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홈

인터뷰

피드

뉴스

조회수 1128

앱 삭제(Uninstall)와 재설치(Reinstall) 측정

리텐션(RETENTION)은 안녕하신가요?리텐션 리포트를 본 적이 있는 분이라면 생각보다 낮은 수치 때문에 당황한 경험이 있으실지 모르겠습니다. 통계 자료를 보면 안드로이드 앱의 30일 평균 리텐션은 10% 수준입니다. 다시 말해 오늘 100명의 유저가 앱을 설치했다고 가정하면 한달 후에는 10명만 남아있다는 의미입니다. 평균적으로 리텐션이 낮은 편이네요.(안드로이드 앱의 평균 리텐션 커브. 평균을 상회하는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면 자부심을 가질 만하다. 출처는 andrewchen.co)위 그래프와 같이 평균 수치도 의미가 있지만, 데이터를 조금 나눠보면 또다른 인사이트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래프는 리텐션이 높은 앱과 일반적인 앱의 리텐션이 얼마나 다른지를 잘 보여주는데요, 30일 리텐션을 보면 최고 수준의 앱은 60% 수준이지만 평범한 앱은 10% 중반에 머물러 있습니다. 격차가 상당함을 알 게 됩니다.(순위가 높은 앱과 일반적인 앱의 리텐션 차이는 크다. 더욱 심각한 것은 시간이 흐를수록 격차가 점점 벌어지게 된다는 사실이다. andrewchen.co)저 리텐션 안에는 사실 ‘앱 삭제’와 ‘재설치’ 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리텐션이 높은 앱들은 앱 삭제도 덜하겠지만, 삭제한 유저가 다른 앱으로 이동하지 않고 다시 그 앱으로 돌아오는 비율 역시 높을 것입니다. 그리고 리텐션이 낮은 앱들은 반대의 패턴을 보이게 되겠지요. 앱 삭제와 재설치를 분석하게 되면 리텐션이 낮은 앱도 효과적으로 리텐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앱 삭제’는 일종의 기준점페이스북 이야기로 시작해 보지요. 페이스북은 서비스 성장에 영향을 주는 핵심지표를 발견해 냈는데, 가입 후 10일 이내에 7명 이상의 친구를 등록하지 않은 유저는 비활성(Inactive) 유저가 된다는 사실이 그것입니다. 이 데이터를 근거로 10일 이내에 7명 이상의 친구를 등록하도록 유도했고 이런 작은 성공들의 결과로 지금과 같은 페이스북이 존재합니다.페이스북이 한 것과 같이, 유저의 활성과 비활성을 가르는 기준을 찾아내서 유저의 비활성을 예방하고 활성을 유도하는 일을 우리 서비스에도 적용 한다면 리텐션이 좋아질 것입니다. 이 점에서 ‘앱 삭제’ 측정이 의미를 가집니다. 앱을 삭제했다는 것은 비활성에 대한 분명한 신호이기 때문입니다.앱 삭제를 측정하게 되면 최초 앱 설치일로부터 얼마나 지난 시점에 앱이 지워지는지를 알 수 있게 됩니다. 쌓아놓은 삭제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설치 후 *일이 지난 시점에 **%의 유저들이 앱을 삭제한다’와 같은 트렌드를 발견할 수 있게 됩니다. 앱 마다 구체적인 수치는 다르겠지만 말이죠.게임 앱을 사용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게임에 대한 흥미를 잃은 유저는 앱을 삭제하고 다른 게임을 찾을 확률이 높습니다. 분석 결과 약 5일 후에 삭제수가 급증한 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면, 최초 5일 내에 앱을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할 이유를 유저들에게 집중적으로 제시해야 할 것입니다.7일간 연속으로 출석하면 아이템을 주거나, 날마다 연속으로 진행해야 하는 미션을 제시하여 흥미를 높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특정 데드라인 안에 실행 가능한 전략을 효과적으로 세울 수 있는 것은 앱 삭제 시점을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재설치’로 완성되는 라이프 사이클고유의 특징 때문에 삭제를 막기 어려운 앱들이 있습니다. 호텔이나 면세점 앱들이 여기에 해당되는데, 특정한 기간이나 지역에 대해 일시적으로 발생한 니즈를 해결하는데 특화된 앱들이지요. 일반적으로 한번 니즈가 충족되고 나면 다음 니즈가 생길 때까지는 어느 정도 기간이 필요하므로 앱이 삭제되기 쉬운 편인 것 같습니다.이런 앱들은 또 다른 특징이 있는데, 일정한 기간이 지나고 다시 니즈를 가지게 된 유저가 앱을 재설치하면서 서비스로 돌아온다는 점입니다. 전에 사용했던 익숙한 앱을 다시 설치하는 경우가 많지만, 기존 앱에서 서비스 경험이 좋지 않거나 경쟁 앱이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경우 경쟁 앱으로 넘어가는 경우도 흔히 발생합니다.이제 트래킹 툴로 재설치를 분석하게 되면 유저들이 어떤 시점에 앱을 다시 설치하는 경향이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됩니다. 그 시점, 그러니까 유저가 돌아옴직한 타이밍에 맞춰서 유저를 위한 마케팅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유저가 다른 앱으로 떠나지 않고 우리 앱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고 리텐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겠지요.앱 삭제 데이터와 재설치 데이터를 함께 본다면, 사용하던 앱을 언제 삭제하고 언제 다시 설치하는지에 대한 패턴을 그려볼 수 있을 것입니다. 유저가 앱을 사용하고, 지우고, 다시 사용하는 반복적인 라이프 사이클을 더욱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삭제를 막기위해 어느 타이밍에 액션을 취해야 하는지, 유저를 재유입시키기 위해 언제 메시지를 던져야 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효과적인 리타겟팅앱 삭제와 재설치를 측정함으로써 리타겟팅 캠페인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앱 삭제와 재설치 측정은 단순히 그 시점과 숫자만을 트래킹 하는 것이 아닙니다. 해당 유저의 트래픽 소스까지 함께 측정합니다.다시 말해, 어떤 매체로부터 유입된 유저가 언제 앱을 지웠으며, 또 어떤 매체의 영향을 받아 앱을 재설치 했는지를 알 수 있다는 말입니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리타겟팅 매체들의 광고 성과를 평가할 때 앱 삭제와 재설치 수치도 참고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특히 리인게이지먼트 성격의 캠페인을 진행한다면 광고를 통한 앱 실행 횟수, 상품 조회수 등과 함께 앱 재설치 숫자를 기준으로 성과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리타겟팅 캠페인의 성과를 최적화할 수 있는 또다른 기준이 됩니다.
조회수 1038

