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홈

인터뷰

피드

뉴스

조회수 1182

아토큐브 is Real Startup!

권한과 책임“책임과 자유, 상호 존중이 중요한 기업입니다. 호칭부터 영어 이름이나 –님이라고 서로를 부릅니다. 수평적 호칭으로 바꾸니 수직적인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사라져 건설적인 토론을 할 수 있더라고요. 아토큐브는 휴가나 반차도 결제받지 않고 본인 업무에 책임만 질 수 있다면 자유롭게 쉴 수 있어요. 출퇴근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예요. 솔직히 5시에 퇴근하는 분은 없어요. 다들 일이 남으면 집을 안 가세요. 팀원들은 보통 10시, 공동창업자들은 새벽 1시까지 일을 하세요.”자유로운 기업 문화팀원들에게 대표의 눈치를 정말 보지 않느냐고 물으니 약속한 듯이 “전혀 안 본다”고 이구동성으로 답했습니다. (팀원들끼리 자유롭게 말하라며 한 대표는 사무실로 복귀해 팀원 인터뷰는 대표 없이 진행됐습니다.) 안사대부 개발자는 “몇 개월을 팀원들과 함께 제품 개발에 빠져 있다 보면 어느 새 제 사업처럼 느껴진다”고 했습니다.팀원들의 인터뷰에 비춰 볼 때 그는 팀원들에게 업무를 ‘강요’하기보다 ‘주체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 같았습니다. 실제로 한 대표의 최근 고민은 팀원들이 업무시간에 최대한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제 시간에 기꺼이 퇴근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거랍니다.팀 빌딩의 기본“저희 팀원 모두가 각자 전문 역량을 갖추면서도 영업도 언제든 할 수 있을 만큼 외향적이고 회사 제품에 대한 열정이 가득합니다. 함께 할 팀원을 찾을 때 능력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이지만 아무나 지닐 수 없는 인성, 매너, 상호존중을 많이 봤어요.”누군가에게는 뜬구름 잡는 이야기인 것 같지만 실제로 그런 조건의 인재를 찾기 위해 저는 장시간 인터뷰를 통해 팀원을 뽑았습니다.문제해결능력“단순한 스킬보다는 문제 해결 능력을 지닌 분을 원합니다. 스타트업에는 하루에도 수십 번씩 다양한 이슈들이 발생하는데, 이런 문제들을 다 해결해야 하잖아요. 벽에 막혔을 때 포기하거나 방법을 못 찾으시는 분이 있지만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분이 있습니다. 그런 분들을 원합니다. 스타트업은 끊임없이 문제를 찾아 해결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역량을 지닌 분인지 알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 인터뷰가 필요해요. 서윤호 pm을 뽑을 때도 네 시간씩 세 번 만났습니다. 저는 상호면접이라고 표현합니다. 상대방도 저나 회사에 대한 궁금한 점을 물어보고 저도 그분에 대해 물어보고요.”#아토큐브 #기업문화 #조직문화 #사내문화 #팀워크 #스타트업 #필요능력 #자유 #팀빌딩 #자율 #문제해결 #권한 #책임
조회수 2531

Next.js 튜토리얼 3편: 공유 컴포넌트

* 이 글은 Next.js의 공식 튜토리얼을 번역한 글입니다.** 오역 및 오탈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발견하시면 제보해주세요!목차1편: 시작하기2편: 페이지 이동 3편: 공유 컴포넌트 - 현재 글4편: 동적 페이지5편: 라우트 마스킹6편: 서버 사이드7편: 데이터 가져오기8편: 컴포넌트 스타일링9편: 배포하기개요Next.js는 전부 페이지에 관한 것입니다. React 컴포넌트를 export하고 그 컴포넌트를 pages 디렉터리 안에 넣어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파일 이름을 기반으로 고정된 URL를 가지게 됩니다.export 된 페이지들은 JavaScript 모듈이므로 다른 JavaScript 컴포넌트를 이 페이지들 안에 import 할 수 있습니다.이는 어떤 JavaScript 프레임워크에서든 가능합니다.이번 편에서는 Header 컴포넌트를 만들고 여러 페이지들에서 사용해 볼 예정입니다. 마지막에는 하나의 Layout 컴포넌트를 구현하고 어떻게 이것이 여러 페이지들의 모양을 정의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살펴볼 것입니다.설치이번 장에서는 간단한 Next.js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합니다. 다음의 샘플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주세요:아래의 명령어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이제 http://localhost:3000로 이동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Header 컴포넌트 구현하기Header 컴포넌트를 구현해봅시다.다음과 같은 components/Header.js를 추가해주세요.이 컴포넌트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가능한 페이지에 대한 두 개의 링크가 있습니다. 또한 보기 쉽도록 링크를 스타일링 하였습니다.Header 컴포넌트 사용하기다음으로 페이지들 안에 Header 컴포넌트를 import하고 사용해봅시다. index.js 페이지를 다음과 같이 변경해주세요:about.js 페이지도 똑같이 변경할 수 있습니다.지금 http://localhost:3000로 이동하면 새로운 Header가 보이고 페이지 이동이 가능합니다.이 애플리케이션에서 간단한 몇 가지를 수정해봅시다!-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세요.- conponents 디렉토리의 이름을 comps로 바꾸세요.- ../components/Header 대신에 ../comps/Header로부터 Header를 import 하세요.- 애플리케이션을 다시 실행시키세요.동작하나요?- 네- 아뇨. "컴포넌트를 찾을 수 없습니다"라는 에러가 발생합니다.- 아뇨. "컴포넌트는 components 디렉토리 안에 있어야합니다"라는 에러가 발생합니다.- 아뇨. "comps는 잘못된 디렉터리입니다"라는 에러가 발생합니다.컴포넌트 디렉토리예상대로 잘 동작합니다.꼭 특정한 디렉토리에 컴포넌트를 둘 필요는 없습니다. 원하는 대로 이름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특정한 디렉토리는 pages 디렉토리뿐입니다.pages 디렉토리 안에 컴포넌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Header 컴포넌트는 이를 가르키는 URL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pages 디렉토리 안에 두지 않았습니다.레이아웃 컴포넌트애플리케이션 안의 다양한 페이지에서 공통의 스타일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공통 레이아웃 컴포넌트를 만들고 각 페이지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 예시가 있습니다:components/MyLayout.js에 다음의 내용을 추가해주세요:위와 같은 코드를 작성하면 다음같이 원하는 페이지에서 레이아웃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http://localhost:3000 페이지로 이동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이제 레이아웃에서 {props.children}을 지워보고 무슨일이 일어나는지 살펴봅시다.무슨 일이 일어날까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표시되는 페이지의 내용이 사라질 것이다- "레이아웃은 내용이 필요합니다"라는 에러가 발생할 것이다- 브라우저의 컴포넌트에 대한 경고 메시지가 표시될 것이다하위 컴포넌트 렌더링하기{props.children}을 삭제하면 Layout은 아래와 같이 Layout 엘리먼트 하위에 둔 내용들을 랜더링하지 못합니다:이것은 레이아웃 컴포넌트를 생성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다음은 레이아웃 컴포넌트를 생성하는 다른 방법들입니다: 컴포넌트들 사용하기공유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두 가지 경우를 다뤘습니다.1. 공통 Header 컴포넌트2. 레이아웃스타일을 지정하고 페이지 레이아웃 및 기타 원하는 모든 작업에 컴포넌트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NPM 모듈에서 컴포넌트를 import 하고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트레바리 #개발자 #안드로이드 #앱개발 #Next.js #백엔드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회수 2085

스켈티인터뷰 / 스켈터랩스의 PM 이민학 님을 만나보세요:)

