사원 | R&D 개발2팀[email protected]브랜디, 오직 예쁜 옷만#브랜디 #개발문화 #개발팀 #업무환경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회수 1703

서비스 론칭 13개월째!

홈핏이 세상에 나오기 전 아이디어 단계일 때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은 코치와 회원의 신뢰도 문제였습니다.프라이빗한 공간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보니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하면 어떻게 하나?"란 의견이었죠. 저희 서비스가 필요한 분들로 하여금 가장 큰 진입 장벽이 되겠구나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신뢰도 정책을 만들고, 회원-코치 검증 시스템을 확보하는 등 신뢰도에 우선적으로 집중했습니다. 두 번째는 운동기구는 어떻게 하나? 란 의견.세 번째는 공간이 좁은데 가능할까? 란 의견이었습니다. 시도되지 않은 서비스였기 때문에 인식의 변화가 필요했습니다. 오늘로써 서비스를 론칭한지 13개월 정도가 지났습니다.작년 5월부터 오늘까지 홈핏을 통해 총 1,471회의 수업이 이루어졌습니다. 밤낮으로 고민한 덕분에 불미스러운 일은 단 한 건도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모든 O2O 서비스가 그렇듯 신뢰도 문제는 사업을 영위하는 한 계속해서 보완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고비도, 좌절도 많았지만지금은 시장을 검증해 나가는 그 과정 자체를 즐기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초기부터 저희를 믿고 꾸준히 이용해주시는 회원님들,그리고 저희의 비전에 공감하고 함께 해주시는 코치님들께 감사한 하루입니다.#홈핏 #서비스소개 #런칭13개월 #인사이트 #경험공유 #돌아보기
조회수 1177

인공지능 시대, 일자리 넘치게 만들기

인공지능과 로봇 기술의 발달로 일자리가 급격히 줄고 있다. 기업은 고용보다 저렴한 자동화를 택한다. 민간 부문에서 일자리가 창출되지 않으니 정부는 공무원을 수십만명씩 뽑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안타깝게도 공공부문 일자리는 비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하지도 않다. 새로운 시대, 새로운 형태의 일자리가 필요한 이유다.1. 그리스 노예제의 재림인공지능을 탑재한 로봇이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한다. 과연 암울한 시대일까. 역사적으로 이와 비슷한 시기가 있었다. 고대 그리스 사회다. 고대 아테네 인구의 40% 이상이 노예였다. 노예가 생산을 담당하고 시민 계급은 노예 생산물을 소비하며 살았다. 시민들은 농업이나 어업에 종사하지 않는 대신 서양학문의 토대가 된 철학을 발전시키고 현대 정치의 원형인 민주주의를 꽃피웠으며 문학과 연극, 조각, 건축 등 인간의 한계를 확장하는 일에 전념했다. 모두 노예노동 덕분이었다. 이제 우리는 로봇을 노예로 삼을지, 스스로 로봇의 노예가 될지 선택해야 한다.2. 기존 국가 R&D를 없애자로봇의 일자리 침탈로부터 우리를 구할 방도는 기존의 국가 R&D를 없애는 것이다. 지난해 한국의 국가 R&D 예산은 19조5000억원으로 GDP 대비 0.9%(세계 4위)에 달한다. R&D 성공률은 98%로 경이로울 지경이다. 문제는 투자 대비 형편없는 산출물이다. 정부출연 연구소나 정부자금을 받은 대학의 연구결과가 사업화로 이어진 비율은 약 20%로 영국(70.7%) 미국(69.3%)에 비해 크게 떨어진다. 높은 R&D 성공률에 비해 사업화 비율이 낮은 건 실패하면 다음번 연구비 확보가 곤란하다는 이유로 연구자들이 어려운 과제는 꺼리기 때문이다. 이럴 바에는 차라리 국가 R&D 예산을 스타트업 창업에 투자하고 대학과 출연연의 연구실 창업을 독려하는 것이 어떨까. 정부는 창업 기업 투자금을 마련해 막대한 일자리 창출의 기회를 얻고 연구소 R&D의 옥석도 가릴 수 있을 것이다.3. 스타트업 = 국가 R&D진짜 국가 R&D는 스타트업이다. 국가 R&D는 정부 투자로 국가의 지적자본을 쌓는 과정이다. 하지만 세상에 필요한 진짜 연구는 연구소가 아니라 기업 현장에서 이뤄진다. 스타트업 창업은 시장에서 원하는 첨단 기술을 개발하거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실험하는 연구활동이다. 수많은 실패가 나오겠지만 이 또한 경험자본으로 사회에 축적된다. 실패 당사자는 물론 이를 지켜본 많은 사람들이 실패를 반면교사로 사업의 성공확률을 높인다. 정부가 R&D 활동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와 일치한다. 기존 창업기업 R&D 지원금을 늘리자는 것이 아니다. 정부가 모태펀드와 벤처캐피털(VC)을 활용해 진행해 온 간접투자를 대폭 확대하자. 펀드를 다변화 하고 VC의 자유도를 높여준다면 기존 제도가 갖는 부작용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4. 고등학교 졸업하면 창업기술 발전에 따라 기존 기업들은 고용을 줄인다. 이제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선 취업에 의존하지 말고 말 그대로 창업(創業)을 해야 한다. 취업을 위한 교육에서 창업을 위한 교육으로 전환해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창업하는 것이 당연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매년 수십만명의 졸업생이 스타트업을 창업하거나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구조를 만들어 일자리 공백을 메워야 한다. 이를 위해선 교육제도의 대대적인 개편과 더불어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정부가 출자한 펀드는 VC를 통해 가능성 있는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해당 스타트업은 고용을 늘려 사업을 수행한다.5. 지속가능한 일자리 생태계스타트업은 R&D적 성격을 띄기 때문에 단순 이전지출을 만들기 위한 공공 일자리보다 생산적이다. 투자금을 이용해 수익사업을 하기 때문에 정부 산하 연구소보다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한다. 성공기업이 나오면 일자리와 세수가 늘어날 뿐 아니라 지분 매각으로 투자금을 회수해 후배 스타트업에 재투자 할 수도 있다. 스타트업 투자는 실패가 더 많지만 한번의 성공으로 모든 실패를 만회할 수 있다. 정부 펀드가 실패한 창업가의 재도전을 지원할 수 있는 재무구조를 확보할 수 있는 이유다. 수많은 스타트업이 생겼다 사라졌다를 끊임없이 반복하며 일자리 공백을 최소화 하는 지속가능한 일자리 생태계를 만들 수 있다.6. 기본소득 대신 스타트업 임금짧은 기간 안에 정부의 창업투자를 기존의 10배 정도로 급격히 늘리는 것에는 부작용이 따를 수 있다. 창업가가 부족하고 아직은 전 연령대에 적용하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교육제도부터 뜯어 고치고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최선이긴 하다.) 다만 이 방식이 공공부문 일자리 만들기나 기본소득보다 생산적이고 비용효율적이며 지속가능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다. 최근 많이 논의되는 기본소득은 재원이 많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모두에게 동일한 금액을 나눠주는 만큼 인플레이션이 발생해 실질소득 증가율이 크게 감소한다. 실업자를 생산능력이 거세된 잉여인간으로 박제시켜 버리는 문제도 있다. 반면 정부의 스타트업 투자는 인간의 노동을 R&D라는 고차원적인 범주로 끌어올리는 동시에 노동의 몫인 임금을 보장한다. 그리스 시민들이 예술이나 철학, 정치제도에 몰두해 인류 발전에 기여했듯 우리도 빵 만들기는 로봇에 맡기고 세상을 바꾸기 위한 도전에 몰두해야 하지 않을까.#콜버스랩 #인사이트 #아이디어공유 #자율출퇴근 #징검다리강제휴가 #성장중 #채용 #커뮤니케이션 #팀워크 #협업
조회수 1821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Angular의 A마크를 알아본 프론트엔드 개발자님!이 글은 새로운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는 타운컴퍼니 개발팀으로 당신을 모셔보려는 글이에요.이들이 당신과 함께 일하고 싶은 동료입니다..타운컴퍼니팀은 알고 있습니다.잘 만들어진 편리한 앱과 고객의 이탈률이 얼마나 밀접한 관계가 있는가를요.1%의 스타트업에는 1% 개발자가 필요하며 그들이 1%의 플랫폼을 만든다는 것을요.자율적이며 열정이 넘치는 팀으로 즐겁게 높은 수준의 개발을 할 수 있는 환경이죠!당신에게 즐거운 회사, 좋은 동료가 되어 줄 수 있습니다.급여는 협의 후 결정이니 원하는걸 말해봐요!좋은 동료를 얻을 수 있다면 그정도가 어렵겠어요 ; )우리는 현재 플랫폼(townus.co.kr)이 많이 부족하다는걸 알고 있어요.그래서 완전 멋있게 새롭게 만들고 있는 중입니다 :)일단 우리는 협업툴 JIRA와 Confluence, Slack을 사용하고 있어요.우리팀은 Agile 칸반을 바탕으로 테스트 주도 개발, 코드 리뷰, 페어프로그래밍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죠.도메인이 잘 분석된 명세서가 Confluence에 정리되어 있고 사용자를 위한 깊은 고민이 녹아있는 디자인이 Zeplin에 올라가고 있어요.- Back-End는 Django(DRF)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고, AWS, Vagrant, Docker같은 기술을 사용해요.- Front-End는 Angular 5를 사용해서 개발하고 있고, Less, RxJS, Webpack 등의 기술을 사용하고 있어요.Angular 상용 프로젝트 개발 경험이 있다면 격하게 환영하며 모십니다. 리엑티브 프로그래밍, Ionic 경험이 있다면 더 좋구요!엥 이거 완전 나 아니냐!? 라는 생각이 들었다구요? 그렇다면 얼른 지원해야지 뭐해요!무엇보다 개발을 즐기고 오픈소스활동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종종 맛있는것도 먹으면서 많은 대화를 나눌수 있지 않을까요? :>우리 개발자는 맥주제조도 할 줄 알거든요 (겁나 맛이 좋더라구요)물론 당신에 대해 알 수 있는 Github 주소와 이력서를 보내준다면 우리가 연락하기 더 쉬울거에요!아! 참고로 보충역 산업기능요원 편입도 가능하니 문의가 필요하다면 언제든 환영이에요!타운컴퍼니팀에게 연락하고 싶다면 02–561–0950 잊지말아요,[email protected]로 메일 보내준다면 언제든 답변줄게요 :D#타운컴퍼니 #개발자 #채용 #팀빌딩 #조직문화
조회수 10438