아띠 #22. 매일 새로운 삶을 사는 라이더, 저스틴

Story #22. 매일 새로운 삶을 사는 라이더라이더 '저스틴'을 소개합니다.간단한 자기소개를 해줘!음... 한국에서는 주관식이 어렵다니까;;나는 30살 늦각지에 독립해서 자유를 만낀하며 살고있는! “저스틴” 이라고해저스틴이란 사람은 굉장한 열정을 가지고 항상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려하고 많이 부딪치고어려움을 겪기도 하지만 많은 어려움속에서 경험을 통해 새로운것을 하고자 하는 사람이야.아띠는 어떻게 알게 되었어?아띠 인력거는 2013년. 10월 kbs파노라마에서 방영된 김난도 교수 내일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아띠인력거가 소개되면서 처음 알게 되었어. 언젠가 한번은 꼭 인력거를 타봐야겠다는 생각에 손님으로 인력거를 체험한 이후 손님이 아닌 직접 라이더가 되서 북촌 방문하는 사람에게 북촌 곳곳 숨은 명소와 재미난 이야기를 소개하고 싶어서 라이더를 지원하게 되었어왜? 손님으로  먼저 인력거를 탔어? 바로 지원해도 되잖아?간접적으로 느끼는거랑 직접적으로 느끼는거에 차이가 있었어! 경험했을때 생각보다 훨씬더 인력거의 매력에 매료되더라고. 매력이 무엇이었어? 내가 강남사람이라 그런지 모르겠는데 종로라는 공간이 너무 매력적이었어.서울이란 곳이 도시화되어 옛 정취를 느끼기 어려운지만 도시화된 사회속에서 새로운 역사와 . 한옥을 느낄 수 있고. 옛것을 느낄 수 있는곳으로 많이 놀러왔었어손님으로 탔을때 어떘어?아띠 라이더랑 북촌을 둘러보니 평소에 그냥 지나갔던 곳도 다시 보게 되었고, 정말 숨은 명소가 많다는 걸 알게되었어. 그래서 나같은 사람들에게 소개해 주고 싶어서 라이더가 되게 되었지저스틴을 손님으로 태웠던 라이더가 포레스트였다는데?응 포레였어. 그때 너무 궁금한게 많아서 포레에게 질문을 많이 했었지. 나중에 안 이야기지만 내가 혼자와서 혼자타서. 코치코치 많은걸 물어봐서 내가 스파이인줄알고 조심스럽게 이야기 했다고 하더라구포레랑은 언제 탔던거야? 2014년 2월~3월 정도 되었던거 같은데.  전화로 예약을 했을때 전화로 ij에게 인력거를 타고 싶다고 했어. 근데 ij가 지방출장중이라 새로지정된 포레로 타게 되었지. 면접은 누가 봤어?IJ랑 1:1로 면접을 봤어. IJ가 이러더라구 “잠깐 나가실까요? 걸으면서 면접 보시죠”IJ의 첫인상은 어땠어?이사람 뭐지? 뭘까? 티비에서 보던 그분이구나. 그 사람이구나.인터뷰를 이어가면 이어갈 수록 일반적인 사람이랑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구나. 상식을 깨는 사람이구나.면접은 어땠어?보통 인터뷰 볼때에는 지원사유 여러가지를 물어보지만. IJ의 인터뷰 내용은 자기가 추구하는 인생의 가치를 집중적으로 물어보았던거 같아.직장은 아니지만. 우리가 같이 일했을때 어떤 역할을 하고 기여가치에 대해 집중적인 질문을 받는데. 각 개인이 추구하는 인생의 목표나. 가치에 대해서 많이 물어보았던거 같아.그런것들을 물어봐서 정말 다르구나 느끼게 되었지.  첫 라이딩 어떘어?첫 라이딩은 사실 기억이 잘 안나. 처음에 북촌을 많이 소개시켜주고 싶었는데. 시작하고 나니까.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거. 그런것 접점. 사람을 만나면서.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전파한다 생각했는데. 얻어가는게 많고. 사람들 사는 방식이 매우 다양하구나. 라이딩 하면서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는 뭐가 있어?내가 R-3인데 R-3 등급이 되려면 100번 라이딩을 해야 되잔아. 생각해보면 100번 라이딩은 하루를 1번당 평균으로 7팀을 태웠으니 700팀을 태운거야. 1400명을 만난거지.근데 그중에서 기억에 남는 라이딩은대전 여자 태워서 돈 대신 스팸 받았던 이야기인데재작년 추석 연휴 시작되는 날이였어. 잭슨이랑. 야간 라이딩을 하던 중이였는데 지나가는 여성 한분이 짐을 많이 들고 있어서 태워줬어. 그런데 그분이. 고맙다면서 추석 선물 세트. 스팸 3호. 스팸 2개를 꺼내서 팁으로 주셔서 돈 대신 스팸을 받은 적이 있었지 그리고 예전에 아줌마 2분은 태웠었는데  그런데 그 후에 또 다시오셨는데  혼자 오셔서는 1시간 인생 푸념을 하셔서 듣어 드린 적도 있었구그리고 이 인력거가 한국분이 많이 타시지만  해외 이민가신지 20-30년 되신 분들이 오랜만에 고국을 방문하셔서 북촌에 오셔서 한국의 옛 모습을 보시고 감동받고 돌아가시는 모습이 너무 좋았어.마지막으로 북촌 사시는 할머니였는데. 인력거 타고 가는데 할머니가 짐을 무겁게 짊어지고 가시길래. 행선지를 물었는데. 북촌 근처였어. 그 분이 한사코 사양하셨는데. 모셔다 드렸어. 1주일인가. 뒤에 딸을 통해서 할머니가 이런 고마움을 받았다 해서. 음료수 한잔을 전달해 달라해서. 전달 받았던 경험이 이었지저스틴! 몸도 좋고 얼굴도 잘생겼는데 라이딩 하면서 로맨스는 없었어?(그게 쉽지가 않은게.) 많은 사람을 만나며 사사로운 감정을 가질 수 있지만 아띠라는 이름을 달고 하는것이기 때문에 사람들을 만나며 개인적인 감정을 가질 수 있는것을 만들지 않았던거 같아 아띠에 피해를 끼치고 싶지 않고 사람들을 아띠를 통해 만나지만 사람들은 아띠를 만나는 것이기 때문에 아띠에 영향을 끼치고 싶지 않았던거 같아. 나의 오지랖이지. 잡생각이 많았지. 본인은 어떤 라이더인거 같아? 인력거를 타는 동안. 본인이 느낄 수 잇는 가장 편안함? 안좋은 감정, 스트레스를 모두 날려버리고, 인력거를 타는 동안은 가장 편안한 상태가 되는 것 같아아띠가 변화되는 과정을 보았잖아. 어때? 어땠어?뭔가 젊은 친구들이 모여서 열정과 에너지를 쏟는 것을 보면서 감동도 받았지만. 성장하면서. 어려운 부분도 많고. 어려운 점도 많았을텐데. 50명이라는 라이더로 성장한게. 아띠인력거라는 회사가 사람들에게 좋은 인식과 윤리적인 행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느꼈어. 하지만 앞으로 가야할 길이 많다는 거. 노력해야 할게 많아.변화되는 모습에 항상 놀라워. 2년. 3년 시간에 많은 라이더가 일하고 있고. 무엇보다도 라이딩하는 친구들이회사 정규인원으로 속해 일하는게 아님에도 불구하고. 라이더 한명 한명이 아띠에 대한 애정과 애착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면 더 많은 성장을 할 수 있는 아띠라고 생각해.  아띠가 어떤 영향을 준거 같아?사회생활 하면서. 되게. 로직한. 제너럴한 삶을 살뻔 했는데. 아띠를 만나면서. 정말 내가 인생에 있어서 추구해야할 가치가 무엇인지 되돌아 보게 한. 단순히 내가 돈을 벌며 일을 하는 것 이상으로 내가 무엇을 해야 행복할 수 있고. 가치 있는 삶인지 일깨워 주는 곳. 저스틴에게 아띠란?1.o2. 산소다. 일상생활 속에 지쳐있을 때 숨 쉴수 있는 공간. 활력소가 되는.인력거를 타는 순간 원 없이 즐기고, 한 없이 웃고, 행복할 수 있는.2. 행복한 놀이터다. 원없이 즐기고 갈 수 있는. 무언가. 힐링과 재미를 느낄 수 있는. 마지막으로 아띠에게 바라는 점?사람들한테 앞으로도 계속 좋은 인상과 좋은 경험을 전달할 수 있는 아띠의 처음 모습 그대로 끝까지 남아있었으면 좋겠어. 아띠 화이팅이야!!아띠의 원년멤버로써 아직도 힘차게 페달을 밟고 있는  매일매일 새로운 삶을 사는 라이더, 저스틴의 스토리였습니다:)아띠를 직장이 아니라 행복한 놀이터라고 생각하는 저스틴이검은 머리 파뿌리 될때까지 힐링과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아띠는 그런 공간이 되고 싶습니다!!#아띠라이더스클럽 #팀원소개 #팀원인터뷰 #팀원자랑 #기업문화 #조직문화 #사내문화
조회수 1104