Editor. 스켈터랩스에서는 배경이 모두 다른 다양한 멤버들이 함께 모여 최고의 머신 인텔리전스 개발을 향해 힘껏 나아가고 있습니다. 스켈터랩스의 식구들, Skeltie를 소개하는 시간을 통해 우리의 일상과 혁신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들어보세요! 스켈터랩스의 PM(Parenting Master & Product Manager) 이민학 님을 만나보세요:)사진1. 스켈터랩스의 Parenting Master & Product Manager 이민학 님Q. 뻔한 첫 질문이지만, 자기소개를 부탁한다.A. 이름은 이민학. 이전까지 UX 기획 일을 주로 하다가 이번에 스켈터랩스에 합류하며 PM(Product Manager)을 맡게되었다. 이제 스켈터랩스에 입사한 지 2개월이 조금 지났다. Q. 스켈터랩스에 어떻게 합류하게 되었는가.A. 지인을 통해 스켈터랩스를 알게되었다. 스켈터랩스가 소개된 뉴스기사나 페이스북 등의 컨텐츠를 보면서 ‘재미있는 회사구나’ 라는 생각을 막연히 가지고 있었다. 때마침 4차 산업혁명이 본격적인 화두로 떠올랐고, 세상이 어떻게 바뀔지 모르겠다는 생각도 했다. 지금까지의 산업 혁명의 특정한 분야가 주도하는 형태로 일어났다면, 4차 산업혁명의 키는 ‘융합'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융합의 바탕에 인공지능이 존재한다고 믿는다. 현재의 시장보다는 미래 시장을 대비해야겠다는 생각에 스켈터랩스의 합류를 결심하게 되었다.Q. 미래 시장에 대한 준비라지만, 대기업에서 오랜 기간 근무하다가 스타트업에 합류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결심이지 않은가.A. 쉽지 않았던 것은 맞다. 흔히 잘 할 수 있는 일, 그래서 내가 수행하기 쉬운 업무를 찾아가지 않나. 스켈터랩스의 PM 업무 자체가 내게는 잘 할 수 있는 일도, 수월한 일도 아니었다. 그러나 ‘지금 도전하지 않으면 못한다'라는 생각이 컸다.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끌고 나가는 일을 좋아하는 성격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UX 기획에서 나아가 기획 업무로 영역을 넓혀 왔고, 현재의 업무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 시장에서 도태되지 않으려면 이렇게 하나씩 업무의 영역을 깊고 넓게 헤쳐나가는 일이 필수적이라고도 생각했다. 무엇보다 대기업에서는 직무를 바꾸는 것이 한계가 있지 않나. 때문에 지금 스타트업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PM이라는 한 단계 넓은 업무를 수행하며 커리어를 발전시키고 싶었다. Q. 앞서 지금까지 UX 기획을 주로 맡아왔다고 말했다. UX 기획은 어떤일인가, 그리고 UX 기획과 PM의 업무는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다.A. UX 기획은 한마디로 사용자의 경험을 바꿔주는 업무라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코카콜라를 마시던 소비자가 펩시를 마시게 만드는 것이랄까. 그러기 위해서는 물론 제품 디자인부터 마케팅, 개발 등 여러 업무가 필요한데 UX 기획은 이를 전달하는 채널 단에서 다양한 소스를 융합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가치를 만드는 역할이다. 기존의 사용자의 경험을 개선하는 것부터, 완전히 새로운 경험에의 접점을 만드는 것 까지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이러한 UX 기획은 일종의 업무 영역이 생각보다 명확하다. 어느 정도 기획이 완료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UX 기획이 프로젝트를 끌고 나갈 때 어떠한 가치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지 고민하는 작업이라면, PM은 훨씬 그 앞 단의 고민부터 수행하게 된다. 그래서 이전의 업무가 How와 What을 풀어내는 일이었다면, PM은 Why에 대한 답까지 찾아나가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Q. 설명을 들어도 아직까지 모호한 것 같다. 다시 한 번 질문하고 싶다. PM 업무의 가장 어려운 점을 꼽으라면?A. 나만의 UX를 평가하는 공식이 있다. 가장 단순하게는 100명의 사용자 중에 70명이 좋아한다면  70점이라고 매긴다. 여기서 나아가, 사용자에게 일종의 가중치를 부여한다. 핵심 사용자에게는 3배의 가중치를 매기고, 2차 사용자에게는 1.5배를 주는 식이다. 이런 방식으로 사용자의 가중치 곱을 하여 UX를 평가해왔다. 이 공식이 가능했던 이유는 UX가 기획 단계에서부터 분명한 타깃을 가지고 있고, 타깃에 대해 깊이 알수록 어떤 경험을 제공해야 적절한지에 대한 판단도 가능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PM 업무는 백지 상태에서부터 출발하는 일이다. 타깃은 물론, 내가 만드는 제품의 가치, 컨셉, 개발에 대한 명확한 이유까지 모두 내가 추론하고 고민해야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의 추론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만 팀원, 나아가 일반 사용자까지도 설득할 수 있다. 이 지점이 가장 어려운 부분인 것 같다. Q. 업무의 수행 영역이 굉장히 넓고 어려워보인다.A. 나도 아직까지는 헤매는 기간인 것 같다. 처음에 UX 기획에서 나아가 기획 업무를 수행할 때에도 초반 6개월은 끊임없이 맨땅에 헤딩하듯 부딪히고 공부하는 과정이었다. 지금의 PM 업무도 마찬가지다. 완벽하게 그림을 그렸다고 생각했는데도 막상 문서화 단계에 들어가면 구멍이 보이기가 일수다. 이 적응기가 6개월보다는 적게 걸리도록 노력하는 중이다.사진2. 스켈터랩스 내에서의 이민학 님 회의 모습Q. 스켈터랩스에서 일을 해 보니 어떠한가. 개인적인 갈증은 해소되었는지.A. 일단 분명하게 이전 업무보다 훨씬 재미있다. 업무 자체의 성격도 그러하지만, 함께하는 구성원들의 열정도 이 재미를 배가시키는 것 같다. 다들 자신이 만드는 서비스에 대해서 애정도 대단하고, 기본적인 태도가 굉장히 액티브하다. 대기업에서 받을 수 있는 업무적 스트레스도 훨씬 덜하다. 가령 대기업에서는 결정권한자가 확실하게 정해져있고, 파워가 크기 때문에 종종 비합리적인 일이 벌어지기도 한다. 결정의 순간에 어쩔 수 없이 한 사람 의견에 끌려갈 때도 많다. 그래서 이전에는 임원에게도 찾아가 ‘당신은 A를 좋다고 하지만 당신은 사실 많은 사용자 가운데 한 사람일 뿐입니다' 류의 설득을 몇 번씩 하기도 했다. 이런 부분이 생각보다 시간이 꽤 소모되었고, 업무 진행 속도를 저해하기도 했다. 그러나 스켈터랩스에서는 의사 결정을 위한 과정 자체가 열려있다. 오픈마인드로 다들 솔직하게 논의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기 위해 노력한다. ‘모두의 의견을 반영한다' 라는 말은 현실에서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지만, ‘모두의 의견을 듣는다'는 가능하다.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기 때문에 개발자끼리도, 디자이너끼리도 서로 다른 방향을 제시하는데 이때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결정을 위한 논의가 제대로 흘러가는 느낌이다. Q. 그래서 구체적으로 어떤 업무를 맡고있는가.A.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현재 베타버전을 출신한 맥락인식(Context Recognition) 서비스인 큐(Cue)다. 큐는 정식 런칭 전에 비전을 명확히하고 개발을 거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치를 높이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희미했던 큐의 청사진을 구체화해야 하다보니 다양한 그림을 그려보고 회의를 거치며 영감을 얻으려고 한다.두 번째는 부품 결함 검출(Defect Detection)에 특화된 엔도어(Endor) 솔루션이다. 두들은 이미 공장에 도입되어있고, 높은 결함 판정율을 자랑한다. 1차적 성과를 이미 독보적으로 냈기 때문에, 이후에는 공장의 다른 라인이나 다른 산업 분야에 적용시켰을 때도 원활히 돌아갈 수 있도록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엔도어(Endor)의 경우 해결할 만한 과제가 눈 앞에 있지만, 시간적 여유가 부족한 상황이다. 그래서 올해의 목표는 숨통을 트이자로 잡았다. 쉬엄쉬엄 하자는 것이 아니라, 일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일종의 프로세스를 구축하자는 것이다. 때문에 우리의 핵심 영역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나열해보고 기존 서비스의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고민을 병행하고 있다. 올해의 목표가 성공적으로 완수된다면, 내년부터는 인공지능의 Vision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할 계획이다.Q. 한 번에 두 개 프로젝트의 PM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쉽지 않겠다. 여러 개의 일을 병행하는 자신만의 노하우가 있다면. A. 노하우 같은 것은 없다. ‘그냥 버틴다'가 나만의 노하우라면 너무 무책임한가. 이전에는 업무들이 버거운 경우가 훨씬 많았다. 그 때는 그냥 친구들이랑 음악들으면서 술 한잔 하며 스트레스를 풀곤 했다. 그러나 결혼 후 두 아이의 아빠가 된 지금, 스켈터랩스 퇴근 후에는 육아로의 출근을 해야한다. 친구들과 늦은 밤까지 술 마시기가 불가능해졌지만, 다행히도 업무에 대해서는 일종의 면역이 생겼달까. 아무리 버겁더라도 익숙해 진다는 것을 안다. 무엇보다 이 곳에서는 업무 외적인 스트레스는 없다. 두 개의 프로젝트는 현재 각 프로젝트에서 가지고 있는 고민의 결이나 방향성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병행이 녹록치는 않다. 그렇지만 시간이 지날 수록 더 익숙해질 것이고, 확실하게 업무의 효율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경험으로 익혀왔다. 때문에 지금은 그냥 그때 그때 닥쳐오는 일에 매진하려고 한다.Q. 팀을 자랑한다면?A. 큐 서비스를 개발하는 팀인 아이리스(Iris)는 정말 젊다. 실제 나이로도 젊은 편이긴 하나, 무엇보다 분위기가 젊다고 할까. 이전에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해왔지만 이렇게 모두가 눈을 반짝이는 경우는 본 적이 없다. 그만큼 이 서비스에 대해 고민이 깊었고, 애정이 크다는 뜻이라고 생각한다. 억지로 끌려가는 사람 한 명 없이, 모두가 열정을 보이며 훌륭한 팀워크를 자랑하는 팀이다.엔도어 솔루션을 개발하는 두들(Doodle) 팀은 언뜻 보면 상대적으로 조용한 팀이다. 그러다가도 점심을 먹을 때면 다들 수다를 펼치는데, 그 주제가 모두 인공지능 학계의 뉴스나 논문 같은 것들이다. 가끔 대학교에 온 것 같은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학구적인 이들이 모인 만큼 개발에 대한 자발적인 스터디나 토론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앞으로의 성과가 정말 기대되는 팀이다.Q. 스켈터랩스의 문화에 대한 얘기도 듣고 싶다.A. 스켈터랩스에 입사하기 전에 자율적인 출퇴근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는 점은 알고 있었다. 그래도 나는 몇 번이고 되물었다. ‘그래서 보통은 몇시에 출근해요?’. 그러면 답변이 한결 같았다. ‘그냥, 알아서 출근하시면 됩니다'. 자율적으로 출퇴근해서 대체 일이 어떻게 돌아가나 싶었는데, 입사해서 보니 알겠더라. 출퇴근 시간은 중요하지 않았다. 물론 모두가 함께하는 미팅 시간은 존재하지만, 그럼에도 자율적으로 일을 하는 문화가 이토록 훌륭히 책임감있게 정착되어 있다는 점에 놀랐다.그리고 블루룸(탁구, 당구, 게임 등의 시설이 완비되어있는 스켈터랩스의 놀이터)의 경우도, 놀랐던 부분이다. 이런 류의 시설을 많은 기업이 운영하고는 있지만 그것이 그냥 보여주기 식에 그치기가 일수다. 초반에는 잘 운영된다 싶다가도 서로 서로 눈치를 보는 탓에 금방 무용지물의 공간이 되기 쉽다. 그런데 우리는 실제로 너무나도 열심히 블루룸을 즐기고 있지 않나. 블루룸에 사람이 없는 경우를 찾기 힘들 정도다. 최근에는 아이리스 팀 회식을 한 적이 있다. 그때 회식 술자리가 끝나고 나는 육아를 위해 집으로 돌아갔는데, 다음 날 들어보니 팀원들이 모두 회사로 돌아가 2시간을 더 놀고 갔다고 말하더라. 회식을 마치고 회사로 돌아가서 ‘논다' 라고 표현할 정도의 문화, 그 가운데에서도 업무의 책임이 훌륭하게 분배되고 수행되는 문화의 균형이 정말 감탄스럽더라.사진3. 이민학 님의 가족 사진, 두 아이 덕분에 Parenting Master로 거듭났다는 후문Q. 워킹대디로서의 삶도 궁금하다. 하루를 어떻게 보내는가.A. 실무의 반복이다. 회사로의 출근과 집으로의 출근을 둘 다 하고 있다. 아침에는 자유로운 출퇴근 시간 덕에 첫째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고 출근한다. 회사에서 집까지가 가깝지 않기 때문에 붐비는 출근 시간을 피해서 느즈막히 출근하는 것이 편하기도 하다. 스켈터랩스에서는 회의가 잦다. PM이라는 업무 자체가 팀원 모두의 이야기를 듣고 그 속에서 영감을 얻거나 서비스를 구체화하기 때문에 회의가 필수적이기도 하다. 육아를 하며 가장 달라진 점은 ‘불금'에 대한 인식이다. 흔히 직장인들이 금요일을 가장 좋아하고 해방의 기쁨을 느끼지 않나. 나는 사실 반대다. 육아는 생각보다 체력이 많이 소모되는 일이더라. 첫째 딸이 한창 예쁠 시기기도 하여 육아를 하는 것이 마냥 버겁다기 보다는 행복한 순간도 많다. 하지만 왠지 일요일 밤이면 육아 퇴근의 기쁨에 후련하게 잠이 드는 날이 많아졌다.Q. 스켈터랩스에서 개인적으로 이루고 싶은 것이 있다면?A. 우리집에 인공지능 스피커가 있다. 주로 음악을 트는 용도로 사용하는데, ‘동요 틀어줘'와 같은 명령어를 많이 사용했던 것 같다. 그 모습을 지켜본 첫째 딸 아이가 어느 순간부터 스피커 앞에 앉아 말을 걸더라. 그 때 ‘이 아이가 자라나 경험하는 세상은 완전히 내가 사는 세상과 다르겠구나' 라고 느꼈다. 인공지능을 기반의 서비스에 익숙한 딸 아이 또래들이 20년 후에 어떤 세상을 살 것인지 궁금해졌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딸 아이에게 어떤 것을 알려줘야 할지, 무엇을 경험하게 해야할지에 대한 고민도 깊어졌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이 20년 후에 펼쳐질 세상에 대한 실마리를 찾는 과정이지 않을까 싶다.일단 1차적으로는 내가 맡고 있는 업무에 대해서 만큼은 A to Z를 완벽하게 커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싶다. 최 앞단의 기획부터 개발 후의 사용자 반응까지 제대로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PM으로 나 자신을 발전시키는 것이 우선 과제인 것 같다. 향후에는 아이에게 자부심있게 소개시켜줄 수 있고 아이의 응원을 받을 수 있는 나만의 일을 만들고 싶다.  #스켈터랩스 #사무실풍경 #업무환경 #사내복지 #기업문화 #팀원인터뷰 #팀원소개 #팀원자랑
조회수 1592