Next.js 튜토리얼 7편: 데이터 가져오기

* 이 글은 Next.js의 공식 튜토리얼을 번역한 글입니다.** 오역 및 오탈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발견하시면 제보해주세요!목차1편: 시작하기 2편: 페이지 이동 3편: 공유 컴포넌트4편: 동적 페이지 5편: 라우트 마스킹6편: 서버 사이드 7편: 데이터 가져오기 - 현재 글8편: 컴포넌트 스타일링9편: 배포하기개요꽤 그럴듯한 Next.js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방법과 Next.js 라우팅 API의 모든 장점을 배웠습니다.대부분의 경우 데이터 소스에서  원격으로 데이터를 가져와야 합니다. Next.js는 페이지에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한 표준 API를 제공합니다. getInitialProps라 불리는 비동기 함수를 사용하여 구현할 것입니다.주어진 페이지에 원격 데이터 소스를 통해 데이터를 가져오고 원하는 페이지에 props을 통해 전달할 수 있습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둘 다 동작하도록 getInitialProps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Next.j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getInitialProps를 사용하여 공개된 TVmaze API에서 가져온 데이터로 배트맨 TV 쇼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예정입니다.설치이번 장에서는 간단한 Next.js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합니다. 다음의 샘플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주세요:아래의 명령어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이제 http://localhost:3000로 이동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배트맨 쇼 데이터 가져오기데모 애플리케이션 내의 home 페이지에 블로그 포스트 목록이 있습니다. 배트맨 TV 쇼 목록을 표시할 것입니다.쇼의 데이터들을 하드코딩하는 대신에 원격 서버에서 그 정보를 가져옵시다.여기서는 TV 쇼를 가져오기 위해 TVMaze API를 사용합니다.TV 쇼 정보를 검색하는 API 입니다.먼저 isomorphic-unfetch를 설치해야 합니다. 데이터를 가져올 때 사용할 라이브러리입니다. 브라우저 fetch API 구현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지만 클라이언트와 서버 환경에서 모두 동작합니다.npm install --save isomorphic-unfetchpages/index.js를 다음과 같이 변경해주세요:위의 페이지에 있는 모든 내용은 아래에 표시된 Index.getInitialProps를 제외하고는 익숙할 것입니다:애플리케이션의 어떤 페이지에든 추가할 수 있는 정적 비동기 함수입니다. 이것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가져오고 가져온 데이터를 props를 통해 페이지로 보낼 수 있습니다.보다시피 배트맨 TV 쇼 데이터를 가져오고 'shows' props를 통해 페이지로 전달합니다.위에서 보았던 getInitialProps 함수에서 가져온 데이터 숫자를 콘솔에 출력합니다.이제 브라우저 콘솔과 서버 콘솔을 살펴봅시다. 그리고 페이지를 새로고침 해주세요.페이지를 새로고침 한 후 출력되는 메시지는 어디에서 보였나요?- 서버 콘솔- 브라우저 콘솔- 둘 다- 어떤 콘솔에도 출력되지 않았다서버에서만 출력됩니다이 경우 메시지는 서버에서만 출력됩니다.이는 서버에서 페이지가 랜더링되기 때문입니다.이미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 클라이언트에서 다시 정보를 가져올 필요가 없습니다.post 페이지 구현하기TV 쇼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보여주는 "/post" 페이지를 구현해봅시다.먼저 server.js를 열고 /p/:id 라우트를 다음과 같이 바꿔주세요.위처럼 바꾼 코드를 적용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재실행시켜주세요.이전에는 title 쿼리 파라미터를 페이지에 매핑했습니다. 이제 id로 이름을 바꿔야합니다.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pages/post.js를 변경해주세요.페이지의 getInitialProps을 살펴봅시다:여기에서 함수의 첫 번째 파라미터는 context 객체입니다. 정보를 가져올 때 사용할 수 있는 쿼리 필드를 가지고 있습니다.예제에서 쿼리 파라미터로부터 보여지는 ID를 선택하고 TVMaze API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옵니다.이 getInitialProps 함수에서 표시할 제목을 출력하는 console.log를 추가했습니다. 이제 어디에서 출력되는지 볼 수 있습니다.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콘솔를 둘 다 열어주세요.그 다음 홈페이지 http://localhost:3000로 이동하여 배트맨 쇼 제목을 클릭하세요.위에서 애기했던 console.log 메시지가 보여지는 장소는 어디인가요?- 서버 콘솔- 브라우저 콘솔- 콘솔 둘 다- 아무 콘솔에서도 출력되지 않는다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데이터 가져오기브라우저 콘솔에서 메시지를 볼 수 있습니다.클라이언트 사이드를 통해 포스트 페이지에 이동했기 때문입니다. 그런 다음 클라이언트 사이드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는 것은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예를 들어 http://localhost:3000/p/975에 직접 이동한다면 클라이언트가 아닌 서버에서 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마무리데이터를 가져오고 서버 사이드에서 렌더링하도록 만드는 Next.js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를 배웠습니다.대부분의 유스 케이스에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getInitialProps의 기본을 배웠습니다. 더 많은 것을 배우고 싶다면 Next.js의 문서 중 data fetching 문서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트레바리 #개발자 #안드로이드 #앱개발 #Next.js #백엔드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회수 690