에잇퍼센트와 함께한 2016년

2016년 4월에 에잇퍼센트에 합류해서 2016년을 에잇퍼센트와 함께 보냈다. 1년을 다 채운건 아니지만 에잇퍼센트의 성장과 발전에 개발자로서 어떤 기여를 했는지 한 번 정리해 보려고 한다. 나에게 있어서는 물론이고 에잇퍼센트에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1. 대출 개설 내역 신용평가사 공유대출자에게 대출이 실행되면 이 내역을 신용평가사의 시스템으로 공유하는 것을 개발했다. 에잇퍼센트에서 받은 대출 내역이 공유되면 타 금융권에서 대출 개설 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추가 대출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우리의 고객은 대출자도 있지만 투자자도 있다는 측면에서 투자자의 소중한 투자금을 안전하게 지켜내기 위한 안전 장치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2. 성능 개선에잇퍼센트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스타트업이다. 스타트업이 비즈니스적으로 빠른 실행을 하며 달리다 보면 성능의 벽에 부딪힐 때가 있는데 마침 내가 합류하고 얼마 되지 않은 시점이었다. 주로 우리의 개발 환경인 Python Django 코드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진행을 했고 추후에는 사용자 브라우저단 성능 개선도 진행했다. Python Django 코드 개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내가 쓴 블로그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다.3. 서버 인프라 서울 이전에잇퍼센트는 서버 인프라로 Amazon Web Services(이하 AWS)를 사용하고 있다. 서비스를 처음 시작할 때에는 AWS 도쿄 리전이 가장 가까운 곳이어서 도쿄 리전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2016년이 되어 서울 리전이 생겼고 도쿄 리전에 비해 네트워크도 빠르고 비용도 저렴해서 사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었다. 그래서 도쿄 리전에서 서울 리전으로 이전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밤샘 작업을 함께 해준 개발팀원들에게 고맙다는 얘기를 다시 한번 하고 싶다.그 날의 풍경과 작업 기록, 그리고 django-storages 서울 리전 연동에 대한 글까지 남겨두었다.4. Python Django 버전 업그레이드에잇퍼센트에 합류했을 때 Python 3.4 , Django 1.8을 사용하고 있었고 Python 3.5 Django 1.9로 버전 업그레이드를 진행했다. 버전 업을 하면서 발견된 큰 문제는 없었고 Django admin 의 UI 에 flat 디자인이 적용되어 화면이 이뻐졌다. 내가 직접 한 건 아니지만 화면이 이뻐졌다고 다들 좋아해 준 기억이 난다.참고로 현재의 최신 버전은 Python 3.6 Django 1.10이다.5. 테스트 개선개발을 빠르게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안정적으로 잘 동작하는 것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안정적인 서비스 개발과 운영을 위해 테스트가 중요하다. 특히나 돈을 다루는 금융회사라면 더욱 중요한 것이 테스트이기에 에잇퍼센트 개발팀에도 테스트는 매우 중요하다. 테스트 코드를 잘 작성해야 하고 테스트 코드가 실제 코드를 얼마나 커버하는지에 대한 측정도 필요하다. 에잇퍼센트는 코드를 개발해서 push 하고 pull request를 할 때마다 travis를 통해서 테스트를 수행하고 커버리지를 측정하고 있다. 커버리지 측정을 처음 시작할 때와 비교해보면 기존 대비 10% 포인트 가량 커버리지가 올라갔다. 커버리지가 떨어지면 pull request를 승인하지 않는 것을 정책으로 가져가고 있다.테스트 수행 시 커버리지 측정과 함께 PEP8 준수 확인, migration 체크, 템플릿 검증 등을 하도록 개선했다. 또한 기존에는 테스트 수행 시 sqlite3을 DB로 사용했는데 개선 후에는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PostgreSQL을 사용하도록 했다. 성능을 위해 raw SQL을 사용하는 경우가 가끔 있는데 이때 테스트가 제대로 안 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었다.6. 개발 환경 개선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smarturls, django-debug-toolbar, factory boy 등의 패키지를 적용했으며 로컬 서버 외에 개인별로 배포해서 테스트할 수 있는 서버 환경을 만들어서 테스트를 용이하게 했다. django 설정 분리, 모델 분리, 상수 분리 등의 리팩토링도 진행했다.7. NH핀테크 오픈플랫폼 적용 (진행 중)NH 농협 은행에서 제공하는 API를 사용해서 금융 관련 작업을 자동화하고 효율화하려고 한다. NH에서 요구하는 정보보호 및 보안 기준에 맞춰 시스템을 정비하고 만들어 나가는 중이다. 올해 상반기 안에 API 연동이 되어 에잇퍼센트에 NH핀테크 오픈플랫폼이 알맞게 녹아들어 가기를 기대해본다.8. 서비스 개선에잇퍼센트의 서비스적인 개선도 몇 가지 진행했다.- 채권 상세 페이지 개선 : 투자한 채권에 대한 지급 현황, 지난 내역을 볼 수 있게 되었다.- 로그인 상태 유지 : 기본 30분 로그인이 유지되고 30일 유지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Ada 챗봇 연동 : 금융권 챗봇 중 유일하게 학습하는 Ada가 서비스와 연동하기 위한 개발을 진행했다.1~7번까지의 작업은 주로 눈에 보이지 않거나 개발팀 내부적인 개선이었고 8번은 사용자에게 바로 보이는 서비스적인 개선이었다. 위에 언급한 것 외에 코드 리뷰를 열심히 한 것이 기억에 남는다. 코드 리뷰를 통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효율적인 코드를 만들어 나가고 싶었다. 어떤 코드가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효율적인지 리뷰를 통해 토론하고 배워나가는 과정이 나뿐만 아니라 개발팀 모두에게 도움이 되었으리라 본다.개인적으로는 이음에서 Ruby on Rails로 개발을 재밌게 하다가 에잇퍼센트에서의 Python Django를 사용한 개발로의 도전과 전환이었다. 새로운 언어를 접하고 배워나가는 과정 또한 개발자에게는 즐거움이 아닐까 싶다. Ruby, Python 둘 다 엄청나게 잘 하는 건 아니지만 기회가 되면 Ruby와 Python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해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다.2016년은 내가 2006년 첫 회사에 들어간 지 10년이 된 해였다. 10년 전 신입 사원 시절에는 서비스적인 개선을 주로 하고 다른 팀원에게 도움을 주기보다 내 할 일에만 충실했었다. 10년이 지난 지금 작년 한 해를 이렇게 돌아보니 서비스에 직접적인 개선도 하고 다른 팀원들이 개발을 더 잘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고 도움을 주는 데에도 제법 역할을 했다는 생각이 든다. 나 자신이 엄청나게 변화한 건 아니지만 10년이 헛된 시간은 아니었다는 생각이 들어서 내심 뿌듯하다.2016년을 이렇게 정리하고 보니 2017년에는 더 잘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에잇퍼센트 모든 구성원들과 함께 엄청나고 멋지게 성장해 보고 싶다. 화이팅!2016년 처럼 올해도 해맑게 화이팅!#8퍼센트 #에잇퍼센트 #조직문화 #기업문화 #2016년 #돌아보기 #스타트업개발자 #개발자
조회수 1612

꽃다운 스무살, 옐로오투오를 첫직장으로 선택한 '손지호 매니저'

안녕하세요, Y입니다! 오래 기다리셨죠~? 세 번째 옐로피플의 주인공은 넘나 사랑스러운 소녀 옐로인, 꽃다운 스무살의 옐로오투오 막내 손지호 매니저입니다! YO2O분들의 사랑을 독차지하고 있는 상큼한 그녀와 함께한 인터뷰! Y도 그 풋풋한 매력에 푹 빠지고 말았는데요, 첫 직장으로 옐로오투오를 선택한 손지호 매니저가 들려주는 옐로피플 스토리! 자 지금 만나보실까요?  (※ 세대차이 주의ㅋㅋ)Y: 안녕하세요! 옐블 독자들을 위해 간단히 자기소개 부탁 드려요!손: 안녕하세요, 옐블 독자 여러분! 옐로오투오 커머스 TF에서 기획과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막내, 손지호입니다. 반가워요! Y: 커머스 TF가 정확히 어떤 일을 하는 부서인가요?손: 최근 옐로오투오에서 피트니스나 숙박업소 등을 위한 쇼핑몰 서비스인 ‘옐로아이템’을 오픈했어요~ 커머스 TF팀은 옐로유통과 연계해서 판매도 하고 다른 벤더들과 협약을 맺고 상품 납품도 하면서 옐로아이템(http://www.yelloitem.co.kr)을 담당하고 있어요! 정말 한 달도 안된 서비스라 너무 바쁘지만 기쁜 마음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Y: 와, 쇼핑몰 서비스라니! 그나저나 막내라고 하셨는데, 혹시 나이가….?손: 딱 20살 입니다! Y: 헐????? 어쩐지… 문 열리는 순간부터 거부할 수 없는 상큼한 기운이 느껴진다더니! 그럼 어떻게 옐로오투오와 인연이 닿게 되었나요?손: 저는 어릴 때부터 사회경험을 빨리 해보고 싶어했어요. 그래서 특성화고 진학을 선택했었고 고등학교 3학년 들어서부터 취업 준비를 시작했어요. 여러 회사에 지원서를 넣던 중에, 현 옐로오투오 로컬 사업부 부대표님이 학교를 방문해 강의를 하셨어요. 모바일 시장의 초창기부터 옐로오투오 설립 스토리, 국내외 오투오 시장 전반에 대해 흥미진진한 설명을 해주셨는데 그 때 오투오 분야에서 일해보고 싶다는 확신이 들었죠. 마지막으로 하셨던 말씀이 아직까지 기억에 남아요. “목표를 먼저 잡고, 기회를 잡아라!” Y: 와.. 한창 취업 준비로 복잡했을 지호 매니저님에게 뭔가 방향을 제시해 준 셈이네요. 그럼 그 이후로 옐로오투오에 지원한 건가요? 손: 네. 강의가 끝나고 부대표님께 지원해보고 싶다고 말씀 드렸더니 그 자리에서 15분 정도 급 면접을 보게 됐어요. 정말 갑자기 보게 된 면접이라 어찌나 떨리던지…… 그래도 그 동안 준비했던 대로 차분하게 진행했더니 본사에서 한번 더 면접을 보자고 기회를 주시더라고요. 최종적으로 합격해서 작년 12월에 입사하여 7개월째 많이 배우며 일하고 있습니다!! ㅋㅋㅋY: 첫 직장생활에 전사 막내라! 뭔가 고충이 많을 것 같은데요^^; 손: 막내라서 힘든 점은 없어요! 오히려 다들 우쭈쭈 해주셔서 신나게 다니고 있어요. 다만 사회 나와서 첫 직장생활인데 처음 오픈하는 서비스 TF팀에 들어가게 된 거잖아요? 죄다 처음 배우는 건데 너무 한꺼번에 많은 걸 배워야 해서 그게 좀 어려운 점이 있죠. 그렇지만 정말로 어디 가서 이런 경험을 할까 싶을 정도로 많은 것을 배우고 있어요. 결과적으론 제게 큰 도움이 될 거라 믿어요! Y: 아니 갓 스무 살인데 이렇게 어른스럽다니… 옐로에서 막 굴린다고 투덜댔던 거 급 반성하게 된다는…ㅠㅠ 그럼 반대로 언제 가장 큰 보람을 느끼나요? 손: 말씀 드렸다시피 여기 와서 디자인, 기획, 운영 등 모든 것을 처음 배웠어요! 처음으로 시도했던 디자인이 반영이 되어 사내 공지 레터로 발송이 됐는데 정말 뿌듯하더라고요. Y: 디자인까지 직접!! 정말 일당백이시네요! 여기서 기습 질문! 옐로오투오에서 본인의 외모 순위는?! 손: (당황) 어… 오투오에 워낙 예쁘신 분들이 많아서…Y: 겸손은 사양한다! (단호박)손: 어… 아무래도 제가 어리니까 스무살의 풋풋함으로는 1등이라고 생각합니다! (손지호님의 회피스킬이+10 추가되었습니다)Y: ㅋㅋㅋㅋㅋㅋ넘어갈게요! 풋풋함으론 1위인걸로~  Y: 다음 질문 드릴게요! 업무 하시다가 생긴 재미있는 에피소드가 있나요? 손: 아직 사내 메신저가 없어서 카카오톡을 쓰고 있는데, 제 카톡 비밀번호가 “사랑해1” 이었거든요. 업무 공유를 위해 카톡 비번을 입력하고 들어갔는데 글쎄 ‘사랑해1’가 회사 단톡방에 올라가 있는 거예요 ㅠㅠ 한동안 팀원들이 절 마주칠 때마다 “나도 사랑해요”라며 놀려댔었죠. 당장 카카오톡 비밀번호를 바꿨던 기억이…Y: 세상에……카톡이 잘못 했네요ㅋㅋㅋㅋ 덕분에 오빠들이 좀 설레었겠어요!ㅋㅋㅋㅋ Y: 그런데 카톡을 보니 엄청 다들 친해 보여요! 옐로오투오의 사내문화는 어떤가요? 손: 네! 맞게 보셨어요~ 가끔 퇴근 후 팀 단위로 다과회를 했어요. 같이 맛있는 거 먹으면서 개인적인 얘기도 하고 업무에 대한 고민도 털어놓으면서 친해지는 계기가 됐어요.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수평적인 구조가 형성된 것 같아요. 이 다과회에서 아이디어 회의도 같이 했는데 수평적인 구조 덕분에 서로 편하게 아이디어를 내고 토론하기도 했어요! Y: 엥? 아이디어 회의요? 이거 이거 업무의 연장선 같은 느낌적인 느낌인데요~~손: 아니예요ㅋㅋㅋ놀면서 하는 회의 아닌 회의라서 더 독특한 아이디어도 나오고 그래요!  Y: 엄청난 열정과 애사심이 느껴지네요! 멋집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옐로오투오/옐로모바일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손: 저는 지금과 같은 자유로움이 너무 좋아요. 앞으로 회사가 더 커져도 이런 분위기가 유지됐음 좋겠어요. 그리고 저처럼 고등학교 졸업하고 바로 취업을 준비하는 분들이 많아요. 국내 많은 대학에서도 이런 학생들을 위해 고등학교 졸업 후 3년간 회사에서 근무하고 대학교에 입학하는 ‘선취업 후진학’ 제도를 운영 중이에요. 옐로모바일에서 이런 분들에게 많은 기회를 주셨으면 해요! 
조회수 671

