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홈

인터뷰

피드

뉴스

조회수 1370

[인터뷰] Humans of MEME, 그 첫 번째 주인공을 만나다. - 뷰티 에디터 꽃지혜와 나누는 아름다움에 관한 이야기

안녕하세용!미미박스의 멋진 이야기를 담아오는 모뜨(moth)입니다.미미박스의 인재상은 바로바로 'Explorer'인데요!새로운 눈, 새로운 방식으로 미지의 뷰티 영역을 개척하는 탐험가인 것이죠!이처럼 자신의 일을 사랑하는 미미박서분들은  매일매일 새로운 혁신과 도전을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Explorer 의 역할을 해주시는 미미박스의 '미미박서'분들의일상적인 소소한 이야기가 혹시 궁금하시지 않으세요?Humans of MEME 는 하루하루를 충실하게 사는 미미박서분들의삶을 살아가는 방식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자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입니다!바로 그 첫 번째 인터뷰는 미미박서들을 위한 공간 '파우더룸'에서 미미박서들을 위해 제공되는 '맥주'를 마시며자유로운 분위기에 진행되었는데요 -!그럼 그 첫 번째 주인공, Zeehye를 만나볼까요!Q. 직무에 있어서 느끼시는 '뷰티'의 정의가 아니라  ZeeHye가 느끼시는 '아름다움' 이란 무엇인가요?A. 아름다움의 기준은 매일 변하는 것 같아요. 예전엔 시각적으로 완벽하게 예쁘면 장땡이라고 생각했는데 눈가에 주름이 있어도 밝게 웃는다거나, 통통해도 과감하게 입는다거나, 실수를 해도 예뻐 보이는 백치미 등이 그렇죠. 자신만의 아름다움을 사랑하고, 타고난 듯 자연스러운 게 제일 아름다워요.Q. 나답게 사는 것이란 무엇이며 내가 가장 나다워 지는 순간은 언제일까요?A. 'Work Hard, Play Hard' 열심히 일하고, 열심히 놀 때 나답다고 생각해요. 휴가를 꼬박꼬박 아껴 뒀다가 여행이나 페스티벌 갈 때처럼 말이죠. 사실, 페스티벌과 여행은 미미박스 입사하기 전부터 좋아했지만 이렇게 자주 가진 않았어요. 여행 경비로 차라리 옷이나 구두 등 품위유지비(?)에 쏟는 걸 좋아했거든요. 요즘은 제대로 나를 확 풀어주고 나면, 막 열심히 일해야겠다는 동기부여가 돼요.Zeehye는 미미박스가 창립한 2012년부터 쭉 같이 해오고 있는 미미박서인데요!현재 Creative Contents 팀에서 근무며항상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Humans of MEME 프로젝트를 통해일을 더 열심히 하게 만드는 원동력과긍정 에너지를 뿜!뿜! 풍겨주시는멋진 미미박서의 모습을 만나보셨는데 어떠신가요?이렇게 멋진 미미박서가 근무하고 있는 미미박스 !그것이 알고 싶다.. 더 알고 싶다..!다음에는 새로운 미미박스의 소식과 함께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조회수 1585

"사업할 때 제일 힘든 게 뭐에요?"

좋은 사람만 있으면 자금이야 끌어오면 되고사업이야 실행하면 되고그런데 사람이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다행히 감사하게도 지금껏 (정말) 좋은 사람들과 여기까지 왔다.오늘도 미팅 중, "팀원들 탐나요""인복이 많나봐요"란 말을 또 들었다.최근엔 좋은 분을 또 모시게 되었다.정말이지 감사한 일.그러나 아직 내가 많이 부족하다.사업에 허덕이느라 여유가 없다.사실 하루에도 몇 번이고 징징대고 싶을 때가 많다.퇴사학교의 비전이랄게 뭘까?"행복한 일?"대한민국에 그런 달달한 것이 남았던가.많은 언론 출판 공공의 영역에서 '퇴사'라는 자극적인 단어로 일회성 휘발성 변죽을 울리고, 궁극적인 행복한 일의 모델보다는 회사 생활 단기 스트레스의 배설에만 치중할 때, 퇴사학교만은 묵묵히 꾸준히 "진정성" 있고 "현실성" 있는 대안을 찾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쉽지만은 않다. 아니 오히려 너무 거창하고 이상적인데다, "사회적 가치"와 "비즈니스 가치"를 동시에 달성하느라 (둘 중 하나만 해도 어려운데) 개고생 중이긴 하다.  나는 지금 행복하게 일하는가.그렇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분명 행복하게 일한다.내가 하고 싶은 일을 내 방식대로쓸데없는 낭비나 무기력 없이매순간 성장하며 같이 공동의 뜻을 품는다.무엇보다 동료들 각자가 성장하며 회사의 비전과 개인의 비전을 일치시키려 서로가 노력하고, 눈치보거나 사내정치, 사업놀이, 성희롱, 무임승차, 공허노동, 이런게 없어서 좋다.그러나 그만큼 자율과 권한을 위해 치열하게 성과를 책임지고 스스로성장을 쟁취해야 한다.(그러한 건강한 챌린지를 은근 즐기는 것 같지만..)리더의 역할은 그런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아직 많이 부족하지만 더 많은 좋은 사람들과 더 많은 걸 해보고 싶다.어릴 때부터 품었던, "사회적 가치"를 "비즈니스 성과"로 풀어보는,대한민국을 바꾸는 혁신교육 생태계를 만드는 것. #퇴사학교 #팀원 #고민 #성장 #인사이트
조회수 2231

비트윈의 멀티티어 아키텍처를 위한 프레젠터 이야기 - VCNC Engineering Blog

블로그 첫 글에서 비트윈의 시스템 아키텍처에 대해 다룬 적이 있습니다. 시스템 구성의 미래에 대한 계획으로 멀티티어 아키텍처에 대해 언급했었는데, 이는 프로토콜을 단순화시키고 배포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클라이언트와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하는 서버 사이에 일종의 게이트웨이를 두는 것이었습니다. 그 외에도 여러 가지 필요성이 생겨 해당 역할을 담당하는 프레젠터라는 것을 만들게 되었고 비트윈의 채팅 시스템에 적용하게 되었습니다. 만드는 과정 중에 여러 기술적인 문제들이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비트윈 시스템에서의 프레젠터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프레젠터프레젠터는 일종의 게이트웨이 입니다. 기존의 시스템에서는 클라이언트들이 ELB를 통해 채팅 서버에 직접 TCP 연결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비트윈 PC버전과 자체 푸시 서버를 만들면서 ELB로는 해결할 수 없는 부족한 점들이 생겼고, ELB의 부족한 점을 채워줄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ELB를 대체하는 역할 외에도 다른 여러 필요했던 기능들을 제공하는 프레젠터를 만들기로 하였습니다.프레젠터는 ELB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여러 다른 기능들도 제공합니다.프레젠터의 기능패킷을 적절한 샤드로 중계비트윈에서는 커플 단위로 샤딩하여 같은 커플의 채팅 요청에 대해서는 같은 채팅 서버에서 처리하고 있습니다. Consistent Hash를 통해 커플을 여러 채팅 서버로 샤딩하고 ZooKeeper를 이용하여 이 정보를 여러 채팅 서버 간 공유합니다. 프레젠터 또한 ZooKeeper와 연결을 하여 어떤 채팅 서버가 어떤 커플을 담당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프레젠터는 첫 연결 시 보내는 인증 패킷을 보고 해당 채팅 연결에서 오는 요청들을 어떤 채팅 서버로 보내야 할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어떤 채팅 서버로 보낼지 판단하는 과정은 처음 한 번만 일어나며, 이후 패킷부터는 자동으로 해당 채팅 서버로 중계합니다.프레젠터의 이런 기능 덕분에 클라이언트는 더 이상 어떤 채팅 서버로 붙어야 하는지 알아내는 과정 없이 아무 프레젠터와 연결만 맺으면 채팅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존에는 클라이언트들이 여러 채팅 서버 중 어떤 서버에 붙어야 하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한 후에 할당된 채팅 서버로 연결 맺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클라이언트가 채팅 서버와 연결을 맺기 위해 다소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했지만, 이제는 클라이언트가 프레젠터의 주소로 연결 요청만 하면 DNS Round Robin 통해 아무 프레젠터와 연결하는 방식으로 프로토콜을 단순화할 수 있었습니다. 덕분에 새로운 채팅 서버를 띄울 때마다 ELB를 Warm-Up 시켜야 했던 기존 시스템의 문제가 없어졌습니다. 그래서 비트윈 개발팀의 오랜 염원이었던 채팅 서버 오토스케일의 가능성도 열렸습니다.많은 수의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PC버전과 푸시 서버를 만들면서 기존의 채팅 연결과 다르게 많은 수의 연결이 장시간 동안 유지 되는 경우를 처리할 수 있어야 했습니다. 기존에는 TCP 릴레이를 하도록 설정된 ELB가 연결들을 받아주었습니다. 한 머신당 6만 개 정도의 Outbound TCP 연결을 맺을 수 있는데, ELB도 트래픽에 따라 여러 대의 머신에서 돌아가는 일종의 프로그램이므로 이 제한에 걸린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많은 수의 연결을 맺어놓고 있어야 하는 경우 ELB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과거 ELB가 연결 개수가 많아지는 경우 스케일아웃이 안되는 버그 때문에 문제가 된 적이 있기도 했습니다) 또한 클라이어트 연결당 내부 연결도 하나씩 생겨야 하면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끊거나 맺을 때마다 서버 내부 연결도 매번 끊거나 연결해야 하는 오버헤드가 발생합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프레젠터에서는 TCP 연결을 Multiplexing하는 프로토콜을 구현하여 적은 수의 내부 연결로 많은 수의 클라이언트 연결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서버 내부에서는 고정된 개수의 몇 개의 연결만 맺어 놓고 이 연결들만으로 수많은 클라이언트 연결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TCP Multiplexing을 하는 것은 Finagle과 같은 다른 RPC 프로젝트에서도 지원하는 기능입니다.TCP Multiplexing 프로토콜을 통해 많은 수의 클라이언트 연결을 소수의 서버 내부 연결로 처리합니다.또한, 프레젠터는 많은 수의 SSL 연결을 처리해야 하므로 암복호화 로직을 실행하는데 퍼포먼스가 매우 중요하게 됩니다. 채팅 서버 한 대를 제거하거나 하는 경우 많은 연결이 한꺼번에 끊어지고 연이어 한꺼번에 연결을 시도하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 때 대량의 SSL Handshaking을 하게 됩니다. 기존 서버들로 대량의 SSL Handshaking을 빠른 시간안에 처리하기 위해서는 높은 퍼포먼스가 필요합니다. Java로 작성된 프로그램만으로 이런 퍼포먼스 요구사항을 달성하기 어려우므로,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담당하는 부분은 OpenSSL, libevent를 이용한 C++로 코드로 작성하였습니다. 인증 패킷을 파싱하거나 패킷들을 릴레이 하는 등의 로직을 담당하는 부분은 Alfred라는 Netty를 이용하여 만든 인하우스 RPC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작성되었습니다. 연결을 담당하는 부분은 TCP 연결을 유지하는 역할과 들어온 패킷들을 Netty로 작성된 모듈로 릴레이 하는 역할만 담당하므로 매우 간단한 형태의 프로그램입니다. 짧은 시간 안에 어럽지 않게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클라이언트의 연결을 받아주는 역할을 하는 부분은 C++, 실제 로직이 필요한 부분은 Java로 작성하였습니다.여러 네트워크 최적화 기술의 지원ELB에는 여러 네트워크 최적화 기술들을 아직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HTTP/2 혹은 SPDY, QUIC, TCP Fast Open 등이 있습니다. 특히 모바일 환경에서는 SSL Handshaking 등 부가적인 RTT로 인한 지연을 무시할 수 없으므로 이런 기술들을 이용한 초기 연결 시간 최적화는 서비스 퀄리티에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ELB는 AWS에서 관리하는 서비스이므로 AWS에서 이런 기능들을 ELB에 적용하기 전에는 이용할 수 없지만, 프레젠터는 직접 운영하는 서버이므로 필요한 기능을 바로바로 적용하여 서비스 품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ELB에서 이미 제공하는 최적화 기술인 SSL Session Ticket이나 다른 몇몇 기술은 이미 적용되어 있고 아직 적용하지 않은 기술들도 필요에 따라 차차 적용할 예정입니다.프레젠터의 구현C++ 연결 유지 모듈프레젠터는 퍼포먼스를 위해 C++로 작성되었습니다. 이는 Pure Java를 이용한 암복호화는 프레젠터에서 원하는 정도의 퍼포먼스를 낼 수 없기 때문입니다. 처음에는 OpenSSL과 libevent를 이용해 작성된 코드를 JNI를 통해 Netty 인터페이스에 붙인 event4j라는 인하우스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려고 했으나, 코드가 복잡하고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점 때문에 포기하였습니다. 그 후에는 netty-tcnative를 이용해보고자 했으나 테스트 결과 연결당 메모리 사용량이 큰 문제가 있었고, 이를 수정하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릴 것 같아 포기하였습니다. 결국, 페이스북에서 오픈소스로 공개한 C++ 라이브러리인 folly를 활용하여 프레젠터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folly의 네트워크 API들이 OpenSSL과 libevent를 이용해 구현되어 있습니다.릴레이 로직프레젠터는 첫 인증 패킷을 파싱하여 릴레이할 채팅 서버를 판단하며, 이후의 패킷부터는 실제 패킷을 까보지 않고 단순 릴레이 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처음의 Netty 파이프라인에는 Alfred 프로토콜을 처리할 수 있는 핸들러들이 설정되어 있어 인증 패킷을 파싱 할 수 있으며 인증 패킷에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어떤 채팅 서버로 패킷을 릴레이 할지 결정합니다. 그 이후 파이프라인에 있던 핸들러를 모두 제거 한 후, 읽은 byte 스트림을 Multiplexing Protocol 프레임으로 감싸서 그대로 릴레이 하는 매우 간단한 로직을 담당하는 핸들러 하나를 추가합니다. 덕분에 로직 부분의 구현도 매우 간단해질 수 있었으며, 채팅 서버에 API가 추가되거나 변경되어도 프레젠터는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다는 운영상 이점도 있었습니다.Multiplexing Protocol프레젠터의 Multiplexing Protocol은 Thrift를 이용하여 직접 정의 하였으며, 비트윈 개발팀 내부적으로 사용 중인 RPC 라이브러리인 Alfred에 이 프로토콜을 구현하였습니다. Thrift를 통해 C++과 Java로 컴파일된 소스코드를 각각 프레젠터의 연결 처리 부분과 로직 처리 부분에서 이용하여 통신합니다. 프레젠터에서는 Multiplexing된 TCP 연결들을 Stream이라고 명명하였으며 이는 SPDY나 HTTP/2에서의 호칭 방법과 유사합니다. SPDY나 HTTP/2도 일종의 Multiplexing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프레젠터의 Multiplexing Protocol도 SPDY 프레임을 많이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수 많은 클라이언트와의 TCP연결을 Stream으로 만들어 하나의 내부 TCP연결을 통해 처리합니다.Alfred에서는 Multiplexing 된 TCP 연결을 Netty의 Channel 인터페이스로 추상화하였습니다. Netty에서 TCP 연결 하나는 Channel 하나로 만들어지는데, 실제 Stream도 Channel 인터페이스로 데이터를 읽거나 쓸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추상화 덕분에 비트윈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하는 코드에서는 Stream으로 Multiplexing 된 TCP 연결을 마치 기존의 TCP 연결과 똑같이 Channel을 이용해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실제 비즈니스 로직 코드는 전혀 건드리지 않고 프레젠터를 쉽게 붙일 수 있었습니다.로드 밸런싱클라이언트는 Route53에서 제공하는 DNS Round Robin 기능을 이용하여 아무 프레젠터에 연결하여 채팅 요청을 날리게 됩니다. 하지만 무조건 동등하게 Round Robin 하게 되면 새로 켜지거나 하여 연결을 거의 맺지 않고 놀고 있는 프레젠터가 있는데도 연결을 많이 맺고 있는 기존 프레젠터에에 연결이 할당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충분한 시간이 흐르면 결국에는 연결 개수는 동등하게 되겠지만, 처음부터 놀고 있는 프레젠터에 새로운 연결을 가중치를 주어 할당하면 로드를 분산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래서 Route53의 Weighted Routing Policy 기능을 이용하기로 하였습니다. 현재 연결 개수와 CPU 사용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Weight를 결정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Route53의 레코드에 업데이트합니다. 이런 방법으로 현재 로드가 많이 걸리는 서버로는 적은 수의 새로운 연결을 맺게 하고 자원이 많이 남는 프레젠터로 더 많은 새로운 연결이 맺어지도록 하고 있습니다.스케일 인/아웃AWS에서는 트래픽에 따라 서버 개수를 늘리기도 하고 줄이기도 하는 AutoScaling 이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프레젠터가 스케일 아웃될때에는 프레젠터가 스스로 Route53에 레코드를 추가하는 식으로 새로운 연결을 맺도록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케일 인으로 프레젠터가 제거될 때에는 Route53에서 레코드를 삭제하더라도 함부로 프레젠터 서버를 종료시킬 수 없습니다. 종종 클라이언트의 DNS 캐싱 로직에 문제가 있어, Route53에서 레코드를 삭제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업데이트하지 못해 기존 프레젠터로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프레젠터 클러스터가 스케일 인 될 때에는 기존의 모든 연결이 끊어지고 충분한 시간 동안 새로운 연결이 생기지 않은 경우에만 서버를 종료시켜야 합니다. AutoScaling Group의 LifeCycleHook을 이용하여 위와 같은 조건을 만족 시켰을 때에만 프레젠터 서버를 완전히 종료시키도록 하였습니다.못다 한 이야기프레젠터라는 이름이 이상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멀티티어 아키텍처를 이야기할 때 프레젠테이션 티어, 어플리케이션 티어, 데이터베이스 티어로 구분하곤 하는데 이 프레젠테이션 티어에서 나온 이름입니다. 지금은 실제 프레젠터가 하는 역할과 프레젠테이션 티어가 보통 맡게 되는 역할에는 많은 차이가 있지만, 어쩌다 보니 이름은 그대로 가져가게 되었습니다.프레젠터에서 AutoScaling을 하기 위해 LifeCycleHook을 이용합니다. 이때 프레젠터를 위해 LifeCycleHook 이벤트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직접 짠 것이 아니라 비트윈 개발팀이 내부적으로 만든 Kharon이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습니다. Kharon은 인스턴스가 시작되거나 종료될 때 실행할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인스턴스의 특정 위치에 놓는 것만으로 LifeCycleHook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Kharon 덕분에 비트윈 내 다양한 시스템에서 별다른 추가 개발 없이 LifeCycleHook을 쉽게 활용하고 있습니다. 후에 Kharon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정리비트윈 개발팀에서는 오랫동안 유지되는 수많은 채팅 서버 연결들을 처리하고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프로토콜을 단순화시키는 등 여러 이점을 얻고자 ELB의 역할을 대신하는 프레젠터를 만들었습니다. 프레젠터를 만드는 과정에서 여러 기술적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C++로 연결 유지 모듈을 따로 작성하였고 Multiplexing Protocol을 따로 정의하였으며 그 외 여러 가지 기술적인 결정들을 하였습니다. 이런 과정에서 시행착오들이 있었지만 이를 발판 삼아 더 좋은 기술적 결정을 내리기 위해 고민하여 결국 기존 시스템에 쉽게 적용할 수 있고 쉽게 동작하는 프레젠터를 만들어 이용하고 있습니다.
조회수 5852