실리콘밸리의 ‘새 숨은 병기', 디자이너의 창업

이제는 국내에서도 많이 알려진 실리콘밸리 회사 에어비앤비(Airbnb)와 핀터레스트(Pinterest)에는 공통점이 하나 있다. 바로 창업자가 디자이너 출신이라는 것. 에어비앤비는 RISD에서 산업디자인을 전공한 브라이언 체스키(Brian Chesky)가 2008년에 시작했다. 핀터레스트의 창업자 중 한 명인 에반 샤프(Evan Sharp)는 2010년 핀터레스트 창업 전, 콜럼비아 대학에서 건축을 전공하고 페이스북에서 제품 디자이너로 일했다. 이 밖에도 실리콘밸리의 많은 B2C(Business to Consumer) 회사에서 디자이너 출신의 창업 멤버들을 발견하는 건 어려운 일이 아니다. 국내에서는 배달의 민족을 서비스하는 우아한 형제들의 김봉진 대표가 가장 대표적인 디자이너 출신의 창업자이다. 필자 역시 2011년 스탠포드 대학원에서 제품 디자인을 공부하던 중 두번째 창업 회사인 스타일세즈(StyleSays)를 창업했었다.실리콘밸리에서 디자이너 출신 창업자들이 본격적으로 기지개를 켜기 시작한 건 2010년 무렵이다. 실리콘밸리의 새로운 무기, 디자이너의 창업에는 과연 어떤 비결이 숨어 있을까? 디자이너 출신의 창업가로서 다음과 같이 2가지 관점으로 해석해 보았다. 첫째, 디자이너는 사람들의 니즈(needs)를 발견하고 이를 위한 해결책을 고안해내는 것에 익숙한 사람들이다. 본래 산업 디자인이란 단순히 무언가를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user)를 위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작업이다. 디자이너의 창업 역시 같은 선상에서 해석할 수 있다.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인터넷 접속이 일상화 되었고, 이는 다양한 B2C 서비스의 시작점이 되었다. 사용자들이 새로운 환경에 노출되면서 점점 더 많은 니즈를 갖게 되었고, 이러한 사용자의 니즈를 발견하고 새로운 해결책을 고안하는데 있어서 디자이너들의 능력이 십분 발휘되고 있는 것이다.둘째, 디자이너는 기획자, 개발자, 마케터 등 다양한 직군의 사람들과 의사소통하는 것에 익숙한 사람들이다. 창의적 사고는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모여 만드는 고도화된 협업에 의해 이루어 진다. 문제는 서로 다른 직군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마치 남자와 여자의 사고 방식과 언어가 다른 것 만큼이나 미묘하면서도 확연하게 다르다는 점이다. 이 때 디자이너들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촉매제로 작용하게 된다. 디자인 과정 자체가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해 무에서 유를 창조해 나가는 것이다 보니, 다수의 디자인 프로젝트를 경험한 디자이너들은 훌륭한 커뮤니케이터(communicator)인 경우가 많다.몇년 전부터 국내에서 프로그래밍(programming) 교육이 열풍이다. 초등학교 교과 과정에도 일부 포함되고 있다고 들었다. 프로그래밍 역시 단순히 코드를 짜는 것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논리적 사고 방식을 배우는 것이기 때문에 바람직한 변화의 방향이다. 디자인 교육 역시 마찬가지 영역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디자인이 단순히 무언가를 보기 좋게 꾸미는 것이 아니라, 사람 중심적(human-centered)인 사고 방식과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근간이 되는 복합적 사고 방식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조회수 2694

[Buzzvil Culture] Buzzvil Global Workshop 2018 in Bali

 “일 년중 가장 기대되는 회사 행사가 무엇인가요?” 라는 질문에 대해 누군가는 그런게 존재할 수 있냐며 반문하겠지만, 버즈빌리언들에게 묻는다면 열에 아홉은 분명히 글로벌 워크샵을 꼽을 겁니다. 회사 사람들과 함께 5일동안이나 같이 있어야 하는데 끔찍하지 않냐구요? 천만에요! 즐거움과 추억으로 가득했던 2018 버즈빌 글로벌 워크샵의 현장으로 여러분들을 초대 합니다.매년 그래왔듯이 버즈빌 글로벌 워크샵은 일주일 간의 프리워크샵으로 시작했습니다. 프리워크샵 기간동안 한국, 미국, 일본, 대만에 퍼져서 일하고 있는 모든 글로벌 멤버들이 한 곳에 모여서 각 오피스의 업무 상황을 공유하고 하나의 버즈빌로서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달려가야할지를 논의하고 조율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다양한 이야기가 오갔던 프리워크샵을 와인파티로 마무리하고 드디어 모두가 기다리고 기다리던 해외 워크샵을 떠났습니다. 이번 해외 워크샵 장소는 발리였는데요. 작년 해외 워크샵이 아쉽게 불발 되었기에 더더욱 기다려졌던 해외 워크샵이 아니었나 합니다. 워크샵 기간동안 버즈빌리언들은 여러가지 액티비티들을 통해 서로에 대해 알아가며 하나가 되고 소중한 추억을 만들며 휴식할 수 있는 시간들을 보냈습니다. “일할 때는 열심히, 놀 때는 더 열심히” 라는 버즈빌의 정신에 부끄럽지 않게 자는 시간도 쪼개가며 워크샵을 즐기는 버즈빌리언들의 모습을 통해 다시 한번 버즈빌리언들의 남다른 열정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워크샵이 더 특별했던 이유는 버즈빌리언 스스로가 액티비티를 기획하고 진행하는 시간들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절반 이상의 버즈빌리언들이 참여한 서핑부터 발리의 아름다운 바닷속을 감상할 수 있었던 다이빙, 별이 쏟아질 듯한 밤하늘과 잊지 못할 일출을 볼 수 있었던 하이킹 등 내가 다른 버즈빌리언들과 함께하고 싶은 액티비티를 직접 정하고 팀원을 모집해 함께 즐길 수 있었기에 더욱 즐거운 워크샵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워크샵의 하이라이트는 바로 둘째날 저녁에 진행되었던 “버즈빌리언 어워드” 였습니다. 버즈빌에서는 매년 워크샵마다 버즈빌의 5가지 인재상에 맞는 버즈빌리언들을 추천받아 시상하는 버즈빌리언 어워드를 진행해왔습니다. 그런데 이번 버즈빌리언 어워드는 기존의 버즈빌리언 어워드와는 조금 달랐는데요. 그 이유는 올해에는 모든 버즈빌리언이 버즈빌리언 어워드의 주인공 이었기 때문입니다.  모든 버즈빌리언들은 HR팀에서 준비한 감사장과 선물을 받았고, 오늘 날의 버즈빌이 있기까지 숨가쁘게 달려온 시간들을 돌아보고 각자의 자리에서 누구보다 치열하게 최선을 다한 스스로와 서로를 축하하고 격려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 시간을 통해 ‘나’가 아니라 ‘우리’로 일하는 것이 얼마나 가치있는 일인지를 돌아보고 버즈빌리언 한 명, 한 명이 버즈빌에 정말 필요하고 소중한 사람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순식간에 지나간 5일의 시간이었지만, 지난 겨울 구글 정책 변경으로 인한 여러가지 일들을 잘 마무리하느라 누구보다 치열한 시간들을 보냈던 버즈빌리언들이 스스로에게 충분한 쉼을 줄 수 있었던 쉼표같은 시간이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는 시간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과연 내년 글로벌 워크샵 어디로…?
조회수 742