훌륭한 브랜드의 원칙 - S.T.A.R.

러브마크 (lovemark)모두가 사랑받고 싶어한다.사람도 기업도 사랑받고 싶어한다.사랑이 목적일 수도 있고, 수단이 될 수도 있지만선택받고 싶어하는 것은지극히 자연스런 욕망이다.브랜드도 마찬가지다.사랑받는 러브마크가 되고 싶지 않은 브랜드는 없을 것이다.어떻게 사랑받을 수 있을까?브랜드가 사랑을 받고 있다면,그건 우연일까? 기묘한 타이밍 때문일까?아니면 진정 정밀하게 기획된 계획이 맞아떨어진 것일까?사랑받을 수 있는 조건들을 찾기 위해서목마른 기업들은 소비자의 취향을 조사하고트랜드를 조사하는데 막대한 비용과 노력을 투자한다.문제는 그럴수록 불안함이 늘어간다는 것이다.소비자가 진정 좋아할까?하나의 상품이 시장에서 성공하는데에는그 시점, 그 타겟, 그 상황에 최적화된 소비자의 흐름에민감할 필요가 있다.하지만,브랜드는 다르다.그때 그때 무언가를 쫓아가서는 안된다.쫓아갈 수도 없다. 130년이 넘는 헤리티지를 가진 벤츠,107년이 되어가는 샤넬,53년의 역사를 지켜온 나이키,40년간 팬들의 사랑을 받아온 애플...브랜드는 잠깐 주목받는 것으로는 생존할 수 없다.지속가능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일관된 가치를전달해야만 한다.쫓아오게 만들어야 한다쫓아가서는 안되고, 쫓아오게 해야 한다.브랜드가 지향하는 가치를고객들이 따라오게 해야 한다.그것이 명품 브랜드들의 공통점이다.자,여기서부터가 이 글의 본론이다.고객이 쫓아올 만한 가치가 갖춰졌다면,이것을 어떻게 커뮤니케이션 할 것인지가 매우 중요하다.상품이나 서비스 자체를 포함해서미디어나 마케팅 활동 및 기업 전반의 활동이 여기에 해당한다.브랜드의 가치가 표현되는 방식에 따라서소리없이 사라지는 브랜드가 되기도 하고,100년을 지속하는 브랜드로 사랑받기도 한다.1. 첫 번째 원칙 : SimpleSimple (단순)Simplicity is the ultimate form of Sophistication- Leonardo da Vinci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단순함 (Simplicity)이야말로 정교함의 극치라고 표현했다.코코 샤넬은 진정한 우아함의 정수로써 단순함 (Simplicity)을 통해근대 여성의 의상을 혁신해왔다.이 단순함은 눈에 보여지는 것 뿐만 아니라,보여지지 않는 가치의 명료함까지를 포함하는 것이다.소비자에게 전달하려는 메시지가 단순해야 하며,이해하기 쉬워야 한다는 의미도 녹아있다.그럴 듯한 수식어구 따위로는 트랜드에 편승할 수야 있겠지만,소비자의 인식에 각인할 수는 없다.덜어내고 덜어내고 또 덜어내야 한다.마지막에 남는 가치 그것 하나로커뮤니케이션 해야 한다.2. 두 번째 원칙 : ThoughtfulThoughtful (배려)명품에 감동하는 것은그 상품을 사는 순간이 아니라,그것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드러내며 강조하지 않지만,예상치 못한 곳에서의 세심함과 꼼꼼함.그것에 감동하는 것이다.마치 무심한 듯하지만 세심하고 자상함을 보여주는츤데레 남친처럼 늘 고객의 benefit과 행복을우선시하는 배려가 담겨있어야 한다.4가지 키워드 중에서 아마도가장 기본이 되는 원칙일 것이다.3. 세 번째 원칙 : AuthenticAuthentic (진정성)대부분의 브랜드가 이 단어에서 갈린다.해석의 여지가 많은 키워드이기도 하지만,진짜 가치를 추구하는 브랜드 기업인지,가치를 그럴 듯하게 포장하는 '가짜 가치' 기업인지를구분해주는 핵심적인 원칙이다.컴퓨터를 만들어 파는 기업은 많지만,컴퓨팅(computing)을 인간의 삶의 차원에서 고민하고개발하는 업체는 극소수이다.식품을 판매하는 브랜드는 수도 없이 많지만,돈벌이가 아니라, 고객의 건강과 좋은 먹거리를 진심으로고민하는 업체는 일부일 것이다.돈을 버는 것이 지상 최대의 가치인 기업이그럴 듯한 광고로 아무리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으려해도그 속내는 어느 순간 드러날 수밖에 없다.시민의 알 권리를 최고의 가치로 내세우는 언론기업은 많지만,사실에 기반한 정보를 공정하고 투명하게 다루는 기업은많지 않다는 것도 좋은 사례이다.솔직함, 투명함, 진정성이야 말로50년, 100년을 지속시킬 수 있는 롱~런 브랜드의핵심 가치라고 생각한다.거짓은 드러난다.가짜 브랜드이다.4. 네 번째 원칙 : RemarkableRemarkable (탁월)구별되지 않는 브랜드는 의미가 없다.아무리 좋은 가치라도주목시키지 못한다면 가치를 전달할 수조차 없다.그런 측면에서 눈에 띌 만한 비범함은 고객과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해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수 천가지의 브랜드가 서로 자신을 드러내기 위해 경쟁한다.'최초', '최고', '1등', '최대', '유일', '특종', '단독'...등등비범함을 알리기 위한 샤우팅이 매일 범람하는 사회이다.동일한 잣대로 비범함을 겨루기는 매우 어렵다.모두가 최선을 다하기 때문이다.그 영역에서 탁월하지 않다면,전혀 다른 영역에서 싸워야 하고, 독보적이 되어야 한다.Think Different'다르게 생각하라' 라는 스티브 잡스의 구호는그래서 큰 의미가 있다.아예 기존의 틀을 바꿔 버리고,전혀 새로운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주목을 이끈다.테슬라의 엘론 머스크처럼남들은 상상 속으로 구상하고 있는 것들을테슬라 브랜드로 멋지게 전기차를 양산해내고,우주산업을 현실의 레벨로 한 단계 앞서구현해내는Pioneer 정신이야 말로 탁월함과 비범함의 정수일 것이다.S : SimpleT : ThoughtfulA : AuthenticR : Remarkable이 4가지 원칙은거대한 기업이 대단한 브랜드를 만들 때 필요한 조건이 아니다.S/T/A/R 원칙은 우리 모두가 어느 영역에서건메시지를 전달하고 소통하는데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 원칙이다.디자이너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휘할 때도 마찬가지이며,언론인이 사실을 근거로 자신의 주장의 제시할 때도 마찬가지이며,대선 주자가 자신의 공약을 내세울 때도 마찬가지이다.기억해두자.S. T. A. R.
조회수 1290