공용 계정용 OTP 관리방법

제대로 된 기업용 서비스라면 의례 다중 계정과 권한 제어 기능을 함께 제공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공용 계정을 굳이 만들 이유가 하나도 없다. 하지만 일부 서비스(그리고 대부분의 한국의 기업 서비스)는 단일 계정만 지원하는데다 AWS 같은 서비스도 root 계정이 따로 있어서 계정 관리 이슈가 불거지기 마련이다. 계정 아이디와 암호의 경우는 LastPass 같은 기업용 계정 관리 서비스를 사용하거나 팀 공용 계정 비밀번호 관리하기에서 소개된 방식과 같이 약간은 불편하지만 비용이 들지 않는 수단을 도입하여 관리하면 된다. 그런데 MFA 또는 2FA(2-Step Verification)라고도 부르는 OTP로 계정을 보호할 때는 OTP 정보를 공유하기가 쉽지 않다. 일반적으로 MFA 계정은 Google Authenticator 같은 앱을 설치해 관리한다. OTP 정보와 계정 암호를 한 계정에서 관리하지 않아야 한쪽이 노출되어도 보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Google Authenticator와 Authy 같은 도구를 특정 휴대폰에 설치하면 여러 사람이 OTP 정보를 공유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그래서 몇가지 솔루션을 찾아보았는데 “이거다!” 싶은 건 없어도 gauth라는 명령줄 기반 도구에 안착하게 되었다.gauth.csv라는 파일에 OTP 정보를 아래와 같이 입력하고AWS: ABCDEFGHIJKLMNOPQRSTUVWXYZ234567ABCDEFGHIJKLMNOPQRSTUVWXYZ234567 Airbnb:abcd efgh ijkl mnop Google:a2b3c4d5e6f7g8h9 Github:234567qrstuvwxyzgauth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OTP 토큰을 확인할 수 있다.$ gauth prev curr next AWS 315306 135387 483601 Airbnb 563728 339206 904549 Google 453564 477615 356846 Github 911264 548790 784099 [======= ]이제 gauth.csv 파일만 라스트패스 등으로 제한된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유하면 된다.개선 사항DailyHotel/gauth는 pcarrier/gauth를 개선한 tuxmartin/gauth를 Docker 이미지로 감쌌다. 그래서 Golang 개발환경을 갖추고 소스코드를 빌드하지 않아도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자세한 사용법은 README 문서에 적어두었다.#데일리 #데일리호텔 #개발 #개발자 #개발팀 #인사이트 #꿀팁
조회수 5077