HHI 사람들 - “내겐 너무나 특별한 사보”

- 최지순 기장, 30년간 모아 “사보는 제 회사생활의 추억이자,안부를 전하는 편지였습니다” 현대중공업 최지순 기장에게는 특별한 보물이 있습니다. 그건 바로, 집 한 편에 회사의 역사와 자신의 추억이 오롯이 담긴 ‘사보’입니다.30살도 더된 사보부터 지난달에 나온 따끈따끈한 신간까지 총 350여권에 달하는 사보가 연도순으로 정리돼 있더라고요.  그가 사보와 첫 인연을 맺은 건 1988년 무렵입니다.초등학교 시절 은사(恩師)님이 강원도 정선의 한 분교에서 근무하신다는 소식을 접했는데요.같은 강원도(강릉) 출신인 최 기장은 동향의 산골 학생들에게 너른 바다와 웅장한 선박 건조현장을 소개하고 싶어 매월 사보를 1~2권씩 보내기 시작했대요. 그는 “회사 소식과 교훈적인 이야기, 생활 정보들로 가득해, 당시 10여명의 학생들이 사보를 닳도록 읽는다는 말에 매우 뿌듯했다”고 말했습니다. 최 기장은 고향 친구들을 만나는 날이면 그들에게 한 권씩 사보를 선물했어요. 그렇게 함으로써 울산에서의 건강하고 자랑스러운 삶을 친구들에게 알려줬어요.△최지순 기장은 2015년 4월호에 '한마음회관 아코디언 동호회' 기사에 자신의 사진이 실린 일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말했습니다.  올해 정년퇴직이라는 최지순 기장. 그의 근속연수는 32년에 달하는데요.앞으로도 사보가 현장 곳곳의 생동감 넘치고 가슴 따뜻한 이야기들을 계속 전해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하며, 저희와 작별인사를 나눴답니다. 넵~! 44년 전통의 ‘현대중공업 사보’와 함께, 저희 블로그도 더더욱 분발할게요.#현대중공업 #조직문화 #기업문화 #사보 #공채정보 #직무정보 #구성원인터뷰
조회수 1115

해커 준비: 좋은 코드 만들기

출처 : 구글 이미지 검색Just Hacks지난 몇 주간 저는 I/O의 devops문화 기반을 다지는 작업을 해왔습니다. 여전히 부족한 점이 많지만 그동안 일어난 변화를 지켜보면 첫 걸음은 비교적 잘 뗀듯 합니다. 지금부터는 이 devops문화가 제대로 자리잡는 일이 중요한 단계입니다. 다시말해, devops문화가 튼튼하게 뿌리내릴 수 있게 Hacking하는 것이 저의 당분간의 과제입니다.최근 devops를 연구하고 도입하는데 적잖은 시간과 노력을 쏟았기 때문에 실패할 경우 매몰비용이 만만치 않습니다. 꼭 성공시켜야하는만큼 실증적으로 엔진을 검증하기로했습니다. 그래서 지난 주부터는 저도 devops문화에 소속된 벡엔드 엔지니어로서의 일을 시작했습니다. 당분간 직접 코드를 만들어내야겠지요.설계에 그치지 않고 스프린트를 직접 참여해야만 현재 devops문화가 지닌 문제점이 무엇인지 제대로 볼수 있고 훌륭한 기술조직으로 거듭날 수 있다고 저는 믿습니다. 다시 개발자의 자세로 돌아가기 위해 가장먼저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공부를 시작하였습니다.좋은 코드 만들기컴퓨터가 인식 가능한 코드는 바보라도 작성할 수 있지만,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코드는 실력 있는 프로그래머만 작성할 수 있다. -마틴 파울러-SW엔지니어가 되기로한 이상, 제겐 감동까지는 아니지만 코드리뷰를 하는 짝꿍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코드를 짜야할 의무는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감명 깊게 읽은 고전 책들을 복습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첫 번째 책이 켄트백의 구현패턴입니다. 이 책은 설계나 디자인 패턴과 같은 추상적인 내용보다 키보드로 코드를 짜내는 순간에 고민해야하는 부분에서 교훈을 줍니다. 저는 이 책을 통해 코드를 바라보는 제 관점이 다음과 같이 바뀐듯 합니다.필드(현업)에서 생산된 코드는 코드를 작성하는데 드는 시간보다 읽는 시간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이를 감안해 봤을 때 읽기 “좋은 코드”를 짜는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돌이켜보면 학생 시절에는 왜 좋은 코드를 짜야하는지 당연히 모를 수 밖에 없었던 것 같습니다. 프로젝트성격의 코드만 짰기 때문에 종강하고나면 제가짠 코드를 다시는 들여다 볼일이 거의 없었거든요. 만약 대학교가 학생들의 취업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CS 지식 뿐만아니라 Hacker 소양도 가르치고 싶다면 1학년부터 졸업할 때까지 서서히 발전되는 프로그램 하나를 만드는 4년짜리 과제를 두면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말씀드린 것처럼 필드에서 생성된 코드는 작성 시간보다 유지보수를 위해 읽혀지는 시간이 더 많은 편입니다. 특히 린스타트업을 충실하게 따르는 스타트업이라면 런칭기간이 극단적으로 짧기 때문에 제품(SW) 의 생애주기 중 99%의 시간이 유지보수 단계에 있을 것입니다. 이런 관점에 비춰보면 독자를 고려한 좋은 코드를 짜야한다는 사실은 더욱 중요해집니다.새로운 원칙지금까지 제가 견지하고 있는 좋은 코드를 만드는 원칙은 단순화와 중복제거였습니다. 이번 기회에 이 책을 다시 읽고 제 프로그래밍관에 새로운 원칙을 한 가지 더 추가하였습니다. 일관된 추상화인데요.좋은 코드는 일관된 추상화를 보여줍니다. 아래 예시 코드로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void compute() { input(); flag |= 0x0080; // 나쁜 추상화 output(); }이 간단한 compute라는 함수는 제목처럼 입력(input)을 처리하고 이를 16진수 연산을 거친뒤에 출력(output)과정을 거치면서 마무리 됩니다. 그런데, 함 수 2번째 줄에 드러난 flag변수의 16진수 연산은 조금 쌩뚱 맞습니다. 암호처럼 느껴지네요. comput의 절차를 보여주는 input, output 사이에서 세부 구현사항을 친설하게 알려주려는 작성자의 배려는 되려 독자에게 혼란을 주기만 합니다. 이 혼란스러운 코드를 캡슐화를 통해서 일관된 추상화 수준으로 아래 코드처럼 리팩토링 할 수 있습니다.void compute() { input(); updateFlag(color.Brown); // 좋은 추상화 output(); }16진수 연산대신 의도가 드러나는 함수명과 인자전달을 통해 우리는 input을 처리하고 ouput을 갈색 텍스트로 출력시킨다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게 됩니다. 보시는 예제처럼 일관된 추상화는 문제해결 능력, 알고리즘 실력보다 코드를 작성하는 센스에 가깝습니다. 항상 독자를 배려하는 마음을 갖고 상대방에 입장에서 서서 코드를 작성하는 습관을 가져야 겠습니다. 이제 코드를 짜고 리뷰도 받으면서 구린내나는 코드를 신나게 리팩토링 할 일만 남았네요 :-)#스위쳐 #Switcher #DevOPS #데브옵스 #개발 #개발자 #DevOPS도입 #인사이트 #성장
조회수 1822