클리너가 어떻게 미소에서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을까?

미소의 여러 목표 중 하나는 클리너님들이 미소를 통해 더 많은 돈을 버시는 것입니다. 현재 미소 클리너님들은 최저임금보다 적어도 55% 이상 높은 시급을 받고 일하시지만, 최근 정부에서 ‘2018년 최저임금 16% 인상’을 발표하면서 이 사안은 뜨거운 감자가 되었습니다.이 문제를 가장 쉽게 해결하는 방법은 모든 클리너의 시급을 인상하는 것입니다. 이전 블로그 글에서 설명했다시피, 미소에서는 어떤 문제에대해 결정을 할 땐 항상 고객, 클리너, 미소가 각각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고려하여 결정을 하게됩니다. 이 결정은 고객, 클리너, 미소에 각각 어떤 결과를 가져다줄까요?클리너 : 만족;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으니 만족하실 겁니다.고객 : 불만족; 서비스 가격의 상승으로 만족하지 않으실 겁니다.미소 : ? ; 만족할 수도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많은 클리너님들이 행복하시면 미소도 행복하지만, 그 만큼 청소 수요는 줄어들 것이기 때문이죠.그럼 이 결정을 진행하는 게 맞을까요?고객이 만족하지 않으면 이 사안은 진행하지 않기로 결정한다.고객은 이 사안에 대해 만족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럼 미소도 진행하지 않기로 결정합니다.그럼 클리너님이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다른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바로 ‘2시간 서비스’의 출시입니다.혹은 3시간 또는 1시간 서비스가 될 수도 있습니다.이 서비스가 어떻게 클리너님들이 버는 돈과 관련이 있는지 설명드리겠습니다.배경: 1인가구의 증가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인 가구는 2000년 222만 가구에서 2015년 520만 가구로 증가했고 현재도 지속해서 증가추세입니다. 동시에 25평 이하의 아파트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죠. 이런 배경에서 2시간 서비스(혹은 3시간 or 1시간)는 고객님들의 니즈를 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상대적으로 적은 평수에 거주하는 1인가구에게는 딱 맞는 서비스인 거죠.1인 가구 현황 | 출처 :통계청또한, 기존 고객님들도 부담 없이 매일 이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매일 1시간 또는 2시간씩 호텔 같은 서비스를 받게 될 수 있는 거죠. 대부분의 미소의 정기고객님들은 주 1회 1번씩 서비스를 받고 있습니다. 2시간 서비스를 통해 주 1회 2번씩 받게 될 수도 있죠.Step 1. 수요의 증가에 따른 클리너 시급 인상2시간 서비스의 주문이 많이 들어오면 들어올수록 미소도 클리너님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드릴 수 있습니다.일 할 기회도 많아진다.수요 증가에 따라 시급을 인상할 수 있다.이 두 가지 혜택으로 클리너님들은 기존보다 더 많은 돈을 벌게 됩니다.Step 2. 고객, 클리너 모두 만족2시간 서비스는 고객 — 클리너님 모두의 만족을 가져다줄 것입니다. 실제로 고객님들은 38% 나 적은 비용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클리너님들의 시급은 기존보다 20% 인상됩니다.이런 결정은 당연히 진행하기로 합니다.하지만 ‘2시간 서비스’를 정식 출시하기에는 아직 해결야 할 큰 장벽이 있습니다. 바로 교통 시간과 이동 거리입니다.현재 클리너님들의 기존 출퇴근 경로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미소 클리너님들의 기존 출퇴근 경로오전 일에서 오후 일까지, 오후 일에서 자택까지 각각 약 1시간 정도 걸립니다. 1시간은 절대 충분한 이동시간은 아닙니다. 1시간 내로 다음 일을 위해 충전하고, 점심 먹고, 이동까지 해야 하기 때문이죠.과연 2시간 청소를 위해 1시간을 이동하려고 하는 클리너님은 몇 분이나 되실까요? 극히 드물 것입니다.만약 교통 시간과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여 같은 지역, 같은 단지 내로 주문을 묶을 수 있다면, 이 문제는 상당히 높은 수준에서 개선될 것입니다.미소는 단순 청소회사가 아닌 기술회사이기 때문에미소는 굉장히 똑똑한 방식으로 교통 시간과 이동 거리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이어지는 블로그 글에서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미소 클리너님들의 향후 출퇴근 경로교통 시간과 이동 거리가 줄어들면 클리너님들의 피로도 줄어들 것입니다. 이는 곧 청소 품질의 향상에도 도움이 되죠.기존 4시간 서비스를 신청할지, 2시간 서비스를 신청할지는 클리너님이 직접 선택할 수 있습니다. 2시간 서비스를 선택하게 된다면 기존보다 높은 시급을 받고 일할 수 있고, 4시간 서비스를 선택하면 한 집에서 좀 더 길고 편하게 일할 수 있게 되죠.미소가 이렇게 생각 수 있는 이유는 단순합니다. 미소의 핵심가치인 ‘고객을 위해 일한다’를 항상 생각하고 행동하기 때문이죠.미소를 통해 고객님들은 행복한 일에 집중하는 시간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미소를 통해 클리너님들은 많은 돈을 버셨으면 좋겠습니다.어떤 행복한 일을 하던지 미소는 그 일에만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 드리고 싶습니다. 집 안에서 일어나는 꼭 필요한 일들을 미소가 대신할 테니 행복한 일에 집중하세요.#유한회사미소 #행복에_미소_짓다 #기업문화 #고객중심 #서비스소개
조회수 2227