AWS Instance Scheduler Bot 적용기

이 포스팅은 총 2부로 이어지며 현재는 2부입니다.1부 : AWS 비용 얼마까지 줄여봤니?2부 : AWS Instance Scheduler Bot 적용기1부에서 AWS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Instance Scheduler에 대한 소개를 하였습니다. 2부에서는 Instance Scheduler의 설정을 손쉽게 변경하기 위한 Bot을 적용한 사례에 대해서 소개합니다.Bot의 필요성Instance Scheduler의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정보를 담고 있는 Dynamo DB 의 데이터를 변경해야 합니다. AWS Console을 이용하여 직접 수정할 수도 있지만 여전히 불편하고 느립니다. 더군다나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DB Table의 구조와 AWS Console 사용법을 알고 있어야 하고 비 개발자라면 더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 하지만 Bot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어려운 DB Query나 구조를 알아야 할 필요도 없고 손쉽게 채팅 메시지를 통해 Bot에게 질의하고 처리 결과를 응답받을 수 있습니다.Outgoing WebhookJANDI에서는 Incoming Webhook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Outgoing Webhook을 제공합니다. 특정 키워드로 시작하는 메시지가 있을 경우 내용을 설정된 URL Endpoint에 POST로 Webhook을 보내줍니다. Webhook을 수신한 곳에서는 일련의 처리 후 메시지 데이터 형식을 맞춰 응답하게 되면 채팅창에 메시지를 표시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다른 외부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습니다.POST Data예를 들어 날씨 키워드로 Outgoing Webhook을 생성했다면 /날씨 메시지가 시작될 때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Webhook으로 발송됩니다.{ "token": "YE1ronbbuoZkq7h3J5KMI4Tn", "teamName": "Toss Lab, Inc.", "roomName": "토스랩 코리아", "writerName": "Gloria", "text": "/날씨 서울", "keyword": "날씨", "createdAt": "2017-07-19T14:49:11.266Z" } token을 이용하여 요청의 유효성 체크를 할 수 있고 text를 적절히 파싱 하여 요청에 부합하는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ResponsePOST Data를 적절히 처리 후 결과를 채팅창에 응답 메시지를 표시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JSON Data를 Response body에 넣어주면 됩니다.{ "body" : "서울의 현재 날씨", "connectColor" : "#FAC11B", "connectInfo" : [{ "title" : "온도", "description" : "최고:28.00, 최저:24.00, 현재: 24.30" }, { "title": "날씨", "description": "흐리고 비" }] } 이를 이용하여 Instance Scheduler에도 적용해봤습니다.Schedule BotSchedule Bot은 Instance Scheduler의 Lambda 함수에 함께 포함되어 작동하며 스케쥴 조회 / 예외 설정, 서버 강제 시작/중지, 서버 상태 조회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API Gateway와 Lambda 함수를 연결하여 Endpoint URL을 생성하고 Outgoing Webhook URL로 설정하여 Webhook으로 Lambda 함수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Lambda 함수는 Cloudwatch를 통해서 실행되면 Scheduler가 작동되고 API Gateway를 통해 실행되면 Schedule Bot이 작동됩니다.Schedule Bot 명령어Schedule Bot은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수행합니다./서버 help : 도움말 /서버 [스케쥴명] status : 현재 서버 상태 조회 /서버 [스케쥴명] info : 오늘의 스케쥴 조회 /서버 [스케쥴명] info [YYYY-MM-DD] : 특정일 스케쥴 조회 /서버 [스케쥴명] exception info : 오늘의 스케쥴 예외 조회 /서버 [스케쥴명] exception info [YYYY-MM-DD] : 특정일 스케쥴 예외 조회 /서버 [스케쥴명] exception set [YYYY-MM-DD] [start|stop] [h:m] : 예외 설정 /서버 [스케쥴명] exception del [YYYY-MM-DD] [start|stop] : 예외 삭제 /서버 [스케쥴명] force_start : 서버 강제 실행 /서버 [스케쥴명] force_stop : 서버 강제 중지 Schedule Bot 작동 화면Schedule Bot은 서버병이라는 컨셉으로 인격화(?)에 힘썼습니다.스케쥴 정보 조회서버 상태 조회서버 강제 시작/중지명령어 오류마무리AWS 기반의 서비스를 운영하는 스타트업이라면 더욱더 현실적으로 부딪히는 비용 문제에 대해서 저희가 고민한 내용과 솔루션에 대해서 공유하였습니다.아직 적용기간이 길지 않아 절감비용에 대해 수치적인 데이터를 언급하기는 힘들지만 많은 금액이 절감될 거라 예상하고 있습니다.저희와 같은 고민을 하고 있다면 Instance Scheduler를 적극 권장합니다.#토스랩 #잔디 #JANDI #개발 #개발자 #AWS #도입후기 #일지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회수 946

옐로모바일 창업가 모임 옐로프러너스 데이에 다녀오다

Y의 현장 스케치며칠 전 김현영 CYO와 함께 옐로모바일 창업가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옐로프러너스 데이 (Yellopreneurs Day)’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았는데요, 이런 중요한 행사를 놓칠 수 없겠죠?저 Y가 직접 현장을 찾았습니다!                                         선릉에 위치한 디캠프제 3회 옐로프러너스 데이는 햇살이 따뜻했던 지난 화요일 오후, 선릉에 위치한 디캠프에서 열렸습니다! 디캠프는 창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예비 창업자와 스타트업에게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및 행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6층 다목적 홀로 올라가보니 일찌감치 도착한 대표들이 이름표와 기념품을 받아 행사장 안으로 들어가고 있었습니다.                              축사하는 김광현 디캠프 센터장김광현 디캠프 센터장의 축사로 시작된 옐로프러너스 데이!김광현 센터장은 창업 생태계에서 스타가 나와야 한다며 그 역할을 옐로모바일이 해 줬으면 좋겠다는 말로 옐로 창업가들을 응원해주셨습니다.                             2.0시대로의 진입을 발표하는 이상혁 옐로모바일 대표그 후에는 옐로모바일 이상혁 대표가 많은 옐로 대표들이 궁금해했던 질문들을 취합하여 진솔하고 담백하게 설명하기도 하고, 옐로가 새로이 2.0 시대로 진입하기 위한 앞으로의 방향성 등에 대해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이상혁 대표는 옐로모바일2.0 시대를 ‘모바일 패러다임을 이끌기 위해 연합했던 준비기간을 지나 수익성을 강화, 경영체제 효율화, 시너지 극대화 등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한 도약기’라고 설명했습니다.                                            경청하는 옐로프러너들                                     발표 중인 신창균 퓨쳐스트림네트웍스 대표우연히 옐로프러너스 데이 당일 상장 예비 심사를 청구한 퓨쳐스트림네트웍스의 신창균 대표가 모든 기업가들 앞에서 축하를 받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그는 그 동안 기업의 성장단계를 모두 겪어본 경험을 미루어보아 옐로모바일도 그 과정에 있다고 설명했습니다.또 옐로모바일이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함께 하고 있는 창업가들의 지속적인 상호 신뢰가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다양한 이야기에 시간가는 줄 모르고 빠져있다 보니 어느새 네트워킹 시간이 다가왔습니다!많은 창업가 분들은 맛있는 식사와 함께 삼삼오오 모여 서로 교류하고 소통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앞으로도 옐로 창업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회사의 방향성과 비전을 공유하고 논의하는 옐로프러너스 데이는 계속될 것입니다. 지난 날의 시행착오로 얻은 배움을 갈고 닦아 회사가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게 서로 응원하며 앞으로 전진하는 옐로모바일을 기대하며, 오늘의 현장 스케치를 마치겠습니다. Y였습니다 :)비하인드컷!                                             Go Yello!                            핫도그에 행복해진 이상혁 대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는 옐로프러너들
조회수 1171

왜 인간은 둘 이상만 뭉쳐도 갈등이 생길까?