스타트업 가격전략 - 아마추어 벗어나기

김대리는 대기업에서 일하다가 얼마전 화장품 커머스를 하는 초기 스타트업에 조인했다 (이전 글 참고). 회사의 마케팅 전략 전반을 총 책임해야하는 김대리에게 이번에 신규 런칭하는 '감탄크림' 제품의 가격전략을 수립하라는 미션이 떨어졌다. 경쟁제품들의 채널별 판매가를 모조리 조사해 봤더니 평균 12,000원 정도가 나왔다. 개당 제작/유통단가가 6,800원이고 회사에서 목표로하는 마진율이 15% 이상, 김대리가 운영 가능한 마케팅 예산이 개당 4,000원 선 이기 떄문에 김대리는 나름 합리적으로 6,800원 + 4,000원 + 마진 2,100원 = 12,900원이라는 가격을 책정하였다. 언뜻 보면 나쁘지 않은 가격 책정법 같은데? 라고 생각하고 있거나, 본인도 혹시 이런식으로 가격을 책정하고 있던 분들이라면 오늘 글은 반드시 읽어주시길 바란다. 그렇다. 이번 글에서는 많은 김대리들이 가격전략을 수립할때 자주 저지르는 헛발질들에 대해 소개하려고 한다.** 이 글에서 '김대리'는 그냥 일반명사 김대리지 실제 김대들을 지칭하는게 절대로 아닙니다.** 이 글에 나오는 김대리의 회사 및 제품은 모두 가상의 설정입니다.1. 업에대한 본질과 가격이 전혀 연결이 안되는 김대리가격전략의 근본은 업에대한 정확한 정의, 다시말해 본인 제품 또는 브랜드가 약속하는바에 대한 정의를 가격체계에 녹여내는데에 있다. 김대리가 책정한 12,900원이라는 단순한 5개의 숫자 그 자체로 감탄크림이 소비자에게 약속하는바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으면 그건 가격전략이라고 부를 가치가 없다는 뜻이다. 대략 다음과 같은 순서로 선언적 가치를 정의해 볼 수 있다.1) (단일제품이 아닌) 브랜드가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2) 해당 제품이 브랜드가 선언한 가치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정의3) 가치-비용 관계로 가격전략의 방향 설정예를들면 이런식이다.1) 브랜드가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 감탄크림 등 14종의 제품을 보유하고 있는 감탄 화장품 브랜드가 전달하고자 하는 가치는 바로, 감탄이 흘러나올만한 차별적 가치가 전 제품에 한개 이상씩 담겨져 있는 화장품을 심플한 패키징과 합리적인 가격대로 제공함으로써 1인라이프에 최적화된 가치를 제공한다.2) 감탄크림이 위 가치에 역할하는 바: 감탄크림은 보습력 하나에만 집중한 제품으로, 경쟁제품 대비 30%이상의 보습력, 40% 이상의 지속력을 달성한 제품. 이를통해 바쁜 아침에 세수하고 푸석한 얼굴에 착~하고 바르기만하면 물광피부가 된 감탄을 선사할 것이다.3) 합리적 가격대에서 명확한 차별화 가치 전달: 감탄크림의 타겟은 단일제품에 큰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 중저가 브랜드를 애용하는 젊은 10-20대 남녀임. 이들에게 같은 가격대에서 보습력 끝판왕이라고 불리는 명확한 차별화 가치를 통해 지각된 가치 (perceived value)를 최대화 한다.여기서 '지각된 가치를 최대화 한다'가 바로 업에대한 본질과 가격전략을 연결시키는 핵심이다. 지각된 가치라는 것은 소비자가 해당 제품/브랜드로 부터 지각된 효용 (perceived benefits)들의 합과 소비자가 지불한 비용 (costs)' 사이의 차이를 의미하는데, 이 차이가 (+)가 되어야 소비자는 소비행위를 통한 행복을 느끼는거고, 이게 (-)가 되버리면 불행해져서 '아 딥빡이네, 이 제품 다시는 안산다' 이런 반응이 나오게 된다. 저 효용 (benefits)과 비용 (costs)들에는 당연히 제품/브랜드와 관련된 유 무형의 모든 영혁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써, 예를들면 기능적 효용 뿐만 아니라 구매의 편리성, 사용이미지로 부터 오는 만족감, 고객서비스 등등을 모두 포함한다. 여기서 한가지 오해하면 안되는 것이, 경쟁제품 대비 효용을 최대화 하는것 뿐만 아니라 효용가치는 비슷한 수준에서 소비자가 지불해야 하는 비용을 경쟁제품 대비 최저로 낮추어 지각된 가치를 최대화 시키는 것 또한 하나의 방법이다.업에대한 본질이 가격전략으로 연결되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를 최대화 시키는것이 가격전략의 핵심이다.2. 차별화가치를 정량화하지 못하는 김대리혹시 당신의 제품이 B2B에 해당한다면 이 부분은 특히나 중요하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본인 제품의 차별화 가치에 대해 명확하게 정량화 하지 못하거나, 정량화에 대한 시도 자체를 안하는 경우가 많다. 가격전략에서 차별화가치를 정량화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여기서는 Thomas Nagle의  '경제적 가치 평가 (EVE, Economic Value Evaluation)' 모델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 보려고 한다. (이름은 제법 거창하지만 전혀 어려운 개념이 아니니 쫄지 말자)EVE 모델의 개념은 어떤 제품의 '총 경제적 가치'를 정량화하려면 해당 고객이 다른 대안으로 부터 얻을 수 있는 가치 (레퍼런스 가치)와 그 대안에 비해 이 제품이 갖는 차별화된 특성으로 부터 얻는 경제적 가치 (차별화 가치)를 합해야 한다는 건데, 그냥 쉽게 말하면 다음과 같다.당신 제품의 경제적 가치는 경쟁제품의 가격에다가 당신 제품을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으로 떨어지는 이득/손실을 모두 합한거다.예를들면 이런거다. 위의 감탄크림의 경우 레퍼런스 가치, 즉 다른 대안제품들을 선택했을때의 평균 비용이 12,000원이였다. 하지만 감탄크림을 이용하면 다른 대안을 이용했을때에 비해 다음과 같은 추가적 이득이 생긴다.