덕업일치를 이룬 옐로오투오 로컬사업부 신입왕, 이휘재 매니저

안녕하세요, 매력 넘치는 옐로피플을 발굴해 소개하는 Y의 옐플 인터뷰 18번째 이야기! 이번 주인공은 옐로오투오 로컬사업부에 입사한지 반년도 되지 않아 좋은 성과로 모두를 놀라게 한 ‘이휘재 매니저’입니다. 평소 좋아했던 야구선수와 함께 작업을 진행하며 덕업일치를 이룬 이야기부터 그가 얘기해 주는 노하우까지! 그의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놓치지 마세요~안녕하세요! 옐블 독자들을 위해 간략한 자기소개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옐로패밀리 여러분! 1월부터 옐로오투오 로컬사업부에 조인한 이휘재입니다. 잘 부탁드려요!옐로오투오 로컬사업부에서는 어떤 일을 하고 계세요? 소상공인 마케팅을 돕는 컨설팅을 하고 있습니다:) 서울오빠나 당근웹 등의 내부 솔루션들을 필요로 하는 소상공인들에게 연결해 드리는 거죠. 자영업하시는 분들 중 온라인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분들이 있는데요, 그런 분들에게 저희 사업을 소개해드리고 사업을 온라인으로 가져올 수 있게 도와드리고 있습니다:)최근 사업부 내에서 좋은 성과를 내셨다고 들었어요! 쑥스럽네요^^ 사실 동료, 선배들이 갓 입사한 저를 너무 잘 이끌어 주시고 많은 도움을 주신 덕분에 계약 성과가 좋았던 것 같아요. 처음에는 모르는 분들, 그것도 홈페이지에 대한 이해도가 낮거나 니즈가 없는 분들에게 상품을 설명하는게 굉장히 어려웠어요. 그래도 많은 도움을 받아 차차 철판을 깔기 시작했죠ㅎㅎㅎ전 직장에서도 컨설턴트 직무를 맡았었나요? 네, 졸업 후 10개월 정도 컨설턴트 일을 하다가 동생과 함께 옷가게를 잠시 운영했어요. 장사를 하다 보니 같은 일을 하면서 고민을 공유하고 협업했던 게 그립더라고요. 다시 컨설턴트 일을 하고 싶은 마음에 입사하게 됐습니다:) 옐로모바일 사내카페에 엄청 끌렸었는데 동대문 본사로 출근을 하게 돼서 조금 아쉬운 면이 없지않아 있어요ㅋㅋ 그래도 함께 일하는 팀들이 너무 좋아서 만족하며 다니고 있어요.로컬사업부 단체사진10개월이라니! 그 연차에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었던 노하우가 있을까요? 저는 서비스에 대한 자신감이라고 생각합니다. 본인이 내가 판매하는 서비스에 자신감이 있어야 한번도 만난 적 없는 사람을 설득시킬 수 있는 것 같아요. 설득을 해야 하는 자영업자분들 대부분이 저보다 나이도 경력도 많은 분들이고, 제가 무슨 의도로 전화를 걸었는지 다 아시더라고요. 그런 분들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본인이 먼저 충분히 설득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자신감이라! 자신감을 쌓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우선 두려워하거나 확신이 없으면 절대 안될 것 같아요. 그래서 처음에는 제가 기본적으로 배경지식이 있고 관심있는 업종을 공략했어요. 그 산업에 대해 조금이라도 알고 있다면 클라이언트들과 대화하기 수월하고 자신감이 붙으니까요! 그리고 컨설팅 하는 과정에 문제가 있으면 함께 하는 팀원들, 선배들이 바로 피드백을 줄 수 있는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어요. 혼자서는 절대 깨달을 수 없는 습관이나 실수에 대한 피드백을 듣고 바로 잡으면서 더욱 자신감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로컬 사업부 비즈니스의 차별점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저희의 가장 큰 강점은 토털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점인데요, 모든 일들을 본인이 직접 고민하고 결정해야 하는 소상공인들에게 비즈니스를 성장시키기 위해 함께 고민해주는 파트너가 생긴다는 건 정말 큰 힘이 됩니다. 저희 로컬사업부는 실제 홈페이지와 같은 솔루션 제작 뿐 아니라 운영을 위한 컨설팅, 광고 전략 수립, 사후 케어까지 온라인을 통한 비즈니스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요:)입사 이후 가장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가 있나요? 제가 야구를 굉장히 좋아하거든요. 그중 몇 년 전에 은퇴한 조규수 선수 팬이었어요. 얼마전에 리틀야구단과 컨설팅 계약을 했는데, 감독 이름이 ‘조규수’라고 되어 있더라고요. 설마 했는데, 정말 제가 좋아했던 선수라 너무 신기하고 설레었습니다:) 함께 업무 진행하면서 싸인볼도 받았는데 성공한 덕후라는 게 이런 거구나를 느꼈죠.영광의 싸인볼! 두둥지금까지 일하면서 다양한 피드백이 있었을 것 같아요. 최근 개인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한 분이 이었습니다. 온라인 비즈니스에 약한 분이라 영업도 항상 전화나 대면으로만 진행하셨다고 하더라고요. 온라인 비즈니스에 대한 니즈도 크게 없으셨고요. 오랜 설득 끝에 웹사이트를 개설해드리고 온라인 상으로 상담할 수 있는 솔루션 교육까지 진행해 드렸습니다J 이후 온라인을 통한 상담 요청이 많아지고 댓글을 통해 피드백을 주고 받으면서 저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셨어요. 나중에는 비즈니스에 많은 도움이 됐다며 고맙다는 인사도 전해 주시더라고요. 이 일을 하면서 가장 뜻 깊었던 순간이 아닐까 싶어요:) 와, 혹시 기존에 온라인 비즈니스를 적극적으로 하지 않고 있지만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야를 꼽아 본다면 무엇이 있을까요?아까 말씀드렸듯, 저는 동대문 청평화시장에서 옷가게를 운영했는데요. 도매업이고 MD들이 직접 와서 옷을 수백 장씩 가져가기 때문에 대부분의 가게들이 홈페이지 조차 만들지 않아요. 소매로 쇼핑몰하는 클라이언트들의 영역을 침범하는 것이라 생각하시기 때문이죠. 그런데 이걸 일반 소비자가 아닌 사업자들 대상으로만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한다면 보다 효율적으로 비즈니스가 가능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입니다.동대문 청평화시장에서 운영했던 매장회사에게 바라는 점이 있다면? 음, 사원들끼리 소통할 수 있는 시간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팀원들끼리 소통하면서 많은 것들을 배우고 있는데, 다른 팀과는 대화할 기회를 만들기가 쉽지 않더라고요. 회사차원에서 서로 편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자리를 자주 만들어준다면 서로 시너지도 나고 에너지도 받으면서 일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마지막으로 한마디 부탁 드립니다! 제가 하는 일이 모르는 사람들을 상대해야 하는 분야이다 보니 어려움이 있어요. 그렇지만 함께 일하는 동료, 선배들 덕분에 짧은 기간에 좋은 성과도 낼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앞으로 계속 연차가 쌓이면 후배가 생길 텐데, 제가 선배들에게 받았던 것처럼 후배들에게 조언을 해줄 수 있는 좋은 선배가 되고 싶어요. 로컬사업부 파이팅! 옐로오투오 파이팅!!
조회수 1395

2년 차 스타트업의 평가

매년 12월은 평가의 달이다.내게 평가라는 것은 항상 불안하면서도 불만족스러운 무언가였다. 전 회사에서도 평가지를 받으면 늘 머리를 싸맸던 기억이 난다. 나 자신에 대한 평가도 마찬가지이고 특히 팀원에 대한 평가는 더욱 어려웠다. 이 사람이 잘하고, 이 사람은 열심히 하는 것 같아 라는 내 마음속의 구분은 있었지만 그것을 평가의 형태로 풀어내는 것은 쉽지 않았다. 숫자로 평가하는 것도 쉽지 않았고 그 사람에 대한 피드백을 전달하는 것에도 용기가 필요했다. 결국 그 용기가 부족해서 마음속에 있던 이야기를 정확히 하지는 못했고, 나도 동료로부터 필요한 이야기를 듣지 못했다.30여 명의 직원을 가진 에잇퍼센트에도 12월이 다가왔다. 일 년의 끝에 다다르자 구성원들에게 피드백을 주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나 또한 그들에게 피드백을 받고 싶었다. (구성원에게 피드백 주기는 나의 1년 회고에 적혀 있는 목표 중 하나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 형식을 고민하다 보니 결국 평가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고, 평가라는 것에 대해 고민해보게 되었다.평가는 왜 하는가?평가의 목적은 개인의 방향과 회사의 방향을 일치시켜서 회사가 나가고자 하는 힘을 강하게 하는 것이다.평가의 목적(1) 회사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나가고 있는 A에게 회사의 방향을 알려 준다.(2) 이미 회사의 방향과 거의 같은 곳을 바라보고 있는 B에게 격려를 통해 그 힘을 더 강하게 한다.(3) 회사의 방향에 도움이 되지 않는 C의 영향력을 줄인다.좋은 평가는 무엇인가?첫 번째로 회사의 방향이 명확해야 한다. 평가라는 과정을 통해서 모든 개인(벡터)에게 변화를 주게 되는데 이 변화가 회사의 방향을 향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 기준이 명확해야 한다.두 번째로 빨간색의 이동이 효과적으로 일어나야 한다. 이 이동의 동기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해야 한다.피드백 (긍정적인 그리고 부정적인)금전적인 인센티브성장의 기회의 제공세 번째로 빨간색의 이동에 대한 반작용이 적어야 한다. 즉, 합리적이고 투명한 평가가 되어야 한다.에잇퍼센트는 올해 평가를 할 수 있을까?2년 차 스타트업인 에잇퍼센트는 평가를 해본 적이 없다. 아마도 구성원들은 12월이 되었지만 당연히 평가가 있을 거라고 기대하지 않았을 것 같다. 먼저 공표된 평가 기준도 없고 아직 성과가 없는 상태에서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도 없다.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회사와 구성원들의 동기를 맞추는 일을 해야 했고, 무엇인가가 필요했다. 그래서 시작한 에잇퍼센트의 2106년 회고를 공유한다.2016년 평가 안회사의 평가 컨플루언스 페이지 (조석님 짤방 감사)2016년 평가는 다음 4가지로 진행된다.에잇퍼센트 어워드피어 리뷰회사 회고회고 평가에잇퍼센트 어워드우리가 일하는 방식인 에잇퍼센트 Way의 각 항목에 떠오르는 사람을 투표한다. 이를 통해 회사가 원하는 인재에 대해 개인들이 한번 더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회사의 컴플라이언스를 담당하고 계신 성일님이 당연하게도 "마땅히 옳은 일을 한다" 상을 받으셨다. 허리 디스크에도 상을 받기 위해서 회식에 참여하셨다는 소문이 있다.  올해 에잇퍼센트를 부동산 대출도 할 수 있는 종합 P2P 금융사로 이끌어 주신 심사팀장 달수님이 "할까 말까 싶을 땐 한다" 상을 받으셨다. 올해 과감하게 도전하신 달수님 또한 이 상에 적절하다.헌신을 의미하는 "나인가 싶을 땐 나다" 상은 CS팀의 지아님이 받으셨다. 업무뿐 아니라 회사의 많은 곳에서 솔선수범 하셔서 회사가 부드럽게 돌아갈 수 있는데 많은 도움을 주셨다. (왜 이렇게 부끄러워하시는지는 잘 모르겠다)성장을 의미하는 "어제보다 잘한다" 상은 역시 어린 친구들의 몫인가 보다. 회사 #study 채널을 리드하면서 늘 열심히 공부하시는 성호님과 백지(미안 병훈님)에서 시작해 어느덧 모두가 함께 일하고 싶어 하는 개발팀의 병훈님이 받으셨다.에잇퍼센트 어워드를 진행하면서 놀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놀랍도록 적절한 사람에게 상이 주어졌다는 것과 내가 상을 받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여하튼 이 작은 상이 수상자에게 작은 동기 부여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피어리뷰피어리뷰는 다음 3명에게 기명으로 리뷰를 받는다.자신이 지정한 1인그룹 내 랜덤 1인그룹 외 랜덤 1인제비뽑기를 통해 랜덤 평가자들이 정해지고 구글폼을 통해서 평가가 진행되었다. 이 결과들은 취합되어 개인들에게 다시 전달되었다. 내가 받은 리뷰 일부를 옮겨본다.잘한 것무늬만 스타트업이었던 회사를 제대로 된 스타트업으로 환골탈태시켰습니다.탑다운이 아닌 바텀업이 가능한 조직으로 변모시켰습니다.프로덕팀을 넘어 전사적으로 효율적으로 일할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study를 장려하고 자기계발에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었습니다.좋은 동료를 모으는데 구심점이 되었습니다.못한 것개발팀 외의 문제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했다고 느꼈습니다.일과시간 중 업무에 대한 비중이 지나치게 큰 것 같습니다. 수다도 떨고 장난도 치고 커피나 간식도 사러가는 그런 사교의 시간을 조금 더 내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프로덕트팀의 악역이 되어 주세요.잘한 것은 기대했던 것들을 받은 것 같은데, 못한 것은 의외의 것들이 많아서 여러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에 전달받은 대표님의 한마디도 기분이 좋았다. (역시 사람은 칭찬에 약하다)여기에서도 내 예상과 틀린 부분이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보스(에잇퍼센트에는 보스라는 개념이 명확하진 않지만 업무적으로 지시를 하고 보고를 해야 하는 사람이 있다)로부터 리뷰를 받기를 원할 거라고 기대했었는데 대부분의 사람이 자신과 밀접하게 업무를 같이 하는 사람으로부터 리뷰를 받기를 원했다.회사 회고 회사에 대한 회고도 에잇퍼센트 Way에 맞춰서 진행되었다. 솔직한 의견을 듣기 위해 무기명으로 진행되었다. 모든 회고가 진행된 이후에는 답변들을 요약하고 정리해서 컨플루언스에 공개했다.에잇퍼센트 Way 를 기준으로 우리 회사가 지난 1년 동안 잘한 것은 무엇일까?에잇퍼센트 Way 를 기준으로 우리 회사가 지난 1년 동안 부족했던 것은 무엇일까?우리 회사가 내년에 어떤 것을 잘하면 "성공" 할 수 있을까?이효진 대표에게 바란다.이 회고에서는 그룹별의 차이를 느낄 수 있었다. 어떤 파트에서는 다양한 시도와 성장을 잘한 일로 뽑았고, 다른 파트에서는 다양한 시도와 성장에 따르는 부족한 완성도를 단점으로 뽑았다.회사 회고를 통해서 내가 보고 있는 회사와 구성원들이 바라보는 회사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에 안도감을 느꼈다. 그리고 "우리 회사가 내년에 어떤 것을 잘하면 "성공" 할 수 있을까?"에 대한 질문을 통해서 내년에 우리가 나아가야 될 방향에 대해서 고민해 볼 수 있었다.마지막으로 "이효진 대표에게 바란다"를 통해 사람들이 이효진 대표를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엿볼 수 있었다. "똑바로 해라"라는 직설적인 의견부터 "번아웃 되지 않게 조심하세요."라는 따뜻한 의견 까지. 대체로 구성원들이 대표와의 거리를 멀게 느끼지 않았다.회고 평가마지막은 2016년 회고에 대한 평가를 무기명으로 받았다. 이번 평가(회고라는 이름이 붙어 있는)가 에잇퍼센트의 첫 번째 평가이고 앞으로도 평가가 계속되어야 하기 때문에 구성원들의 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받을 필요가 있었다. 받은 의견들은 다시 정리해서 컨플루언스에 공개했다.평균 4.1점이면 괜찮은 것 아닌가?다음과 같은 질문을 받았다. 회고의 어떤 점이 좋았나요?평가라는 것을 진행한 것 자체가 좋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리고 리뷰어를 제비뽑기로 정한 방식도 새롭다고 느낀 분들이 있었다.회고의 어떤 점이 부족했나요?평가에 따른 상벌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쓴소리보다는 좋은 말만 쓰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제비뽑기로 리뷰어를 지정하다 보니 적절한 피드백을 줄 수 있는 사람으로부터 피드백을 받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처음이다 보니 과정이 매끄럽게 진행되지 못했다.다음 회고를 잘하기 위한 아이디어가 있으세요?좀 더 자주 평가를 했으면 한다고 의견과 그 평가들을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한 아이디어들이 제시되었다.이런 의견들을 회사 데모 시간을 통해 구성원들에게 전달하고 이런 의견을 반영한 평가 개선안을 공유하는 것으로 2016년 평가를 마쳤다.개인적인 회고개인적으로 우리의 방식으로 평가의 첫걸음을 내디뎠다는 것에 대해서 만족한다. 어떻게 생각해보면 참 허접한 평가기도 했지만 또 이것이 린하게 접근하는 스타트업의 방식이라는 생각도 든다. 앞으로 에잇퍼센트라는 회사는 계속 성장하게 될 것이고 그에 따른 평가 방식들을 갖춰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예방주사를 맞았다고 생각할 수 있을까.  이와 같은 허접한 시도도 달갑게 받아들이고 회사와 대표에 대해 의견을 아끼지 않는 것을 보고 구성원들이 참 건강하구나라는 것을 느꼈다. 이런 조직에서 일할 수 있는 것에 다시 한번 감사한다.마지막으로 나 자신이 에잇퍼센트에 앞으로도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겠구나라는 자신감이 들었다. 2017년도 파이팅하자.#8퍼센트 #에잇퍼센트 #2016년 #평가 #조직문화 #기업문화 #팀문화
조회수 1587