지난번 올린 데이팅 앱 관련 글이 장문임에도 불구하고 예상외로 큰 인기를 받아 당황스럽다. 공유하기도 이상하게 많이 잡혔으니, 이제 인기 없는 글. 그러나 내가 가장 쓰고 싶은 글을 쓸 차례가 왔다. 인류의 폭력성과 평화를 위한 고민에 대한 내용이다.역사적으로, 인류 사회는 가난하든 풍족하든, 얼마나 기술적으로 눈부신 발전을 이루든 갈등과 폭력이 끊인 적이 없다. 그것은 단순히 인류 또는 국가단위의 거대한 문제가 아니다. 당장 우리는 연인, 가족, 친구, 직장동료와도 끊임없이 싸우고 갈등을 만들고 투쟁한다. 직장상사를 공공의 적으로 만들면 내부 결속력이 매우 끈끈해진다. 그런데, 막상 그 직장상사가 회사를 나가게 되면 내부에서 또다시 전쟁이 일어난다. 마치, 인간은 투쟁을 하지 않으면 살아있다고 느끼지 못하는 존재같이 느껴지기도 한다.역사적으로 이러한 인간의 폭력성과 군중심리를 이용해 전쟁을 일으키고 집단폭력을 부추긴 인물들이 많다. 그들은 정복자, 지배자로 불리어왔고 이러한 집단 폭력의 주역들이 우리의 역사와 먼 과거의 사람이라면 한 국가의 위인이 되기도 한다. 1000년 전의 정복자와 100년 전의 제국주의자가 무엇이 다른 지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보면 크게 다를 것이 없음에도 말이다. 왜 인간은 이러한 폭력성을 버리지 못할까?이렇게 지적이고 우아한 존재로 빠르게 변하고 있는 인간 사회임에도 왜 원시적인 갈등과 폭력은 끊이지 않을까?나는 이 모든 것이 공포에 있다고 본다.인간이 가장 크게 화를 내고 전쟁을 불사할 정도로 분노하고 동요할 때는 자신이 두렵거나 공포에 질려있을 때일 확률이 크다. 이 부분에서 조금 깊게 들어갈 수 있지만, 좀 더 쉬운 예가 필요하다. 그럴 때 딱 좋은 것이 있다. 늘 여자와 남자의 문제로 현상을 설명하면 우리 모두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우리 본능에서 가장 이해도가 높은 영역이 이 부분에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어쨌든.예를 들어 연인의 갈등의 가장 중추적인 원인은 아래와 같은 두려움과 공포에 있다고 보인다.물론, 이러한 무의식 세계에서의 불안감과 공포는 의식세계에서 쿨하고 싶은 병(체면과 자존감, 나르시시즘)과 합쳐져 다른 원인으로 포장될 수 있지만, 그것의 포장을 벗기고 또 벗기면 나오는 것은 매우 명확한 공포에 있다.1. 이 남자(여자)가 나를 떠날지도 몰라 두렵다. 2. 언제 나를 갑자기 배신할지 몰라 두렵다.3. 다른 이성을 만나 흔들릴까 두렵다.4. 그(그녀)가 마음이 식어서 나만 좋아하게 될지도 몰라 두렵다.5. 이런 두려움을 갖고 있으면서도 쿨한 척 하니 더 괴롭다. 6. 내가 이 사람을 안 좋아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럼 내가 너무 미안하다. 상처주기 싫다)7. 내가 이 사람을 점점 안 좋아하게 되는, 이런 내 마음이 두렵다.8. 내가 다른 이성에게 끌리는 것 같다. 두렵다.9. 언젠가 내가 이 사람을 떠날 때, 그 헤어짐이 너무 두렵다.10. 헤어지자고 말하는 것, 그 상황이 두렵다.상처받기 싫은 공포, 상처주기 싫은 공포. 양날의 칼이기 때문에, 이러한 공포가 없다는 것은 명백한 거짓이다.이러한 근본적인 두려움과 공포는 현실의 상황들에 빗대어져 갈등과 싸움으로 번진다. 하지만 괴로움의 원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괴로움과 공포를 없앨 수 없을뿐더러 싸움을 끝낼 수도 없다. "오빠 오늘 일할 때 연락을 너무 안 해서 짜증 났어!"로 싸우기 시작하면, 결국 오빠가 내일 연락을 더 잘해주는 것으로 일단은 화해할지 모르지만, '이 사람이 나를 혹시 안 좋아하는 것이 아닐까? 버림받을까 두렵다'라는 두려움과 공포가 해소되지 않으면 이 싸움은 끝나지 않고 다른 상황과 맥락 속에서 다시 등장할 것이다. 붓다는 이를 강아지와 사자의 차이로 설명하였다. 강아지에게 화살을 쏘기 시작하면 미친 듯이 화살을 공격한다. 강아지의 괴로움은 끝나지 않고 결국 죽음을 맞이할 것이다. 반면, 사자에게 화살을 쏘면 사자는 화살은 본 척도 안 하고 화살을 쏜 사람을 공격한다. 사자의 괴로움은 끝이 난다. 종교적인 내용과 무관하게, 우리가 마음의 평화, 인류의 평화를 위해 괴로움의 원인을 찾아 없애는 것이 중요함을 역설한 중요한 대목이다.물론, 우리 역사를 보면 두려움과 공포 없이도 차분한 폭력성으로 숭고한 신념을 실천하는 사람들도 있다. 두려움과 공포가 없을 때, 내면의 강인한 믿음이나 신념으로 폭력성을 드러내는 사람을 보면 매우 차분한 모습을 보이는 반면 두려움에 의해 폭력성을 드러내는 사람들은 매우 공격적이고 사납다. 그 두려움과 공포가 큰 만큼 더욱더 무언가를 파괴함으로써 이 괴로움을 마스킹하고 해소하고자 한다.이에 대해 납득하지 못할 수 있겠지만, 인간이 무의식적으로 느끼는 두려움과 공포는 매 1분 1초마다 계속해서 몰려오기 때문에 결코 가벼운 문제가 아니다. 미래에 대한 불안감, 내일에 대한 불안감 등. 인간은 죽음을 향해가고 있음을 직감하기 때문에 시간이라는 것이 흐르는 한, 우리는 늙고 병들어가고 있고 불안정한 내일을 향해 나아갈 수밖에 없다. 그렇게 두려워하던 내일이 오면 그 내일은 과거가 되어 버리고 다시 평온하고 안정된 것으로 결정 내려진다. 인간이 과거에 대해 무의식적으로 느끼는 안정감과 향수는 군대에 간 남성이라면 누구든 느낄 수 있다. 솔직히, 군대 떠올려보면 한 번 가볼만했다. 나름대로 많이 배우고 재미있었다고 생각하지 않는가? 아무리 못된 직장상사, 못된 연인을 만나 상처받았더라도 시간이 흐르고 그것이 과거가 되어 미래에 더 큰 두려움과 싸우고 있다면 그 힘들고 죽을 것 같았던 과거조차 아름다운 향수가 되기 마련이니, 참 기억이란 것, 사고라는 것이 얄궂게 느껴진다.이러한 인간의 심리적인 본능과 약점을 전략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인류의 평화를 방해하는 일등공신이라고 본다. 인간은 심리학적으로 수세에 몰리거나 위기에 처하면 튀거나 싸우거나 둘 중 하나를 판단 내린다고 하는데(Fight or Flight), 역사적으로나 지금이나 대중을 'Fight'하게 만드는 전략가와 사상가들이 넘친다.이 때문에 연인 사이, 가족과 같이 작은 집단의 문제나 갈등은 좀 더 수월하고 쉽게 평화로운 방법으로 해결될 확률이 높은 반면, 국가단위, 인종 단위, 성별에 따른 갈등은 결코 해소되기 쉽지 않다. 두려움과 공포를 강화하는 이러한 사람들이 필연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물론, 연인 문제도 둘이서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친구에게 상담받는 것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조언자에 따라 공포와 두려움의 증폭이 일어나기 때문에 그 갈등의 해소가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이런 사상가와 전략가들은 자신과 자신이 믿는 신념을 강화하거나 특정 집단의 이익을 위해 사람들이 갖고있는 공포와 두려움을 집단적으로 강화하게 만든다. 이들이 없다면 공포와 두려움을 내면에서 이해하고 그것을 방어할 수 있는 사람들이 지금보다는 더 많았을 것이다. 그들이 가장 많이 하는 이야기는 이것이다."남의 이야기가 아니다. 너도 이런 일을 당할 수 있다""너네 가족이, 너의 친구가, 너의 직장동료가 이런 일을 당할 수 있다"조금만 생각해보면 전형적으로 두려움과 공포를 강화하여 어떠한 신념적,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한 술수라고 이해할 수 있다. 물론, 더 나은 세상을 위한 긍정적인 투쟁들도 많았다. 하지만 폭력으로 얻은 것은 더 큰 폭력 속에서 힘을 잃기 쉽다. 유권자들이 표를 무기로 정치인을 이용하는 것을 집단적으로 즐긴다면, 결국 그 집단은 더 거대한 유권자 그룹이 나타났을 때 완전히 힘을 잃을 확률이 크다. 조금 힘들어도, 조금 무서울 지라도 우리는 공포와 두려움을 스스로 이해하고 우리의 일부임을 인정해야 한다. 모든 사회현상, 부조리를 우리가 생물학적으로 살고 있는 현세대에서 완전히 이상적으로 만들겠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생각이다. 그 속도를 높이기 위해 어떠한 수단과 방법도 가리지 않는다면, 평화는 사라질 것이다. 군중심리 전략가나 선전가들은 마치 우리 세대, 1년 안에, 3년 안에 모든 것을 바꿔야 하는 것처럼 사람들을 이끌지만, 우리가 역사를 공부해보면 모든 역사의 흐름, 인류의 사상적 변화 등은 매우 느리고 차분하게 이뤄진 경우가 많다. 그것을 앞당겨서 자신의 신념에 인류를 끼워 맞추려고 했을 때 가장 큰 폭력인 전쟁이 일어났다. (2차 세계대전)선전가, 군중심리 전략가들은 인류가 평화롭고 갈등 없는 사회로 나아가는데 결코 방해하지 말아야 한다.인류는 조금씩 이 두려움과 공포를 극복해나가고 있다. 이제 그 누구도 마녀가 우리를 해친다고 생각하지도 않고 흑인이 악마라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과거에 우리를 공포에 떨고 두려움에 빠지게 만들었던 상식과 편견들은 완전히 해체되었다. 그러나, 인류의 한계는 이러한 평화를 견디지 못함에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선전가들이 대중의 공포와 두려움을 자극하여 폭력성을 이끌어냄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고자 할 것이다. 똑같은 역사, 똑같은 폭력, 그 모든 것을 이제는 끝내자.이제는 우리 인류가 그러한 공포로 점철된 폭력성을 넘어 평화와 화합을 이룰 때다.내가 숨 쉬는 한 나는 이러한 인류의 평화와 화합을 위해 내 방식대로 세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지두 크리슈나무르티 선생님.너 스스로를 인디언, 무슬림, 기독교인, 유럽인 등이라 무르는 순간 너는 폭력성을 갖게 된다. 이미, 너 스스로를 인류 그 자체와 분리시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네가 너 스스로를 믿음 또는 국가, 전통에 의해 인류와 분리하기 시작할 때 폭력성은 고개를 든다. 폭력을 이해하기 시작하는 순간, 너는 어떤 국가에도, 종교에도, 정치적인 이데올로기에도 속하지 않게 될 것이다.오직 인류 자체로서 온전하게 고민할 때, 폭력은 완전히 이해되고 사라질 수 있다.ㅡ 지두 크리슈나무르티
조회수 954