유배지에서 부치는 편지

안녕하세요.집에서 공항까지, 공항에서 집까지 공항을 오가는 가장 편한 방법 벅시(BUXI) 입니다.조금 늦은감이 있지만 모두 연휴는 잘 보내셨는지 궁금합니다.연휴 기간 동안 공항을 오고 가는 여러분들을 위해 내부 직원들이 열심히 노력하였습니다.특히나 제일 고생이 많으셨던 벅시(BUXI) 드라이버 분들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조금이라도 불편함점이 있었다면 머리숙여 죄송하다는 말씀드리며,더 나은 서비스를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 드리겠습니다.그러면 저희 근황을 말씀을 드려볼까 합니다...1. 유배 당하다말 그대로 입니다. 아직 팀이라고 부르기 민망 하지만(2명) 제가 속한 팀이 사무실에서 쫒겨났습니다.그냥 막 나가라고 해서 저희는 사무실 밖에 자리를 마련하여 일을 하고 있습니다.. 흑흑빼앗긴 나의 들... 과연 봄은 오는가...을씨년스러운 유배지 입구...ㄷㄷㄷ전하...아니 대표님 저희가 무슨 잘못을 했단 말입니까!!명을 거두어 주시옵소서...흠... 전망은 좋아보이지만...어둠의 자식이 되어버린...불이 안들어오는 이 공간....유배지에서 다양한 저서를 남겼던 정약용의 마음으로저희는 여러분들을 위해 일할 것을 다짐합니다...사실은 인원 충원으로 인해 밖에서 일하는 거에요 하하하 근데 왜 나죠?2. 벅시(BUXI) 홈페이지 리뉴얼!그동안 칙칙(...)하던 벅시(BUXI)의 홈페이지가 드디어 리뉴얼을 진행하였습니다!캬~ 칙칙했던 대표님의 감성이 사라졌네요.당연히 예약도 가능하구요!예약 많이 해주세요~아직 100% 완성이 된 것이 아니라서 점점 더 발전하는 벅시(BUXI) 홈페이지를 보실 수 있을 겁니다.이용 방법도 좀 더 쉽게...기존 홈페이지와 달리 벅시(BUXI) 서비스에 대해서 좀 더 알기 쉽도록 별도의 페이지도 만들었고,디자인 적으로도 더욱 신경을 써서 만들었습니다.이용 규정에 대해서 좀 더 명확하게 알려드릴 수 있도록 고심하고 있으며,특히 문의가 많이 들어오는 반려동물 관련한 규정도 활발하게 논의 중에 있습니다.반려동물도 행복한 여행길이 될 수 도록,그리고 모두가 안전한 여행길이 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습니다.다시 한번 고생해 주신 분들께 다시 한번 박수를...음... 벅시(BUXI) 홈페이지 리뉴얼 이벤트라도 할까요?짠돌이 대표님이 허락을 안하시겠죠 뭐 하하하하그렇죠? 저를 유배 보낸 짠돌이 대표님?3. 채용 관련혹시라도 관심있으신 분이 있을까봐...후후후아래 링크를 한번 살포시 참조해주셔요.*대표님 개드립을 받아 칠 수 있는 분이라면  대환영!!*https://www.theteams.kr/recruit/wanted/1469?search=벅우리는 벅시, 영어로 BUXIBUS+TAXI 그래서 벅시(BUXI)공항을 오고가는 벅시(BUXI)나아가 차세대 교통플랫폼이 되고 싶은 벅시(BUXI) 입니다.항상 감사합니다.#벅시 #스타트업일상 #운영 #성장 #일지 #기업문화 #조직문화 #사내복지 #사무실풍경
조회수 1145

Single Layer Perceptron

Single Layer Perceptron이번 포스팅에서는 모든 인공신경망의 기초가 되는 perceptron의 개념에 대해서 배워보고, 이를 이용한 단층 퍼셉트론 구조를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퍼셉트론은 여러분이 고등학교 과학시간에 한 번쯤은 들어보았을 인간의 신경망, 뉴런으로부터 고안되었습니다. 퍼셉트론은 여러 개의 신호를 입력받으면, 하나의 신호를 출력합니다. 이 때 퍼셉트론이 출력하는 신호는 전달 혹은 차단이라는 1 또는 0의 값을 갖게됩니다. 직관적인 예시를 들어보도록 하죠. 여러분이 매달 초 용돈, 아르바이트비를 받거나(1) 받지 않는다(0)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여러분의 통장에 입금된 이 두 가지 수익을 input(입력) 신호라고 합니다. 이 때 여러분은 두 개의 수익이 합쳐진 통장 잔고를 확인하고 전부터 갖고 싶던 옷을 살지(1) 혹은 사지 않을지(0)를 결정합니다. 이렇게 여러분이 내리는 결정이 output(출력) 신호가 되는 것입니다.하지만 여러분의 의사결정은 이것보다는 복잡할 것입니다. 용돈은 거의 생활비로만 사용하고, 아르바이트비를 주로 취미생활에 사용한다고 가정해보죠. 그럼 여러분이 옷을 살지 여부를 결정할 때에는 아르바이트비가 들어왔는지가 좀더 중요할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각 input(입력) 신호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각각에 가중치(weight)를 주어 output(출력) 신호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것을 도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처럼 input에 weight가 곱해진 형태가 정해진(혹은 학습된) 임계치를 넘을 경우 1을 출력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0을 출력하게 하는 것이 퍼셉트론의 동작 원리입니다. 정말 간단하죠! 이는 아래 수식과 같습니다.하지만 임계치를 그때그때 바꿔주는 것은 조금 직관적이지 않습니다(저만 그런가요). 그래서 우리는 아래 형태로 식을 바꾸게 되며, 이 때 추가된 b를 bias 혹은 절편이라고 말합니다. 위 식은 여러분이 중고등학교 수학 수업을 잘 들었다면 굉장히 익숙한 형태일 것입니다. 바로 2차원 좌표축을 그리고 직선을 그었을 때, 그 직선을 기준으로 나뉘는 두 개의 공간을 표현한 식입니다. 역시 말보다는 그림이 이해하기 쉬울테니, 아래에 그림을 그려보도록 하겠습니다.위처럼 공간을 올곧은 직선으로 나누는 것을 선형으로 나눴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직선만으로 공간을 나누는 것은 유연하지 않습니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는 OR, AND, NAND 문제는 해결할 수 있지만, XOR 문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층을 하나 더 쌓고, 공간을 단순한 선형이 아닌 곡선으로 분리해내어 좀더 유연한 적용이 가능해져야합니다.(사실 XOR은 선형만으로도 층을 하나 더 쌓으면 해결이 가능합니다). 이에 따라 multi layer perceptron(MLP) 의 개념이 등장하고, activation function(활성함수) 의 개념이 등장하게 됩니다. 후에 활성함수의 개념을 배우게 되면, 지금 배운 단순 퍼셉트론은 활성함수로 계단함수를 가진 것과 동일하다는 것을 알게 되실겁니다.정리단층 퍼셉트론은 모든 딥러닝 공부의 시작이다.단층 퍼셉트론은 입력 신호를 받으면 임계치에 따라 0 또는 1의 값을 출력한다.이러한 단층 퍼셉트론은 결국 공간을 선형으로 잘라서 구분하는 것과 동일하다.
조회수 750

[모바일 앱분석] Step3. CONVERSION (성과 분석)