명절이면 HOT해지는 굿닥이의 속내를 엿보다

명절만 되면 나도 모르게 찾게 된다는 그 앱. 병원·약국 검색 앱 굿닥은 매년 명절만 되면 트래픽이 급증한다고 하는데요~ 이에 이번 설 연휴를 앞두고 8만 건이 넘는 DB에 대한 업데이트를 진행했다고 합니다. 이 정도로 고도화된 병원·약국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곳은 굿닥이 유일하죠. 사내기자 O가 굿닥의 마스코트 ‘굿닥이’를 통해 이번 업데이트 건에 대해 자세한 얘기를 들어봤습니다. (주의: 굿닥스러움을 전달하기 위해 굿닥어체를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 )  O: 새해가 밝았어요! 굿닥이는 올해로 나이가..굿닥이: 2012년에 태어났으니 6살입니닥!O: 세월 빠르네.. 어느새 유치원 갈 나이가 됐다굿! 그건 그렇고 요즘 굿닥은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거에요?굿닥이: 아주아주 많은 일들을 동시다발적으로 하고 있습니닥. 그 중에서도 요즘 특히 강조하고 싶은 건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한 DB 업데이트 작업이라굿. (찡긋)O: 아~ 기사 통해서 봤다굿! 8만 건이 넘는 DB를 업데이트 했다고 본 것 같은데.. 얼마나 걸리는 작업인가요?굿닥이: 사실 DB 자체를 연동시키는 작업은 얼마 걸리지 않아요. 관건은 연동시킬 DB의 정확도를 검수하는 작업이 얼마나 걸리는지에 달려있거든요. 변동사항이 많고 체크해야 할 DB가 많아지면 준비부터 완료까지 한 달이 넘게 걸리는 경우도 있다굿!O: 생각했던 것보다 복잡한 일이군요.. 그러고보니 이제 설 연휴인데 명절이면 굿닥 트래픽이 급증한다는 소문을 전해들었다굿! 일부러 이 시점에 맞춰서 업데이트를 진행한건가요?굿닥이: 사실 DB 업데이트는 굿닥에서 정기적으로 해왔던 일이에요. 개폐업하는 병원이나 약국 정보는 최대한 빠르게 반영해야 유저들이 아픈 몸을 이끌고 헛걸음하지 않으니까요. 물론 설 연휴에는 고향이나 여행지 등 낯선 곳에서 굿닥을 이용하는 유저들이 많을 테니 최신 DB를 제공하고자 일정을 맞추려고 했다는 건 부인하지 않겠다굿~후후O: 맞아요.. 명절에 가족 중 한두 명은 꼭 아픈 경우가 생기더라구요. 그런데 명절 영업하는 병원이나 약국 정보는 어떻게 반영하는건가요? 일일히 확인해보는 건 아닐텐데.. 굿닥이: 명절에 문을 여는 병원 및 약국 관련 정보는 보건복지부 차원에서 집계해서 발표해줍니닥. 굿닥은 해당 데이터를 서버에 반영해 유저들이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작업을 하는 거지요. 데이터는 보통 연휴가 임박해서 발표되는데, 연휴 전까지 서버에 반영하기 위해 굿닥 개발자들은 연휴 직전에도 영혼까지 불살라야 한다굿! 고된 업무에 몰래 눈물을 훔치는 굿닥이 O: 그러고보니 굿닥 DB는 공공데이터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아무래도 입맛에 딱 떨어지는 데이터는 아닐 테니 어려운 점이 있을 것 같은데요?굿닥이: 데이터는 여러 루트를 통해 확보하고 있어요. 다만, 개폐업 여부와 진료분야별 카테고리 등은 잘 정리되어 있는 데 반해 영업시간 등 디테일한 정보는 없거나 잘못된 경우가 많아서 내부에서 직접 체크하는 데이터가 아주 많다굿! 아마 우리나라에서 가장 정확한 병원약국 정보일 걸요?O: 보통 일이 아니네요~ 대단하다굿! 그럼 굿닥에는 개발자가 몇 명이나 있고 DB 관련 업무는 누가 하고 있는건가요?굿닥이: 굿닥에는 현재 15명의 개발자가 있습니닥. 모든 개발자들은 각자마다의 역할을 맡고 있는데 DB와 연관된 서버 개발자는 3명이고요. 보이지 않는 곳에서 열심히 일하고 계신 분들이라굿!"DB 업데이트, 그 어려운 걸 굿닥이가 자꾸 해냅니다"O: 보이지 않는 곳에서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고 있는데 굿닥스러움을 발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이 있다면 소개해달라굿! 굿닥이:  굿닥의 마케팅이나 커뮤니케이션 방식이야 옐로피플들에게 많이 소개됐으니, 이번엔 개발문화 얘기를 해보고 싶네요! 굿닥은 급변하는 환경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3주 단위로 기획부터 회고까지 이어지는 ‘스프린트’를 도입해 개발문화를 혁신하고 있거든요~ 각자 맡은 업무별로 단기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고, 회고까지 진행해야 하니 개발자들에게 부담은 커질 수 있지만 효율성이 높아졌다는 점에서 내부적으로는 만족하고 있다굿! :) 세부적인 사항들은 앞으로도 계속 개선해나가면서 굿닥만의 개발 문화를 만들어나갈 예정입니닥~O: 정말 좋은 정보인 것 같아요~ 말이 나온 김에 굿닥이가 옐로피플에게 추천하는 굿닥의 업무 노하우가 있다면 하나 더 오픈해주세요!굿닥이:  요즘 굿닥의 개발자들이 효과를 체감하고 있는 것이 있는데, 바로 온라인 일일회의입니닥~*3* 기존에 오프라인 회의를 진행할 때는 1시간 가량 소요되던 것이 온라인으로 바꾼 이후 15분 수준으로 단축되어 많은 시간을 아낄 수 있었어요. 물론 사안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매일 길어지는 회의 때문에 고민이 있는 옐로 패밀리라면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해보면 좋겠다굿!  O: 마지막으로 옐로피플들에게 새해인사 한 마디 하라굿!굿닥이: 머니머니(Money Money = 돈돈)해도 건강이 가장 큰 복인 거 알죠? 새해에는 옐로피플 모두 건강한 한 해가 되기를 바랍니닥 :) 그리고.. 스마트폰 한켠에 굿닥 살포시 챙겨두면 분명 요긴하게 쓰일 때가 있을 테니 명절 연휴 휴대폰에 꼭꼭 넣어두길 바란다굿! (옐로피플들 휴대폰 굿닥이가 다 검사할겁니닥....)"옐로피플 모두 건강한 한 해가 되라굿!"
조회수 1727

응답시간 분포도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개선은 웹 트랜잭션의 응답시간을 분석을 통해 이뤄집니다. 와탭의 응답시간 분포도는 대규모 트랜잭션 분석이 가능한 Heatmap 형태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와탭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응답시간 분포도를 통해 웹 서비스의 응답시간이 느려지는 것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턴 분석을 통해 느려진 원인을 예측할 수도 있습니다. 와탭의 응답시간 분포도Y 축: 트랜잭션 응답시간을 의미합니다. 10s는 트랜잭션이 시작에서 종료까지의 시간이 10초가 걸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X 축: 트랜잭션이 종료된 시간을 의미합니다.■: 트랜잭션이 발생한 위치에 색이 칠해집니다. 청색 계열은 정상적인 트랜잭션을 의미합니다. 노랑색과 붉은 색 계열은 에러가 발생한 트랜잭션을 의미합니다. 색상의 농도는 해당 영역에 발생한 트랜잭션의 밀도를 상대적으로 표시합니다.  와탭의 응답시간 분포도는 트랜잭션의 응답시간을 시각화하는 것입니다. 웹 서비스의 트랜잭션을 시각화 할 뿐만 아니라 추적하고자 하는 영역을 드래그하여 트랜잭션의 진행상황을 추적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추적하고 싶은 트랜잭션을 드래그 하는 모습와탭의 응답시간 분포도에서 트랜잭션을 선택하면 분석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해당 애플리케이션 서버 정보를 통해 선택된 트랜잭션이 어느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발생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애플리케이션과 선택된 트랜잭션 정보 화면분석하고 싶은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클릭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발생한 트랜잭션 목록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APM을 통해 확인하고 싶은 내용이 트랜잭션의 디테일한 정보일 것입니다. 와탭의 APM은 트랜잭션을 시각화하고 시각화된 트랜잭션을 선택하면 선택된 트랜잭션의 목록을 애플리케이션 서버 별로 분류하여 선택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능동적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할 수 있는 최적화된 흐름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응답속도 분포도를 통해 선택한 트랜잭션 목록#와탭랩스 #개발자 #개발팀 #인사이트 #경험공유 #일지
조회수 2130

왜 차세대 SaaS는 페이스북처럼 될 것인가.  