진리에 가까운 7가지의 진실

1. 좋은 연애(결혼)가 있고 위대한 연애(결혼)가 있다.  좋은 연애는 서로 그냥 좋아서 하는거고 위대한 연애는 서로를 뛰어넘는 꿈과 목표가 있고 성장에 더 많은 초점을 둔다. 그 속에서 사랑을 "느낄 줄 안다." 느낄 줄 안다는 것은 능력이다. 이건 각자의 개인의 삶이 감정을 넘어선 꿈의 더 우선 순위를 둔 사람들의 조합이 그렇다. 이들은 서로 더 많이 만나기보다 더 성장하기를 서로에게 바라고 각자가 뭘 이뤄내기보다 함께 시너지를 내서 더 큰 무언가를 이뤄내겠다는 롤모델이 되려고 한다. 마치 위대한 연애는 팀빌딩과 유사하다.2. 한 사람이 꾸는 궁극적인 꿈의 크기가 얼마나 큰지에 따라 그 사람의 모든 것을 결정한다. 10억짜리, 1000억짜리, 1000조짜리.. 그 궁극적인 크기에 따라 내가 만나는 사람, 의사결정의 기준, 압도적인 노력, 깊이 있는 고민이 다 달라진다.3. 각자가 꾸는 꿈의 종류는 달라도 되지만 꿈의 크기는 달라서는 안된다. 모든 사람의 꿈은 결국 각자 위치에서 대단히 커야된다. 이는 사회 전체적인 성공률을 높이기 때문이다. 목표는 나의 성공이 아니라 우리의 성공이며 푸른 행성에서의 공공선이다. 손정의 선생님이 말씀하시길.. "각자 위치에서 세상을 바꿔주시길 부탁드립니다."가 이 문맥이라고 믿는다. 4. 사람을 판단할 때는 보통 질문에 대한 대답을 통해서 의사결정을 한다. 하지만 생각이라는 것은 뇌에 기반한 것에서 나오는 화학 작용이고 뇌 자체는 오류 투성이다. 오류 투성을 가지고 있는 함수에 질문을 던져봤자 제대로된 답이 나올리가 없다. 그러면 그나마 객관적인 질문은 무엇일까? 평소에 그 사람이 가장 많이 만나는(시간을 할애하는) 사람이 누구인지를 본다. 5. 개인의 성장에 가장 중요한 3가지가 있다고 믿는다. 첫째는 몰입해야되는데 이걸 할려면 다 쳐내야한다. 거절이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나서 할일들을 나열하고 우선 순위를 부여해서 반드시 그것대로 행하고 또 행한다. 아주 단시간내에 효율적으로 빠르게. 둘째는 자기가 엄청난 퍼포먼스를 내야하거나 고민되는 분야는 책을 통해 정제되지 않은 인터넷 정보에 노출을 줄인다. 책에서 영감을 얻는 사람들은 대단한 사람들이 많다. 그 사람들은 책에 대한 아주 강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 셋째는 내가 만나는 사람의 수준이 달라지지 않을때 정체된다. 보통은 만날때 내 감정이 편한 사람들을 위주로 만난다. 내 얘기 잘 들어주고 어릴적 친구의 그런 편한 느낌을 원한다. 이게 정체다. 내가 만나는 사람들이 달라져야 하면서 동시에 수준이 올라가야된다. 주변에 나를 부끄럽게 만들고 현실 감각을 땅바닥까지 내려가게 만드는 사람들을 많이둬야된다. 불편한 자리를 좋아해야한다.6. 책 중에 가장 위대한 책은 기업가의 자서전이라고 믿는다. 자서전에는 그 사람이 일어나고부터 뭘하는지 누굴 만나는지 어떤 의사결정을 내리는지 세상을 보는 뷰는 어떻게 다른지 다 나와있다. 그들을 미친듯이 따라하고 훔치고 내 장점을 추가시킨다. 최고의 성장 방식이라 믿는다.7. A급 인재는 자발적인 환경에서 최고의 효율을 내고 창의성을 뿜어낸다. B급 인재는 그런 환경에서 괴로워하고 지시를 기다린다. 주도하지 않는다.#페오펫 #peopet #아이디어기업 #기업문화 #목표 #비전 #각오 #인사이트
조회수 2500

Next.js 튜토리얼 8편: 컴포넌트 스타일링

* 이 글은 Next.js의 공식 튜토리얼을 번역한 글입니다.** 오역 및 오탈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발견하시면 제보해주세요!목차1편: 시작하기 2편: 페이지 이동 3편: 공유 컴포넌트4편: 동적 페이지 5편: 라우트 마스킹6편: 서버 사이드 7편: 데이터 가져오기 8편: 컴포넌트 스타일링 - 현재 글9편: 배포하기개요지금까지 컴포넌트를 스타일링 하는 것을 미뤄왔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몇 가지 스타일을 적용해볼만 합니다.React 애플리케이션에는 컴포넌트를 스타일링 할 수 있는 여러가지 기술들이 있습니다.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1. 전통적인 CSS 파일 기반의 스타일링 (SASS, PostCSS 등)2. CSS in Js 스타일링 결과적으로 전통적인 CSS 파일 기반의 스타일링(특히 SSR)은 실용적인 문제가 많아 Next.js에서 스타일을 지정할 때는 이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 CSS in JS 방법을 추천합니다. 이 방법은 CSS 파일들을 불러오는 것보다 개별적인 컴포넌트 스타일링 할 때 사용 할 수 있습니다.Next.js는 styled-jsx라는 CSS in JS 프레임워크를 미리 설치해두었습니다. 컴포넌트에 이미 익숙한 CSS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 CSS는 해당 컴포넌트에만 적용되며 심지어 하위 컴포넌트에도 적용되지 않습니다.이는 CSS가 범위가 있음을 뜻합니다.styled-jsx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살펴봅시다.설치이번 장에서는 간단한 Next.js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합니다. 다음의 샘플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주세요:아래의 명령어로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이제 http://localhost:3000로 이동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home 페이지 스타일링하기home 페이지(pages/index.js)에 스타일을 추가해봅시다.간단히 pages/index.js를 다음과 같이 변경해주세요:   <style jsx> 엘리먼트를 살펴봅시다. 이것은 CSS를 작성하는 곳입니다.코드를 바꾼 후 블로그 home 페이지는 다음과 같이 보일 것입니다:위의 코드에서 스타일 태그 안에 직접 스타일을 작성하지 않고 템플릿 문자열 안에 작성하였습니다.템플릿 문자열({``}) 없이 직접 CSS를 작성해봅시다: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새로운 스타일이 적용된다.- "문법 에러: 기대되지 않는 토큰"이라는 에러가 발생한다.- "허용되지 않는 스타일 제공자"라는 에러가 발생한다.스타일은 템플릿 문자열 안에 위치해야 합니다styled-jsx는 babel 플러그인을 통해 동작합니다. babel 플러그인은 빌드 과정에서 모든 CSS를 분해하고 적용합니다. (스타일이 추가 시간 없이 적용됩니다)styled-jsx 내에 제약 조건을 제공합니다. 나중에 styled-jsx 안에 동적 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스타일을 템플릿 문자열 ({``}) 안에 작성해야하는 이유입니다.스타일과 중첩된 컴포넌트home 페이지에 작은 변화를 만들어봅시다. 다음과 같이 링크 컴포넌트를 분리시켰습니다:    import Layout from '../components/MyLayout.js'   pages/index.js 안의 내용을 위와 같이 수정해봅시다.무슨 일이 일어나나요?-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링크가 아닌 h1만 스타일이 적용된다.- 페이지에 에러가 발생한다.- 콘솔에 에러가 발생한다.중첩된 컴포넌트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보입니다:보다시피 CSS는 하위 컴포넌트 내부의 엘리멘트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styled-jsx의 특징은 더 큰 애플리케이션에서 스타일들을 관리할 때 도움이 됩니다.이 경우에는 하위 컴포넌트에 직접 스타일을 적용해야 합니다. 지금 상황에서는 링크 컴포넌트에 직접 스타일을 적용해야 합니다:다른 방법로는 global selectors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전역 스타일때때로 하위 컴포넌트 안의 스타일을 바꿔야 합니다. 일례로 React에서 마크다운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post 페이지(pages/post.js)에서 볼 수 있습니다.post 페이지는 전역 스타일이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곳입니다. styled-jsx를 사용하여 몇 가지 전역 스타일을 추가해봅시다. pages/post.js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적용해주세요.다음 내용을 적용하기 전에 npm install --save react-markdown 명령어를 통해 react-markdown 컴포넌트를 설치해주세요. 무슨 일이 일어나나요?-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마크다운 컨텐츠에 스타일이 적용된다.- 페이지에 에러가 발생한다.- 콘솔에 에러가 발생한다.전역 스타일이 동작합니다전역적으로 스타일이 적용되므로 잘 동작합니다.이 기능은 매우 유용할 수 있지만 항상 전역 prop 없이 스타일을 작성하길 추천합니다.여전히 일반적인 스타일 태그보다 좋은 방법입니다. styled-jsx를 사용하면 필요한 모든 접두사와 CSS 유효성 검사가 babel 플러그인 내부에서 수행되어 추가적인 런타임 오버헤드가 없습니다.다음엔 무엇을 해야할까요이 편에서는 styled-jsx의 표면만 다루었습니다. 더 많은 것들을 할 수 있습니다. styled-jsx Github 저장소에서 더 많은 내용을 참고하세요.Next.js에서 꽤나 괜찮은 다른 스타일링 방법들이 있습니다. 이 부분도 같이 참고해주세요.#트레바리 #개발자 #안드로이드 #앱개발 #Next.js #백엔드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회수 555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의 문화