(+) 동일 보습력을 위해 경쟁제품은 별도의 에멀젼이 필요하다 (+11,000원)(+) 동일한 시간동안 보습력이 유지되려면 경쟁제품은 감탄크림에 비해 평균 2.5배정도 제품을 더 사용해야 한다 (+5,500원)(+) 감탄크림은 정기배송 옵션이 있어서 화장품 떨어졌을때 온/오프라인 서치해서 제품구매하는 수고를 덜어준다 (+6,500원)(+) 펌프형태의 패키징이 심플해서 매일매일 사용이 편하다 (+2,500원)(-) 감탄크림은 레퍼런스 가격보다 900원이 비싸다 (-900원)(-) 감탄크림은 (경쟁사와는 달리) 아직 올리브영, 왓슨스, 대형마트 등 오프라인 구매가 어렵다 (-13,000원)(-) 화이트닝 기능이 없다 (-3,000원)(-) UV 프로텍트 기능이 없다 (-1,000원)(-) 감탄크림은 (경쟁사 대비) 카드사 포인트 사용이 불가능하다 (-3,000원)이를 EVE로 모델링 해 보면 총 16,600원의 경제적 가치가 계산된다.경쟁제품의 가격에다가 제품을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으로 떨어지는 이득/손실을 모두 합하면 경제적 가치가 계산된다.물론 해당 계산법으로 가격을 16,600원으로 설정하라는 것이 아니다. 대략 본인의 차별화 가치를 이런식으로 정량화 해 보면 소비자의 지불가격 대비 최종 차별화 가치는 개당 3,700원 (16,600원 - 12,900원)이라고 정량화할 수 있다. 사실 B2C에서 이렇게 차별화가치를 정량화 하는건 대단히 어렵지만, B2B라면 상대적으로 명확한 편이다. 이에대한 자세한 내용은 (비록 영어긴 하지만) 토마스 네이글이 고문으로 있는 레버리지 포인트의 블로그 글인 Economic Value Estimation글을 읽어보기 바란다. B2B 제품의 EVE 모델 예시 - 토마스 네이글의 '프라이싱 전략' 책에서 발췌3. 지불의향을 설문조사로 뽑아내려는 김대리이건 특히 B2C 제품에서 가격수립할때 절대로 해서는 안되는 헛발질에 해당한다. 가격수립한다고 소비자에게 샘플제품 보여주고 (심지어 제품도 없이 대략 제품 스팩만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소비자에게 이거 이정도 가격이면 사겠니? 또는 얼마까지 지불할 의향이 있니? 하고 적나라하게 설문지로 물어봐서 해당 답변 평균내는 방식이나, 그나마 더 전문적인 리서치기관에 의뢰해서 나름 비교제품들을 제시해서 컨조인트 분석기법등을 동원해서 지불의향 가격을 조건별로 발라내는 방식인데, 이렇게 지불의향을 조사해서 가격 책정하는 방식은 특히 스타트업이라면 매우x10 위험한 방법이다.이런 전문적인 컨조인트 분석으로 구매의향을 발라내주는 리서치 기법이 많이 있지만 개인적으로 위험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사진 출처: 동아비즈니스리뷰 55호)그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이유는 소비자가 정말 얼마까지 저 제품에 가격을 지불할 의향이 있는지를 본인 스스로도 절대로 모른다는 점에 있다. 소비자의 지불의향을 결정하는 변수는 가격 그 자체에 있는게 절대로 아니기 때문이다. 소비자가 지갑을 여는 순간 눈에 들어온 옵션들의 가격, 구매 순간의 심리, 오늘 아침에 본 리뷰 내용, 마누라 구박, 내일 엄습할 카드갑 등등 수 많은 변수들이 구매 시점에서 지불의향 가격을 형성한다. 이런 복잡한 지불의향을 단순히 설문조사로 제품 샘플 보여주고 얼마면 사겠니? 하고 물어보는걸로는 정확히 파악하는게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또한 더 중요한 이유가 있는데, 가격전략의 목적이 소비자의 지불의향 가격을 잘 맞춰서 합리적인 가격대를 설정하는것 보다는, 소비자로 하여금 해당 가격과 그 이면의 가치제안을 통해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를 높이는데 있다는 점이다. 특히, 위에서 설명한 이면의 가치제안을 더욱 정교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시점에서 지불의향 가격 자체를 높이는 전략이 더 똑똑한 가격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4. 가격펜스에 대해 무개념한 김대리아무리 시장세분화를 통해 원 니즈를 공유하는 세분시장을 타겟한다고 하더라도 3번에서 얘기한것 처럼 구매하는 상황, 심리적 변덕 등 수 많은 변수들로 인해 지갑을 여는 시점에서 가격민감도가 다 다르게 형성된다. 이 가격민감도가 다른 다양한 소비자들을 최대한 공략하기 위해 많은 기업에서는 차별적 리스팅 프라이스, 채널별 멀티 할인률 적용, 카테고리별 가격할인 전략 등 다양한 테크닉을 구사한다.예를들어, 김대리의 감탄크림의 정가가 12,900원으로 책정되었지만, 해당 크림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오픈마켓에서 가격비교중인 상황, 로드샵에서 할인행사중인 경쟁제품 바로 옆 진열대에 놓이는 상황, 여친이 남친 선물주려고 사는 상황, 페북에서 끝내주는 리뷰 보고 충동구매 하는 상황 등등 소비자가 해당 제품을 구매하는 개별 상황에서 가격 민감도는 모두 제각각이 되기 마련인지라, 이를 잘 고려해서 각 채널별, 구매상황별, 소비자 카테고리별 할인전략을 운용하는건 매우 어렵고도 중요한 전략이다. 이 부분은 본인도 아직 경험이 미천해서 나중에 좀더 경험이 쌓이면 별도의 글로 방법론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아무튼, 위 상황에서 아무리 초보라도 이거 하나는 반드시 명심하고 있어야 한다. 바로 명확한 가격펜스 (Price Fense)의 설정이다. 가격펜스란 서로 다른 가격들을 구분하는 기준, 조건들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해당소비자들로 하여금 서로 다른 고객군의 영역으로 넘나드는 행위를 원천봉쇄하는 걸 말한다. 예를들어, 애플이나 마이크로소프트에서 학생/교직원 할인 혜택을 운영할 때 해당 대학교만을 위한 별도의 스토어 URL을 운영한다던지, 등록된 학교 도메인의 이메일로 인증을 해야만 할인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해서 타 고객군에서 할인가격 혜택을 받는걸 방지하는 등의 행위가 모두 가격펜스에 해당한다.애플은 학생할인을 아예 학교별로 별도의 URL로 스토어 사이트를 운영하고, 이를 학교 커뮤니티 사이트에 알리는 가격펜스 정책을 운영중이다.