사람들이 매일 사용하는 서비스 중 가장 유용한 것은 무엇일까?대부분의 경우에 있어, 그것은 Slack, Gmail 혹은 Excel 같은 SaaS 툴이 아닐 것이다. 그것은 바로 페이스북이다.페이스북으로 할 수 있는 모든 것들에 대해 생각해보자.친구들에게 메시지 보내기 영상 통화 하기 뉴스 보기 이벤트 기획하기 사진과 동영상 공유하기사람들은 페이스북에 얼마나 많이 의지하고 있는 지 종종 잊어버리지만, 페이스북은 이미 우리의 일상 생활에 아주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 오늘날에는 수 백만 개의 서비스가 존재하지만, 그들은 그럼에도 만족할 줄을 모른다. 그리고 페이스북은 SaaS 회사들이 할 필요가 있는 것들을 정확히 집어서 하고 있다.On-premise(인하우스 서비스)에서 SaaS(클라우드 컴퓨팅)로SaaS는 “Software as a Service.” 의 약자이다. 페이스북은 사실 기술적으로 SaaS라기 보다는, 일종의 소비자 네트워크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페이스북만큼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은 존재하지 않는다. 페이스북이 이렇게까지 성공한 것은 그 서비스 내에서 유저들의 이용률을 크게 늘렸기 때문이다. 다른 SaaS 기업들은 이 부분을 더 신경 써야 될 필요가 있다. 이용률이야말로 지금 SaaS 비즈니스의 생존에 있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예전에, 소프트웨어는 회사의 컴퓨터 네트워크에 실제 물리적으로 깔려야만 했다. 소프트웨어 판매업자들은 대기업에 라이선스를 팔기도 했고, 그런 기업들은 해당 소프트웨어 이용을 위해 Accenture나 CSC 같은 회사에 돈을 지불하기도 했다. 당시 판매업자들은 라이선스를 많이 팔기만을 원했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그 소프트웨어를 쓸 지에 대해선 관심이 없었던 것이다.그리고 1999년, Salesforce의 공동 창업자인 Marc Benioff는 새로운 모델을 소개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설치하는 데만 수 개월이 걸리고 하드웨어와 네트워킹에 엄청난 투자를 요구하는 비싼 CD-ROM 소프트웨어를 기업들에게 파느니, 우리는 클라우드 컴퓨팅이라고 알려진 모델을 통해 Software-as-a-Service(SaaS)를 팔기로 했다. 기업들은 이제 유저의 수에 맞춰 서비스를 이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해야 할 것이고, 그런 서비스들은 인터넷, 클라우드를 통해 즉시 제공될 것이다.”구독 기반(subscription-based) 소프트웨어는 회사 내부의 데이터 센터가 아닌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제공된다. 이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하여금 언제든지, 즉각적으로 그들의 고객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었다. 어느 순간, 유저를 만족시키는 일은 CIO(Chief Information Officer)나 시스템 통합업체의 책임이 아니게 된 것이다. 그 일은 이제 소프트웨어 판매업자가 하게 되었다.이러한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은 SaaS 소프트웨어로 하여금 생존을 위해 끊임없이 자신들의 가치를 어필하게끔 만든다. 그리고 SaaS 회사들은 계속해서 자신들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양의 돈을 쓰고 있다. 이는 과거 기업 고객들에게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팔러 다니던 때와는 180도 달라진 상황인 것이다. 오늘날의 SaaS 회사들은 예전처럼 높으신 몇몇 분들을 만나 무언가를 사라고 설득할 필요가 없다. 그저 이용자들이 자신들의 제품을 계속 사용하게끔 유도하면 되는 것이다.페이스북은 SaaS의 새로운 모델이다이제 페이스북을 한 번 살펴보자. 페이스북은 클라우딩를 통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들은 광고를 통해 돈을 벌기 때문에, 그들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사람들로 하여금 계속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는 데 있다. CIO들을 만나서 큰 계약을 체결하는 데 시간을 쓸 바에야 그 100분의 1초도 안 되는 시간에 12억 명의 사람들에 서비스를 파는 것이 더 낫다는 것이다.페이스북이 딱 한 가지 신경 써야 될 것이 있다면 그것은 사람들이 지금보다 더 적극적으로 페이스북을 이용하게끔 만드는 것에 있다.“우리의 최우선 목표는 모바일 장치나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사람들을 연결시켜주고 공유하게끔 하는 유용하고 매력적인 서비스를 창조하는 것에 있습니다.” – 미국증권협회 기업정보 페이지의 페이스북 파일에서페이스북이 사람들의 관심을 많이 받을수록, 그들은 더 많은 광고를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 있다. 페이스북에게 있어서, 그러한 관심은 아주 중요한 것이다. 더 많은 관심을 받는 다는 것은 더 많은 성장과 확장의 기회를 갖는 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드롭박스나 Slack과 같이 바텀업 방식으로 성장한 SaaS 기업들이 새겨들어야 할 점이다. 유저들이 서비스를 쓰는 시간이 많아진다면, 앞으로 그들에게 더 많은 다른 서비스를 쓰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앞으로 페이스북이 더 성장하고 발전하려면 유저의 관심이 필요하다. 그래야 여러 방면에서 이용률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여기서 페이스북이 그들 서비스의 이용률과 성장을 이뤄낸 3가지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보도록 하겠다. 모든 SaaS 기업들은 비슷한 방법으로 자신들의 이용률과 성장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다.페이스북은 이용률을 측정하여 현재 운영하는 서비스를 최적화 시켰다페이스북은 이용률을 늘리기 위해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는다페이스북은 다른 앱들과 통합하는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페이스북을 쓰지 않는 사람들조차 페이스북을 쓰게 되었다페이스북이 이용률을 어떻게 늘렸는지에 대해 좀 더 깊이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다. 그러고 나면 페이스북의 노하우를 다른 SaaS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 지 분명하게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이용률 측정을 통해 서비스의 최적화를 이뤄낸다지금 사람들이 어떻게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지 모르고 있다면 그들에게 당신의 서비스를 사용하게 만들 수도 없을 것이다. 페이스북은 이용률을 늘리는 방법에 대해 집요하게 연구해왔기 때문에 좋은 사례로 들기에 적합하다.핵심은 사람들이 지금 하고 있는 것, 그리고 그들이 원하는 것을 정확하게 아는 것에 있다. 페이스북은 단순히 월 이용자 수나 일 이용자 수를 알아보려 애쓰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런 수치들은 사용자들이 그 서비스를 통해 무엇을 하는지를 전혀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신 페이스북은 서비스 이용의 질적인 부분에 집중한다. 사람들이 페이스북을 통해 무엇을 이루려고 하는 지와 그들이 실제로 그렇게 할 수 있는 지에 대해서 말이다.이 부분에 있어 페이스북의 대표적인 전략 중 하나가 바로 10일안에 친구 7명 만들기이다. 일찍이, 페이스북은 10일안에 7명의 친구를 만드는 사람은 페이스북을 계속 사용할 확률이 훨씬 더 높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일단 이것을 알게 되자, 그들은 신규 유저들이 7명의 친구를 만날 수 있게 하기 위해 가진 모든 수단을 쓸 수 있게 된 것이다.바로 지금도, 페이스북은 새로운 친구를 추가할 것을 사람들에게 계속해서 권장한다. 왜냐하면 이것이야 말로 네트워크를 이루는 데 있어서 가장 가치 있는 부분이기 때문이다.페이스북 계정을 만들자마자, 유저들은 뉴스 피드 상단에 새로운 친구를 추가하시겠냐는 메시지가 뜨는 것을 볼 수 있다.아래 사진은 유저들이 다른 페이지를 둘러 보는 동안 뜨는 사이드바인데, 보다시피 그들이 알 수 있을 법한 사람들을 친구로 추가하게끔 권장하고 있다.또한 페이스북은 뉴스 피드와 같이 그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더 많은 친구들을 추가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페이스북은 이런 전략을 앞으로도 고수할 것이다. 2017년, 페이스북은 “Discover people” 이라는 새로운 기능을 출시했다. 이는 당신으로 하여금 프로필을 업데이트 하게끔 유도하고 기존에 친구가 아니더라도 같은 이벤트에 참여하는 경우 서로를 연결시켜 준다.페이스북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게 만들기 위해 기나긴 세월 동안 노력해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그들은 친구 최적화를 빠르게 해줄 뿐만 아니라 흥미를 잃은 사람들도 쉽게 다시 돌아올 수 있도록 여러 요인들을 제공해준다. 페이스북의 성장 전담 부서를 이끌고 있는 Chamath Palihapitiya은 “당장의 단기적인 이익에만 집중하지 않기 위해서는 절제력이 필요하다.” 라고 말한다. 페이스북은 초창기부터 무엇보다 사람들의 이용률이야말로 그들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사람들의 주된 목표를 파악해서 이용률을 장기적으로 늘리는 것이 그들의 제1과제 였던 것이다.Trello는 어떻게 유저들이 쉽게 직장 동료를 추가하도록 만들었는가페이스북과 똑같이, Trello는 유저들이 무엇을 하는지를 이해하고 그들이 원하는 걸 더 많이 하게 도와주는 방식으로 이용률을 올렸다. Trello의 핵심적인 가치는 사람들이 프로젝트를 협력하게끔 만드는 것이었기 때문에, 그들이 그렇게 하도록 도움을 줘서 자신들 서비스의 가치를 보여줘야 했다.그래서 Trello가 직장 동료를 추가하는 방식은 놀라울 정도로 쉽게 되어 있다. 이는 페이스북이 친구를 추가하는 방식과 정확히 똑같다. 페이스북이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친구를 추가하게 하여 소셜 네트워크의 가치를 입증했다면, Trello는 쉽게 동료들을 추가하게 하여 프로젝트 협업 툴로써의 가치를 입증했다.Trello는 유저들로 하여금 이름이나 이메일 주소로 아는 사람들을 등록할 수 있게 만들었다. 유저들은 코드나, ID, 링크 같은 것 없이도 사람들을 쉽게 추가할 수 있다. 심지어 다른 사람들이 Trello를 사용하는지도 알 필요가 없다. 어찌 됐든 Trello를 통해 사람들을 찾아보고 확인해 볼 수 있는 것이다.또 만약 Trello를 한 번이라도 썼던 사람이라면 더욱 쉽게 목록에 추가할 수 있다.이런 방식을 통해 이용자들은 아무런 마찰 없이 많은 동료, 협력자들을 통해 프로젝트를 공유할 수 있다. 즉, Trello의 핵심 가치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는 사람들에게 Trello가 얼마나 유용한 서비스인지를 빠르고 쉽게 이해시켰다. 또한 이는 더 많은 사람들이 더 많은 프로젝트를 하게끔 유도했고, 결국 모두가 Trello를 더 많이 이용하게 되었다.Slack은 어떻게 이용률을 늘려왔는가이렇게 사용자의 이용률에 집중해서 성장을 이루고 있는 유명한 SaaS 기업이 또 하나 더 있다. Slack이 바로 그 기업인데, Slack은 메시지를 매끄럽게 전송하는 역할 하나에만 전념하고 있다.Slack은 자신들의 서비스를 이용해 2000개 이상의 메시지를 보낸 적 있는 팀들은 Slack의 가치를 알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계속 서비스를 사용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왜냐하면 Slack의 통계에 따르면, 다른 요소들이 어떻든 간에, 2000개 이상의 메시지를 보낸 팀들 중 93%가 지금까지도 Slack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용률을 늘리기 위해선, 메시지를 보내는 것을 더 쉽게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Slack의 공동 창업자인 Stewart Butterfield 역시도 이 목표를 위해 사람들이 실제로 어떻게 Slack을 쓰고 있는가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처음으로 Slack을 쓰려고 온 사람이 되었다고 생각해 보는 겁니다. 특히 진짜 사회생활을 하는 사람들 말이죠. 상사에게 Slack을 쓰라고 해서 쓰게 된 사람, 아침 먹을 시간도 없어서 짜증이 난 사람, 주말이 오기 전에 프로젝트를 끝낼 수 있을지 걱정하는 사람… Slack을 면밀히 살펴봐서, 이런 사람들에게 먹히지 않을 것 같은 요소들을 생각해 내는 겁니다. 냉정하게 보는 거에요. 최고의 서비스를 주기 위해서 말이죠.”Slack은 메시지 전송에 따르는 불편함을 개선하면서 이용률을 늘려왔다. 그러한 개선의 예를 들어 보자면, 누군가가 Slack에서 링크를 걸었다고 했을 때, Slack은 그 링크에 대한 간단한 정보를 미리 보여준다. 즉, 사람들은 링크를 보려고 앱에서 빠져나와야 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나중에 다시 그것을 확인해보기도 편하고 말이다.이런 시스템상의 개선점들이 Slack을 성장하게 만들었다. 메시지를 보내는 것에 있어서 사람들이 원하는 부분을 아주 쉽게 할 수 있게 만들었기 때문이다.이렇듯 페이스북, Trello, Slack은 모두 실제 이용자들이 원하는 것을 이해하고 그들이 그것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래에 이런 SaaS 기업들이 어떻게 자신들의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도움을 줬는지 요약해보았다.페이스북의 10일안에 친구 7명 만들기, Slack의 2000개 이상의 메시지 보내기, Dropbox의 파일 한 개 업로드 하기 등과 같이 그들은 수치로 표시되는 목표를 세웠다. 이러한 목표는 당신의 팀으로 하여금 무엇이 가장 이용률을 끌어오는데 중요한 지를 확인시켜줄 뿐만 아니라 그들에게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숫자를 알려준다.