스타트업은 현실을 왜곡하는 공간이다. 적은 인력과 자본으로 무에서 유를 창조해야 한다. 시장의 반응이 좋다 싶으면 어느 시점에는 거대 공룡들과 싸워서 살아남아야 한다. 거대 기업들이 동일 시장에 들어오는 것을 비판할 수 없다. 자연스러운 시장의 논리이고, 경쟁이 치열해야 산업의 질도 높아진다.지속적이고 빠른 속도로 현실을 왜곡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게 뭘까? 세번의 창업을 하면서 수많은 실험과 실패를 경험하고 비슷한 길을 걸어 온 멘토들과 이야기하면서 얻게 된 결론은 "견고한 회사의 문화"다.회사의 문화는 보상과 승진, 해고에 의해 결정된다.렌딧(Lendit)을 창업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미국에 있는 가까운 멘토가 이메일로 링크 하나를 보내줬다. 스톰벤처스(Storm Ventures)라는 실리콘밸리 VC의 남태희 파트너가 뉴욕타임즈와 한 인터뷰였다. 그중 성공적인 실리콘밸리 회사의 문화에 대한 그의 정의는 세번의 창업 동안 모호하기만 하던 내 머리 속을 한순간에 정리해주었다. 본문을 옮기면 아래와 같다:문화란 사람들이 무엇을 해야하는지 일일이 지시를 받지 않아도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보이지 않는 가이드라인입니다. 우리 회사 문화가 무엇이다 말하는 것과 상관 없이, 사실 이는 누가 승진하고, 연봉이 올라가고, 해고되는지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습니다. 회사에 공표된 문화 선언문이 있을 수 있지만, 실제 문화는 보상, 승진, 해고에 따라 정의됩니다. 기업 문화는 회사 내의 누가 성공하고 실패하는지를 보는 직원들에 의해 정의됩니다. 즉 사내에서 성공한 사람은 회사가 무엇을 중요시하는지 보여주는 롤 모델이 되고, 이러한 인식이 기업 문화를 결정합니다.Culture, to me, is about getting people to make the right decision without being told what to do. No matter what people say about culture, it’s all tied to who gets promoted, who gets raises and who gets fired. You can have your stated culture, but the real culture is defined by compensation, promotions and terminations. Basically, people seeing who succeeds and fails in the company defines culture. The people who succeed become role models for what’s valued in the organization, and that defines culture.만약 회사 대표가 비전 선언문의 일부로서 회사의 문화가 어떤 것인지 공식화하고 그것이 회사의 비공식적인 문화(누가 보너스를 받고 승진하고 해고되는지)와 일치된다면 그곳은 최고의 기업 문화를 갖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둘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조직 내에 큰 혼란이 발생하게 됩니다.If the C.E.O. can outline, as part of the vision statement, what the stated culture is, and if that official proclamation of culture is aligned and consistent with the unofficial culture — based on who gets raises and promotions and who gets fired — then you have the best culture. When the two are disconnected, you have chaos.영화 인턴의 한 장면 (출처 : 네이버 영화)외부 사람들에게 자주 회자되는 놀이터 같은 사무실과 식당, 자유로운 출퇴근이 기업 문화를 결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것들은 과거 어느 순간부터 불필요하게 경직되어 온 업무 환경을 조금 더 효과적으로 만드는 변화일 뿐, 현실을 왜곡할 수 있는 견고한 기업 문화의 주축이 되지는 못한다. 고전에서 배울 수 있는 가치인 언행일치가 바로 성공적인 기업 문화의 비결이다.
조회수 184

[모집]진짜 하고싶은 일을 찾고 싶다면

그동안 분노캔들 워크숍을 하면서 굉장히 다양한 사람들의 스트레스를 들을 수 있었는데요. 그 많은 스트레스들 중 가장 의외였던 스트레스는 바로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모르고 있으며 그런 자신을 자책하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위의 스트레스를 적은 분들은 모두 직장인들이었습니다. 이미 자신의 일을 갖고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일에 만족하지 못하고 미래를 불안해하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은 같은 일에 종사하면서도 일에 대한 의미를 형성하고 일을 보는 방식이 다르다고 합니다. 이는 일을 바라보는 틀이 다르기 때문인데, 이와 관련해서 심리학자인 벨라와 동료들(Bellah et al., 1985)은 개인이 일과 관계 맺는 방식을 직업(job), 경력(career), 소명(calling)으로 구분했는데요. 자신의 일을 직업으로 보는 사람은 일을 통한 물질적 보상에만 관심을 가지며, 자신의 일을 경력으로 보는 사람은 일에 개인적인 투자를 많이 하며 조직 내에서 승진을 중요시합니다. 그러나 자신의 일을 소명으로 인식하는 사람은 일을 자신의 삶과 구별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하며, 소명을 지닌 사람에게 일의 목적은 금전적 보상이나 승진이 아니라 일을 통해 깊은 성취감을 얻는 것이라고 합니다. 여러분은일과 어떤 관계를 맺고 싶으신가요?그런데 소명이란 건 어느 날 갑자기 계시처럼 내려오는 것일까요? 현재 나의 상태를 제대로 파악하고 더 나은 나를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일까요?  얼마 전 대학생들을 만나 깊은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는데요. 한 친구가 꿈을 찾아준다는 프로그램을 다 들어봤는데, 들을 때는 정말 좋았고, 끝나고 나면 꿈을 찾을 수 있을 거라는 기대에 부풀었었지만, 결국 지금도 자신이 뭘 하고 싶은지 모르겠다는 이야기를 털어놓더군요. 그 이야기를 들으며 많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의 대학시절은 방황 그 자체였으며, 직장인 디자이너로 일했던 20대의 저 또한, 디자인이 제가 진짜 원하는 일이라고 생각해서 그 일을 시작했던 것은 아니었기 때문입니다.조형예술을 전공한 그것도 사진으로 졸업한 저는 왜 그래픽 디자이너라는 직업을 택했던 걸까요? 그때 제가 디자이너를 선택했던 이유는 아주 간단했습니다. 지금은 내가 하고 싶은 것이 없지만, 디자인을 배워두면 내가 하고 싶은 것이 생겼을 때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생각은 아주 현명했습니다. 제가 스트레스컴퍼니를 만들고 지속적인 생산자로서 살아가는 데 있어서, 디자인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정말 큰 도움이 되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기 때문입니다.20대에자신이 원하는 것을 명확히 알고그 꿈을 향해 달려갈 수 있다면굉장히 운이 좋은 것입니다. 그렇지만 저 또한 그랬듯, 아직 모른다고 해도 저는 그것 또한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20대는 충분히 방황해야 하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제가 말하는 방황은 술 먹고 노는 것이나 아무것도 하지 않고 하릴없이 시간을 보내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 손톱만큼이라도 관심 가는 것이 생겼다면, 충분히 경험해보고 실패하는 과정을 통해서 자신의 진짜 경험을 쌓는 방황을 뜻 하는 것입니다. 그래야 30대의 내가 그 힘을 바탕으로 세상을 딛고 일어설 수 있습니다.   다른 누구도 아닌 내가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해서는, 진짜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가 좋아하는 것, 내가 잘하는 것만이 아닌 내가 싫어하는 것, 내가 못하는 것, 나를 화나게 하는 것들도 알아야 합니다. 그것들도 진짜 내 모습이니까요. 알아야 피할 수 있고, 인정할 수 있어야 바꿀 수 있습니다.여러분들이 마음속 감정을 이해하고 받아들여 누가 뭐라고 해도 자신을 믿을 수 있는 용기를 갖고 자신의 미래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스트레스컴퍼니에서 마이 콜링 프로그램을 시작합니다.이런 분 오세요최대 8명 정원(그럴리는 없겠지만, 정원을 넘을 경우, 신청 동기에 따라 선정합니다)  - 학교를 다니고 있어도 내가 원하는 공부가 아닌 것 같은 사람- 직장을 다니고 있어도 내 일이 아닌 것 같은 사람- 일을 통해서 성취감을 얻고 싶은 사람  - 매주 과제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사람- 무엇이든 시도해 볼 용기가 있는 사람이어야 함 프로그램은 이렇습니다 마이 콜링 프로그램 8주 (시작 단계)1. 나는 이런 사람 / 마음을 녹이다      /  1주 차  분노캔들을 태우며 나를 힘들게 하는 것들을 모조리 꺼내놓습니다. 2. 나를 바라보기 / 마음을 터트리다    /  2주 차  지난주에 작성했던 감정카드와, 워크지, 스트레스 시트를 통해자신을 발견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3. 내가 되고 싶은 나 / 마음을 먹다     /  3주 차  / 6주 차  새롭게 발견한 내 모습을 통해 내가 사소하게 실행해보고 싶은 프로젝트를 설정합니다.  4. 나를 만들기 / 마음을 다잡다           /  4주 차  / 7주 차  생각만 하는 꿈은 이뤄지지 않습니다. 사소한 프로젝트를 현실로 실행할 수 있도록 서로 돕습니다.5. 나를 공유하기 / 마음을 나누다        / 5주 차  / 8주 차 최종 발표   실행한 프로젝트를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습니다.* 8명이 서로 피드백을 해줄 수 있도록 짝꿍을 정해드립니다.충분히 경험하고 또 실패하고 성공하는 과정 속에서 자신을 깨달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일정은 이렇습니다3월 22일(목)부터 5월 10일까지 8주간 매주 목요일 저녁 7:30 ~ 11:00까지 만납니다.(평일반)3월 31일(토)부터 5월 19일까지 8주간 매주 토요일 오후 2:00 ~ 06:00까지 만납니다.(주말반)매 단계별로 분노캔들과 감정 다이어리, 감정 카드 등을 활용해서 수업이 진행될 예정입니다.참가를 원하시는 분은 아래 링크를 누르세요.https://goo.gl/jfQENG어떤 분들을 만날 수 있을 지 벌써부터 두근거리네요. 그동안 해왔던 진로 강의 경험과 코칭 경험을 바탕으로 여러분들의 고민과 끝까지 함께 하겠습니다.#스트레스컴퍼니 #심리스타트업 #스트레스관리 #서비스소개 #제품소개 #마이콜링프로그램
조회수 1283