여기서 애플의 가격펜스에 주목해야 하는 점은, (물론 워낙 유명한 애플이라 많은 사람들이 정보공유를 하곤 있지만) 가격할인을 그 대상이 되는 소비자만 알고 다른 소비자군은 잘 모르게 세팅하거나, 알더라도 해당 혜택을 받기 어렵도록 다양한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서로다른 가격군에서 장벽을 넘나드는것을 최대한 방지하는 노력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걸 잘 못하는 기업은 정가에 대한 소비자 신뢰가 무너져서 결국 가격 인하 -> 수익성 악화 -> 소비자는 여전히 가격할인을 기대 -> 가격할인 실시 -> 가격인하 ... 의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5. 매몰비용의 관점에서 1개당 판매비용을 책정하는 김대리가격 책정할때 많은 사람들이 실수하는 부분중 하나가 바로 제품 1개당 판매 비용을 매몰비용의 관점에서 계산한다는 것이다. 이건 조금 헷깔릴 수 있는 개념이라 일단 각각의 정의부터 살펴보도록 하자. 회피가능비용 (Avoidable Cost)란 말 그대로 현재 시점에서 아직 발생하지 않았거나 되돌릴 수 있는 비용을 말하고, 매몰비용 (Sunk Cost)은 반대로 이미 되돌릴 수 없이 지불해 버린 비용이다. 이렇게 얘기하면 많은 분들이 '그거 고정비-변동비 개념 아닌가?' 하고 의문을 갖기 쉬운데, 개념 자체가 아주 다른거니 다음 설명을 주의해서 읽어주길 바란다.회피가능비용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절한 예는 언제나 석유회사의 예가 단골처럼 등장한다. 석유회사가 가솔린 1리터를 주유소에 판매하기 위해 들어간 비용을 계산할때 대부분은 원유구입비와 정제, 배달에 들어간 비용의 합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절대 이렇게 비용계산을 하지 않는다. 석유회사는 미리 석유를 구입해서 재고를 엄청나게 채워넣고 공급해야 하는 비즈니스이기 때문에 이미 석유를 구입한 비용이 아니라 새로 석유를 판매할 때 빈 재고를 채워넣는데 들어가는 석유 구입비를 계산하여 현재 가격에 반영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뭐 전문용어로 NIFO (Next In, First Out)이라고 표현한다고도 하는데 이런것까진 몰라도 될것 같다. 중요한 부분은 석유회사는 가격을 책정할 때 이미 재고에 채워넣은, 즉 회피 불가능한 원유구입비를 가격에 반영하지 않고, 판매한 만큼 비는 재고를 채워넣어야 하는, 즉 아직 발생하지 않은 회피가능비용을 기준으로 현재 가격을 책정한다는 것에 있다. 원유가격이 변동할때 마다 정유사들이 가격을 바로바로 반영하는 이유이다.정유사는 판매한 석유에 들어간 구입비가 아닌 판매한 빈 재고를 채워넣을 때 들어가게 될 원유구입비를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김대리의 감탄크림 케이스에 이 개념을 적용해 보자. 만일 12,900원에 판매하고 있는 감탄크림의 판매량이 예상치를 훨씬 밑돌게 되어 화장품을 재고로 보유하고 있는 임대료비용이 더 많이 들고 있는 상황이라고 해 보자. 1개당 재고보유 비용이 3개월 단위로 2천원씩 상승한다고 하고, 현재 가격으로는 재고 보유가 평균 1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해 보자. 우선, 이미 생산과 마케팅에 쏟아넣은 6,800 + 4,000 = 10,800원이라는 원가는 현 시점에서는 회피불가능 비용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이미 만들어버린 화장품 제작/유통비용, 이미 집행해버린 마케팅 비용들을 이 시점에서 가격에 반영하는건 어리석은 행위다. 오히려 현재 가격으로는 1년이나 재고로 쌓아둬야 할 것으로 예상되는 재고 보유비용인 8천원을 회피가능비용으로 생각해서 현재 가격 12,900원에서 반값 할인 행사를 쳐서 6,450원에 현재 재고를 모두 소진할 수 있으면 앞으로 발생할 재고 보유비용 8천원을 회피할 수 있으니 더 이득이 되는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물론 위의 예시는 지나치게 상황을 단순화한 거라 실제 상황에서는 저런 결정이 쉽지는 않을 것이다. 저 예시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바는, 가격 전략을 운용할 때 이미 지불해서 더이상 되돌릴 수 없는 비용은 생각하지 말고 앞으로 발생이 예상되는 비용인 회피가능비용을 탄력적으로 적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뜻이다.지금까지 가격전략을 수립할때 사람들이 자주 저지르는 헛발질들에 대해 소개했다. 다시한번 강조하지만 가격은 단순히 표시된 숫자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가격 책정 그 이면에는 해당 기업/브랜드의 모든것이 응축되어 담겨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위에서는 디테일하게 구술하진 않았지만 가격민감도가 서로다른 소비자들을 그룹별/구매시점별로 다양하게 타겟팅하는 가격펜스 트릭을 잘 하는 기업들을 보면 이건 거의 아트수준이다. 혹시 지금까지 경쟁사 가격 조사해서 대충 가격 책정해오던 분들이시라면 아무쪼록 이 글이 어느정도 전략적 가격책정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본 글은 김대리의 헛발질 시리즈 입니다.** 1화 보기 - 인스타그램 초기마케팅 헛발질들을 정리해봤다** 2화 보기 - 스타트업에서 STP 전략을 그리고 있는 당신에게글쓴이는 스팀헌트 (Steemhunt) 라는 스팀 블록체인 기반 제품 큐레이션 플랫폼의 Co-founder 및 디자이너 입니다. 비즈니스를 전공하고 대기업에서 기획자로 일하다가 스타트업을 창업하고 본업을 디자이너로 전향하게 되는 과정에서 경험한 다양한 고군분투기를 연재하고 있습니다.현재 운영중인 스팀헌트 (Steemhunt)는 전 세계 2,500개가 넘는 블록체인 기반 앱들 중에서 Top 10에 들어갈 정도로 전 세계 150개국 이상의 많은 유저들을 보유한 글로벌 디앱 (DApp - Decentralised Application) 입니다 (출처 - https://www.stateofthedapps.com/rankings).스팀헌트 웹사이트 바로가기 
조회수 612