핵심적인 기능들을 사람들이 이용하게 하려면 그것을 직관적으로 만들어야 한다. Raymond Loewy(미국의 전설적인 산업 디자이너)에 따르면, 성공적인 서비스는 사람들이 당장 사용하기에 편해야 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이 처음 “On this day” 서비스를 도입한 것은 유저들로 하여금 무언가 새로운 것을 하는 걸 권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이 서비스는 여전히 유저들에게 친숙한 태그, 공유하기 기능들을 사용하고 있다.유저들의 참여를 막을 만한 요소들을 찾아서 없애야 한다. 사용자들이나 얼리 엑세스 베타 테스터 등과 이야기를 해봐서 무엇이 서비스에 있어 가장 짜증나는 요소인지 알아내야 한다. “이거 어떻게 하는 건지 모르겠어요” 라던가 “이게 좀 쉽게 됐으면 하는데…” 와 같은 불만들에 귀기울여야 한다. 이런 장애물들을 제거하면 유저들이 서비스를 이해하기 더 쉽고 그 서비스의 가치를 파악하는 것 역시 쉬워진다.즉, 현재 가지고 있는 서비스 내에서 이용률을 끌어올리려면 유저들에게 무엇이 가장 도움이 되고 의미가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이용률을 늘리기 위해 서비스를 추가한다이용률을 끌어올린다는 것은 단순히 사람들로 하여금 기존의 서비스를 계속 쓰게 만드는 것 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당신은 끊임없이 실험을 해보고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해서 유저들이 서비스를 통해 더 많은 것들을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페이스북은 기존에 그들이 가진 서비스가 수명이 다할 것을 걱정해서 계속 실험을 하고 이용자들이 앞으로 무엇을 원할지를 예상해왔다.페이스북의 직원 가이드북을 보면, 새로운 직원들은 그들의 팀이 계속 새로운 생각을 하게끔 자극 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그 결과, 페이스북은 끊임없이 혁신하고, 또 그만큼 실패를 경험하고 있다.페이스북은 스냅챗으로부터 이용자들을 뺏어오기 위해 2012년 별도의 앱인 Poke를 출시한다. 그런데 이 앱은 대실패작이 되었고 페이스북은 얼마 지나지 않아 앱스토어에서 이 앱을 삭제하게 되었다.2014년에 페이스북은 이용률을 늘리기 위한 일환으로 슬링샷이라는 앱을 출시했다. 이 앱은 사진과 함께 메시지를 보내면 스냅챗과 같이 몇 초안에 사라지는 것이 특징인데 불과 1년만인 2015년에 앱스토어에서 내려가게 되었다.또 페이스북은 2016년 Quick Update라는 것을 시도했다. 이는 스냅챗과 비슷한 기능을 페이스북 앱에 추가시키는 것이었는데, 이런 기능을 유저들을 대상으로 그룹테스트 해 본 결과 반응이 좋지 않아 결국 공식적으로는 출시되지 못하게 되었다.이런 좋지 않은 결과들은 페이스북이 혁신에서 실패하고 있다는 소문을 자아냈다. Jason Calacains 같은 논평가는 이에 대해 “페이스북의 앱 플랫폼은 망하기 위해서 혁신을 하는 것인가?” 라고 하기도 했다.하지만 페이스북의 이런 계속되는 시도는 결국 그들을 새로운 기회로 인도했다. 그들은 스냅챗의 스토리 기능을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에 도입하려고 시도해 왔는데 이 과정에서 마침내 페이스북 라이브라는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냈다. 이 서비스는 대히트를 쳤고, 이제 회사, 미디어, 그리고 유명인사들까지 모두 페이스북의 라이브 스토리를 사용하고 있다.이렇듯 페이스북이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이유는 그만큼 실패도 많이 해봤기 때문이다. 그들은 그저 사람들이 관심 가질 만한 새로운 무언가를 계속 만드는데 집중할 뿐이다. 왜냐하면 이런 시도야말로 궁극적으로 이용률을 더 많이 올릴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드롭박스 역시 이용률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고 있다SaaS 기업들은 현재의 서비스보다 한 걸음 더 앞선 서비스 제공을 통해 이용률을 끌어올릴 수 있다. 그들은 지금 하는 것 이외에 이용자들이 무엇을 더 원하고 더 신경 쓸까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그 예로 드롭박스의 드롭박스 페이퍼를 들 수 있다. 드롭박스는 원래 파일 공유 서비스였다. 하지만 오늘날, 드롭박스는 파일을 공유하는데 있어 다양한 방법을 제공해준다. 만약 드롭박스가 처음 서비스 이외에 유저들이 뭘 더 원할 것인 지를 생각해보지 않았다면 결국 이용률을 올릴 방법이 바닥나서 망하게 됐을 것이다.즉 드롭박스는 단순한 파일 공유 서비스에서 사람들이 함께 일하는 걸 더 쉽게 만들어 주는 일종의 팀 협업 툴로 자신들의 브랜드를 쇄신한 것이다. 이러한 재브랜딩 과정과 함께, 드롭박스는 2015년에 “창조적인 업무를 위한 새로운 형태의 파일 편집 툴” 이라는 신규 서비스인 드롭박스 페이퍼를 런칭했다.드롭박스 페이퍼는 단순히 문서와 파일을 저장하는 데 드롭박스를 쓰는 것이 아니라, 이제 문서와 파일을 만드는 데에도 드롭박스를 쓸 수 있게 만들어 주었다. 드롭박스 페이퍼는 사람들이 더 많이 서비스를 이용하게 만들었는데, 이는 파일 공유를 넘어 사람들간의 협업을 더 쉽게 해준다는 추가적인 옵션을 제공해줬기 때문이다.드롭박스가 이렇게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려는 이유는 생존하기 위해서이다. 이 산업에 있어 망하는 일은 너무나 쉽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Intercom의 Des Traynor는 다음과 같이 이를 설명한다.“원래 이쪽 산업이란 게 이런 겁니다, 기술이란 것의 특성 자체가 이런 것이죠. 모든 서비스가 결국 다 죽어 없어지게 되어있습니다. 만약 내 말이 사실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면 저에게 그렇지 않은 경우를 알려주세요. 한때는 SaaS 비즈니스가 절대 안 망할 것 같은 시절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더 이상은 아니에요.”만약 당신이 유저들이 당장 원하는 것에 대해서만 생각하고 있다면, 이미 망하고 있는 것이다. 성공적인 SaaS 기업들은 항상 유저들이 미래에 뭘 원하게 될 지에 대해서 생각한다. 아래에 SaaS 기업들이 어떻게 소비자들의 미래 욕구와 새로운 서비스에 대해 예측하려 하는 지 정리해보았다.당신의 경쟁자들, 그리고 왜 유저들이 그들의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이해하라. 온라인 포럼 등을 보고 사람들이 경쟁사의 서비스를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알아내라. 이를 통해 당신은 사람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그 방향이 어디로 향하게 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얻게 된다. 이런 과정은 서비스의 확장과 새로운 서비스를 실험해 볼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해준다.당신의 서비스를 사용했을 때 유저들이 무엇을 할 수 있을지를 생각해 봐야 한다. 유저들이 당장 요구하는 것만 만드는 것이 아닌 그들이 앞으로 원할 것이 무엇인지를 한 발 앞서 생각해 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마존이 최근 개시한 새로운 서비스인 “Your idea” 리스트를 보자. 이 서비스는 유저들이 쇼핑을 하면서 비록 구입 하진 않더라도 커뮤니티에 자신이 생각한 리스트를 보여주고 싶은 욕구를 미리 연구해서 나온 결과물이다.가장 효과적이면서도 남들이 쉽게 예상하기 힘든 기능들을 우선순위로 짜는 것이 좋다. Gusto의 Tomer London은 서비스를 만들고 그것을 개선시킬 때, 가장 좋은 기능은 타인이 예측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것들이라고 한다. 사람들이 서비스를 통해 무엇을 가장 하고 싶어하는 지를 이해하고 그들을 도와줄 더 쉽고 나은 방법들을 생각해본다면 가장 효과적인 기능에 대한 단서를 잡을 수 있다. 남들이 예측하기 어려운 방법들은 당신이 처한 경쟁 지형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알아갈 수 있다. 서비스 이용률을 늘리기 위해 다른 서비스와 통합한다우물 안의 개구리처럼 서비스를 홀로 제공하려 한다면 최대한의 이용률을 얻기란 요원하다. 당신은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음으로써 이용률을 늘릴 수 있지만, 그것으론 충분하지 않다. 유저들은 항상 다른 서비스 역시도 사용하고 있다. 당신이 이길 수 있는 방법은 당신의 서비스를 다른 서비스에 포함시킴으로써 사람들이 그 서비스를 쓸 때, 당신의 서비스도 쓰게 만드는 것이다.당신이 페이스북 웹사이트나 앱을 통해 페이스북을 쓰고 있지 않더라도, 당신은 페이스북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페이스북을 이용해서 다른 서비스에 로그인 할 수 있다당신은 다른 웹사이트의 컨텐츠를 페이스북에 공유할 수 있다당신이 작업하는데 쓰는 서비스를 페이스북에 연결시킬 수 있다.티켓마스터를 통해 공연 티켓을 구매하는 것 역시도 페이스북으로 할 수 있다.페이스북은 다른 서비스들과도 완전히 통합이 되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페이스북 인터페이스를 다른 서비스에서 보더라도 전혀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심지어 어떤 경우에는, 페이스북 계정이 없다면 다른 사이트에 가입하기 어려울 때도 있다.페이스북이 다른 서비스와 더 통합이 될수록 당신은 더 페이스북을 쓰게 되고 그것을 필요로 하게 된다. Social Capital LP의 공동 경영자인 Arjun Sethi는 이점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페이스북이 권장하는 행동들이 일종의 문화가 되고 있어요. 페이스북은 그냥 가만히 앉아서 다른 서비스가 자신의 특징들을 베끼는 걸 보고만 있지 않았습니다. 자신들의 서비스를 다른 곳에 아주 쉽게 통합될 수 있게 만들었고 그 과정에서 핵심적인 이득은 다 챙겨갔습니다.”이것은 페이스북의 신중한 성장 전략의 일환이다. 다른 서비스의 개발자들이 페이스북을 쉽게 그들의 서비스에 통합할 수 있게 만듦으로써, 그냥 자신들의 서비스 내에만 머물러 있는 것에 비해 훨씬 더 많이 사람들이 페이스북을 사용하게끔 만들었다.Slack 역시도 다른 툴과 쉽게 통합이 가능하다페이스북이 다른 소셜, 라이프스타일 서비스들과 통합해서 유저들을 끌어모은 것처럼, Slack 역시도 자신들의 서비스를 다른 관련된 툴들과 통합할 수 있게 만들었다.Front와 같은 이메일 클라이언트와의 통합은 사람들로 하여금 Slack에서 바로 이메일을 관리할 수 있게 하였다.Slack은 또 Stripe와 통합을 하였는데, 이로 인해 사람들은 Slack 내에서 고객 결제 데이터를 보고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Google Docs와의 통합으로 Slack 앱을 나가지 않고도 구글 문서 활동들을 볼 수 있게 되었다.Slack은 서드 파티의 통합을 장려하기 위해 거대한 앱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2015년에, 그들은 앱과 관련해서만 8천만 달러의 벤처 펀드를 만들었다. 2016년에, Slack은 자신의 플랫폼 내에 600개 이상의 앱을 보유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메일을 관리하거나, 고객과 커뮤니케이션을 하거나, 제품 분석 결과를 보는 것 등을 하러 다른 곳으로 일일이 가는 대신에 Slack 유저들은 기존 자신들의 서비스를 통해서 그 모든 것들을 할 수 있게 되었다.페이스북과 Slack은 그들 서비스의 유저들이 사용할 만한 다른 서비스들과 통합을 통해 이용률을 올렸다. 당신 서비스의 이용자들도 알고 있는 이런 기술의 생태계 속에 당신의 서비스를 끼워 넣는 방법에 대해 아래에 정리해 보았다.당신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유저들의 워크플로우 대해 생각해보고 그것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점들에 대해서 추측해보라. 예를 들어, HubSpot을 이용하는 기업들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람들을 광고로 유인해서 실제 고객으로 만드는 데 있다. 그래서 HubSpot은 그 목적을 더 잘 수행하기 위해 자신들의 CRM 툴을 페이스북의 광고 관리 프로그램인 Adespresso와 통합할 수 있 게 만들었다. 즉, 사람들이 페이스북 광고를 클릭하게 되면 그 유저의 정보는 자동으로 그들의 CRM에 업로드가 된다.다른 유명 서비스들과의 통합을 통해 그들의 규모가 가진 이점을 가져오는 것이 좋다. 눈에 잘 띄는 서비스와의 통합은 당신의 서비스 역시도 눈에 잘 띄게 만들어준다. 잠재적 유저들에게 당신의 서비스를 소개할 수 있는 기회를 더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유명 서비스가 가진 브랜드 신뢰성 역시도 가져올 수 있다. 만약 당신의 회사가 아직 작다면, 유명하고 접근하기도 쉬운 Slack이나 페이스북과 같은 서비스와 함께 시작하라.Zapier를 활용해서 다른 서비스들과의 통합을 도모해라. Zapier에 호환이 되도록 앱을 만든다면, 유저들로 하여금 당신이 아직 직접적으로 통합을 제안하기 어려운 다른 앱들과 통합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해 주는 것과 다름이 없다. 이 방법은 당신의 서비스가 아무리 독특하다 할지라도 그것을 유저들의 워크플로우에 집어넣는 데 도움이 된다.서비스를 개선시키는 데 있어 한 가지 방법만 써서는 이용률을 끌어올리는 데 한계가 있다. SaaS 기업들이 정말로 유저들로 하여금 그들의 서비스를 계속 좋아하고 이용하게끔 만들려면, 할 수 있는 모든 방면에서 이용률 최적화를 해야 한다. 기존의 서비스 내에서 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서비스, 다른 유저들에게 이미 필요한 다른 서비스와의 통합을 해서라도 말이다.차세대 SaaS를 만드는 것에 대해SaaS 서비스들은 점점 더 무용지물이 되어 가는 경우가 많고 사라지는 서비스들도 많다. 만약 SaaS 기업들이 왜 사람들이 그들의 서비스를 쓰는 지 이해하지 못한다면, 그들은 계속 성장할 수 없을 것이고 유저들도 이탈할 것이다.지금까지의 내용을 정리하자면 페이스북은 이용률과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매우 포괄적이면서도 단순한 방법 3가지를 생각해냈다. 사람들이 현재의 서비스를 더 많이 사용하게 만드는 것, 새로운 서비스를 통해 더 많이 사용하게 만드는 것, 그리고 다른 서비스와의 통합을 통해 자신의 서비스를 더 이용하게 만드는 것. 이 3가지이다. 그리고 이렇게 이용률을 올린다는 것은 성공을 의미한다.미래에 가장 성공적인 SaaS 기업 역시 이용률에 중점을 두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 페이스북을 모델로 삼아 설명한 것처럼, 이것들이 SaaS 기업이 앞으로 더 나은 서비스를 만드는 방법이 될 것이다.원문 : 프로덕트해빗#더팀스 #THETEAMS #SaaS #인사이트 #페이스북
조회수 2854