모바일 앱 분석의 마지막 3단계 Conversion (성과분석)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모바일 앱분석] Step1. MARKETING (마케팅분석)[모바일 앱분석] Step2. EXPERIENCE (사용자경험분석)마케팅 활동으로 아무리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좋은 경험을 제공해도 전환 최적화가 되어 있지 않다면, 투자 만큼의 결과(Outcomes)를 얻지 못해 지속적인 앱 운영의 어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Conversion 단계의 분석 핵심은 사용자의 전환 트렌드를 이해하고, 전환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도출하여 더 많은 전환을 획득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데 있습니다. 앱 비즈니스 마다 목표 값이 다르겠지만, 이번 설명에서는 커머스 앱 기준으로 설명했습니다.# 전환 트렌드 이해먼저 사용자의 주문이 집중되는 시점(시간/요일/계절 등)을 인지하는 게 중요합니다.  주문이 집중된다는 건 그만큼 구매 욕구가 증가하는 시점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시간을 활용한 이벤트로 높은 성과를 기대하거나 반대로 주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앱 업데이트, 서버 점검 등은 해당 시간을 피해서 작업하는 것이 좋습니다.데이터를 볼 때는 매크로 컨버전(거시적 전환) 지표가 중요하지만, 필히 마이크로 컨버전(미시적 전환)도 함께 봐야 합니다.  많은 주문을 얻기 위해선 당연하게도 ‘장바구니담기’, ‘바로구매시도’ 등의 전환이 많이 발생해야 하며, 주문까지의 연결율이 높아야 하기 때문에 이런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컨버젼 지표에 대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와이즈트래커 > 커머스 > 주문/매출액 리포트 )# 타겟별 선호 상품 파악커머스 업계에서 가장 뜨거운 기술은 바로 개인화(personalization)입니다. 개인화의 목적은 범용적 컨텐츠 제공이 아닌 나만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구매 확률을 높이고자 함입니다. 이 기술의 근간은 타겟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저에게 원피스, 브라우스를 수백번 보여줘도 구매할 확률은 0%이겠지만, 시계, 운동화 등의 관심 상품을 제시한다면 앞선 상품보다 구매 확률은 크게 증가할 것입니다. 이처럼, 상품 구매 데이터를 성별, 연령대, 직업 등의 사용자 정보를 다차원으로 조합 후 세분화하면 타겟이 선호하는 상품이 무엇인지 알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상품 구매 의사가 높은 최적의 타겟을 설정하고 마케팅 전략을 수립한다면 매스 마케팅과는 차원이 다른 ROI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와이즈트래커 > 커머스 > 상품별 주문/매출에서 다차원 세그먼트 적용 후 리포트 ) # 전환 시나리오 분석사용자가 주문(전화)을 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전환 시나리오라고 합니다. 전환 시나리오는 전환 단계별 통과율/이탈률 데이터 제공으로, 전환을 방해하는 문제 화면을 도출하여 개선의 힌트를 얻을 수 있는 리포트입니다.아래 예시를 보면 사용자가 주문을 하기 위해 1) 상품 상세 > 2) 장바구니 > 3) 주문정보 입력 > 4)주문완료, 총 4단계의 스텝을 밟게 되는데요. ‘상품 상세’에서 ‘장바구니’로의 이탈률(92%)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상품 조회 자체를 목적으로 온 사용자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주문정보 입력’까지 온 사용자는 구매의사가 매우 높은 사용자로, 81%의 높은 이탈률은 심각한 문제입니다.이를 통해 ‘주문정보 입력’의 통과율을 높이기 위한 폼 양식 리뉴얼, 결제 방식의 개선 등의 최적화 작업을 한다면 전체적인 주문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와이즈트래커 >  컨텐츠   > 화면이동경로 분석 리포트)앱 분석의 단계별 접근방법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모든 앱에는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존재합니다. 데이터는 개선의 방향을 알려주고, 실행(Action)은 성과 향상으로 답할 것입니다.* WISETRACKER는 모바일 광고 성과 측정부터 In-app 이용자/컨텐츠 분석, 푸시메시지 최적화까지 지원하는 모바일 통합 분석/타겟팅 솔루션입니다. 와이즈트래커 솔루션의 무료체험을 원하실 경우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WISETRACKER가 제공하는 무료 데이터 분석 컨설팅를 원하신다면 여기를 클릭해주세요.#와이즈트래커 #데이터분석 #성과분석 #마케팅 #마케터 #인사이트 
조회수 1367

[인공지능 in IT] 서로 다른 우리, 대화할 수 있을까?

설연휴 동안 그간 못 봤던 밀린 TV 프로그램들을 맘껏 즐기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냈다. 그 중에서도 여러 분야의 전문가를 초빙해 특강을 해주는 tvN의 '어쩌다 어른'을 보기 시작했다. 몇 년 전 언어인문학을 주제로 한 조승연 작가님편을 보니 새삼 현재 대한민국이 처한 현실을 피부로 느끼게 되더라.< tvN>강연에서 가장 심도있게 다룬 부분은 대한민국 영어교육의 현실이다. 초등학교부터 영어 수업을 듣고, 심지어 말도 제대로 떼기 전인 유아기부터 영어를 주입시키는 것이 어느새 자연스러운 일이 되어버렸다. 하지만, 10년, 20년 이상 영어 교육을 받았는데도 막상 영어로 문서 작업을 하거나, 외국인이 길을 물어보면 식은땀을 흘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째서 한국에서는 영어를 제대로 하려는 노력보다, 영어를 아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일까?재미있는 사실은 우리만 영어를 배우려고 애먹는 것이 아니다. 미국인이 한국어를 배울 때에도 비슷한 현상을 겪는다. 강연 중 'FSI(The Foreign Service Institute)'에서 미국인들이 다른 나라 언어를 얼마나 공부해야 소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 자료를 공개했다. 언어별 Level 1부터 Level 5까지 다섯 가지 난이도로 구분 되어있고, 이에 따른 총 필요시간으로 구성되어 있는 연구에서, 한국어는 일본어, 중국어와 함께 소통하기 까지 총 2,200시간을 공부해야 하는 Level 5군에 속해 있었다.즉, 전세계 7,000여 개가 넘는 언어 중 한국어는 영어와 문장구조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24시간 내내 공부해도 90일 넘게 공부해야 한다는 것. 이렇듯 모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어마어마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만약, 단순히 언어를 알기 위해 배우는 것보다, 소통하기 위해 배운다면 흔히들 말하는 'ROI(Return on Investment)'를 더 높일 수 있자 않을까.출처: 동아일보소통을 위한 언어 학습은 비단 사람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다. 기계와 사람의 소통 역시 요즘과 같은 인공지능 시대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몇 년 전부터 업계에서는 '챗봇(Chatbot)' 열풍이 불고있다. 챗봇은 대화(Chat)와 로봇(Robot) 두 단어를 합친 신조어로서, 각종 앱이나 웹을 기반으로 문자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대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계다. 여기에는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자연어 이해(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NLU)',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등 수많은 기술이 접목되어 발전 중이다. 현재 챗봇은 나날이 진화하며, 텍스트를 텍스트로만 처리하는 것을 넘어, '음성으로 변환(Text-To-Speech, TTS)'시키거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Speech-To-Text)'시키는 등 다양성에 있어 점점 넓은 범위에 적용되고 있는 추세다.< 출처: Understanding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Bill MacCartney >글로벌 챗봇 시장은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며, 여러 사업 분야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북미의 시장조사기관 'Credence Research' 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챗봇 시장은 2015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3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IT솔루션 기업 'MindBowser'가 조사한 결과, 95%의 기업이 챗봇 활용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고객응대(93%)부터, 마케팅(61%), 상품 주문(47%), 소셜 미디어(32%) 등 사업 분야에서 활용되는 용도 역시 다양한 것으로 밝혀졌다.챗봇은 어떠한 프로세스를 통해 실제로 작동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사내 엔지니어의 도움을 받았다. 스켈터랩스에서 대화형 인공지능 프로젝트팀에 있는 정태형 엔지니어가 메신저를 통한 간단한 시범 사례를 스크린샷으로 찍어 보여주었다.< 인공지능 메신저 사례, 출처: 스켈터랩스 >여행지를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엡에 적용할 수 있는 챗봇과의 대화다. 사용자가 "여행을 가고 싶다"고 말하자 자동으로 '카이트봇'이 반응하고, 여행 기간과 테마를 물어본다. 여기서 사용자가 "여행 기간"을 말하자 챗봇은 자동으로 '3월'과 '7일'을 인식, 이전 질문에서 대답하지 않은 테마에 대해 질문한다. 이렇게 사용자와 챗봇 사이에서 대화를 자연스럽게 주고 받을 수 있는 것은 대화의 구성 요소 중 '의도(Intent)', '개체(Entity)', '맥락(Context)'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자.의도(Intent)는 사용자가 어떠한 의도로 대화를 하는지를 의미한다. 위 스크린샷의 경우, 여행을 가는 것'이 의도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행 가고 싶어"가 아닌 "여행 가볼까?"로 입력하더라도 - 미리 여행을 가는 것에 대한 자연어 기반 패턴이 'Intent Classifier'에 입력되어 있는 상태라면 - 이를 '사용자가 여행을 가고 싶구나'라는 의도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개체(Entity)는 사용자의 의도 중에서 실체가 될 수 있는 변수를 말한다. 개체는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에서 특정한 변수가 달라질 때 사용된다. 위 스크린샷의 경우, '3월 3일', '해변', '일주일' 등과 같이 주로 명사 형태로 구성된 문장에 들어가는 구성 요소를 말한다.문맥(Context)은 이전 대화를 자연스럽게 이어갈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챗봇에게 "가수 빅뱅의 프로필을 검색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리고 빅뱅의 노래를 듣기 위해 "거짓말 틀어 줘"라고 명령하면, 기존에 빅뱅이라는 가수에 대해 대화하고 있던 문맥을 인식해 God의 거짓말이 아닌 빅뱅의 거짓말을 재생하는 것이다.이 외에도 챗봇에는 '말뭉치(Utterance)', '시나리오(Scenario)', '슬롯채우기(Slot Filling)' 등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해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다. 물론, 아직 100% 인간과 대화하는 기술까지 이르지는 못했다. 하지만, 우문현답하지 않고 사용자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수준에 이르러 생활에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한국어의 경우 언어의 난이도 때문에 국내 기업은 물론 많은 글로벌 IT 기업도 아직 완벽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 '잘 한다'라는 말만 하더라도 '훌륭하게 하다', '만족할 만하다', '자주 하다' 등의 긍정적인 표현이 있는가 하면, '잘 하는 짓이다' 등의 부정적인 표현인 경우도 흔하기 때문이다. 결국 챗봇도 기계이기 때문에, 여러가지 문장과 상황을 학습시켜 한국어 성능을 향상시켜야만 한다.다시 '어쩌다 어른'으로 돌아가보자. 강연을 마무리할 즈음 조승연 작가는 이렇게 말한다."영어도 결국 언어의 한 종류, 영어를 쓰는 사람들도 우리와 같은 사람, 우리처럼 희로애락을 느끼는 인간입니다. 기계와 얘기하기 위해 법칙에 맞춰 말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과 감정을 통하게 해주는 어떤 도구입니다."여전히 우리는 챗봇이라는 기계와 소통한다기 보다, 일방적으로 질문을 던지고, 챗봇은 미리 입력되어 있는 규칙 안에서만 답한다. 학습을 통해 수많은 데이터가 축적된다 하더라도, 아직까지 언어를 통해 전달되는 인간의 감정을 완벽히 이해하기에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과연 기계가 '법칙'에 맞춰서 말해야 하는 것 이상을 넘어서는 순간이 올까? 우리는 그 순간을 찾아 지금도 노력하고 있는지 모른다.이호진, 스켈터랩스 마케팅 매니저조원규 전 구글코리아 R&D총괄 사장을 주축으로 구글, 삼성, 카이스트 AI 랩 출신들로 구성된 인공지능 기술 기업 스켈터랩스에서 마케팅을 담당하고 있다#스켈터랩스 #기업문화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직문화 #인공지능기업 #기술기업
조회수 1667