스타트업의 기업 문화는 왜 다를까요?

공기업 출신의 P씨는 최근 창업을 시작한 대학교 선배의 권유로 동물병원과 애견인을 연결하는 O2O 업체 스타트업 초기 멤버로 합류했다.대표 선배를 포함해 5명의 멤버와 함께 일을 시작했지만 적응이 어려운 부분이 있다.그 이유는...선배 하나만 믿고 따라와봤는데 직원들은 복장부터 너무 성의 없어 보이고, 나보다 한참 어린 직원은 대놓고 내 의견에 반박하는데 적응이 안 되네...스타트업은 원래 이런 건가?스타트업은 '무엇'일까요?이제 스타트업(startup)을 이야기할 때 그게 뭐냐고 물어보는 사람은 드물 겁니다. 수년간 국내에도 각종 미디어를 통해 '스타트업'이라는 단어가 오르내리고 정부, 지자체 부터 민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프라를 갖추며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스타트업이 무엇인지 정확히 정의를 내리라고 하면 바로 자신 있게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여기, 미국 실리콘밸리의 대표적인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와이컴비네이터(Y-Combinator)를 설립한 폴 그레이엄(Paul Graham)은 자신이 쓴 칼럼에서 스타트업을 이렇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paulgraham.com)스타트업은 빠르게 성장하도록 설계된 기업입니다. (Startup = Growth)그의 칼럼에 따르면 스타트업을 다른 기업과 구분할 수 있는 유일한 기준은 '빠른 성장'이라고 강조합니다. 더 나아가 이 빠른 성장을 실현하려면 1)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만들고 2) 그 많은 사람들에게 원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렇게 스타트업이 빠른 성장을 위해 앞만 보고 달려 가다 보니 기존 기업과 일하는 방식에 차이가 생기고 필연적으로 색다른 기업 문화를 가지게 된 것 같습니다.스타트업 구성원은 '문제 해결'에 집중합니다스타트업에 있는 사람들은 힙(hip)하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격식 없는 옷차림, 탄력적인 출퇴근, 심지어 사무실 없이 원격으로 일하는 곳까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회사의 모습에서 벗어나 보이는 근무 환경들이 많습니다. 어떤 곳은 '정말 이렇게 해서 회사가 돌아갈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페이스북을 창업한 마크 주커버그를 한 번 생각해볼까요? 우선 어디서나 항상 트레이드 마크 같은 회색 티셔츠와 후드티, 청바지를 입고 다니는 모습이 먼저 떠오릅니다. 한 번은 그가 참여한 세미나에서 왜 항상 같은 옷을 하고 다니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페이스북 서비스에만 내 에너지를 사용하고 싶다'라고 이유를 말했습니다. 즉, 오늘은 무슨 옷을 입을까 고민하고 쇼핑하는 것 자체가 그에게는 낭비라는 것이죠. 그래서 같은 옷을 여러 벌 구입해서 입고 다니는 것으로 옷에 대한 고민을 없애고 그 에너지를 페이스북 비즈니스에만 집중하는 것입니다.같은 회색 티셔츠와 후드티로 가득 찬 그의 옷장 사진은 유명한 일화이다. (@ Mark Zuckerberg facebook)빠르게 성장하는 스타트업들을 살펴보면 이런 식으로 업의 본질, 즉 '문제 해결'에만 집중하기 위해 방해되는 요소들을 과감하게 버리기도 합니다. 방금 예를 든 복장을 시작으로 고정적인 출퇴근, 심지어 직급까지도 버리죠. 하지만 겉보기에 자유로워 보이는 스타트업의 일면에는 빠른 성장을 위해 간절하고 치열하게 움직이는 모습이 숨겨져 있습니다. 이렇게 뚜렷한 목적의식 없이 스타트업의 자유로운 모습만 흉내 내는 곳에게 빠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까요?스타트업은 '대부분' 수평적인 문화를 지향합니다앞에 직급 이야기가 나왔으니 스타트업의 '수평적인 기업 문화' 이야기를 빼먹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스타트업 구성원들이 일하는 모습을 떠올리면 대표와 막내 직원이 허울 없이 비즈니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열정적으로 토론하는 모습을 그리곤 합니다. '오늘만큼은 계급장 떼고 이야기 해보자'가 아니라 수평적인 기업 문화를 이루기 위해 정말 계급장을 없애는 스타트업이 늘어나고 있습니다.이렇게 많은 스타트업이 수평적인 문화를 지향하는 이유는 명료합니다. 앞서 이야기한 '빠른 성장'을 위해서입니다. 빠른 성장을 이루려면 그만큼 빠른 의사결정이 필요하고 직급을 없애거나 단순화하는 것으로 의사결정 시간을 단축시켜 빠르게 실험하고 검증하는 것을 반복합니다. 스타트업의 수평적인 문화는 구성원 개개인에게 높은 심적 부담감과 업무 강도를 요구하지만 그만큼 책임감을 심어줄 수 있고 주인의식을 가지고 일할 수 있게 합니다.앞서 소개한 P씨가 스타트업에 합류하기 전에 재직한 공기업은 호봉제를 통한 연공서열과 위계질서가 확실하게 잡힌 수직적인 구조입니다. 회사 내 프로세스가 정립되어있고 그 안에 개인의 역할이 자로 잰 듯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습니다. 회사가 크고 작은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아래에서 위로 많은 직급을 거쳐야 하며 자연히 긴 시간이 소요됩니다.물론 수직적인 기업 문화는 잘못됐고 수평적인 기업 문화가 정답이라는 뜻은 아닙니다. 기업의 규모와 형태에 따라 수직적인 문화가 적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빠른 성장을 이루는 스타트업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스타트업은 소규모로 시작하고 구성원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많은 역할을 부여하다 보니 빠른 성장을 위해 빠른 의사결정과정을 요구합니다. 이런 환경에서 수평적인 기업 문화를 지향하게 된 것은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흐름일지도 모르겠습니다.패스트파이브 '역시' 스타트업입니다대부분의 기업들이 사무 공간과 여러 가지 환경 문제 때문에 본업에 집중하기 힘든 문제를 해결하고자 2015년 3월부터 공유오피스 서비스를 시작한 패스트파이브는 지난 3년간 누적 350억 원 투자를 유치하고 12개 지점 5,000명 입주자 규모로 성장했습니다. 글을 작성하는 2018년 연말까지 20개 지점 오픈을 목표로 빠르게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빠른 성장이 가능한 이유는 패스트파이브 역시 '문제 해결'에 집중하고 있는 스타트업이기 때문입니다.패스트파이브도 앞서 설명한 스타트업의 문화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온전히 업에 집중하기 위해 대표부터 자유로운 복장으로 일하고 하고 싶은 것, 바꾸고 싶은 것이 있으면 직급을 막론하고 의견을 제시할 수 있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협력과 공존의 가치를 믿는 사람들이 모여 각자 맡은 역할에 주인의식을 가지고 책임 있게 일하고 있으며, 동료들과 협력하며 긍정적인 에너지를 주고 받습니다. 각 지점 현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일에 대해서 커뮤니티 매니저에게 권한을 일임하여 빠른 의사결정과정을 지닌 모습들도 스타트업 문화의 일면을 엿볼 수 있는 부분입니다.스타트업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기업들이 겪고 있는 문제를 잘 알고 필요를 찾아 제공해드릴 수 있는 것은 패스트파이브 역시 스타트업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입니다. 공간을 혁신해 보다 많은 기업의 사무실 문제를 해결하고 본업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고 있는 패스트파이브가 앞으로 더 많은 기업들을 만날 수 있길 바랍니다.패스트파이브 – 편리하고, 쉽게 시작하는 사무실www.fastfive.co.kr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