UX 개인화 트렌드

(UX 디자이너 Nikita Gangwal의 미디엄을 번역하였습니다. 의역 많습니다. 원문 출처: https://medium.com/@nikitagangwal.27)어떻게 하면 앱 개인화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다음 단계로 끌어올릴 수 있을까?앱을 비롯한 많은 제품들의 개인화는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그들이 요구하지 않았음에도) 사용자 경험을 한 단계 끌어올린다. 낯선 장소에 방문했을 때 그 곳에 대한 추천을 받고 싶지 않은 사람은 몇이나 될까? 매일 아침 간단한 아침 레시피를 빠르게 추천받고 싶지 않은 사람은? 만약 네비게이션이 당신의 사용 패턴을 파악한 뒤 매일 저녁 6시에 집으로 향할 것인지 조심스레 물어본다면 어떨까? 이 모든 것들이 당신이 요청하기도 전에 이뤄진다면? 이처럼 인간은 누군가가(혹은 무언가가) 자신들을 관리해주고 작업량을 덜어줄 때 편안함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개인화’란 무엇일까?시스템이 정보, 기능, 콘텐츠 등을 사용자의 니즈와 기대에 따라 실시간으로 추천(curation)해줄 때, 우리는 이것을 개인화라고 부른다. 이 때 앱은 사용자에게 가장 최적화된(unique)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 내에서 유저 데이터로부터 습득한 기술을 사용한다.개인화는 왜 필요한가?사람들은 앱이 개인적인 경험을 제공할 때 더 좋아한다. 자신이 좀 더 특별하고 앱과 연결된 것처럼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앱에 개인화된 요소가 단 하나도 없다면, 해당 앱이 실제로는 도움이 될지언정 사용자는 딱히 도움이 안된다고 느낄 수도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Spotify Running의 사례를 보면, 스포티파이는 이제 단순한 음악 감상 앱이 아니다. 스포티파이는 단순 음악 감상에서 나아가, 사용자가 달리는 속도에 맞는 템포의 음악을 추천함으로써 달리기를 계속할 수 있도록 의욕을 불어넣어 준다. 핸드폰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분 당 몇 걸음이나 걷는지를 감지하고 이와 비슷한 비트의 곡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처럼 Spotify Running이라는 고도화된 개인화 기능이 없다면, 스포티파이는 단순한 음악 앱에 불과할 것이다. 오해는 마시라. 플레이리스트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곡을 찾아 듣는 경우라면, 스포티파이는 여전히 최고다. 하지만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개인화된 서비스는 사용자의 페인 포인트와 니즈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단히 매력적으로 어필할 수 있다. 이는 빠르게 사용자와 앱 사이의 유대감을 만들어내고 해당 브랜드에 대한 충성(loyalty)을 이끌어낸다.앱 내에서 개인화 서비스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당신은 브랜드에 대단한 충성심과 애착(affinity)을 지닌 사용자들을 확보한 셈이 되고 장기적으로 매출이 눈에 띄게 오를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유저가 멋진 사용자 경험을 했을 경우 ‘closing the deal’ 상황에서 더 빠르게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어떻게 제대로 실행할 것인가?1) 리서치, 또 리서치: 절대 이 단계를 건너 뛰면 안된다. 당신의 브랜드에 개인화가 필요하다면 어느정도가 적당한지 반드시 이해하라. 사용자에게 무엇이 중요한지, 한계는 무엇인지, 다양한 고객과 관련되어 있는지 파악하라. 2) 단순하고 자연스럽게: 사용자가 앱을 이용할 때 단 1초라도 혼란을 느낀다면 좋은 경험이 아니다. 개인화는 물흐르듯한 사용자 경험을 위한 첫 단계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거의 눈치챌 수 없을 정도로 매끄러워야 한다.3) 반복적인 테스트: 1단계 리서치 만큼이나 중요하다. 유저 테스트는 지금 하고 있는 것이 옳은 것인지 알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반복된 테스트를 통해 발견하는 인사이트는 대단히 놀라울 것이다. 이를 통해 각각의 사용자에게 꼭 맞는(tailor-made)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Luminosity사용자의 매일의 활동과 스킬 수준에 따라 훈련 활동을 추천해주는 고도로 개인화된 두뇌 훈련 앱이다. 사용자는 앱에 빠르게 적응함으로써 서비스를 대단히 흥미롭고 재미있게 이용할 수 있다.Airbnb최근 업데이트된 에어비앤비 모바일 앱은 개인화가 핵심이라고 한다. 사용자가 도착지를 설정하면 에어비앤비는 백만 개가 넘는 현지인의 여행 팁이 담긴 해당 도시의 가이드북을 제공해준다. 가이드북에는 해당 도시에 살고 있는 호스트가 직접 추천한 최고의 식당, 경험, 볼거리 등이 담겨있다.Netflix넷플릭스는 사용자가 봤던 영화들과 비슷한 종류의 시리즈를 추천해줌으로써 개인화를 제공한다. 이들은 사용자들의 영화 관람 내역과 랭킹을 모니터링하는 복잡한 자체 알고리즘을 통해 이를 성공적으로 해내는 중이다.YummlyYummly는 사용자의 음식 선호도나 제약 조건과 관련된 레시피를 찾도록 도와주는 유명한 사이트 중 하나다. 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사용자들은 본인의 음식 선호를 나타내는 조건들을 세팅하게 된다. Yummly는 이 조건들과 함께 사용자의 검색 패턴을 이용해 그들의 기대에 완벽하게 부응하는 레시피를 추천한다.개인화가 잘못되었을 때...개인화 경험을 제공할 때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사용자와의 유대감 뿐만 아니라 그동안 이들과 쌓아올린 브랜드의 신뢰도까지 망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당신의 사용자에 대해 잘 아는 것이 중요하다. 요약하자면, 개인화는 적절한 사람에게 적절한 타이밍에 적절한 양의 정보를 제공할 때에 효과적이다.Know your audience!완전히 잘못된 타이밍에 적절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고 가정해보자. 어떤 일이 벌어질까? 아마 당신은 전반적인 브랜드 평판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작은 에러 정도로 생각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불행히도 마케팅이 잘못됐을 때, 이는 정말(very, very wrong) 잘못될 가능성이 있다. 이 예가 대단히 정확하진 않지만 나는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음과 같은 최악의 고객 경험을 생각해보자. 이 아버지의 날 광고는 고객 타겟팅을 할 때 절대 하지 말아야 할 완벽한 예시다. 이 광고는 많은 잠재 고객들을 고려했지만, 때때로 이 가정들이 옳지 않을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잠재 고객의 고통을 의도한 건 아니지만 이는 명백히 잘못된 타겟팅이다.몇 가지 중요한 팁들1. 개인화를 가치를 더하기 위해 사용하라. 그냥 중요하다고 느껴져서 사용하는 것은 삼가라.2. 잠재 고객에 대해 가정하지 마라. 완전하고 정확한 정보를 얻을 때까지 조사하고 테스트하라.3. 개인화가 너무 자세해지면(If it goes to far) 사용자는 소름끼쳐 한다.4. 좋은 사용자 경험은 미묘하고 눈에 띄지 않을 정도로 이루어질 때 가능함을 기억하라.사용자 경험의 전망개인화 트렌드는 계속 진화하고 있다. 가장 친숙한 개인화 방법은 사용자의 이름을 불러주거나 키워드 매칭을 통해 그들과 관련된 콘텐츠를 보여주는 것이다. 현재 앞서 살펴본 사례들과 같이 다방면에서 개인화된 앱을 볼 수 있다. 앞으로 머신러닝이 사용자의 정성적인 데이터로부터 ‘스토리’를 이해하고, 사용자들이 삶 전반의 다양한 변화를 경험함에 따라 개인화는 완전히 새로운 수준의 완성도를 갖추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개인화된 앱들은 사용자에게 놀라운 경험을 제공하게될 것이다.#더팀스 #THETEAMS #디자이너 #디자인 #인사이트 #성장 #마음을움직이는디자인
조회수 2091