[Buzzvil Culture] Buzzvil Training Session 2018 Q1

 버즈빌에서는 직무에 관계가 없다고 하더라도 각 개인의 성장을 위해 다양한 주제의 세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8년의 첫 번째 세션은 “문제의 발견과 해결”이라는 주제로 6주에 걸쳐 진행되었습니다. 6주동안, 문제를 발견하기 위한 전략적 사고의 기초, 문제의 발견과 진단에 도움이 되는 기술적인 지식, 발견해낸 문제에 대해 서로 잘 소통하고 논의하는데 도움이 되는 커뮤니케이션 방법 등 알찬 내용들로 세션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지막 세션으로 진행되었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세상으로 나가는 가장 적극적인 방법인 창업을 주제로한 “버즈빌 마피아” 세션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이 세션은 버즈빌의 Founder이자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John이 진행하여 주셨는데요. John은 대학시절 이토프와 데일리픽이라는 기업을 창업하여 각각 네이버와 티몬에 인수된 경험이 있는 창업의 베테랑입니다. 평소에도 버즈빌리언들에게 ‘불나방처럼 세상으로 퍼져나가 본인만의 창조물들을 만들어내기를 바란다’는 이야기를 해왔던 John은 이번 세션의 취지에 대해 이야기하며 버즈빌의 또 하나의 미션은 최대한의 경험, 시행착오를 통한 학습, 함께 진흙탕을 구르는 과정을 통해 “버즈빌 마피아”를 키워내는 것이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이번 세션을 통해 창업 아이디어 구상과 구체화, 팀빌딩과 위기극복, 엑싯에 대한 고민 등 창업에 대한 다양한 주제들에 대해 직접적인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많은 이야기들을 나누어 주었는데요. 특별히 이번 세션에는 미리 창업에 대한 질문들을 받아 이에 대한 답변을 들어 볼 수 있는 시간이 있었기에 더욱 특별했습니다.단순히 조직이 성장할 뿐만 아니라 그 과정안에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개인이 세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인재들로 스스로 성장할 수 있게 하는 것. 그것이 바로 버즈빌이 추구하는 “버즈빌 마피아” 정신이 아닐까 합니다.  “버즈빌 마피아” 정신이 녹아있는 버즈빌의 문화는 아래의 글들에서 더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조회수 1480

[INterview] 자란다를 키우는 사람들 1. 호카이 님

자란다 INterview 시리즈 첫 번째 주인공이 되신 ‘호카이’ 박지인 님에게는 #단아함 #차분함 #웃음 이라는 단어가 참 잘 어울립니다. 업무 중에는 엄청난 집중력으로 범접할 수 없는 아우라를 온 몸에 두르고 있지만, “저, 호카이 님...” 하고 부르는 순간 얼른 고개를 돌리는 표정은 생기 넘치는 미소 그 자체인 분이시지요.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는 가을날 아침, 향긋한 커피 한 잔을 앞에 두고 박지인 님을 만나 즐거운 담소의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호카이' 박지인 님 ⓒ자란다자기소개를 부탁 드려요.안녕하세요, 자란다에서 닉네임 호카이(Hawk Eye)로 불리우고 있는 박지인입니다. 5살, 3살 두 아들을 키우며 회사 출근과 육아 출근 양쪽으로 고군분투 하고 있어요. 자란다와 함께한지는 이제 한달 반 쯤 되었고요, 내부 살림을 잘 꾸려나가기 위해 여러 업무를 차례로 배우고 있습니다.구체적으로 자란다에서의 역할은 무엇인가요?admin 이라고 말하는 영역의 일들 대부분을 맡고 있습니다. 총무, 재무, 회계, 급여, 인사 등 행정지원 업무가 주를 이루어요. 덕분에 예전보다 더 많은 전문용어를 접하고 있는데요, 사실 한동안 육아에 전념하던 제가 다시 업무 현장으로 돌아와 이런 일들을 맡게 되었을 때 무척 많이 긴장했었어요. 가끔 꿈에서도 회사 일이 등장하곤 했거든요 (웃음). 그랬지만 일과 가정을 함께 돌보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는 회사 분위기 덕분에 제 나름대로의 페이스가 많이 돌아왔습니다. 닉네임 호카이(호크-아이)처럼 예리하고 꼼꼼하게 자란다의 안살림을 잘 살피고, 팀원들의 고충 해결을 위해 노력하려고 해요.  그 동안 자란다의 일원으로 지내온 이야기를 들려주세요.저는 주20시간 근무로 자란다에 입사했어요. 아침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사무실에서 일을 하고, 아직 어린이집을 다니는 아이들의 하원 시간에 맞추어 퇴근합니다. 통근 거리가 만만치 않아서 몸이 좀 피곤하긴 해도 요즘 중요한 화두인 ‘워라밸’을 유지하기에는 무리가 없네요. 늘 다급한 마음으로 퇴근하느라 함께 일하는 분들과 충분히 소통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다가도, 하원 시간에 활짝 웃으며 엄마에게 달려오는 아이들을 보면 ‘이 자리에 있기를 참 잘했다’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또 재미있는 것은 팀원들 모두 각자의 닉네임을 정해서 서로 부르는 것이 자란다 안에서의 규칙인데요, 수평적이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만드는 데에 웃기고 재미난 닉네임이 톡톡히 한 몫을 하고 있어요. 제 닉네임 호카이는 저희 둘째 아이가 어벤저스 시리즈의 인물 중 호크-아이를 워낙 좋아해서 얼른 고른 이름입니다. 제가 조금 더 날렵하고 날카로워져야겠지요?‘소비자’ 부모님으로 자란다 서비스를 어떻게 생각하시나요?사실 자란선생님을 아직 한 번만 만나봤기 때문에 제가 ‘자란다는 00이다’ 라고 표현하기에는 조금 섣부른 감이 있어요. 그래도 선생님을 신청하고 자란다를 통해 매칭이 되어 아이가 선생님과의 놀이 시간을 실제로 가져보기까지 과정을 돌이켜본다면... ‘한땀 한땀’ 이라는 말이 생각납니다! 교통편이 좋지 못한 저희 동네로 오실 자란선생님을 신청하고, 상담을 하면서 아이와 성격이 잘 맞는 선생님과 매칭되기까지의 시간이 짧았던 것은 아니에요. 하지만 요즘 불만으로 가득 차 있던 첫째가 막상 자란선생님을 만난 순간, 우리 가족 모두에게 새로운 세상이 열렸다고 해야 할까요 (웃음). 기다린 시간이 무색할 만큼 아주 알찬 하루가 되었지요.  호카이 님에게 ‘일을 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요?‘오롯이 제 자신으로 있을 수 있는 시간’ 입니다. 누구 엄마, 누구 와이프, 누구 딸, 누구 며느리… 수많은 명찰이 저에게 있지만 그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오직 제 이름만으로 존재할 수 있는 공간과 시간이네요. 이 사회의 구성원이 된 느낌도 좋고, 아이들에게도 엄마가 ‘엄마’ 역할 뿐 아니라 다른 모습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싶어요.자란다의 일원으로 다른 부모님이나 선생님에게 하고싶은 말이 있다면?밖에서 보시는 것보다 자란다에서 한 아이와 한 선생님을 매칭시키기까지 정말 많은 시간과 정성이 들어간답니다. 우아한 백조의 바쁜 발처럼 열심히 움직이는 자란다의 노력을 조금만 더 알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큰 미소)'호카이' 박지인 님 ⓒ자란다비록 길지 않은 글로 정리하였지만, 호카이 님과의 인터뷰 두 시간은 정말 솔직담백한 대화의 시간이었습니다. 자란다 입사 전에는 이런 서비스의 존재조차 몰랐다는 호카이 님은, 인터뷰 중에 무려 “저는 자란다를 단숨에 좋아하게 되었어요!” 라고 외치기도 하셨는데요. 다정하고 세심한 호카이님과 함께 아이들의 즐거운 시간을 더 많이 만들기 위해 자란다도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inside-interviewer MAUMC[자란다]는 부모와 아이의 행복한 성장을 응원합니다.#자란다 #교육기업 #팀원인터뷰 #팀원소개 #팀원자랑 #조직문화 #기업문화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