[인터뷰]미미박스의 TECHNOLOGY를 이끄는 CTO KAY를 만나다

안녕하세요. Ava입니다.여러분에게 더 건강하고, 아름다운 라이프스타일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미미박스 뒤에는여러분의 니즈를 만족시키고 안정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발이끊임없이 진행되고 있습니다.오늘은 미미박스 TECHNOLOGY UNIT를이끌고 계신 김종광 CTO(이하 KAY) 님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KAY는 대기업과 IT기업에서 앱 개발과 웹 개발을 진행했던 커리어를 갖고 계신데요. 경력과 전문성 뿐만 아니라 개발자들이 상상할 수 있는 문화를 강조하며 만들어나가고 있습니다.항상 푸근한 아빠 미소로 미미박서의 질문과 제안을 받아주고,열린 리더의 모습을 보여주시는 KAY를 소개합니다.김종광 (Ka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전기전자공학 석사전) NC소프트전) SK communicationsUNIT1. KAY를 소개해주세요.Q. 안녕하세요. 항상 아빠 미소를 짓고 계신 KAY~KAY를 소개해주세요.A. 처음에 미미박스에 모바일 앱 개발 총괄로 입사했어요. 지금은 개발 UNIT 전체를 맡고 있고요. 세 가지의 주 업무가 있는데요. 개발 전체 프로젝트를 leading 하고 다른 팀과 연관된 업무에 대해서 지원하는 일과, 새로운 개발자를 충원하는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Q. 미미박스에 입사하시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A. 처음에는 지인이 추천해서 미미박스를 알게 되었어요. 그 후에 미미박스에 대해 조사를 해봤죠. 비즈니스 모델, 성장 가능성을 봤을 때 '될 것 같다'는 생각을 가졌어요. 그리고 몇 번 찾아갔었는데 회사 분위기가 활기차고 재밌었어요. 그리고 일하는 사람들 중에 아는 사람들이 4~5명 정도 더 있었어요. 이분들과 다른 구성원들을 보면서 '이 친구들이랑 같이 일하면 즐겁게 일할 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죠.Q. 여러 조직에서 있으셨던 만큼 개발 업무 자체에 대한 이유도 있을 것 같아요. A. 보통 기업에서는 개발자의 역할이 상당히 제한되어있어요. 업무에 대한 의사결정 권한이 거의 없죠. TOP-DOWN 방식으로 내려온 것들을 그냥 해야 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개발자들은 다들 알 거예요. 만들면서 '이거 안될 것 같다.'라는 감이 있는데, 느낌상으로 안될 것 같은 것을 만드니까 의욕이 생기지 않는 경우가 있었어요. 효과성보다는 어떤 서비스를 오픈했다는 것 자체가 실적이 되는 경우가 많거든요. Q. 그런 경우가 있군요. 그렇다면 미미박스 내에서는 개발 업무에 대해 어떤 식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나요?A. 업무에 대한 의사결정은 반반인 것 같아요. 우선 TECHNOLOGY UNIT 내부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 있어요. '이렇게 하면 회사와 서비스에 도움이 되겠다. 매출도 좋아질 것 같다. 사람들도 좋아할 것 같다'이런 의견을 내고 직접 만들 수 있고요. 서비스를 같이 진행하는 마케팅팀이나 플랫폼 운영팀에서 요청이 들어오면 그 요청에 대해 저희가 납득하고 하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업무에 대해서 일정을 짜고 진행해요. 각 요소 별로 개발 측면의 논의도 많이 하고 실제 만드는 사람의 의견이 많이 반영됩니다. Q. 직접 만들고 구축하는 사람들의 의견은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TECHNOLOGY UNIT을 이끌고 있는 UNIT 장님으로서 KAY의 하루 스케줄은 어떻게 되나요?A. 출근 후, 오전에는 집중 개발 업무를 하고 있어요. 제가 플랫폼 개발 팀장도 겸임하고 있거든요. 오후부터는 대부분 팀미팅이나 프로젝트 미팅을 많이 합니다. 프로젝트의 진행사항을 체크하고, 개발이 어려운 부분과 개발하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에 대해서 토론하죠. 그리고 새로운 개발 인력들 채용을 위해 면접을 많이 봅니다.Q. TECHNOLOGY UNIT 내부에서 소통과 역량 강화를 위해 주기적으로 여는 세션이 있다고 들었는데 소개해주세요!A. 일주일에 한 번씩 주니어 개발자를 대상으로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저는 스터디를 leading 하고 멘토 역할을 하고 있고요.이런 시간을 만들게 된 이유는 소통의 장을 만들고 개발자들의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입니다.주니어 개발자들이 시니어 개발자들 앞에서 의견을 내는 것에 대해서 소극적인 면이 있어요. 틀릴까 봐 의견을 쉽게 못 내죠. 그래서 주니어 개발자들끼리 모여서 얘기할 공간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서로 의견을 내고 토론하면서 개발에 대한 역량도 쌓고 의견을 내는 훈련도 할 수 있죠.그리고 DATA UNIT의 협조를 받아서 빅데이터 관련 스터디를 진행하고 있어요. 그래서 개발자들 중 관심 있는 사람이들 모여서 빅데이터 관련 LOGIC을 만들어보고, 아이디어를 실현시켜보는 작은 프로젝트를 그룹별로 진행하고 있어요.앞으로는 이런 세션들을 발전시켜 세미나를 열 예정이에요. 그래서 각 개발자들이 적어도 1년에 2번 이상은 주제 발표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려고 합니다. 개발 업무는 집중도가 높아서 건조해질 위험이 있어요. 집중하다 보면 일에 치여서 자기계발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계속 자기계발하는 분위기를 만들어가려고 합니다. 전사적으로도 그런 분위기가 계속 만들어지면 좋겠어요.Q. 건조하긴요! 제가 보기엔 개발팀들이 가장 활발하고 참여도도 높은 것 같은데요! 열려있는 분들도 많고요.A. 개발팀이 아닌 팀들이랑 많이 소통하라고 조언을 많이 해요. 미미투게더(2개 이상 팀이 함께 회식하면 회식비를 지원해주는 기업문화 제도)를 할 때도 개발팀 내부에서만 하지 말고 무조건 다른 팀들과 함께하라고 하고 있어요. 새로운 아이디어를 나눌 수 있고 인간관계가 힘이 될 때가 많기 때문에 다른 팀들이랑 얘기를 많이 나누는 게 필요하죠. UNIT2. TECHNOLOGY UNIT을 소개해주세요.Q. TECHNOLOGY UNIT을 소개해주세요.A. TECHNOLOGY UNIT에서는 지금 미미박스에서 서비스하는 모든 PRODUCT, 플랫폼, 모바일 앱, PC 웹, 내부 직원들이 쓰는 모든 것들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계약직이나 파견직의 고용형태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는데, 저희는 모든 구성원이 정직원으로 개발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Q. TECHNOLOGY UNIT의 분위기는 어떤가요?A. 개발자라는 직무를 하는 사람들은 생각 자체가 자유로워야 합니다. 경직되어있으면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죠. 그래서 TECHNOLOGY UNIT은 최소한의 규제나 룰을 두고 자유롭게 활동하게 하고 있어요. 특별한 일이 아니면 회의 소집도 지양하고 있어요.다양하게 상상하려면 경직되지 않고, 룰에 집착하지 않는 문화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에요. 