칸반(Kanban) 5개월 사용 후기

사실 개발 방법론이라는 것을 7개월 전만 해도 귓등으로 듣고 그게 왜 필요한지도 알지 못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부끄럽지만 애자일이 수많은 프로그래밍 언어중 하나인줄 알았죠.10개월 전만해도 우리 팀은 저를 포함해서 3명에 불과했고 모든 것은 메신저와 구글 드라이브로 일을 처리했습니다. 기억력이 좋지않지만 머릿속에서 각 팀원들이 언제까지 뭘하고 다음엔 무엇을 언제까지 해야겠다라는 것이 그려질 정도로 적은 숫자였죠. 개발방법론이 필요한 이유가 없으니 무관심한 것은 당연했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 중에 아마 7개월 전의 저와 같은 생각을 하신 분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지금 우리 팀은 11명으로 늘어났고(그중에 소프트웨어 개발팀만 7명) 그들 하나하나를 마이크로 매니징하기에는 저라는 인간이 너무나 머리가 아팠습니다. 그래서 도입한 것이 애자일 개발방법론이었는데 애자일은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거기서 많은 교훈을 얻고 칸반으로 전환하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우리 팀은 애자일 개발선언 중에서도 "계획을 따르기보단 변화에 대응하기"라는 선언을 굉장히 맘에 들어했는데, 그 이유는 애자일 도입이전 우리의 상황이 그랬기 때문이었습니다. 매일매일 고객의 요구는 들어오고 경영진과의 대화에서 매일매일 우선순위가 바뀌고, 그에 따라 하던 작업이 마무리되지 않으면 브랜치를 새로 파서 다른 작업을 하고 미완성된 코드는 늘어났으며 그에 따라 불평불만도 늘어났습니다.여러 애자일 개발방법론 중에서도 우리가 선택했던 것은 eXtreme Programming(XP)이었는데, 우리에게 스크럼과 같은 1달간의 스프린트는 너무 길다, 2주간의 이터레이션(Iteration)으로 구성된 XP가 좋다라는 것이었습니다.우리는 스크럼 보드를 준비했고 거기에 포스트잇을 붙여가면서 아침마다 스크럼 회의를 했으며, 기록을 남기기위해 레드마인을 사용하였습니다.eXtreme Programming Flow Chart간단하게 왜 실패했는지 이유를 들어볼게요.1. 배포 계획(Release Plan)을 수립하기 힘들다물론 계획자체를 만들기 힘들다는 것이 아닙니다. 배포 계획을 만들어도 그대로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큰 틀로 배포 계획을 만들고 작은 틀로 반복 계획(Iteration Plan)을 세우는 것이 목표였는데, 수립을 해봤자 절대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우리와 같은 작은 스타트업의 작은 팀은 시장의 요구사항이라는 급류에 이리저리 쓸려 매일매일 계획과는 다른 일을 하고 있었거든요. 리팩토링할 시간은 커녕 테스트 코드를 짤 시간조차 없었습니다.(핑계일수도 있지만요)거짓말이 아니고 단 한번도 계획대로 되지 않았습니다.2. 팀원들의 시간 예측 능력 부족애자일은 팀원들이 시간 예측을 굉장히 잘한다는 가정하에 잘 돌아가는 방법론입니다. 모두가 함께 한자리에 모여 복잡도를 논의하고 그에 따른 프로젝트의 시간 예측을 하고 함께 번다운 차트(Burn-down chart)를 그리며 하하호호 잘 나아가야 하는데, 우리 팀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물론 실력부족이라고 탓할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 스크럼 보드에 예측시간 8시간이라고 적어놓고 4시간정도만 지나면 다른 문제가 터지거나 다른 기능을 개발해야하는 둥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을 뿐더러 그런 방해요소가 없다고 하더라고 8시간보다 더 많이 걸리거나 더 적게 걸리기도 했습니다.예측시간을 측정하기 힘든 마이너한 이유중에 하나는, 스파이크 솔루션(Spike solution)를 개발하는데 얼마나 걸리는지 예측하지 못한 탓도 있었는데 이 세상에 없는 솔루션을 개발하는데 있어 이전의 경험만으로는 턱없이 부족했습니다.이런 이유들 때문에 우리는 XP를 버릴 수 밖에 없었습니다. 계획보다는 변화에 적응하자!라는 원대한 목표가 있었지만 애자일 개발방법론은 우리가 닥친 미친듯한 변화를 감당하기에는 벅찼습니다. 우리는 스크럼 보드를 점점 멀리하기 시작했고 다시 구글 드라이브로 돌아갔습니다.저는 구글 문서(Google Docs)에 우리가 해야할 요구사항을 적었습니다. 우선순위가 높은 일일 수록 상단에 두었습니다. 그 오른쪽에는 일을 해야할 사람의 이름을 적었습니다. 그렇게 적고 문서를 공유하면 팀원들은 그 문서를 보고 그 순서대로 일을 진행하였습니다. 일을 진행하다가 생기는 의문점은 급한 일일 경우 구두로 전달하고 급하지 않을 경우에는 메신저 또는 문서의 빈공간을 활용하여 적었습니다.완료된 요구사항은 취소선을 긋고 옅은 글씨로 처리하여 해야 할일과 완벽히 구분되도록 하였으며 한 사람당 해당 시간에 하나의 일만 처리하도록 규칙을 세웠습니다. 보류되는 일은 보류 섹션으로 할일을 옮기고 보류가 되는 이유를 적도록 했습니다. 혼자 해결하기 힘들경우 회의를 통하여 함께 해결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구요.그런식으로 우리는 배포 시기를 최대한 맞추려고 노력했고 이상하게도 XP를 버리고 구글 문서로 갈아타니 일이 더욱 수월해져서 이제는 생각보다 일이 빨리 끝나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더욱 놀라운 일은 지금까지 우리가 했던 방식이 칸반과 유사하다는 것이었습니다.저는 바로 칸반 보드를 도입했고 이에따라 애자일에서 배운 규칙/정신과 칸반의 장점을 혼합하여 우리 팀만의 칸반보드를 완성하였습니다.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칸반 보드는 Kanboard의 오픈소스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1.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토대로 개발한다. 절대 혼자 일하지 않는다- 지속적으로 팀의 동의(Team agreement)를 구한다.- Knoledge island를 탈출하라(자신이 알고있는 지식이 전부가 아니다).- 코드 병목현상(Code bottleneck)을 탈출하라. Collective ownership을 발동하라.2. 한 번에 한개의 일만 처리하라. 보류하는 일은 최소로 하라칸반의 핵심으로 한 번에 한개의 일만 처리하도록 합니다. 개발자의 뇌는 하나도 손은 두개이고 손가락은 열개이므로 한 번에 하나의 일만 처리해야 합니다. 한 개의 일이 끝나지 않으면 다음 일을 진행하지 않는 것을 규칙으로 합니다.3. 가능하다면 예측시간을 적는 습관을 들인다개발완료시간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개발자들에게 정말 중요한 능력중에 하나입니다. 신제품을 시장에 빨리 내놓을 수록 피드백을 빨리 받을 수 있으며, 고객으로부터의 소중한 피드백은 개선된 다음 버전을 위한 초석이 되기 때문입니다. 사업적으로 성공하고 싶다면 예측시간을 꼭 적는 습관을 들여 자신이 정해진 시간 동안 얼마만큼의 일을 할 수 있는지 예측하는 일이 큰 도움이 됩니다.4.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기존의 방법을 과감히 버린다저의 철학과도 일치하는 이야기인데요, 우리 팀과 회사가 함께 좋아질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한다면 과감히 현재의 방법을 버리고 새로운 방법을 시도한다라는 우리 팀만의 맹세입니다. 앞으로 항상 발전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잠시 손을 놓고 한발짝 물러서서 비판적인 자세로 모든 것을 바라보는 시간을 가지는 것도 혁신의 첫발짝이라고 생각합니다.지금까지 우리 팀이 꾀한 겉으로 보기에 가장 큰 혁신은 기존의 속도가 느리고 사용하기 불편했던 솔루션을 과감히 버리고 새로운 서버와 새로운 언어로 전환하면서 마이그레이션 및 새로운 형태의 최적화된 솔루션을 구축했다는 것입니다.(물론 내부적으로 가장 큰 혁신은 기존의 방법을 버릴 수도 있다라는 생각을 가졌다는 것이지요)현재 저는 팀 매니저로서 User story(요구사항정의서) 관리, Release plan(배포 계획서), 와이어프레임을 포함한 기획서 등 최소한의 문서만 관리하고 있으며, 팀원들 또한 이 시스템에 만족하며 아직까지는 판단하기 이르지만 굉장히 좋은 방법인것 같습니다.5개월간 칸반을 사용하면서 팀원들로부터 받은 피드백은 다음과 같습니다.1. 매일 아침 15분씩 하는 스크럼 회의는 새로운 기능 또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굉장히 유용하지만, 디버깅 또는 테스팅 기간에는 시간낭비다.이 말을 한 팀원의 말에 따르면, 우리 팀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사람, API를 만드는 사람 등등 각자의 역할이 확실히 나누어져 있는데 새로운 기능을 개발할때는 여러사람과 소통해야하는 경우가 많고 개발 스펙이 달라지거나(작게는 함수이름 변경 등) 여러 변수들이 작용할 수 있으므로 짧게 자주만나는 것이 좋다고 말했습니다.2. 회의도 시간낭비다- 회의는 가급적 개최하지 않고 가능하다면 1:1 구두로 해결한다.- 급한일이 아닐경우에는 이메일/메신저를 활용하도록 한다.3. 칸반 보드에 보류 칼럼, 테스팅 칼럼을 나눈다보류 칼럼과 테스팅 칼럼을 나누어 적어 어떤 할일이 보류되었으며 어떤 할일이 테스팅 중인이 확실히 하도록 했습니다. 이는 테스팅을 하는데 오래걸리는 기능들이 있으며 테스팅을 하는 동안 다른 기능을 개발할 수도 있다는 것이 큰 이유였습니다.우선 순위가 바뀌었을 때 할 일을 잠시동안 놓아둘 칼럼이 없다는 것이 보류 칼럼이 존재하는 가장 큰 이유였습니다. 그러나 보류 칼럼에 놓을 수 있는 할 일의 수는 개인당 1개로 제한하여 2개 이상의 보류하는 일이 없도록하여 경각심을 갖도록 하였습니다.앞으로의 계획은 전에 언급했던 와비파커(Warby Parker)의 기술팀이 도입한 와블스(Warbles) 시스템을 적용해보는 것입니다. 우리 팀이 어떻게 바뀔지 정말 기대가 됩니다.#비주얼캠프 #인사이트 #경험공유 #조언 #개발자 #개발팀
조회수 5866

강아지 맡길 곳 필요한데 어디가 괜찮나요?

강아지 키우는 분들은 한번 쯤은고민하셨겠죠. "강아지 맡길 곳"여행갈 때도 있고출장을 갈 때도 있고집안 일이 생길 때도 있어서가끔 집을 비워야 할 때가하루 이틀이 아닌데이럴 때 마다 너무너무 고민이 많으셨을거에요우리 강아지를 꾸준히믿고 맡아줄 사람이 있었으면 좋겠다...그리고... 강아지 맡기는 곳이 될 수 있으면...- 우리집에서 가까운 곳이였으면- 믿고 검증된 사람이었으면싶습니다...강아지를 키우는 분들 중에이런 고민을 하는 분들을 위해서준비한 포스팅입니다강아지를 맡겨야 할 때보통 애견호텔, 호텔링 많이들 찾으시는데요사실 애견호텔은 케이지 안에서 지내야하거나다른 여러 마리의 강아지와 함께 지내야하는경우가 많아- 전염병에 대해 노출될 위험이 있고- 강아지들은 극도의 스트레스와 불안감을받게 됩니다.특히 사회성이 없는 강아지들은더더욱 애견호텔에서 힘든 시간을 보내는경우가 많다고 합니다.그러니 이제는 강아지 맡겨야 할 때검증된 펫시터들의 실제 '가정집'을 이용해보세요.우리 집과 비슷한 환경에서엄마의 손길과 비슷한 펫시터의 따뜻한사랑과 관심을 받으며...!*그리고 무엇보다*일대일 케어 정책으로,다른 강아지들과 섞여 위험하게 지낼 일이 없습니다!무엇보다 사이트에 등록된*1,000건 이상의 후기들이펫시터의 퀄리티와 안전성을 보장해주지요.벌써 두번째 돌봄 입니다.제일 큰 장점은 펫시터가 한 분이 아니라 '온가족'이라는 점입니다.펫시터님 댁에 있을땐 온가족의 사랑을 독차지하며예쁨을 받아 토리가 집에 오기 싫은것 같더라구요.안심하고 맡길수있는 이모네가 생긴것처럼 든든해요.실시간으로 아이의 일거수일투족을 관심있게 봐주시고사진과 동영상을 계속 보내주셔서,떨어져있음에도 불구하고 함께 있는 기분이었어요!괜히 인기가 많으신 분이 아니었다는!삼식이는 분리불안도 있고 사회성도 꽝인 아이라,아무 곳이나 맡길 수가 없는 아이예요...우연히 도그메이트의 둥이 어머니를 만나게 되었는데,삼식이의 행동 하나하나를 체크해서 말씀해주셔서여행 내내 마음 편히 보낼 수 있었습니다.이번 펫시터 서비스를 통해 많이 배우고 갑니당.둥이어머니와 가족분들 너무 감사드려요!강아지 맡길 때는 호텔링만 이용했었는데,찾으러 가면 애들 얼굴도 뭔가 어두워져 있고대부분을 케이지에 가둬놓기 때문에 늘 마음이 불편했어요.도그메이트 알게 돼서 처음으로 두 아이 함께 맡겼어요.날 좋은 날은 산책도 두 번이나 시켜 주시고,무엇보다 큰 아이는 심장병 약 복용 중인데걱정없이 잘 케어해 주시고, 안약도 잘 넣어 주셨어요.아무리 추천을 해도 부족해요.여행일정을 잡아놓고 까칠한 성격이라가족 이외엔 곁을 안주는 우리 두부땜에 걱정이 많았어요.그런데 사전 만남때부터 차분하게 안심을 시켜주셔서 믿고 맡겼어요.역시 예상대로 차분하게 두부가 다가오도록 기다려주셔서두부도 마음을 열고 잘 지내더라구요.매일 얼마나 많은 사진과 동영상을 보내주시는지여행 내내 맘놓고 다녔답니다. 감사합니다!강아지 믿고 맡길 곳?이제 필요하시다면 애견호텔보다 "가정집 펫시터"도그메이트 입니다! 더 많은 후기 보러가기(클릭)#도그메이트 #후기 #서비스 #서비스소개 #기업문화 #가치중심 #고객중심

기업문화 엿볼 때, 더팀스

로그인

/