그래야 본인의 의견도 편하게 이야기할 수 있죠. 구성원들을 보면 시니어 개발자들은 적응을 잘해요. 주니어 개발자들이 아직 조금 경직되어있긴 해요.지금 신입 공채 2기를 뽑고 있는데요. 보통은 스타트업에서 입사 후 바로 투입될 수 있는 사람을 뽑아요. 하지만 저는 확신이 있어서 저희 미미박스의 DNA를 가지고 처음부터 함께할 수 있는 신입을 뽑고 싶어요. 미미박스의 DNA를 가지고 더 성장하게 되면 저희 개발 조직에 기둥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채용공고 보러 가기 클릭>Q. KAY와 함께 하는 구성원들이 점점 부러워지네요. 정말 구성원들의 성장에 많은 비중을 두고 여러 계획을 실천하는 것 같아요. 미미박스에는 여성 개발자도 점점 많아지는 것 같은데 재미있는 에피소드 있나요?A. 먼저 여성 개발자들의 비중이 점점 늘어나고 있어요. 우리가 여성 고객을 위한 서비스를 많이 하고 있잖아요. 그 감성을 같이 공유할 수 있는 사람이 많아지면 기술적인 부분뿐 아니라 감성적인 부분에서도 큰 시너지가 나죠. 실제로 웹페이지에 제품 가격이 잘못 올라간 적이 있어요. 저희 남성 개발자들이 그 데이터를 먼저 보는데 '이게 맞는 가격인가' 의심하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어요. 그때 여성 개발자분이 '이 제품이 이 가격이 아닐 텐데? 문제를 제기했고 다행히 수정할 수 있었죠. Q. 그래도 남성 개발자들의 화장품 가격에 대한 감이 점점 정확해질 것 같아요. 호호KAY 님이 UNIT을 운영하시면서 가장 보람을 느끼신 적은 언제인가요?A. 고객들이 많이 와서 저희 서비스를 이용해 주실 때 보람을 느낍니다. 저희 UNIT 자체에서도 무언가를 만들어가고 있다는 것을 느끼고, 실제로 좋은 반응을 얻었을 때 기분이 정말 좋아요. Q. 점점 더 많은 분들이 미미박스를 찾아주신다는 게 느껴져요! 앞으로의 목표는 무엇인가요?A. 첫 번째는 글로벌로 플랫폼을 옮기는 것입니다. 저희 내부에서 개발한 플랫폼과 서비스가 점점 확대돼서 미미박스가 해외에 진출할 때마다 플랫폼을 그대로 이동시켜 글로벌화하는 것이 첫 번째 목표고요. 두 번째는 앞으로 온라인을 넘어 오프라인에 대한 서비스도 진행할 예정이에요. 현재 미미박스 플랫폼과 오프라인 요소의 연계성을 찾고 최고의 고객 경험을 만드는 것이죠. 일반적인 O2O 서비스를 넘어 대부분의 고객이 여성이기 때문에 IT 기술 자체가 숨어있고, 알아서 돌아가게 만드는 서비스를 만들 것입니다.미미박스는 뷰티에 대해서 많은 강점과 다양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런 것들을 통해 저희만 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고 싶어요. 마지막은 Data-driven 방식을 더욱 견고히 가져가는 것이에요. 축적되어있는 경험과 데이터를 통해서 고객 맞춤형 서비스에 대한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죠. Q. 글로벌 플랫폼, O2O 서비스, Data-driven 앞으로의 TECHNOLOGY UNIT이 만들어낼 것들이 기대돼요. 두근두근. 마지막으로 KAY가 TECHNOLOGY UNIT을 리드하면서 가장 집중하는 3가지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A.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 개발자들의 커리어를 관리해주는 것이에요. 이분들이 미미박스에 와서 자기의 역량이 발전하지 않고 정체되다면 제가 역할을 제대로 못했다는 뜻이거든요.그래서 구성원들이 고생을 하든 뭘 하든 해가 갈수록 성장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어요. 두 번째는 우리가 TECH 조직이기 때문에 서비스가 아주 정상적으로 운영되는 것이 목표에요. 단순한 장애를 없애는 것뿐만 아니라 계속 플랫폼이 발전하면서 문제가 없게 만들어야 하죠. 매출, 데이터가 계속 쌓이면서 안정적인 서비스를 만드는 것, 기본적인 것 같지만 가장 중요한 것 같아요. 마지막으로는 Align이에요. 개발팀이 성장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 역량을 강화시키다며 보면 회사의 목표에 Align 되는 것을 놓칠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개발자들이 관심 있는 것들과 회사의 목표를 Align시켜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집중하고 있습니다.UNIT2. TECHNOLOGY UNIT으로서 어떤 사람과 일하고 싶나요?Q. TECHNOLOGY UNIT에서 일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역량은 어떤 것이 있나요?A. 첫 번째로 성장 가능성을 봅니다. 성장 가능성에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지만 적극적이고, 새로운 지식에 대한 욕구가 항상 강한 사람이어야 합니다. 배우고 싶은 열망, 해보고 싶다는 열망을 가지고 실제 구체적으로 실행해본 경험이 있고, 뭔가를 해본 사람이 성장 가능성이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면접을 볼 때마다 항상 물어보는 것이 '5년 후 계획, 5년 후 모습은 어떨 것 같아요?'에요. 면접자가 적극적으로 대답하면 '그것을 위해 어떤 실행계획이 있는지' 물어보죠.두 번째로는 스타트업 마인드 FIT이 맞는 것이에요. 저도 미미박스에 처음 왔을 때 힘들었어요. 갖춰져 있는 게 없었거든요. 하나부터 열까지 하려면 뭔가 어디서 걸리는 거예요. 큰 회사는 세팅이 다 되어있는데 말이죠. 그래서 뭔가를 하려면 그 업무뿐 아니라 처음부터 다 찾고 만들어야 해요. 이렇게 만들어가는 걸 좋아하는 사람이 있어요. 준비가 안되어있다고 불평하는 것이 아니라 부족한 환경에서 할 거리가 많은 것을 반기는 사람들. 이런 사람들은 '이것저것 해봐야지~' 신나있어요. 이런 마인드 FIT을 많이 봅니다.Q. 스타트업 마인드 FIT 정말 공간되는 말인 것 같아요. 저도 갖춰져있는 틀에서 무언가를 하는 것보다 이것저것 찾아서 만드는 걸 좋아하거든요! 그런 분들이 많이 오시면 재밌는 일이 많이 벌어질 것 같아요. 우리 미미박스의 비전은 'Beautify the people'인데요. 혹시 취업이나 이직을 준비하는 분들께 이것만은 아름답게 관리하라고 조언하고 싶은 게 있나요?A. 이력서와 경력기술서를 아름답게 해야 해요. 개발자들 중에 '내 역량만 좋으면 되지'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자신의 커리어 패스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거든요. 회사에서 처음에 서류전형을 진행하는 게 많은 내용을 내포하고 있어요. 경력기술서의 내용이 부실하면 회사도 본인도 FIT이 맞는 곳을 찾기가 어려워지죠. 어디서든 인정받는 사람이 되려면 자신의 업무와 역할을 충실하게 표현한 경력기술서를 작성하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Q. 정말 실질적인 조언이네요. 누구보다 깊게 고민하고 집중한 일일수록 경력기술서와 이력서를 잘 쓸 수 있고 자신의 경력도 잘 전달할 수 있을 것 같아요.마지막으로 함께 일하고 있는 미미박서분들께도 한마디 해주세요!A. 제가 여기 처음 와서 한 이야기가 있어요. "여기가 제 마지막 회사입니다."그렇게 이야기한 이유는 미미박스의 성장 가능성, 발전 가능성을 보았고 믿음이 있기 때문이죠. 모두가 같이 노력한다면 원하는 것을 이룰 수 있을 거라 생각해요. 다 같이 파이팅!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